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63B1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363B1 KR102121363B1 KR1020190015483A KR20190015483A KR102121363B1 KR 102121363 B1 KR102121363 B1 KR 102121363B1 KR 1020190015483 A KR1020190015483 A KR 1020190015483A KR 20190015483 A KR20190015483 A KR 20190015483A KR 102121363 B1 KR102121363 B1 KR 102121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bars
- vertical
- gang form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group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abstract 2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돌출부가 없는 부분에서의 지지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apable of effectively reinforcing the support structure in a portion without a protrusion, and is stable and stable. It relates to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easily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building method.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양생과정을 거쳐 건물의 골조를 시공한다.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 frame is formed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and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formwork on the outside of the frame, concrete is poured over a certain period of curing to construct the frame of the building.
이때,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 골조의 외형 형상으로 양생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사용한다.At this time, when pouring concrete, formwork is used so that it can be cure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uilding frame.
상기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철근의 배근 공사 및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고, 이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에는 재활용할 수 없었다.The formwork is composed of a number of wood panels, which not only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but also has been damag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mwork after the concrete curing is finished, so it cannot be reused. And once it was used, it could not be recycled.
이에, 최근에는 고층 및 대형 건축물의 시공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층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대형 거푸집(소위 "갱폼"이라 불림)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construction of high-rise and large-scale buildings is increasing, and large formwork (so-called "gang form") is used for concrete pouring of such high-rise buildings.
상기 갱폼은 대형 철재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다.The gang form uses an inner formwork and an outer formwork made of large steel.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5833호는 종래 갱폼의 구조를 나타낸 선행기술로, 종래 갱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진 철판과, 철판의 저면을 보강하는 갱폼 프레임(Gang Fram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갱폼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 후크(Crane Hook), 작업자가 거푸집 외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케이지(Cage),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대, 작업자가 상기 케이지의 공간을 걸어 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 발판 등이 갱폼의 외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365833 is a prior art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ang form, the conventional gang form comprises a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gang form frame (Gang Frame) that reinfor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el plate. Crane hook for lifting, cage installed to allow the worker to work outside the formwork, safety rail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and installed to allow the worker to walk through the space of the cage Work scaffolding and the like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gang form.
이와 같은 갱폼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갱폼 하나당 대략 3~4톤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약 9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실정이다.This gang form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s to construc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each gang form has a weight of about 3 to 4 tons, and is a large structure having a height of about 9m, which is a situation that is moved using a tower cra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갱폼은 건설현장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끌어올릴 수 있는데, 타워크레인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먼저 하방에 고정된 고정볼트를 제외한 나머지 고정볼트들을 해제한 후,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인양 고리에 걸고 하방에 고정된 고정볼트를 해제하게 된다. 그런 다음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을 직상방으로 끌어올리게 된다.The gang for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lifted using the tower cran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Since the tower crane cannot continue to be used, the rest of the bolts, except the fixed bolt fixed to the lower side, are first released, and then the tower crane Hook the hook on the lifting hook and release the fixing bolt fixed on the lower side. Then, using the tower crane, the gang form is pulled upward.
한편, 이러한 갱폼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은 외적인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려고 평편한 평면적인 구조에서 다양한 돌출부를 갖는 입체적인 구조로 변화되어가는 추세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such gang form is in a trend of changing from a flat planar structure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various protrusions in order to enhance the external design.
그러나 건축구조물에 다양한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와 갱폼 간의 간섭으로 인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돌출부를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건축구조물의 시공과는 별개로 돌출부를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돌출부 형성을 위한 별도의 설치구조를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form various protrusions on the building structure,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gang form, the existing method could not form the protrusions, and there was a hassle of constructing the protrusions separately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addition, a separate installation structure for forming the protrusions is requir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11415호를 통해 건축구조물의 돌출부 시공을 위한 기술을 등록받은 바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has registered the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otrusions of the building structures through the Korean Patent Office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1911415.
다만, 건축구조물에는 돌출부가 있을 수도 있고 혹은 없을 수도 있는데, 돌출부가 없는 부분의 경우, 지지수단이 있어야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may or may not be a protrusion in the building structure. In the case of a part without a protr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o supplement it in that stable construction is possible only by supporting means.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부가 없는 부분에서의 지지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stably and easily construct a construction structure by effectively reinforcing a support structure in a portion without a protrusion,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It is to provide architectural structures.
