KR102620778B1 -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778B1
KR102620778B1 KR1020230115488A KR20230115488A KR102620778B1 KR 102620778 B1 KR102620778 B1 KR 102620778B1 KR 1020230115488 A KR1020230115488 A KR 1020230115488A KR 20230115488 A KR20230115488 A KR 20230115488A KR 102620778 B1 KR102620778 B1 KR 10262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ffiliated store
liqu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컨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컨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정보와 가맹점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암호화키를 통해 결제정보를 암호화하고, 가상계좌에 결제금액을 이체함에 따라 출금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는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은 복수의 가맹점단말들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맹점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주류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와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결제관리부,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추출된 품목별 수량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도매점별 재고로부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을 선정하는 도매점선정부,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발급되는 제1 코드와 해당 가맹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제2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사 벤더에 기등록된 공개키에 대응되는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상기 결제사 벤더로 전송함에 따라 입금받는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류결제 중계시스템{LIQUOR PAYMENT RELAY SYSTEM}
본 발명은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정보와 가맹점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암호화키를 통해 결제정보를 암호화하고, 가상계좌에 결제금액을 이체함에 따라 출금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는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금 사용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개인의 신용을 거래에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신용카드는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물품 등을 구매할 수 있고, 그 사용과정의 투명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 소지자의 신용카드에 의한 결제시, 신용카드 가맹점은 신용카드조회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VAN사시스템에 전송하고, VAN사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신용카드의 결제 승인 내역을 받아,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한다.
즉, 신용카드조회기는 신용카드 거래에 수반되는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결제 기능을 수행할 뿐 기타 다른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주류 주문 방법은, 주류를 주문하려는 주문자가 주류 도매상에 전화 통화를 하거나 팩스로 주문 내역을 전송하여 주류를 주문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류 주문 방법은, 주류 주문 내역을 주류 도매상 시스템에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전산화 작업이 요구되며, 별도의 전산화 작업 시 정보의 변경이나 누락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문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결제정보를 암호화하고, 가상계좌에 결제금액을 이체함에 따라 출금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는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은 복수의 가맹점단말들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맹점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주류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와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결제관리부,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추출된 품목별 수량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도매점별 재고로부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을 선정하는 도매점선정부,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발급되는 제1 코드와 해당 가맹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제2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사 벤더에 기등록된 공개키에 대응되는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상기 결제사 벤더로 전송함에 따라 입금받는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전송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금액에 대응되는 출금포인트를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지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일정기간 내에 재주문받는 경우, 상기 주문정보의 재주문 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정기결제 주문서를 제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확인된 주류상품 키워드를 기초로 연관 검색되는 안주류 선호도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서비스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함에 따라,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중계하는 제1 중계부,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배송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중계하는 제2 중계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응답하여, 주문영수증을 자동으로 발급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관리부는 기등록된 도매점별 평균재고와 해당 도매점 재고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재고발주서를 생성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서비스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로부터 신청받는 환전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본인인증 서비스에 대한 검증을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요청하는 환전신청부, 상기 본인인증 서비스를 통해 검증받는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매점페이지에 누적된 출금포인트에 대한 환전권한을 일정시간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권한부여부 및 상기 환전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출금포인트에 대응되는 현금을 기등록된 지정계좌로 이체시키기 위한 출금서비스를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팝업 알림 형태로 활성화시키는 이체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부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가상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제1 검증부, 상기 출금서비스를 통해 이체된 환전 내역과 상기 가상계좌에 대한 출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제2 검증부 및 각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정보별 포인트 이력을 매칭하여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는 각 포인트에 대한 발행 및 환전 이력이 시간순으로 정렬된 결제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품보관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이미지수신부, 상기 상품보관 이미지에 대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염물 객체, 주류 상품 객체, 방충 및 방서시설 객체 및 조명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및 상기 오염물 객체와 주류 상품 객체 간의 이격 거리, 방충 및 방서시설 여부, 청결상태 및 조명밝기에 따라 결정된 각 보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상품 이미지에 대한 위생 등급을 진단하는 이미지진단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진단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업로드받는 복수의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주류보관 적합장소로 추천하고, 