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96B1 -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 Google Patents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96B1
KR102620696B1 KR1020220170291A KR20220170291A KR102620696B1 KR 102620696 B1 KR102620696 B1 KR 102620696B1 KR 1020220170291 A KR1020220170291 A KR 1020220170291A KR 20220170291 A KR20220170291 A KR 20220170291A KR 102620696 B1 KR102620696 B1 KR 10262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rbal medicine
decoction
extraction process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9873A (en
Inventor
윤영석
윤준걸
Original Assignee
윤준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걸 filed Critical 윤준걸
Priority to KR102022017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96B1/en
Publication of KR2023006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온의 물에 담구어 두는 냉침 후 가열하여 소정 시간 끓이는 전탕을 통해 탕약을 추출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처방전에 따른 한약의 탕약 추출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별로 서로 다른 처방전에 기초한 한약 탕약 제조를 냉침과 전탕 그리고 후하공정을 포함하여 자동화함으로써 다량의 탕약제조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의 가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센서와 보호장치를 구비해 안전한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es the process of extracting herbal medicine through cold soaking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llowed by heating and boil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reby enabling quick and accurate extraction of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different prescrip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herbal decoctions.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nufacture large quantities of herbal decoctions by automating the manufacturing of herbal herbal decoctions based on different prescriptions for each patient, including cold steeping, pre-boiling, and post-treatment processes.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 safe process by providing sensors and protection devices for worker safe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device.

Description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을 자동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온의 물에 담구어 두는 냉침 후 가열하여 소정 시간 끓이는 전탕을 통해 탕약을 추출하는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처방전에 따른 한약의 탕약 추출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automates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automates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s through cold soaking in which the herbal medicines are soaked in room temperature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n heated and boil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is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process the extraction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according to different prescriptions.

한약은 환약으로 복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탕약(湯藥)으로 복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탕약은 대개 한의서의 조제방법에 따라 전통적인 추출방법인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煎湯)을 거친 것이다. 탕약이란 한약재를 전탕하여 찌꺼기를 거르고 복용하기 좋게 준비된 약액을 말한다. 한의서에 별도의 추출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약탕기에 한약총량의 10배량의 물을 넣고 80∼100℃에서 일정시간, 통상 1∼3시간 동안 추출액량이 가해준 물 양의 1/2 내지 2/3가 되도록 전탕한 다음 여과한다.Oriental medicine is sometimes taken as a pill, but it is more common to take it as a decoction. The decoction is usually decocted using a non-pressure method, a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in Oriental medicine books. Decoction refers to a herbal medicine solution prepared by boiling up herbal medicine, filtering out the residue, and making it easy to take. If there is no separate extraction method in the Oriental medicine book, generally, 10 times the amount of water as the total amount of herbal medicine is added to the herbal medicine boiler and the amount of extract is 1/2 to 2/2 of the amount of water add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ually 1 to 3 hours, at 80 to 100 ℃. Boil to a boiling point of 3 and then filter.

탕제용으로 자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가 전탕시 가용성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인 냉침을 하는데, 한약재가 일반적으로 건조된 후에 유통되므로 건조과정에서 세포액이 마르고 세포벽과 도관이 수축된 것을 습윤, 연화시키고 세포를 팽창시켜 유효성분의 용해, 용출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약재에 함유된 전분이나 단백질이 바로 가열될 때 약재 표면에 엉기거나 응고되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기 어렵게 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며, 약재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Herbal medicine cut for use as a decoction is soak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a process that facilitates the extraction of soluble components. Since herbal medicine is generally distributed after drying, the cell fluid dries and the cell walls and ducts shrink during the drying process. This is to soften and expand the cells to enable dissolution and elu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event as much as possible the phenomenon that starch or protein contained in herbal medicine coagulates or coagulates on the surface of the medicine when heated directly, making it difficult for moisture to penetrate into the medicine, and to sufficiently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medicine.

대규모로 한약 탕약을 제조하는 한방병원, 한의원, 원외탕전실 등에서는 다수의 약탕기를 사용하거나 일부 자동화된 탕약 추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냉침과 전탕 공정을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자동화된 추출장치는 갖추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68624호는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 재질로 된 약탕기에서 약재를 달이고, 이렇게 달여진 약재에서 추출액(엑기스)을 진공상태로 추출하도록 하여 약리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한약재 추출액(엑기스) 추출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냉침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장치 자체의 운전과정에서 작업자 보호를 위한 구성도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Oriental medicine hospitals, oriental medical clinics, and out-of-hospital herbal decoction rooms that manufacture herbal herbal decoctions on a large scale may use multiple herbal decoction machines or use some automated herbal decoction extraction devices, but do not have systematically automated extraction devices that integrate the cold steeping and decoction processes. This is reality.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68624 relates to an extract extraction device for herbal medicine, which boils medicinal ingredients in a ceramic water bath and extracts the extract (extract) from the boiled medicinal ingredients in a vacuum to maximize the medicinal efficacy of medicinal herbs. Disclosed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extract (extract) extraction device. However, the device does not include a cold immersion proces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lacks a structure to protect worke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self.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0021204호,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0021204, method of extracting effective ingredients from herbal medicine

본 발명은 대규모로 한약 탕약을 제조하는 한방병원 등에서 환자별로 서로 다른 처방전에 따른 한약의 탕약 추출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면서도 전탕 공정 전 냉침공정을 수행함은 물론, 작업자 보호를 위한 안정장치를 구비한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herbal medicine decoction that quickly and accurately extracts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different prescriptions for each patient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at manufacture herbal medicine on a large scale, performs a cold immersion process before the boiling process, and is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to protect workers. We aim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본 발명은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로, 상기 장치는: 처방에 따라 탕제용으로 자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그는 냉침을 진행하는 냉침 용기, 상기 냉침을 거친 한약재와 물을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을 진행하는 약탕 용기, 상기 전탕 진행 중 미리 정한 시간에 추가 약재를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하는 후하용 약재를 보관하는 후하 용기, 및 상기 각각의 용기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약탕부;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적치하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동시켜서 각각의 약탕 용기가 순차적으로 추출위치로 도달하도록 하는 적치 이동부; 상기 적치 이동부의 이동으로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상기 추출위치에서 상기 약탕부의 상기 약탕 용기로부터 전탕된 탕약을 내려받는 탕약수용기 및 상기 탕약수용기를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거치대를 포함하는 탕약 수용부; 및 상기 약탕 용기 및 상기 탕약 수용기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기, 및 상기 약탕 용기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기를 포함하는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에 탈착식 덮개를 구비하고 하면에는 개폐식 배출구를 구비하는 전탕용 몸체와 상기 전탕용 몸체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탕기히터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약탕 용기의 거치부는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 위치가 상기 탕약수용부 상부로 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세척부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물체감지 센서 및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의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the device comprising: a cold steeping container for cold steeping the herbal medicine cut for decoction according to a prescription by immersing it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and a cold steeping container for boiling the cold steeped herbal medicine and water in a non-pressure method. A medicament unit including a medicament container for performing the decoction, a container for storing the medicament