상기 목적은, 건축구조물 시공 시 벽체의 돌출부가 없는 곳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게 조립되는 것으로서, 사각 지지대로 구성되되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 대칭되게 이격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양측에 배치되되 수평 길이를 이루면서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는 수평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바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바, 상기 수평바 및 상기 보강바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to assemble in charge of the same function as the protrusion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of the wal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it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support, but vertically spaced symmetrically spaced on both sides; And a horizontal ba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ar and forming a horizontal length and symmetrical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provided to be reinforced between the pair of horizontal bars, wherein the vertical bar, the horizontal bar, and the reinforcing bar ar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한편, 상기 목적은, 건축구조물에 시공할 돌출부의 외면 넓이를 설정하여 갱폼 유닛의 설치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기본 틀인 받침편이 굽힘 및 가공된 알폼 유닛을 상기 돌출부의 시공이 시작되는 높이까지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알폼 유닛이 설치된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받침편의 일단에 상기 돌출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및 돌출되는 상기 갱폼 유닛의 기준 갱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편의 타단에 상기 돌출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및 돌출되는 상기 갱폼 유닛의 돌출 갱폼을 설치하여 갱폼조립체 설치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갱폼이 설치된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상기 돌출부의 두께보다 얇게 돌출시켜 상기 건축구조물에 상기 돌출부 시공을 위한 기준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갱폼을 해체하는 단계; 상기 기준 갱폼이 해체되면, 상기 받침편, 상기 기준면 및 상기 돌출 갱폼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상기 돌출부의 시공을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돌출부가 없는 곳의 벽면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to set the outer surface area of the projecting portion to be constructed in the building structure to prepare a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gang form unit; Installing an alform unit having a bent and processed base piece, which is a basic frame for constructing a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a height at which construction of the protrusion starts; Constructing a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up to a height at which the alform unit is installed; Installing a reference gang form of the gang form unit extending and projecting upward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on one end of the support piece;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gang form assembly by installing a protruding gang form of the gang form unit extending and projecting upward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iece; Pouring and curing concrete up to a height where the reference gang form is installed to protrude a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to form a reference surfa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otrusion on the building structure; Dismantling the reference gang form; When the reference gang form is disassembled,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otrusion in the inner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piece, the reference surface and the protruding gang form, and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ng a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 And a step of installing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in charge of the same function as the protrusion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and it is also achieved by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a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
상기 기능성 지지 구조체가 해당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may be installed prefabricated detachabl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돌출부와 상기 기능성 지지 구조체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 and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가 없는 부분에서의 지지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support structure in the portion without the proj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structed stably and easily construc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기능성 지지 구조체에 대한 변형예이다.
도 10은 도 8의 기능성 지지 구조체에 대한 변형예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main parts of a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2.
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of FIG. 2.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applied to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odification of FIG. 5.
7 is a use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applied to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7.
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IG. 5.
