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13B1 -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13B1
KR102620613B1 KR1020210128148A KR20210128148A KR102620613B1 KR 102620613 B1 KR102620613 B1 KR 102620613B1 KR 1020210128148 A KR1020210128148 A KR 1020210128148A KR 20210128148 A KR20210128148 A KR 20210128148A KR 102620613 B1 KR102620613 B1 KR 10262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upport
lower floor
elevator core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5374A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13B1/en
Publication of KR2023004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코어의 공간에서 발을 안전하게 디디고 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크를 형성하고 아울러,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하고 간단하게 설치와 해체할 수 있는 데크를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은, 하층의 서포트와 하층의 장선 그리고 상층의 서포트와 상층의 장선의 자재를 이용하면서 발판을 하층과 상층에 공용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시공된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마주하는 양쪽 벽에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서포트의 양쪽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하층의 서포트를 설치한 후 상기 하층의 서포트 위에 하층의 장선 2개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상기 하층의 장선 위에 다수개의 발판을 설치하되,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정렬턱을 상기 하층의 장선의 안쪽에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층의 데크를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에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상층의 서포트를 설치한 후 상기 상층의 서포트 위에 상층의 장선을 설치하고 상기 하층의 데크에서 사용된 발판을 해체하여 상기 상층의 장선 위에 설치하되,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정렬턱을 상기 상층의 장선의 안쪽에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상층의 데크를 형성하는 제4단계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상층의 서포트와 상층의 장선의 사이에 발판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층에서 상기 공간을 통해 하층의 장선 위에 설치된 발판을 하나씩 상층으로 운반한 후 상층의 장선에 깔아 설치하고 하층의 서포트와 하층의 장선을 해체하여 다음 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하여 운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which forms a deck so that workers can perform work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while safely stepping and moving in the space of the elevator core, and at low cost. The purpose is to use a deck that is easy to operate and install and dismantle.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deck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that uses the materials of the lower floor support, the lower floor joist, the upper floor support, and the upper floor joist, and shares the scaffolding between the lower floor and the upper floor. A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forming support insertion grooves on both opposing walls of a concrete lower-floor elevator core; Install one or more lower floor supports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floor elevator core by insert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step, and then install two lower floor joists on the lower floor supports. The second step is to do; A plurality of scaffolds are installed on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install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alignment ledg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affold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so that workers can construct the elevator core of the upper floor. A third step of forming a lower deck to enable;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the upper floor suppor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then the upper floor joist is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support, and the scaffold used on the lower floor deck is dismantled. It is installed on the joist of the upper layer, and the alignment ledg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affold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joist of the upper layer to form an upper deck. The fourth step is to repeat the fourth step of forming the deck of the upper layer.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joists of the upper floor through which the scaffolding can pass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and the scaffolding installed on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is transported one by one to the upper floor through the space from the lower floor, and then laid on the joists of the upper floor and installed. The supports and joists of the lower floor are dismantled and transported to construct the elevator core of the next flo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코어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는 조립식의 데크를 시공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deck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deck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that improves the safety of workers by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deck on which workers can climb and work on the elevator core. It's about method.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This part on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is applica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prior art.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건축물의 건축 시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엘리베이터 코어를 확보한다. 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buildings, and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an elevator core is secured as a space for installing the elevator.

엘리베이터 코어는 건축물의 전체 층수에 맞춰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동이며, 건축물의 골조 시공에 맞춰 하층부터 상층까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The elevator core is a cavity that communicate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and is constructed sequentially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따라서,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 중에는 내측 거푸집의 설치와 탈형, 간결재 제거 등의 작업을 동반하게 되고 이들 작업은 엘리베이터 코어의 공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코어 안에 작업자가 발을 디디고 작업할 수 있는 데크가 필요하다.Therefo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elevator core, work such as installation and demolding of the inner formwork and removal of short materials is accompanied. Since these works can only be performed in the space of the elevator core, there is a deck within the elevator core where workers can stand and work. need.