for injecting additional medicaments into the medicament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decoction process, and a mounting portion for holding each of the containers; a stacking moving unit that stacks a plurality of the medicinal bath uni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oves them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so that each medicinal bath container sequentially reaches the extraction position; A decoction container that receives the molten decoction from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of the medicament unit at the extraction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the herbal decoction units sequentially arrive by moving the accumulating moving unit, and a transport that moves the decoction container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 decoction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holder;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ing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with water, and a vacuum suction device for sucking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where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has a detachable cover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side. It includes a body for decoction having an open/close outlet and a housing surrounding a water heater for applying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decoction body, wherein the holding portion of the decoction container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decoction container is at the top of the decoction container. It is configured,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protection unit for worker protection, and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to the extraction position and discharge position.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Provides automated devic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냉침 용기는 처방된 한약의 약재별로 서로 다른 냉침용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내면에 부피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고, 외부에 냉침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계가 부착된,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has a scale indicating the volume on the inner side so as to display different amounts of water for cold immersion for each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is equipped with a clock on the outside to check the cold immersion time. Provides a device to automate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개폐식 배출구는 볼밸브로 개폐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open/close outlet is opened and closed by a ball valv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냉침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의 후면 또는 측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의 상기 탈착식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침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한 뒤 상기 탈착식 덮개를 폐쇄하는 냉침 용기 내용물 자동 투입기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holder positions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t the rear or upper sid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the contents inside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re introduced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with the removable cover on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open. Provided i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injector of the contents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for closing the detachable cov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치부는 냉침 용기의 바닥을 상기 약탕 용기의 뚜껑 위치에 나란히 위치시키기 위해 거치기둥과 상기 거치기둥 위 냉침 용기 선반부를 설치하며, 상기 냉침 용기 선반부의 벽면을 상부로 연장하여 후하 용기용 선반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mounting unit installs a mounting pillar and a cold steeping container shelf on the mounting pillar to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side by side with the lid position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extends the wall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shelf upward to the lower part. Provided i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shelf unit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후하 용기는 상기 약탕 용기의 전탕시간을 측정하여 후하 시간을 확인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huha container includes an alarm unit that measures the huha time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nd confirms the huha tim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후하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의 후면 또는 측면 상부에 상기 냉침 용기 위치와 다른 곳에 위치시키고, 상기 탕약 용기는 상면의 상기 탈착식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후하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한 뒤 상기 탈착식 덮개를 폐쇄하는 후하 용기 내용물 자동 투입기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holder positions the Hu-ha container on the back or upper side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location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and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is located inside the Hu-ha container with the detachable cover on the upper surface open. It provide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container contents injector for putting the contents into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nd then closing the detachable cov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적치 이동부는, 직선형, 다각형 또는 원형 경로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accumulating moving unit is a conveyor belt that moves in a linear, polygonal or circular path.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적치 이동부는,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accumulating moving part is a carousel-type rotating bod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탕약수용기는, 상면 개구부에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를 통해 탕약액과 함께 수용되는 한약재의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하면에는 탕약액을 배출시키도록 밸브가 구비된 배출관을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decoction container includes a strainer at the top opening that filters the residue of the herbal medicine received together with the decoction liquid through an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nd a valv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o discharge the decoction liquid. Provided i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discharge pip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탕약수용기가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해서 밸브를 개방하여 탕약을 배출하여 저장용기에 담을 때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herbal medicine, wherein the discharge pipe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mixing whe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moves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opens the valve to discharge the herbal medicine and place it in a storage container. provid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를 거치하고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바퀴를 구비한 이동부 및 상기 레일바퀴가 이동가능한 레일을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for the extraction of herbal medicine herbal medicine, wherein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moving part with rail wheels so as to hol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move it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nd a rail on which the rail wheels are movable. Provides process automation devic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약탕 용기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 세척부와 상기 약탕 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보호부가 상기 약탕 용기 뚜껑을 잡아서 이동하고, 상기 세척기가 상기 약탕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and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protection unit moves by holding the lid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t provide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washer enters the inside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nd washes it with wat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진공흡입기는,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에 탈착식으로 접촉하여 상기 약탕 용기 내부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vacuum suction device detachably contacts the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to suction and remov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side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탕약수용기의 상기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는 탕약수용기 세척기, 탕약 수용기 물체감지 센서 및 탕약 수용기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wherei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further includes a decoction container washer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decoction container,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the decoction container, and a decoction receptor protection uni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는 상기 탕약 수용기의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와 상기 탕약 수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탕약 수용기 보호부가 탕약 수용기의 거름망을 잡아서 이동하고,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가 상기 탕약 수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herbal medicine receiver washer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asher and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protection unit protects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s provided, in which a strainer is held and moved,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washer enters the inside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washes it with water.