상기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는 해당 가맹점의 주류상품 보관 위치를 의뢰하기 위하여 촬영된 장소이미지이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은 기수집된 보관장소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환경 상태 등급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정보와 가맹점정보에 따라 생성된 암호화키를 통해 결제정보를 암호화하고, 가상계좌에 결제금액을 이체함에 따라 출금포인트를 지급함으로써, 가맹점과 도매점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주류결제를 보다 안정성 있고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고관리부(43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결제관리부(1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은 복수의 가맹점단말들(10_1~10_N)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에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은 복수의 가맹점단말들(10_1~10_N)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도록 주류결제 서비스를 웹서버(미도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류결제 서비스는 복수의 가맹점단말들(10_1~10_N)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 각각에 설치된 앱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텍스트, 음성녹음, 이미지촬영, 이미지 기반의 터치 입력 및 이미지 업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입력데이터를 입력 및 선택받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은 결제관리부(100), 도매점선정부(200), 암호화부(300) 및 통합관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결제관리부(100)는 복수의 가맹점단말들(10_1~10_N)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주류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와 결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주문정보는 주문시점, 주문품목, 주류의 명칭, 용도, 용량, 본수, 박스수량 및 본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정보는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비용, 차입금, 공병회수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매점선정부(200)는 주문정보로부터 추출된 품목별 수량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도매점별 재고로부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매점선정부(200)는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로부터 사전에 도매점별 재고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이를 도매점별로 분류하여 저장 DB(500)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호화부(300)는 주문정보에 따라 발급되는 제1 코드와 가맹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제2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사 벤더(2000)에 기등록된 공개키에 대응되는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드는 주문일자와 거래순서에 따른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제2 코드는 가맹점정보로부터 확인되는 고유 식별 ID와 사업자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코드가 20230729A0004인 경우, 주문일자는 2023년 07월 29일이고, 주문순서는 해당일의 4번째 거래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관리부(400)는 결제정보를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결제사 벤더(2000)로 전송함에 따라 입금받는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계좌는 주류결제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관리하는 계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통합관리부(40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에 대응되는 출금포인트를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에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출금포인트는 현금으로 환전가능한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류결제 중계시스템(1000)은 가맹점과 도매점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주류결제를 보다 안정성 있고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다.
즉, 통합관리부(400)는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도매점정보에 따라 도매점페이지를 생성하고, 해당 도매점페이지에 출금포인트를 누적하여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문정보를 일정기간 내에 재주문받는 경우, 주문정보의 재주문 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정기결제 주문서를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결제 주문서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기등록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기간마다 자동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구독 계약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주문정보로부터 확인된 주류상품 키워드를 기초로 연관 검색되는 안주류 선호도를 리스트화하여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에 서비스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각 단말(10_1~10_N, 20_1~20_N)에 MBTI 검사프로그램을 제공함에 따라 확인된 성격검사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과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 간의 화상채팅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영업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주류상품 배송이미지를 전송하는 배송문자 메시지에 대한 송신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가맹점정보를 입력받을 때, 해당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수신받는 GPS위치정보에 따라 지도맵을 통해 검증된 웹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가맹점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부(400)는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주류상품 출고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이상의 주류상품 인기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복수의 가맹점단말들(10_1~10_N)에 서비스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관리부(400)는 제1 및 제2 중계부(410, 420)와 재고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중계부(410)는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함에 따라, 주문정보를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에 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중계부(420)는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는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배송정보를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에 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고관리부(43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응답하여, 주문영수증을 자동으로 발급하여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재고관리부(430)는 저장 DB(500)에 기등록된 도매점별 평균재고와 해당 도매점 재고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재고발주서를 생성하여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에 서비스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재고관리부(4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고관리부(430)는 환전신청부(431), 권한부여부(432) 및 이체관리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환전신청부(431)는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 중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신청받는 환전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본인인증 서비스에 대한 검증을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에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권한부여부(432)는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본인인증 서비스를 통해 검증받는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매점페이지에 누적된 출금포인트에 대한 환전권한을 일정시간 