10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IG. 8.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se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include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s omitted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요부 구조도, 도 2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변형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능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 도 9는 도 5의 기능성 지지 구조체에 대한 변형예,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기능성 지지 구조체에 대한 변형예이다.1 is a structural view of main parts of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2,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applied to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modification of FIG. 5, and FIG. 7 is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7, FIG. 9 is a modification of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IG. 5, and FIG. 10 Is a modification to the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IG. 8.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돌출부(130)가 없는 부분에서의 지지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갱폼조립체(100)가 적용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inforce the support structure in the portion without the
즉 건축구조물의 벽체(10) 시공을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갱폼조립체(100)는 다수의 알폼 유닛(110)과, 알폼 유닛(110)들 사이에 배치되는 갱폼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알폼 유닛(110)은 건축구조물의 벽체(10) 시공을 위한 틀 역할을 수행한다. 알폼 유닛(110)은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며, 벽체(10)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다수가 적층, 설치된다.Alform
알폼 유닛(110)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받침편(111)이 형성된다. 알폼 유닛(110)의 높이는 건축구조물에서 돌출부(130)가 시작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어질 수 있다. 즉, 돌출부(130)는 알폼 유닛(110)의 끝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공된다.A
최하부에 배치되는 알폼 유닛(110)은 갱폼조립체(100)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건축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면으로부터 3층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3층 높이까지 설치되는 알폼 유닛(110)을 통해 갱폼조립체(100)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자가 갱폼조립체(100)의 조립 및 설치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갱폼 유닛(120)은 건축구조물의 벽체(10)에 돌출부(130)를 시공하기 위한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한다.The
갱폼 유닛(120)은 건축구조물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한 상태로 알폼 유닛(110)들 사이에 배치된다. 갱폼 유닛(120)의 내부에는 돌출부(130) 형성을 위한 설치공간(125)이 형성된다.Gang-
갱폼 유닛(120)은 기준 갱폼(121)과 돌출 갱폼(123)을 포함한다. 기준 갱폼(121)은 받침편(111)의 일단에서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기준 갱폼(121)은 알폼 유닛(110)을 통해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벽체(10)를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얇게 상방으로 연장, 돌출시켜 건축구조물의 벽체(10)에 기준면(131)을 성형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한다. 기준면(131)은 건축구조물의 벽체(10)에서 돌출부(130)가 시작되는 지점을 의미한다.The
기준 갱폼(121)은 돌출부(130) 성형을 위해 해체 또는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돌출 갱폼(123)은 받침편(111)의 하단에서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게 설치된다. 돌출 갱폼(123)은 돌출부(130) 형성을 위한 공간을 구획한다. 이에, 돌출부(130)를 시공하기 위한 설치공간(125)은 받침편(111), 기준면(131) 및 돌출 갱폼(123)을 통해 구획된 내부에 형성된다.The
갱폼 유닛(120)의 돌출 갱폼(123) 외측에는 작업자의 작업을 위한 이동통로인 케이지(140)와 안전난간(150)이 갖춰질 수 있다. 케이지(140)와 안전난간(150)을 통해 작업자가 쉽게 이동하며 안전하게 돌출부 시공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Outside the protruding
한편, 돌출 갱폼(123)은 별도의 장비를 통해 건축구조물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다. 이때, 돌출 갱폼를 승강 이동하는 장비는 건축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크레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이하,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 brief look at the construction method.
우선, 건축구조물에 형성할 돌출부(130)의 외면 넓이를 설정하여 갱폼 유닛(120)의 설치를 위한 기준을 마련한다(S11).First, a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the
돌출 갱폼(123)은 건축구조물을 따라 승강이동하는 구성으로 그 기준이 건축구조물의 벽체(10) 외면으로 설정할 경우, 승강이동하는 갱폼 유닛(120)과에 충돌이 예상된다. 따라서 돌출부(130)의 외면 넓이를 갱폼 유닛(120)의 돌출 갱폼(123) 설치를 위한 기준으로 함으로써 갱폼 유닛(120)의 돌출 갱폼(123)이 승강 이동과정에서 돌출부(130)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다음, 벽체(10) 시공을 위한 기본 틀인 알폼 유닛(110)을 돌출부(130) 형성이 시작되는 높이까지 설치한다(S12). 이때, 알폼 유닛(110)의 상단에는 받침편(111)이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Next, the
다음, 알폼 유닛(110)이 설치된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건축구조물의 벽체(10)를 시공한다(S13).Next, the concrete 10 is poured and cured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이때, 알폼 유닛(110)의 높이는 건축구조물에서 돌출부(130)가 시작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알폼 유닛(110)을 통해 시공된 건축구조물 벽체(10)에서부터 돌출부(130) 시공의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또한 알폼 유닛(110)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알폼 유닛(110)은 건축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면으로부터 3층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알폼 유닛(110)을 통해 확보된 공간을 통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갱폼조립체(100)를 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다음, 받침편(111)의 일단에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갱폼 유닛(120)의 기준 갱폼(121)을 설치한다(S14). 기준 갱폼(121)은 돌출부(130) 시공을 위한 기준면(131)을 건축구조물 벽체(10)의 외면에 형성한다.Next, a