본 발명은 환자별로 서로 다른 처방전에 기초한 한약 탕약 제조를 냉침과 전탕 그리고 후하공정을 포함하여 자동화함으로써 다량의 탕약제조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의 가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센서와 보호장치를 구비해 안전한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nufacture large quantities of herbal medicines based on different prescriptions for each patient by automating the manufacturing of herbal medicines, including cold soaking, pre-boiling, and post-baking processes.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 safe process by providing sensors and protection devices for worker safe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측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탕약수용기 및 탕약수용기를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거치대를 포함하는 탕약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침을 거친 한약재와 물을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을 진행하는 약탕 용기 및 상기 약탕용기의 탕약을 상기 탕약수용기로 배출한 뒤 용기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기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그는 냉침을 진행하는 냉침 용기(a) 및 약탕 용기에서 전탕 진행 중 미리 정한 시간에 추가 약재를 약탕용기에 투입하는 후하용 약재를 보관하는 후하 용기(b)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평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다각형 경로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형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평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of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decoction unit, a carousel-type rotating moving body, a decoction storage unit,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ction container and a decoction container including a transfer holder for reciprocating the decoction container to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herbal medicine container in which a herbal medicine that has undergone cold immersion and water are decocted in a non-pressure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 the container after discharging the herbal medicine from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nto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acuum suction device.
Figure 4 shows a cold immersion container (a) in which cold immersion is performed by immersing herbal medicine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st-treatment herbal medicine in which additional medicinal ingredients are added 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whole bath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Huha container (b) that stores th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decoction unit, a carousel-type rotating moving body, a decoction storage unit,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lane view of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herbal decoction unit, a conveyor belt-type rotary moving body moving in a polygonal path, a decoction storage unit,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n as .

아래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은 각각의 구체적인 세부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양상에 대한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의 원리에서 다양한 방법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은 그러한 양상 및 그 균등물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In the description below,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se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out the specific details of eac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다양한 양상 및 특징이 다수의 장치,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이 추가적인 장치, 부품, 구성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 부품, 구성품 등 모두를 포함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may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multiple devices, modules, etc.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that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parts, components, etc. and/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parts, component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현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데이터베이스' '서버' '입력부' '출력부'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실체(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The terms used below, such as 'database', 'server', 'input unit', and 'output unit', generally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such as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software. It can mean.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상기 경우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항목 중 하나 이상 항목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and not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utilize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either X uses A; X uses B; Or, if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be applied to either of the above cases. Additionally,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lated lis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단계, 동작, 모듈,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모듈, 구성요소, 및/또는 이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이러한 용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 간의 구별을 위해서 사용될 뿐이고, 순서 또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step, operation, module, and/or component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steps, operations, modules, or component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and/or groups. In addi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at i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imply order or priority.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the context is clear to indicate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terms herein and in the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측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1)로, 상기 장치는: 처방에 따라 탕제용으로 자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그는 냉침을 진행하는 냉침 용기(30), 상기 냉침을 거친 한약재와 물을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을 진행하는 약탕 용기(20), 상기 전탕 진행 중 미리 정한 시간에 추가 약재를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하는 후하용 약재를 보관하는 후하 용기(40), 및 상기 각각의 용기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약탕부;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적치하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동시켜서 각각의 약탕 용기가 순차적으로 추출위치로 도달하도록 하는 적치 이동부(10); 상기 적치 이동부의 이동으로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상기 추출위치에서 상기 약탕부의 상기 약탕 용기로부터 전탕된 탕약을 내려받는 탕약수용기(50) 및 상기 탕약수용기를 상기 추출위치(점선표시 위치)와 배출위치(실선표시 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거치대(51)를 포함하는 탕약 수용부; 및 상기 약탕 용기 및 상기 탕약 수용기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기(61), 및 상기 약탕 용기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기(80)를 포함하는 용기 세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상기 약탕 용기를 가장 낮은 위치에 적치하며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냉침 용기의 바닥을 상기 약탕 용기의 뚜껑(21) 위치에 나란히 위치시키기 위해 거치기둥(11)과 상기 거치기둥 위 냉침 용기 선반부(12)를 설치하며, 상기 냉침 용기 선반부의 벽면(13)을 상부로 연장하여 후하 용기용 선반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of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decoction unit, a carousel-type rotating moving body, a decoction storage unit,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1)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decoctions, the device comprising: a cold steeping container (30) for cold soaking herbal medicines cut for decoctions according to a prescription by immersing them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cold soaked herbal medicines and water A medicinal bath container (20) for performing a decoction using a non-pressure method, a post-bath container (40) for storing medicinal ingredients for adding additional medicinal ingredients 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pre-baking process, and each of the above containers. A medicinal bath unit including a mounting unit for holding a; A stacking moving unit 10 that stacks a plurality of the medicinal bath uni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oves them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so that each medicinal bath container sequentially reaches the extraction position; At the extraction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medicinal decoction units sequentially arrive by moving the accumulating moving part, the decoction container 50, which receives the whole decoction container from the medicinal decoction container of the medicinal decoction unit, and the decoction container are placed at the extraction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a