개별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사업자번호, 연락처 및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체관리부(433)는 환전권한에 기초하여, 출금포인트에 대응되는 현금을 기등록된 지정계좌로 이체시키기 위한 출금서비스를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팝업 알림 형태로 권한 부여 시간 동안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체관리부(433)는 정기결제 주문서에 따라 결정되는 대출금에 대응되는 출금포인트를 서비스하는 포인트대출 서비스를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예컨대, 20_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결제관리부(1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제관리부(100)는 제1 및 제2 검증부(110, 120)와 리스트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검증부(110)는 결제정보와 가상계좌(50)에 대한 입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검증부(120)는 각 도매점페이지(21_1~21_N)로부터 출금서비스를 통해 이체된 환전 내역과 가상계좌(50)에 대한 출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관리부(130)는 제1 및 제2 검증부(110, 120)를 통해 검증된 각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정보별 포인트 이력을 매칭하여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 DB(5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는 각 포인트에 대한 발행 및 환전 이력이 시간순으로 정렬된 결제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관리부(130)는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로부터 확인된 기설정된 평균 주문수량 변화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도매점별 재고량을 증감시키도록 알람메시지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에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관리부(130)는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로부터 확인된 집중 환전 시간에 기초하여, 비집중 환전시간을 알람메시지로 복수의 도매점단말들(20_1~20_N)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통합관리부(4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관리부(400_1)는 제1 및 제2 중계부(410, 420), 재고관리부(430), 이미지수신부(440), 위험물탐지부(450), 이미지진단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제1 및 제2 중계부(410, 420), 재고관리부(4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이미지수신부(44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품보관 이미지를 업로드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보관 이미지는 주류상품이 해당 가맹점에 보관된 장소환경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객체검출부(450)는 상품보관 이미지에 대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염물 객체, 주류 상품 객체, 방충 및 방서시설 객체 및 조명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진단부(460)는 오염물 객체와 주류 상품 객체 간의 이격 거리, 방충 및 방서시설 여부, 청결상태 및 조명밝기에 따라 결정된 각 보관점수에 기초하여, 보관상품 이미지에 대한 위생 등급을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진단부(460)는 위생 등급이 일정 등급 미만인 경우, 상품보관 이미지를 부적합 보관상태로 진단하고 이를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에 서비스하는 동시에 보관 유통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진단부(460)는 위생 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경우, 상품보관 이미지를 적합보관상태로 진단함에 따라 우수가맹점 식별코드를 해당 가맹점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진단부(460)는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업로드받는 복수의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주류보관 적합장소로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는 해당 가맹점의 주류상품 보관 위치를 의뢰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예컨대, 10_1)을 통해 촬영된 장소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은 저장 DB(500)에 기수집된 보관장소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환경 상태 등급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은 인공 신경 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및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실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_1~10_N: 복수의 가맹점단말들
20_1~20_N: 복수의 도매점단말들
100: 결제관리부
200: 도매점선정부
300: 암호화부
400: 통합관리부
1000: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Claims (8)

  1. 복수의 가맹점단말들과 복수의 도매점단말들 간의 주류 유통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주류결제 중계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가맹점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주류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와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결제관리부;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추출된 품목별 수량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도매점별 재고로부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을 선정하는 도매점선정부;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발급되는 제1 코드와 해당 가맹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제2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사 벤더에 기등록된 공개키에 대응되는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상기 결제사 벤더로 전송함에 따라 입금받는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하는 통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전송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금액에 대응되는 출금포인트를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지급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일정기간 내에 재주문받는 경우, 상기 주문정보의 재주문 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정기결제 주문서를 제안하며,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확인된 주류상품 키워드를 기초로 연관 검색되는 안주류 선호도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서비스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을 가상계좌에 이체함에 따라,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중계하는 제1 중계부;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배송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중계하는 제2 중계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구매 확정 신호에 응답하여, 주문영수증을 자동으로 발급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관리부는 기등록된 도매점별 평균재고와 해당 도매점 재고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재고발주서를 생성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서비스하며,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로부터 신청받는 환전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본인인증 서비스에 대한 검증을 상기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요청하는 환전신청부;
    상기 본인인증 서비스를 통해 검증받는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매점페이지에 누적된 출금포인트에 대한 환전권한을 일정시간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권한부여부; 및
    상기 환전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출금포인트에 대응되는 현금을 기등록된 지정계좌로 이체시키기 위한 출금서비스를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팝업 알림 형태로 활성화시키는 이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체관리부는 상기 정기결제 주문서에 따라 결정되는 대출금에 대응되는 출금포인트를 서비스하는 포인트대출 서비스를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도매점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결제관리부는 상기 결제정보와 상기 가상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제1 검증부;