다음, 받침편(111)의 타단에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갱폼 유닛(120)의 돌출 갱폼(123)을 설치한다(S15). 돌출 갱폼(123)은 돌출부(130) 형성을 위한 공간을 구획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갱폼조립체(100)의 설치를 완성한다.Next, the protruding
다음, 기준 갱폼(121)이 설치된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건축구조물의 벽체(10)를 돌출부(130)의 두께보다 얇게 돌출시킨다(S16). 이때, 기준 갱폼(121)을 통해 돌출된 건축구조물 벽체(10) 외면은 돌출부(130) 형성을 위한 기준면(131)이 된다.Next,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다음, 기준 갱폼(121)을 해체한다(S17). 기준 갱폼(121)이 해체되면 받침편(111), 기준면(131) 및 돌출 갱폼(123)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는 돌출부(130) 시공을 위한 설치공간(125)이 마련된다.Next, the
다음, 설치공간(125)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건축구조물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30)를 시공한다(S18).Next,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그런 다음, 돌출부(130)가 없는 곳의 벽면에 돌출부(130)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를 설치한다(S19).Then, the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는 아래에 설명한 것처럼 해당 위치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와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실제, 돌출부(130)를 시공하는 시간이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를 시공하는 시간보다 길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돌출부(130)와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게 하는 편이 같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공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In fact, considering that the time for constructing the
한편,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는 도 5처럼 일 실시예로 사각 지지대(200a)로 구성할 수 있다. 사각 지지대(200a)는 먼저, 상기 수직바(210)(210')가 도면상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 대칭되게 이격된다.Meanwhile, the
양측의 수직바(210)(210')의 상하 단부는 수평 길이를 이루며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는 수평바(220)(220')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수평바(220)(220')의 연결은 용접 연결을 통해 수직바(210)(210')와 일체화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양측 수직바(210)(210')의 중간부는 수평 길이를 이루는 보강바(230)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보강바(230)의 연결은 용접 연결을 통해 수직바(210)(210')와 일체화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The middle part of the
즉,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를 사각 지지대(200a)로 구성시에는 어느 한 측의 수직바(210)을 통해 갱폼조립체(100)의 수직프레임(110)에 용접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갱폼조립체(100)를 시공함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사각 지지대(200a)에는 그 사각 지지대(200a)를 갱폼조립체(100)의 수직프레임(110)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설치 브라켓(300)(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 브라켓(300)(300')은 사각 지지대(200a)의 어느 한 측의 수직바(210)에 상하로 복수 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이때, 설치 브라켓(300)(300')은 평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사각 지지대(200a)의 수직바(210)에 고정 형성되는 양측 한 쌍의 고정식 브라켓(310)(310')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bracket (300) (300') is composed of a flat plate, it is composed of a pair of fixed
한편, 각각의 고정식 브라켓(310)(310')은 수직바(210)를 중심으로 하여 측면에 각각 구성된 것으로, 그 일측이 수직바(210)의 측면에 용접 결합되며, 타측이 수직바(210)의 단부로 돌출되어 갱폼조립체(1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11)를 이루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ixed brackets (310, 310') is composed of each side on the
즉, 고정식 브라켓(310)(310')은 사각 지지대(200a)에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고정식 브라켓(310)(310')의 구성은 사각 지지대(200a)를 갱폼조립체(100)에 형성함에 있어 갱폼조립체(100)의 수직프레임(110)에 용접 설치되어 그 수직프레임(110)과의 결합 면적 증대에 따른 보다 견고한 연결 상태를 이루게 한다.That is, the fixed
또한,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는,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로 L형 지지대(200b)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수직바(210)(210')가 도면상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 대칭되게 이격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양측 수직바(210)(210')는 수평 길이를 이루며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수평바(220)(220')로 연결되되, 각각의 수평바(220)(220')는 그 일측단이 양측 수직바(210)(210')의 사이에서 중간부 및 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수평바(220)(220')의 연결은 용접 연결을 통해 수직바(210)(210')와 일체화 구성된다.And, both sides of the vertical bar (210, 210') is a pair of
그리고 보강바(230)는 양측 수직바(210)(210')와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바(220)을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보강바(230)의 일단은 수직바(210)(210')의 사이에서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바(220)의 전방 저면에 연결되며, 그 연결은 용접 결합을 통해 일체화 구성된다.And the reinforcing
이때, 각각의 수평바(220)(220')의 단부에는 수평상으로 볼트홀(221)이 더 관통 구성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양측 수직바(210)(210')의 이격된 상단은 사이에 연결블록(240)을 용접 결합하여 일체화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paced upper ends of the
즉,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를 L형 지지대(200b)로 구성시에는 수평바(220)(220')의 단부를 통해 갱폼조립체(100)의 수직프레임(110)에 용접 형성하거나, 볼트홀(221)을 통해 수직프레임(110)에 볼팅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본 발명 기능성 지지 구조체를 갖는 돌출 시공용 갱폼조립체(100)을 구성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에는 벽체와의 미세한 간격의 조절 또는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in constructing the