decoction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transfer holder 51 that moves back and forth to the discharge position (position indicated by solid line);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ing a washing machine 61 for washing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with water, and a vacuum suction device 80 for sucking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moving unit stacks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t the lowest posi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n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can pa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art installs a mounting pillar 11 and a cold steeping container shelf part 12 on the mounting pillar to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side by side with the lid 21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wall surface 13 of the shelf part of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may be extended upward to provide a shelf part 41 for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1)는 상기 약탕부의 약탕 용기(20) 및 상기 탕약수용기(50)가 상기 추출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약탕 용기(20)가 상기 탕약수용기(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적치 이동부(10)가 미리 정한 높이에서 상기 약탕부를 적치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받침부(110)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적치 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00), 상기 적치 이동부가 미리 정한 높이에서 안정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둥부(111)와 회전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부(102)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받침부(110)로부터 수직 프레임(200)이 세워져 장치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상기 수직 프레임(200)의 상면에 접해서 상기 용기 세척부를 지탱하며 물과 전력을 공급하는 상부 프레임(30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치 이동부가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10)인 경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목마형 회전운동체의 회전중심의 역할을 한다. 회전운동체가 회전하게 될 때는 상기 동력부가 회전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회전중심에 위치한 동력부(100)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회전운동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상기 동력부와 상기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를 매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력부(100)는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겹치지 않도록 배열하거나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동력부의 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탕부를 외부 물체의 낙하 혹은 먼지 등으로부터 보하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정 높이에 형성된 우산형상의 보호천장부(210)가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herbal medicine decoction (1)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20 when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20 and the decoction container 50 of the herbal decoction unit reach the extraction position. The stacking moving unit 10 places the herbal medicine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it can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50. For this purpose, the stacking moving part is located on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base includes a power unit 100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stacking moving part, and a plurality of devices so that the stacking moving part can move stably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pillar part 111 and the roller part 102 to reduce rotational fri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frame 200 is erected from the support 110 to balance the entire device, and supports the container washing uni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0 to supply water and power. The upper frame 300 is loc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cking moving part is a carousel-type rotating body 10, the vertical fram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evice and serves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rousel-type rotating body.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the power uni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unit 100 located at the rotation center to the rotating body may include the power unit and the rotary moving body stacking moving unit. It mediat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100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the vertical frame 200, or the housing of the power unit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shaped protective ceiling portion 210 form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may be positioned to protect the medicinal bath from falling external objects or dus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부 프레임 연결부(60)를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상기 약탕 용기(2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65)가 상기 용기 세척부와 상기 약탕 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용기 세척기 보호부(62)가 상기 탕약 용기 뚜껑을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 세척기(61)가 상기 약탕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할 수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 연결부(60)를 통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으로부터 물과 전력을 상기 용기 세척부로 전달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300 through an upper frame connection portion 60 a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20,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5 is used to clean the container. When a safety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unit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is sent, the container washer protection unit 62 moves the lid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washer 61 can enter the insid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wash it with water. Water and power a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frame 300 to the container washing unit through the upper frame connection part 6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냉침 용기(30)는 처방된 한약의 약재별로 서로 다른 냉침용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내면에 부피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고, 외부에 냉침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냉침용기에 가해지는 물의 양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냉침용기와 나란히 놓인 약탕 용기에서 전탕이 끝나고 탕약을 탕약수용기로 배출한 뒤 세척작업까지 마치게 되면, 상기 냉침용기의 내용물을 약탕 용기로 옮길 때 냉침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30 has a scale indicating the volume on the inside so as to display different amounts of water for cold immersion for each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has a scale on the outside to check the cold immersion time. A clock may be attach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added to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nd when the entire bath is completed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placed side by side with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the herbal medicine is discharged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the wash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ents of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re transferred 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is is to allow you to check the chilling tim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약탕 용기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65)가 상기 용기 세척부와 상기 약탕 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용기 세척기 보호부(62)가 자동으로 상기 탕약 용기 뚜껑을 이동시키고, 상기 세척기가 상기 약탕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으로 상기 탕약 용기 뚜껑을 잡아서 이동시키는 자동 장치는 로봇을 포함하여 자동이송 구현가능한 기술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작업자 보호를 위한 물체감지 센서(65)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약탕 용기 및 상기 탕약 수용기 사이에 사람의 손 등이 위치할 때 상기 세척부의 세척용 기구가 하강하여 손 등이 끼이거나 절단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washing un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5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and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container washing unit protection unit ( 62) automatically moves the lid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washing machine can enter the inside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wash it with water. The automatic device that automatically grabs and moves the lid of the decoction container can be adopted by any technology that can implement automatic transport, including robot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5 for worker protection is such that when a person's hand, etc. is located between the cleaning unit,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the