종래 엘리베이터 코어 안에 데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철근을 설치하는 방법, 승강식 작업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전자의 경우 매번 철근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철근을 고정할만한 구조물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고 후자의 경우 고가의 제작비용 및 인양기 등 장비의 사용에 따른 시공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methods of forming a deck within an elevator core include installing reinforcing bars and using an elevating workbench. In the former cas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install and remove reinforcing bars each time, but it is also difficult to secure a structure to secure the reinforcing bars. In the latter case, there are problems with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and high construction costs due to the use of equipment such as lifting machin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0140904호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를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음부가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봉들과, 상기 연결핀들에 연결촉들이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들과, 상기 연결촉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과, 상기 수평봉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봉은 연결핀에 고정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가동이 되며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 타설시 내부거푸집 패널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이다.As a patent document that confirm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No. 10-0140904 is made entirely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connection pins with vertical holes in the center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predetermined heights, and a joint is integrated at the top. Vertical rods are attached, horizontal rods that support the vertical rods by inserting connecting pins into the connecting pins, a movable rod that is fixed by inserting into the connecting pins and extending outward,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rod and the movable rod. It consists of a footrest part, wherein the movable rod has an exterior fixed to a connecting pin, an inner pipe that is inserted into the exterior and moves horizontally, and the outer extension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and a movable rod that adjusts the movable length of the inner pipe. It is a scaffolding for an elevator pit that is composed of a control valv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pit to support the internal formwork panel when pouring a concrete wall, while also allowing it to be used as a workbench when performing various works.

등록실용신안 제20-0259433호는 상단에 고리를 고정한 지주와 횡보 및 보강간으로 사각 지지틀을 형성하여 지주에 나사맞춤한 조절스크류를 가동지주에 유착하여 가동지주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각지지틀의 횡보에 나사결합한 조절스크류의 홀더에는 조립서포트를 고정하여 상기의 조립서포트에는 조립바 고정하고 조립바에는 합판을 고정하여 조립서포트와 조립바 및 합판을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건물 엘리베이터통로시공용 거푸집장치이다.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9433 forms a square support frame with a strut with a ring fixed at the top, horizontal beams, and reinforcement, and the movable strut can be moved in and out by adhering the adjustment screw screwed to the strut to the movable strut. The assembly support is fixed to the holder of the adjustment screw screwed to the cross beam of the square support frame, the assembly bar is fixed to the above assembly support, and the plywood is fixed to the assembly bar, and the assembly support, assembly bar, and plywood are moved inward and outward. It is a formwork device for constructing elevator passages in concrete buildings.