    상기 출금서비스를 통해 이체된 환전 내역과 상기 가상계좌에 대한 출금 내역 간의 대응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제2 검증부; 및
    각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정보별 포인트 이력을 매칭하여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는 각 포인트에 대한 발행 및 환전 이력이 시간순으로 정렬된 결제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이며,
    상기 리스트관리부는 상기 결제정보-포인트 매칭리스트로부터 확인된 집중 환전 시간에 기초하여, 비집중 환전시간을 알람메시지로 상기 복수의 도매점단말들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품보관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이미지수신부;
    상기 상품보관 이미지에 대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염물 객체, 주류 상품 객체, 방충 및 방서시설 객체 및 조명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및
    상기 오염물 객체와 주류 상품 객체 간의 이격 거리, 방충 및 방서시설 여부, 청결상태 및 조명밝기에 따라 결정된 각 보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보관 이미지에 대한 위생 등급을 진단하는 이미지진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진단부는 상기 위생 등급이 일정 등급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보관 이미지를 부적합 보관상태로 진단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에 보관 유통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위생 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경우, 상기 상품보관 이미지를 적합보관상태로 진단함에 따라 우수가맹점 식별코드를 해당 가맹점페이지에 표시하며,
    상기 이미지진단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업로드받는 복수의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들을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주류보관 적합장소로 추천하고,
    상기 보관장소 후보이미지는 해당 가맹점의 주류상품 보관 위치를 의뢰하기 위하여 촬영된 장소이미지이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의 보관장소 진단모델은 기수집된 보관장소 이미지들을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환경 상태 등급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도출되는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이며,
    상기 통합관리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상기 주류결제 서비스를 통해 가맹점정보를 입력받을 때, 해당 어느 하나의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받는 GPS위치정보에 따라 지도맵을 통해 검증된 웹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포함하는,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115488A 2023-08-31 2023-08-31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KR10262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488A KR102620778B1 (ko) 2023-08-31 2023-08-31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488A KR102620778B1 (ko) 2023-08-31 2023-08-31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778B1 true KR102620778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488A KR102620778B1 (ko) 2023-08-31 2023-08-31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7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832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암호화폐를 이용한 음파 결제 방법
KR20190080827A (ko) * 2019-03-08 2019-07-08 주식회사 그렉터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객체의 속성에 따른 정책 기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8876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세이브원그룹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196838B1 (ko) * 2019-10-23 2020-12-30 주식회사 세븐미어캣 대상 객체의 오염도 및 파손도 인식 장치
KR20220067349A (ko) * 2020-11-17 2022-05-24 양승찬 주류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류 거래 방법
KR20230032366A (ko) * 2021-08-30 2023-03-07 (주)엔젤넷 주류유통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16846B1 (ko) * 2022-12-23 2023-04-03 포유티엘에스 주식회사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물품 창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의 재고 상태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832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암호화폐를 이용한 음파 결제 방법
KR20190080827A (ko) * 2019-03-08 2019-07-08 주식회사 그렉터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객체의 속성에 따른 정책 기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8876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세이브원그룹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196838B1 (ko) * 2019-10-23 2020-12-30 주식회사 세븐미어캣 대상 객체의 오염도 및 파손도 인식 장치
KR20220067349A (ko) * 2020-11-17 2022-05-24 양승찬 주류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류 거래 방법
KR20230032366A (ko) * 2021-08-30 2023-03-07 (주)엔젤넷 주류유통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16846B1 (ko) * 2022-12-23 2023-04-03 포유티엘에스 주식회사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물품 창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물품의 재고 상태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2333B (zh) 用于分配物品或服务的远程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CN102216944A (zh) 使用移动钱包系统进行交易的系统和方法
US11663646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rovision of goods
CN102362284A (zh) 用于在移动电话处提供移动钱包的系统和方法
US9595030B2 (en) Flexibl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process
KR101958701B1 (ko)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90039301A (ko) 포스 단말기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JP5835818B2 (ja) 注文情報を集積・判定する事による不正注文情報の照会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照会装置
KR102620778B1 (ko) 주류결제 중계시스템
KR102053251B1 (ko)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6363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판매시스템
Shameem et al. Advancement In Public Distribution System
JP7322565B2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NL2010342C2 (en) 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handling of age verification requests.
KR100469012B1 (ko) 현금영수증 등록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5784A (ko) 차량의 부품 검색 및 구입 방법
RU2810469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дажами независимых торговых точек
US20240054475A1 (en) Server apparatus, purchas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60043884A (ko) 고객의 용건을 처리하는 복수의 창구 중 어느 하나로 상기고객을 유도하는 고객 유도 시스템 및 고객 유도 방법
IL284932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llecting an item, which are controlled remotely
KR102178077B1 (ko) 단말기 보관함 및 단말기 보관함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판매관리 방법
WO2022096591A1 (en) System for recycling empty containers for containing liquids or beverage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ystem
KR20240012729A (ko) 상품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및 사용자 장치
KR20230116279A (ko) 핸드폰 수리 업체 중개 및 악세사리 판매 서비스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