cleaning mechanism of the cleaning unit descends and touches the hand. It serves to prevent accidents where the back is caught or c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탕약수용기 및 탕약수용기(50)를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거치대(51)를 포함하는 탕약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를 거치하고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바퀴(58)를 구비한 이동부(56) 및 상기 레일바퀴가 이동가능한 레일(5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탕약수용기는, 상면 개구부에 상기 약탕 용기(20)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22)를 통해 탕약액과 함께 수용되는 한약재의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90)을 포함하고, 하면에는 탕약액을 배출시키도록 밸브가 구비된 배출관(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탕약수용기가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해서 밸브를 개방하여 탕약을 배출하여 저장용기에 담을 때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보호덮개(5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탕약수용부의 세척을 위해,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탕약수용기(50)의 상기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는 탕약수용기 세척기(71), 탕약 수용기 물체감지 센서(75) 및 탕약 수용기 보호부(7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71)는 반 자동으로 작업자가 상기 탕약 수용기 내부의 거름망(90) 등을 제거한 뒤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71)는 탕약 수용기의 상부 프레임 연결부(70)를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상기 탕약 수용기의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탕약 수용기 물체감지 센서(75)가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와 상기 탕약 수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탕약 수용기 보호부(72)가 탕약 수용기의 거름망을 잡아서 이동하고,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가 상기 탕약 수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한다. 상기 탕약수용기의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5)는 상기 탕약수용기가 추출과 배출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왔을 때 탕약을 내려받고 배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탕약이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5)는 상기 이송거치대(51)가 상기 추출위치와 상기 배출위치에 도달할 때 접촉 정보를 정확히 줄 수 있도록 이동부(56)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이동제한부(59)에 위치한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ction container and a decoction container 50 including a transfer holder 51 that reciprocates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moving part 56 equipped with a rail wheel 58 so as to mount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move it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nd a rail on which the rail wheel can move. Includes (57).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includes a strainer 90 at the upper opening for filtering the residue of the herbal medicine received together with the herbal medicine liquid through the open/close outlet 22 on the lower side of the medicinal herbal medicine container 20, and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discharge pipe 52 equipped with a valve to discharge the decoction liqui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53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mixing whe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moves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opens the valve to discharge the herbal medicine and place it in a storage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es a herbal medicine container washer 71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50, a herbal medicine receptor object detection sensor 75, and a herbal medicine container 75. It further includes a receptor protection portion (7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ction container washer 71 operates semi-automatically after the operator removes the strainer 90, etc. inside the decoction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washer 71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300 through the upper frame connection part 70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detects an object in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hen the sensor 75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herbal medicine receiver washer and the herbal medicine receiver,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protection unit 72 catches the strainer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moves, and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asher moves into the interior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Enter and wash with water. The sensor 55, which detec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to the extraction position and discharge position, allows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to download and discharge the herbal medicine when it comes to the correct position for extraction and discharge, so that the herbal medicine is stored outside. Prevents dripping or spilling. The sensor 55 that detec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is a movement limiter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part 56 to accurately provide contact information when the transfer holder 51 reaches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It is located at (5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침을 거친 한약재와 물을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을 진행하는 약탕 용기 및 상기 약탕용기(20)의 탕약을 상기 탕약수용기(50)로 배출한 뒤 용기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기(80)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진공흡입기는, 진공 흡입관(81)의 말단에 탈착식 연결구(89)를 구비한다. 상기 탈착식 연결구(89)는 상기 약탕 용기(20)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22)의 체결구(29)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89)와 상기 체결구(29)는 서로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약탕 용기 내부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상기 진공흡입기로 흡입시켜 제거한다. 상기 한약 찌꺼기를 흡입하여 제거한 뒤 상기 약탕 용기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물로 세척한다. Figure 3 shows a herbal medicine container in which cold-immersed herbal medicine and water are boiled in a non-pressure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20 is discharged into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50.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acuum suction device (80) that suctions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 a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su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connector 89 at the end of the vacuum suction pipe 81. The detachable connector 89 is connected to the fastener 29 of the open/close outlet 22 on the bottom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20. The connector 89 and the fastener 29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side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is removed by suction using the vacuum suction device. After the herbal medicine residue is removed by suctio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is washed with water using a water wash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에 탈착식 덮개인 약탕 용기의 뚜껑(21)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개폐식 배출구(22)를 구비하는 전탕용 몸체와 상기 전탕용 몸체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탕기히터(26)를 둘러싸는 하우징(23)을 포함하며, 상기 약탕 용기의 거치부는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 위치가 상기 탕약수용부 상부로 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세척부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물체감지 센서(65) 및 용기 세척기 보호부(62)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의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탕약수용기는 추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순차적으로 추출위치로 도달하는 약탕 용기의 하부에 놓여서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로부터 탕약을 내려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용기 세척부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상부에서 상기 각각의 약탕 용기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추출위치와 상기 탕약수용기가 도달하는 배출위치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프레임(30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전력 및 세척용 물을 공급받는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has a lid 21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which is a detachable cover, on the upper surface and an opening and closing outlet 22 on the lower surface, and a boiler for applying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bath body. It includes a housing 23 surrounding the heater 26, and the holding portion of the medicinal decoction container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utle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dicinal decoction container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decoction receiving part, and the