등록특허 제10-0140904호Registered Patent No. 10-0140904 등록실용신안 제20-0259433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943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코어의 공간에서 발을 안전하게 디디고 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크를 형성하고 아울러,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하고 간단하게 설치와 해체할 수 있는 데크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forms a deck so that workers can perform 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levator core while safely stepping and moving in the space of the elevator core, and operates it at low cos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using a deck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시공된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마주하는 양쪽 벽에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서포트의 양쪽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서포트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서포트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다수개의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층의 데크부재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에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상층의 서포트를 설치하고 상기 하층의 데크부재에서 사용된 발판을 해체하여 상기 상층의 서포트 위에 설치하여 상층의 데크부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p of forming support insertion grooves on both walls facing the concrete lower floor elevator core; A second step of installing one or more support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elevator core by insert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forming a deck member on the lower floor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caffolding using the support installed in the second step as a support base so that workers can work on constructing the elevator core on the upper floor;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the upper floor suppor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and the scaffolding used in the lower floor deck member is dismantl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support to secure the upper floor deck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ourth step of forming.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코어에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여 서포트를 설치하고 발판을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데크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코어 안에 들어가서 추락사고 없이 안전하게 각종 작업을 할 수 있고 서포트만 엘리베이터 코어의 서포트 삽입홈에 설치되고 발판은 서포트에 지지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발판을 소형의 다수개로 구성하여 다음 층의 시공을 위하여 상층으로 쉽게 운반하여 재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아울러, 인양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에 맞춰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운용이 가능하므로 제작비용과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elevator core to install a support, and a scaffold is prefabricated to form a deck member, so that workers can enter the elevator core safely without falling accidents. Various tasks can be performed, and only the suppor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of the elevator core, and the footres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o installation work is very easy. Additionally, the footrest is made up of multiple small pieces, so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upper floor for construction of the next floor. Because it can be reinstalled, the constructability is very excellent, and in addition, it can be operated manually by work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elevator core without using equipment such as a lifting machine,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production and construction costs.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의 수직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고 간격유지부재의 사용 수량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ality and reducing the number of gap maintenance members used because it greatly helps maintain the verticality of the formwor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따라 엘리베이터 코어에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따라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거푸집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따라 서포트가 설치된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적용된 서포트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에 따라 엘리베이터 코어 안에 설치한 데크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 방법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을 위한 데크부재의 분해 사시도.
Figure 1 is an example of a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elevator cor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a core form for forming a support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support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illustrations of supports applied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7 shows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orker working on a deck installed in an elevator cor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rocess diagram of an elevator co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ck member for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은, 엘리베이터 코어의 벽면에 서포트 삽입홈 형성 - 서포트 설치 - 발판 설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발판의 철거 방법은 발판 분리 - 서포트 분리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위한 자재인 서포트(10), 장선(20) 및 발판(30)은 데크 유닛이다(도 10 참고).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steps of forming a support insertion groove on the wall of the elevator core - installing the support - installing the scaffold, and the method of removing the scaffold consists of the processes of separating the scaffold - separating the support. The specific process is as follows. The support 10, joist 20, and scaffold 30, which are materials for the present invention, are deck units (see Figure 10).

1. 서포트 삽입홈 형성(도 1 참고).1. Formation of support insertion groove (see Figure 1).

콘크리트 시공된 엘리베이터 코어(1)에 서포트 삽입홈(2)을 형성한다.A support insertion groove (2) is formed in the concrete constructed elevator core (1).

도면에는 서포트 삽입홈(2)은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코어(1)의 마주하는 양쪽 벽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서포트 삽입홈(2)은 서포트(10)의 길이방향 양쪽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용도이다. 즉, 서포트 삽입홈(2)은 서포트(10) 1개당 2개가 형성되고, 전체 수량은 서포트(10)의 수량에 따라 달라진다.In the drawing, a total of four support insertion grooves (2) are preferably formed, two each on both opposing walls of the elevator core (1), and the two opposing support insertion grooves (2)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 It is used to insert and secure both sides separately. That is, two support insertion grooves 2 are formed per support 10, and the total number varies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supports 10.

서포트 삽입홈(2)은 서포트(1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주하는 방향이 개방되는 구조이고, 사각형, 원형 등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깊이 또한 자유롭게 결정된다.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cing direction is open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10 can be inserted, and its shape, such as square or circular, is not limited, and its depth is also freely determined.

서포트 삽입홈(2)은 서포트(10)의 구조에 따라 엘리베이터 코어(1)의 4개의 벽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2 can also be formed on the four walls of the elevator core 1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10.

서포트 삽입홈(2)의 형성 방법은 선시공과 후가공의 방법이 가능하고, 선시공은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코어(1)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코어 거푸집(내측 거푸집)(3)의 안쪽면에 서포트 삽입홈(2)의 형성을 위한 블록(4)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코어(1)의 콘크리트 타설 시 블록(4)의 크기와 구조만큼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어 거푸집(3)의 탈형을 통해 자연스럽게 서포트 삽입홈(2)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method of forming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can be pre-construction or post-processing. As shown in Figure 2, pre-construction is per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form (inner form) (3) for pouring concrete of the elevator core (1). By installing the block (4) to form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when pouring concrete of the elevator core (1), the concrete is not filled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block (4), thereby removing the core formwork (3). This naturally forms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후가공은 엘리베이터 코어(1)의 콘크리트 양생 후 코어 거푸집을 탈형하고 엘리베이터 코어(1)의 벽면을 일부 제거하여 서포트 삽입홈(2)을 형성하는 것이다.Post-processing involves curing the concrete of the elevator core (1), demolding the core form, and removing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core (1) to form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서포트 삽입홈(2)의 형성 방법으로는 선시공과 후가공 모두 가능하지만 선시공은 코어 거푸집(3)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포트 삽입홈(2)을 형성하는 점에서 후가공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Both pre-construction and post-processing are possible as methods of forming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but pre-construction is very advantageous compared to post-processing in that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is naturally formed by the core formwork (3).