이를 위해서는 먼저, 수직바(210')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너트체(400)(4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first, the vertical bar 2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그리고, 너트체(400)(400')에는 그 너트체(400)(400')에 나사 결합되어 수직바(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절 스크루(41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And, the
이때, 조절 스크루(410)에는 수직바(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판체 형태의 지지판(411)이 형성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조절 스크루(410)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 손잡이(412)가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즉, 조절 스크루(410)는 그 회전 조절에 의해 수직바(210')의 외측으로 출몰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지 구조체(200)(200a)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돌출부(130)가 없는 부분에서의 지지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By applying the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벽체 100 : 갱폼조립체
110 : 알폼 유닛 111 : 받침편
120 : 갱폼 유닛 121 : 기준 갱폼
123 : 돌출 갱폼 125 : 설치공간
130 : 돌출부 131 : 기준면
140 : 케이지 150 : 안전난간
200(200a) : 기능성 지지 구조체10: wall 100: gang form assembly
110: Alform unit 111: base piece
120: Gang Form Unit 121: Standard Gang Form
123: Extrusion shaft form 125: Installation space
130: protrusion 131: reference plane
140: cage 150: safety railing
200(200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Claims (5)
사각 지지대로 구성되되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에 대칭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양측에 배치되되 수평 길이를 이루면서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수평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중간부에 수평길이를 갖도록 보강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상기 한 쌍의 수평바 및 상기 다수의 보강바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중 어느 하나의 수직바를 통해 갱폼 조립체의 수직 프레임에 복수의 설치 브라켓으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설치 브라켓은 평판 형태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바에 고정 형성되는 양측 한 쌍의 고정식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식 브라켓은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바를 중심으로 하여 측면에 각각 구성되고, 그 일측이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바의 측면에 용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바의 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갱폼 조립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it is assembled to be in charge of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 protrusion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of the wall.
A pair of vertical bars composed of square supports, which form a vertical length and are symmetrically spaced on both sides; And
A pair of horizontal bar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symmetrical up and down while forming a horizontal length;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are provided to be reinforce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The pair of vertical bars, the pair of horizontal bars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ar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rackets ar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gangform assembly through any one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brackets ar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re composed of a pair of fixed brackets on both sides that are fixedly formed on any one of the vertical bars,
The pair of fixed brackets are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side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one vertical bar, one side of which is we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one vertical bar,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end of the one vertical bar.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installation for fixed installation to the gang form assembly.
사각 지지대로 구성되되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 대칭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양측에 배치되되 수평 길이를 이루면서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수평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중간부에 수평길이를 갖도록 보강되게 마련되는 보강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바는 수직 길이를 이루며 양측 대칭되게 이격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바로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수평바는 그 일측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사이에서 중간부 및 하단을 연결하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바의 연결은 용접 연결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직바와 일체화 구성되며,
상기 보강바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와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바를 연결하게 구성고, 상기 보강바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사이에서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바의 전방 저면에 연결되며, 그 연결은 용접 결합을 통해 일체화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바의 단부에는 수평상으로 볼트홀이 더 관통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이격된 상단은 사이에 연결블록을 용접 결합하여 일체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지 구조체.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it is assembled to be in charge of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 protrusion where there is no protrusion of the wall.