container cleaning unit detects objects for worker protection. It includes a sensor 65 and a container washer protection unit 62, and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sensor 55 that detec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decoction container to the extraction position and discharge pos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is located at the extraction position, it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at sequentially reaches the extraction position, so that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can receive the medicinal bath from an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s an upper frame (300) formed at the top of the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at the extraction position where each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s sequentially arrives, an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position where the decoction container reaches. ), and receives power and water for washing from the upper fram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그는 냉침을 진행하는 냉침 용기(a) 및 약탕 용기에서 전탕 진행 중 미리 정한 시간에 추가 약재를 약탕용기에 투입하는 후하용 약재를 보관하는 후하 용기(b)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냉침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의 후면 또는 측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의 상기 탈착식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침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한 뒤 상기 탈착식 덮개를 폐쇄하는 냉침 용기 내용물 자동 투입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냉침 용기(30)는 자동 개폐되는 냉침 용기 뚜껑(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냉침 용기 바닥면에 측면으로 이어지는 냉침 용기 내용물 배출관(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침 용기 내용물 배출관은 배출관 개폐밸브(38)와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개폐밸브 손잡이(37)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후하 용기는 자동 개폐되는 후하 용기 뚜껑(4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약탕 용기의 전탕시간을 측정하여 후하 시간을 확인하는 시계부(44)와 알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냉침 용기 및 상기 후하 용기의 자동 개폐되는 자동 뚜껑은 로봇 팔 등과 연결되어 상기 냉침 용기 및 상기 후하 용기의 자동 뚜껑을 연 뒤 상기 냉침 용기 및 상기 후하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로 기울여 각각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후하 용기는 상기 약탕 용기의 전탕시간을 측정하여 후하 시간을 확인하는 알람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전탕의 잔여시간 예를 들어 15분 전에 후하 약재를 약탕 용기에 투입하도록 알려줄 수 있다. Figure 4 shows a cold immersion container (a) in which cold immersion is performed by immersing herbal medicine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st-treatment herbal medicine in which additional medicinal ingredients are added 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whole bath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Huha container (b) that stores th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positions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t the rear or upper sid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holds the contents inside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removable cover on the upper surface is opened. It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injector (not shown) of the contents of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that closes the removable cover after inserting the contents into the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30 may be provided with a cold immersion container lid 31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ld immersion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pipe 32 extending to the side on the bottom of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on-off valve 38 and an on-off valve handle 37 that operates the on-off val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ha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Hoo-ha container lid 41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and a clock unit 44 and an alarm unit 43 that measure the filling time of the medicated bath container and check the Hoo-ha time. ) may inclu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lid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cold steeping container and the Hoo-ha container is connected to a robot arm, etc. to open the automatic lid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and the Hoo-ha container and then place the cold steeping container and the Hoo-ha container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By tilting, each content can be automatically placed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ha container includes an alarm unit 43 that measures the bathing tim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checks the Hoo-ha time, and the alarm unit detects the Hoo-ha medicine before the remaining time of bathing, for example, 15 minutes. You may be instructed to put it into the medicine bath contain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10),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평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회전목마형 회전운동체이며, 상기 회전목마형 회전운동체는 하부에 받침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 중앙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위치하며, 상기 동력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적치 이동부가 복수개의 기둥부와 회전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중심을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상기 원형의 적치 이동부의 중심에는 동력부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탕약수용부의 상기 이송거치대의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 방향과 일치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원형의 적치 이동부(10)는 상기 하부의 받침부(110)보다 그 면적이 크거나 작을 수 있다. Figure 5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a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herbal decoction unit, a carousel-type rotating moving body (10), a decoction receiving unit, and a container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n in cross s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moving part is a merry-go-round type rotating body, and the merry-go-round type rotating body has a support part 110 at the bottom and a power part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Centering on the power unit, a circular stacking moving unit rotates while maintaining its center by contacting a plurality of pillar units with a roller unit interposed between them to reduce rotational friction.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stacking moving part is a power transmission unit through which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power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300 is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transfer holder of the decoction contai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r stacking moving part 10 may have an area larger or smaller than the lower support part 11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탕부, 다각형 경로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형 회전운동체(400)인 적치 이동부, 탕약 수용부 및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의 평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체이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체인 적치 이동부는 하부에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는 동력부가 위치하며, 상기 동력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체인 적치 이동부가 복수개의 기둥부와 회전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중심을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체인 적치 이동부는 상기 하부의 받침부보다 그 면적이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탕약수용부의 상기 이송거치대의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 방향과 일치하게 배열된다. Figure 6 shows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including a herbal medicine decoction unit, a conveyor belt-type rotating body 400 moving in a polygonal path, a stacking moving part, a decoction receiving part, and a container clea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lane in cross s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moving part is a moving body that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and the stacking moving part, which is a moving body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has a support part at the bottom and a power unit that moves the conveyor belt to the support part. It is located, and the stacking moving part, which is a moving body that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with the power unit as the center, moves while maintaining the center by contacting a plurality of column parts and a roller part to reduce rotational friction. The stacking moving part, which is a moving body that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may have an area larger or smaller than the lower support par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300 is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transfer holder of the decoction container.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to All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used with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all publications incorporated by reference herei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1.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10. 회전운동체인 적치 이동부