2. 서포트 설치(도 3 참고).2. Support installation (see Figure 3).

전 공정을 통해 서포트 삽입홈(2)을 형성한 후, 서포트(10)를 설치한다.After forming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through the entire process, the support (10) is installed.

서포트(10)는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이며, 엘리베이터 코어(1)의 내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쪽이 각각 서포트 삽입홈(2)에 삽입 고정된다.The support 10 is used to support the footrest, and i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core 1, and both longitudinal sides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2, respectively.

즉, 서포트(10)는 엘리베이터 코어(1)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경우 작업자와 발판의 하중으로 설치 위치를 이탈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트(10)가 서포트 삽입홈(2) 안에 삽입되기 때문에 설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10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core 1, it may deviate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due to the load of the worker and the footres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Because it is inserted, it maintains its installation position.

서포트(10)는 양쪽이 서포트 삽입홈(2) 안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엘리베이터 코어(1)에 지지되도록 길이조절식 또는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1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length-adjustable or foldable manner so that both sides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and firmly supported on the elevator core 1.

도 4는 길이조절식의 서포트(10)를 도시한 것이며, 서로 다른 직경의 외관(11)과 내관(12)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 예를 들어 외관(11) 안에 내관(12)이 신축 가능하게 삽입 구성되고, 외관(11)과 내관(12)의 길이조절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3)가 포함된다.Figure 4 shows a length-adjustable support 10, and the outer tube 11 and the inner tube 12 of different diameters are configured to be flexible. For example, the inner tube 12 is expandable within the outer tube 11. It is inserted and includes a fixture 13 for fixing the length adjustment state of the outer tube 11 and the inner tube 12.

도 5는 길이조절식의 서포트(1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2관(14,15)이 길이조절구(16)를 매개로 하여 나사 체결되는 턴버클 형태이다.Figure 5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length-adjustable support 10, which is in the form of a turnbuck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ipes 14 and 15 are screwed together via a length adjuster 16.

길이조절식의 서포트(10)는 본 발명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양한 방식도 포함되는 것이다.The length-adjustable support 10 also includes various methods not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절첩식의 서포트(10)는 예를 들어, 제1,2봉(10-1,10-2)이 힌지(10-3) 연결되어 절첩되는 것이며, 고정구(10-4)를 제1,2봉(10-1,10-2)에서 분리하여 힌지(10-3)를 통해 제1,2봉(10-1,10-2)을 접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코어(1) 안에 삽입하고 제1,2봉(10-1,10-2)의 자유단부를 각각 서포트 삽입홈(2)에 맞춘 후 제1,2봉(10-1,10-2)을 펼쳐 자유단부가 서포트 삽입홈(2)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한 후 고정구(10-4)를 끼워 제1,2봉(10-1,10-2)을 펼친 상태로 유지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folding support 10 i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and 10-2 are fol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inge 10-3, and the fixture 10-4 )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10-2) are folded through the hinge (10-3) and the elevator core (1) After inserting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10-2)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2), unfold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10-2) so that the free ends After inserting and fixing each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2), insert the fixture (10-4) to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rods (10-1, 10-2) in an unfolded state.

길이조절식과 절첩식의 서포트(10)는 길이가 축소 또는 접힌 상태로 엘리베이터 코어(1) 안에 삽입되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이후 길이를 확장 또는 펼침 상태로 전환되어 양쪽이 서포트 삽입홈(2)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된다.The length-adjustable and foldable supports (10) are inserted into the elevator core (1) in a reduced or folded state, making installation very easy, and then the length is switched to an extended or unfolded state, so that both sides have support insertion grooves (2). It is firmly inserted and fixed.