A pair of vertical bars formed of a rectangular support, but having a vertical length and symmetrically spaced on both sides; And
A pair of horizontal bar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symmetrical up and down while forming a horizontal length; And
It includes a reinforcement bar provided to be reinforce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The pair of vertical bars form a vertical length and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horizontal bars,
The pair of horizontal bars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connects the middle part and the lower part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the pair of horizontal bars is integrated with the pair of vertical bars through a welding connection. Is composed,
The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a horizontal bar located at the top,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the other end is in front of the horizontal bar located at the top.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nection is integrated through welding joint,
The ends of the pair of horizontal bars are further formed through a bolt hole horizontally,
A functional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and connecting a connection block therebetwe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483A KR102121363B1 (en) | 2019-02-11 | 2019-02-11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5483A KR102121363B1 (en) | 2019-02-11 | 2019-02-11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363B1 true KR102121363B1 (en) | 2020-06-10 |
Family
ID=7108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5483A KR102121363B1 (en) | 2019-02-11 | 2019-02-11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363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403B1 (en) * | 2007-02-14 | 2007-05-28 | 주식회사 거성산업 | Working deck prefabricated for mold |
KR20100055241A (en) | 2008-11-17 | 2010-05-26 | 한국원자력연구원 | Method for purifying air being contaminated by tritiated water vapor and respirator equipment thereof |
KR20110107076A (en) | 2010-03-24 | 2011-09-3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Enterobacter sp. sd255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ame |
KR101641340B1 (en) * | 2015-03-05 | 2016-07-20 | 서보산업 주식회사 | Gang form cage having safety upper and lower worktable |
KR20170086492A (en) | 2014-10-30 | 2017-07-26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bacteria for improving behavior i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KR20170137207A (en) | 2010-10-06 | 2017-12-12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Anti-reflective articles with nanosilica-based coatings and barrier layer |
KR101911415B1 (en) * | 2018-04-05 | 2018-10-24 |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 A gang form assembly for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a build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KR200490054Y1 (en) * | 2018-12-21 | 2019-09-17 |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 Gang form |
-
2019
- 2019-02-11 KR KR1020190015483A patent/KR10212136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403B1 (en) * | 2007-02-14 | 2007-05-28 | 주식회사 거성산업 | Working deck prefabricated for mold |
KR20100055241A (en) | 2008-11-17 | 2010-05-26 | 한국원자력연구원 | Method for purifying air being contaminated by tritiated water vapor and respirator equipment thereof |
KR20110107076A (en) | 2010-03-24 | 2011-09-3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Enterobacter sp. sd255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ame |
KR20170137207A (en) | 2010-10-06 | 2017-12-12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Anti-reflective articles with nanosilica-based coatings and barrier layer |
KR20170086492A (en) | 2014-10-30 | 2017-07-26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bacteria for improving behavior i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KR101641340B1 (en) * | 2015-03-05 | 2016-07-20 | 서보산업 주식회사 | Gang form cage having safety upper and lower worktable |
KR101911415B1 (en) * | 2018-04-05 | 2018-10-24 |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 A gang form assembly for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a build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KR200490054Y1 (en) * | 2018-12-21 | 2019-09-17 |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 Gang for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13506B (en) | Building frame structure with boundary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3931313A (en) | Super high-rise core tube horizonta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2059552B1 (en) | Modular work platform of a long span bridge main tower reba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3196043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airs and staircase, construction method of stairs, and stair members | |
KR101499811B1 (en) | Prefabricated wall frame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wall using the same | |
KR101116254B1 (en) | High-ris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lifting up table-form | |
KR102121363B1 (en)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
KR100433561B1 (en) | Wall ascending slab descending concrete casting method | |
KR101140884B1 (en) | Gangform device constructed for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is using | |
KR101941340B1 (en) | Support structure for slab foam panel | |
KR101911415B1 (en) | A gang form assembly for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a build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rusion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110002260U (en) | Supporting assembly for beam mold | |
JP4516585B2 (en) | Internal staircase for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361047B1 (en) | Construction mold | |
JP4623570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jack base and formwork support | |
KR100788000B1 (en)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
CN107700819B (en) | Tower column construction internal climbing frame and tower column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same | |
JPH1129910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pier | |
JP3945668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pier | |
KR100785312B1 (en) | Mounting structure for steel-frame stair | |
KR101202300B1 (en) | Product method of pre-fabricated mold | |
JP2931761B2 (en) | Fixing device for outer wall material and laminating method for middle and high-rise buildings using the fixing device | |
JP2019143392A (en) | Beam member composite and floor structure | |
CN209755588U (en) | Prefabricated house unit mould | |
KR200375060Y1 (en) | Mold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