11. 거치기둥
12. 냉침 용기 선반부
13. 냉침 용기 선반부의 벽면
14. 후하 용기용 선반부
20. 약탕 용기
21. 약탕 용기의 뚜껑
22. 개폐식 배출구
23. 하우징
26. 탕기히터
29. 체결구
30. 냉침 용기
31. 냉침 용기 뚜껑
32. 냉침 용기 내용물 배출관
37. 개폐밸브 손잡이
38. 배출관 개폐밸브
40. 후하 용기
41. 후하 용기 뚜껑
43. 알람부
44. 시계부
50. 탕약수용기
51. 이송거치대
52. 배출관
53. 보호덮개
55.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56. 이동부
57. 레일
58. 레일바퀴
59. 이동제한부
60. 상부 프레임 연결부
61. 약탕 용기 세척기
62. 용기 세척기 보호부
65. 물체감지 센서
70. 프레임 연결부
71. 탕약 수용기 세척기
72. 탕약 수용기 보호부
75. 탕약 수용기 물체감지 센서
80. 진공흡입기
81. 진공 흡입관
89. 연결구
90. 거름망
100. 동력부
102. 롤러부
110. 받침부
111. 복수개의 기둥부
200. 수직 프레임
210. 우산형상의 보호천장부
300. 상부 프레임
400. 컨베이어 벨트형 회전운동체
1. Automation device for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
10. Rotating chain stacking moving part
11. Holding pillar
12. Cold immersion container shelf section
13. Wall of cold immersion container shelf section
14. Shelf for Huha container
20. Medicinal bath container
21. Lid of medicinal bath container
22. Retractable outlet
23. Housing
26. Water heater
29. Fastener
30. Cold immersion container
31. Cold immersion container lid
32. Cold immersion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pipe
37. Open/close valve handle
38. Discharge pipe opening and closing valve
40. Huha Courage
41. Huha container lid
43. Alarm unit
44. Clock Department
50. Herbal medicine receptor
51. Transfer stand
52. Discharge pipe
53. Protective cover
55. Sensor detecting reciprocating movement
56. Mobile unit
57. Rail
58. Rail wheels
59. Movement restriction unit
60. Upper frame connection
61. Medicine bath container washer
62. Container washer protection part
65. Object detection sensor
70. Frame connection
71. Decoction receptor washer
72. Herbal medicine receptor protection unit
75. Herbal medicine receptor object detection sensor
80. Vacuum aspirator
81. Vacuum suction pipe
89. Connector
90. Strainer
100. Power department
102. Roller part
110. Support part
111. Multiple pillars
200. Vertical frame
210. Umbrella-shaped protective ceiling
300. Upper frame
400. Conveyor belt type rotating body

Claims (16)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로, 상기 장치는:
처방에 따라 탕제용으로 자른 한약재를 상온에서 물에 담그는 냉침을 진행하는 냉침 용기, 상기 냉침을 거친 한약재와 물을 무압력 방법으로 달이는 전탕을 진행하는 약탕 용기, 상기 전탕 진행 중 미리 정한 시간에 추가 약재를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하는 후하용 약재를 보관하는 후하 용기, 및 상기 각각의 용기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약탕부;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적치하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동시켜서 각각의 약탕 용기가 순차적으로 추출위치로 도달하도록 하는 적치 이동부;
상기 적치 이동부의 이동으로 복수개의 상기 약탕부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상기 추출위치에서 상기 약탕부의 상기 약탕 용기로부터 전탕된 탕약을 내려받는 탕약수용기 및 상기 탕약수용기를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거치대를 포함하는 탕약 수용부; 및
상기 약탕 용기 및 상기 탕약 수용기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기, 및 상기 약탕 용기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기를 포함하는 용기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에 탈착식 덮개를 구비하고 하면에는 개폐식 배출구를 구비하는 전탕용 몸체와 상기 전탕용 몸체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탕기히터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약탕 용기의 거치부는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 위치가 상기 탕약수용부 상부로 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세척부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물체감지 센서 및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의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냉침 용기는 처방된 한약의 약재별로 서로 다른 냉침용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내면에 부피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고, 외부에 냉침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계가 부착된,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 device for automat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herbal medicine, the device includes:
A cold steeping container for cold steeping by immersing cut herbal medicines for decoction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scription, a medicinal bath container for boiling the cold steeped herbal medicine and water in a non-pressure manner, added at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boiling process. a medicinal bath unit including a hoo-ha container for storing medicinal ingredients for pouring medicinal ingredients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a holder for holding each of the containers;
a stacking moving unit that stacks a plurality of the medicinal bath uni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oves them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so that each medicinal bath container sequentially reaches the extraction position;
A decoction container that receives the molten decoction container from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of the herbal decoction unit at the extraction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the decoction units sequentially arrive by moving the accumulating moving unit, and a transfer holder that moves the decoction container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 decoction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a; and
It includes a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ing a washing machine that cleans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with water, and a vacuum suction device that sucks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ncludes a housing for enclosing a boiler body having a detachable cover on the upper surface and an open/close outlet on the lower surface, and a water heater that applies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bathtub body, and the holder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is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position of the open/close outlet on the lower surface is configured to be at the top of the decoction container,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protection unit for worker protection, and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decoction container,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has a scale indicating the volume on the inside to indicate different amounts of water for cold immersion for each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a clock is attached on the outside to check the cold immersion time,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배출구는 볼밸브로 개폐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open/close outlet is opened and closed by a ball valve,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냉침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의 후면 또는 측면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의 상기 탈착식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침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한 뒤 상기 탈착식 덮개를 폐쇄하는 냉침 용기 내용물 자동 투입기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holder positions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t the rear or upper sid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the contents inside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re placed into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with the removable cover on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open.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insertion machine for closing the contents of the cold immersion contain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냉침 용기의 바닥을 상기 약탕 용기의 뚜껑 위치에 나란히 위치시키기 위해 거치기둥과 상기 거치기둥 위 냉침 용기 선반부를 설치하며, 상기 냉침 용기 선반부의 벽면을 상부로 연장하여 후하 용기용 선반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mounting portion installs a mounting pillar and a cold steeping container shelf on the mounting pillar to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side by side with the lid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the wall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shelf extends upward to include a shelf for the lower container. doing,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하 용기는 상기 약탕 용기의 전탕시간을 측정하여 후하 시간을 확인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hu-ha container includes an alarm unit that measures the hu-ha tim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checks the hu-ha time.