3. 발판 설치(도 7 참고). 3. Scaffolding installation (see Figure 7).

서포트(10)를 설치한 후 서포트(10) 위에 작업자가 낙하하지 않는 안전한 작업공간을 조성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서포트(10) 위에 2개 이상의 장선(20)를 설치하고 장선(20) 위에 발판(30)을 깔아 설치한다.After installing the support (10), a safe work space must be created on the support (10) where workers do not fall. For example, two or more joists (20)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10) and on the joists (20). Lay and install the scaffolding (30).

장선(20)은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서포트(10)들에서 이탈되지 않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서포트(10)에서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각관이다.The joist 20 is made of a length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wo supports 10 shown in the drawing, and is preferably a square pipe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supports 10.

발판(30)은 2개 이상, 다수개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발판(30)들이 장선(20) 위에 나란하게 깔려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데크를 형성한다.Two or more scaffolds 30 are used. For example, scaffolds 30 of the same size are laid side by side on the joist 20 to form a deck of the same overall height.

발판(30)은 장선(20) 위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렬턱(31)을 포함한다. 정렬턱(31)은 발판(30)의 저부에 장선(20)의 수량에 맞춰 2개로 형성되며 2개의 장선(20) 안쪽에 각각 겹쳐지게 되어 장선(20) 위에서 발판(30)의 움직임이 없이 이탈도 없도록 한다.The footrest 30 includes an alignment jaw 31 so that it can remain placed on the joist 20. The alignment jaw 31 is formed in two piece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joists 20 at the bottom of the footrest 30, and is overlapped inside the two joists 20, so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footrest 30 on the joist 20. Make sure there is no deviation.

정렬턱(31)은 장선(20)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서포트(10)에 겹쳐지도록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lignment jaw 31 can also be used to overlap the support 10 when the joist 20 is not applied.

한편, 발판(30)들은 이웃하는 것들이 서로 인터록킹될 수 있도록 좌우 양쪽(이웃하는 발판(30)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인터록킹부(32)가 포함된다. 인터록킹부(32)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형태로서 서로 끼움되는 구조이고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scaffolds 30 include interlocking portions 3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parts connected to neighboring scaffolds 30) so that neighboring scaffolds 3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interlocking portion 32 is, for exampl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0, but is of course not limited thereto.

발판(30)을 다수개로 하는 것은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취급(운반과 설치 및 철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providing a plurality of scaffolds 30 is to enable handling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removal) without the operator requiring much effort.

이상의 작업은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코어(1) 주변에 콘크리트 시공된 슬래브를 밟고 이동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The above work is performed while the worker steps on the concrete slab around the elevator core (1) and moves, thus preventing the worker from falling.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상의 공정을 통해 엘리베이터 코어(1) 안에 만들어진 데크 유닛(100)의 발판(30)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1)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코어 거푸집 설치, 탈형 등)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8, a worker climbs on the scaffolding 30 of the deck unit 100 made in the elevator core 1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performs work (installation of core formwork, demolding, etc.) to construct the elevator core 1 on the upper floor. ) can be done safely.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 본 발명의 데크 유닛은 엘리베이터 코어의 내측 거푸집을 지지하여 내측 거푸집의 이탈도 막아주고 수직도를 정렬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The deck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is way supports the inner form of the elevator core, prevents the inner form from being separated, and also functions to align the verticality.

본 발명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 방법은 1.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 - 2. 데크 유닛 설치 - 3.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 작업 - 4. 데크 유닛 해체와 운반 및 설치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 중에서 1.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 - 2. 데크 유닛 설치 - 3.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 작업의 공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4. 데크 유닛 해체와 운반 및 설치의 공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elevator co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repeating 1. Lower flo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 2. Deck unit installation - 3. Upper floor elevator core work - 4. Deck unit disassembly and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Among the above processes, 1 . Lower flo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 2. Deck unit installation - 3.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work proces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hereinafter, only the processes of 4. deck unit disassembl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will be described.

4. 데크 유닛 해체와 운반 및 설치(도 9 참고).4. Dismantling, transporting and installing the deck unit (see Figure 9).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1-2)를 시공하면 상층의 서포트 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층의 서포트 삽입홈(2-2)에 상층의 서포트(10-2)를 설치하고 상층의 서포트(10-2) 위에 상층의 장선(20-2)을 설치한다. 하층의 발판(30)을 운반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하층의 서포트(10-1)와 하층의 장선(20-1), 상층의 서포트(10-2)와 상층의 장선(20-2), 즉 2조의 자재를 이용하며, 단 발판은 공용할 수 있다.When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1-2) is constructed, the upper floor support insertion groove (2-2) is formed, and the upper floor support (10-2) is installed in the upper floor support insertion groove (2-2) and the upper floor support insertion groove (2-2) is formed. Install the upper joist (20-2) on the support (10-2). Since the lower floor scaffolding (30) cannot be transported, the lower floor support (10-1) and the lower floor joist (20-1), the upper support (10-2) and the upper floor joist (20-2), that is, Two sets of materials are used, but the scaffolding can be shared.

상층의 서포트(10-2)와 장선(20-2)의 사이에는 발판(30)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 하층에 있는 발판(30)을 하나씩 상층으로 운반하고, 상층의 장선(20-2)에 깔아 설치한다.There is a space between the support (10-2) on the upper floor and the joist (20-2) through which the scaffolding (30) can pass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and through this space, the scaffolding (30) on the lower floor is moved one by one to the upper floor. It is transported and installed by laying it on the joist (20-2) of the upper floor.

이렇게 되면 발판(30) 모두는 상층의 장선(20-2) 위에 설치되어 상층의 데크 유닛(100-2)이 완성되며, 하층의 서포트(10-1)와 장선(20-1)은 남게 된다.In this case, all of the scaffolds (30) are installed on the upper joist (20-2) to complete the upper deck unit (100-2), and the lower support (10-1) and joist (20-1) remain. .

하층의 서포트(10-1)와 장선(20-1)을 해체하여 다음 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하여 운반한다.The support (10-1) and joist (20-1) of the lower floor are dismantled and transported to construct the elevator core of the next floor.

1 : 엘리베이터 코어, 2 : 서포트 삽입홈
3 : 코어 거푸집, 4 : 블록
10 : 서포트, 20 : 장선
30 : 발판, 31 : 정렬턱
32 : 인터록킹부,
1: Elevator core, 2: Support insertion groove
3: Core formwork, 4: Block
10: support, 20: joist
30: footrest, 31: alignment jaw
32: interlocking part,

Claims (7)