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후하 용기를 상기 약탕 용기의 후면 또는 측면 상부에 상기 냉침 용기 위치와 다른 곳에 위치시키고, 상기 약탕 용기는 상면의 상기 탈착식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후하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약탕 용기에 투입한 뒤 상기 탈착식 덮개를 폐쇄하는 후하 용기 내용물 자동 투입기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holder positions the Hu-ha container on the back or upper side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cold steeping container, and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holds the contents inside the Hu-ha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removable cover on the top is opened.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injector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which closes the removable cover after inserting the contents into the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직선형, 다각형 또는 원형 경로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stacking moving unit is a conveyor belt that moves in a linear, polygonal or circular path,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이동부는, 회전목마(carousel)형 회전운동체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stacking moving part is a carousel-type rotating movement chain,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탕약수용기는, 상면 개구부에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를 통해 탕약액과 함께 수용되는 한약재의 찌꺼기를 거르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하면에는 탕약액을 배출시키도록 밸브가 구비된 배출관을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decoction container includes a strainer at the upper opening that filters the residue of the herbal medicine received with the decoction liquid through an open/close outle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rbal decoction container, and a discharge pipe equipped with a valve on the lower side to discharge the decoction liquid,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탕약수용기가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해서 밸브를 개방하여 탕약을 배출하여 저장용기에 담을 때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discharge pipe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mixing when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moves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opens the valve to discharge the herbal medicine and place it in a storage contain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거치대는 상기 탕약수용기를 거치하고 상기 추출위치와 배출위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바퀴를 구비한 이동부 및 상기 레일바퀴가 이동가능한 레일을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transfer holder includes a moving part equipped with rail wheels to hold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d move it back and forth between the extra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nd a rail on which the rail wheels are movable,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약탕 용기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상기 용기 세척부와 상기 약탕 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보호부가 상기 약탕 용기 뚜껑을 잡아서 이동하고, 상기 세척기가 상기 약탕 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ainer cleaning un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container cleaning unit and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the protection part catches the lid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moves, and the washing machine moves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washes it with wat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기는, 상기 약탕 용기 하면의 개폐식 배출구에 탈착식으로 접촉하여 상기 약탕 용기 내부에 잔류하는 한약재 찌꺼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vacuum aspirator is in detachable contact with the open/close outlet on the bottom of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d suctions and removes the herbal medicine residue remaining inside the medicinal bath contain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부는 상기 탕약수용기의 상기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는 탕약수용기 세척기, 탕약 수용기 물체감지 센서 및 탕약 수용기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ainer cleaning unit further includes a herbal medicine container washer, a herbal medicine receptor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herbal medicine receptor protection unit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는 상기 탕약 수용기의 배출위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체감지 센서가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와 상기 탕약 수용기 사이에 물체가 없다는 안전 신호를 보내면 상기 탕약 수용기 보호부가 탕약 수용기의 거름망을 잡아서 이동하고, 상기 탕약 수용기 세척기가 상기 탕약 수용기 내부로 진입하여 물로 세척하는,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asher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sends a safety signal that there is no object between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asher and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protection unit moves by holding the strainer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washer enters the inside of the herbal medicine receptor and washes it with water,
An automated device for the extraction process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KR1020220170291A 2022-12-08 2022-12-08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KR102620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91A KR102620696B1 (en) 2022-12-08 2022-12-08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91A KR102620696B1 (en) 2022-12-08 2022-12-08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873A KR20230069873A (en) 2023-05-19
KR102620696B1 true KR102620696B1 (en) 2024-01-02

Family

ID=8654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291A KR102620696B1 (en) 2022-12-08 2022-12-08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6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32728U (en) * 2018-08-08 2019-09-03 刘大基 A kind of device of efficient Herb-decocting Method and food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624B1 (en) * 2004-11-05 2007-01-12 윤영석 Medicine herb of extract system
KR20200021204A (en) 2018-08-20 2020-02-28 디제이메디 주식회사 Method for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s of medicinal herb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32728U (en) * 2018-08-08 2019-09-03 刘大基 A kind of device of efficient Herb-decocting Method and food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873A (en)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624802T3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reparation of intravenous medication.
US8820365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preparation of intravenous medication
ES2750816T3 (en) Filling and sealing method and machine for vials, cartridges, syringes and the like
US20220041309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preparing intravenous medicaments
BR112018000668B1 (en) Capsule for cleaning an infusion chamber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process for cleaning an infusion chamber
ES2227998T3 (en) DEVICE FOR WITHDRAWAL AND CONTROLLED DELIVERY OF VOLUMETRICALLY DOSED LIQUIDS.
KR102620696B1 (en) Extraction Process Automation Apparatus for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CN105288777A (en) Minisize movable type multi-functional automated medicine compounding device
CN117463732A (en) Static-fit center-configured instrument disinfection cleaning device based on liquid medicine induction
TW201932400A (en) Automated container-emptying device equipped with means for collecting and gravity-emptying containers and comprising a product collection zone
CN210542230U (en)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vehicle
CN108211414A (en) A kind of intelligent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brewing process
CN208864832U (en) A kind of full-automatic unmanned decoction system
KR100647796B1 (en) extract devic for medicine herb of extract system
TWI678966B (en) Cell dispensing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
CN213490689U (en) Degassing unit is used in mother and infant's nursing
JP2966065B2 (en) Dissolution test equipment
CN202620298U (en) Disinfecting device of nursing appliance
CN219602471U (en) A conveyor for radiopharmaceutical
CN208984618U (en) A kind of modified residual pesticide detecting apparatus
CN217644917U (en) Full-automatic dispensing equipment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ecoction pieces
CN212090237U (en) Medicine decocting integrated machine
CN207286146U (en) A kind of thermometer case
CN208355844U (en) A kind of gastric lavage device
KR20220090958A (en) Pharmaceutical cartridge d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