하층의 서포트와 하층의 장선 그리고 상층의 서포트와 상층의 장선의 자재를 이용하면서 발판을 하층과 상층에 공용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시공된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마주하는 양쪽 벽에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서포트의 양쪽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하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하층의 서포트를 설치한 후 상기 하층의 서포트 위에 하층의 장선 2개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치한 상기 하층의 장선 위에 다수개의 발판을 설치하되,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정렬턱을 상기 하층의 장선의 안쪽에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층의 데크를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층의 엘리베이터 코어에 형성된 서포트 삽입홈에 상층의 서포트를 설치한 후 상기 상층의 서포트 위에 상층의 장선을 설치하고 상기 하층의 데크에서 사용된 발판을 해체하여 상기 상층의 장선 위에 설치하되,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정렬턱을 상기 상층의 장선의 안쪽에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상층의 데크를 형성하는 제4단계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상층의 서포트와 상층의 장선의 사이에 발판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층에서 상기 공간을 통해 하층의 장선 위에 설치된 발판을 하나씩 상층으로 운반한 후 상층의 장선에 깔아 설치하고 하층의 서포트와 하층의 장선을 해체하여 다음 층의 엘리베이터 코어를 시공하기 위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that uses the materials of the lower floor support, the lower floor joist, and the upper floor support and upper floor joist, and shares the scaffolding between the lower floor and the upper floor,
A first step of forming support insertion grooves on both walls facing the concrete lower floor elevator core;
Install one or more lower floor supports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floor elevator core by insert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into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step, and then install two lower floor joists on the lower floor supports. The second step is to do;
A plurality of scaffolds are installed on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install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alignment ledg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affold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so that workers can construct the elevator core of the upper floor. A third step of forming a lower deck to enable;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the upper floor suppor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floor elevator core, then the upper floor joist is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support, and the scaffold used on the lower floor deck is dismantled. It is installed on the joist of the upper layer, and the alignment ledg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affold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joist of the upper layer, so that the upper deck is formed by repeating the fourth step,
In the fourth step,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upper layer and the joist of the upper layer through which the scaffold can pass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and the scaffolding installed on the joist of the lower floor is transported one by one from the lower floor through the space to the upper floor.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joists of the upper floor, dismantles the supports of the lower floor and the joists of the lower floor, and transports them to construct the elevator core of the next fl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엘리베이터 코어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코어 거푸집의 안쪽면에 상기 서포트 삽입홈 형상의 블록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코어 거푸집의 탈형을 통해 서포트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step, a block in the shape of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form for pouring concrete of the elevator core, and after curing the concrete,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rough demolding of the core form. A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서포트와 상층의 서포트는 길이조절식 또는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floor support and the upper floor support are configured in a length-adjustable or folding ty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좌우 양쪽에 인터록킹부를 포함하여 이웃하는 것들과 인터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The prefabricated deck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caffold includes interlocking part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is interlocked with neighboring on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28148A 2021-09-28 2021-09-28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KR102620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48A KR102620613B1 (en) 2021-09-28 2021-09-28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48A KR102620613B1 (en) 2021-09-28 2021-09-28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74A KR20230045374A (en) 2023-04-04
KR102620613B1 true KR102620613B1 (en) 2024-01-03

Family

ID=8592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148A KR102620613B1 (en) 2021-09-28 2021-09-28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61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58Y1 (en) * 1999-12-24 2000-05-15 이현성 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KR200480447Y1 (en) * 2015-01-08 2016-05-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Reinforced work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904B1 (en) 1994-12-24 1999-02-18 최훈 Scaffolding for an elevator pit
KR200259433Y1 (en) 1998-12-22 2002-02-19 서운수 Formwork for concrete building elevator corridor
KR100720109B1 (en) * 2005-04-19 2007-05-18 주식회사 일호 Auxiliary frame for ascent and descent and construction form system for elevator core walls using th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58Y1 (en) * 1999-12-24 2000-05-15 이현성 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KR200480447Y1 (en) * 2015-01-08 2016-05-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Reinforced work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74A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1336B (en) Integral lifting steel platform system for synchronous construction of floor slab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012570A (en) Multi-horizontal structure member forming method
KR102059552B1 (en) Modular work platform of a long span bridge main tower reba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X2008014431A (en) Stackable concrete forming apparatus components.
CN110924568A (en) Method for constructing stair partition wall by adopting precast concrete hollow wall board
KR100665340B1 (e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deck being dismantled easily
US5012627A (en) Construction process for multiple-story concrete building
KR102102441B1 (en) Prefabricated cage
KR101140884B1 (en) Gangform device constructed for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is using
KR10262061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fabricated deck unit for elevator core construction
JP4516585B2 (en) Internal staircase for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10115084A (en) Suspending device for working scaffold, and constructing method for structure using the device
US11377838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211369648U (en) Temporary transfer hoisting and moving stair supporting system for mounting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tairs
AU2019204109B2 (en) A wall frame component used within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2121363B1 (en)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KR20230031631A (en) Support stand for the safety handrail
KR0142482B1 (en) Process for constructing elevator core walls and an elevator core wall form
KR20010107166A (en) A System Form for Making a Box-Structure
EA038868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JPH0437893B2 (en)
SU1048093A1 (en) Method of erecting multistorey building by floor-rising technique
US2489808A (en) Method of erecting concrete floor forms
KR200200942Y1 (en) A system form for making a box-structure
RU3952U1 (en) SLIDING FORMWORK FOR ESTABLISHING WALLS AND FL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