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000B1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Google Patents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8000B1 KR100788000B1 KR1020070044578A KR20070044578A KR100788000B1 KR 100788000 B1 KR100788000 B1 KR 100788000B1 KR 1020070044578 A KR1020070044578 A KR 1020070044578A KR 20070044578 A KR20070044578 A KR 20070044578A KR 100788000 B1 KR100788000 B1 KR 100788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er crane
- core wall
- bracket
- mounting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93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으로서,1a to 8b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step by step,
도 1a, 도 1b는 코어벽 내에 매립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1A and 1B are schematic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ried unit is mounted in a core wall;
도 2a 내지 도 2c는 매립유닛에 브래킷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Figure 2a to 2c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buried unit,
도 3a, 도 3b는 단일의 가로빔 및 한쌍의 세로빔으로 구성된 크로스빔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oss beam consisting of a single horizontal beam and a pair of vertical beams is installed;
도 4a 내지 도 4c는 크로스빔의 소정 위치에 체결판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main parts in which a fastening plat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rossbeam;
도 5a, 도 5b는 크로스빔과 코어벽 상에 고정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fixing piece is installed on a crossbeam and a core wall;
도 6은 크로스빔을 구성하는 한쌍의 세로빔 사이에 커넥팅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connecting bar mounted between a pair of longitudinal beams constituting a crossbeam;
도 7a, 도 7b는 각 고정편에 턴버클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 구성도,7A and 7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rnbuckle is bound to each fixing piece;
도 8a, 도 8b는 크로스빔 상에 타워크레인용 철골빔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 구성도이다.8A and 8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teel frame beam for tower crane is mounted on a cross beam.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코어벽 11A,11B: 거푸집10:
12: 매립유닛 12a: 평판체12: embedded
13a,13b: 돌출봉 13c: 플랜지13a, 13b:
14: 보조유닛 15: 브래킷14: auxiliary unit 15: bracket
15a: 몸체 15b: 받침판15a:
15c: 볼트체결용 홀 16: 보조판15c: Bolting hole 16: auxiliary plate
17: 가로빔 18A,18B: 세로빔17:
19: 크로스빔 20: 마감 브래킷19: crossbeam 20: finishing bracket
21: 체결볼트 22a,22b: 체결판21:
23a,23b: 커넥팅바 24: 고정편23a, 23b: connecting bar 24: fixing piece
25: 턴버클 50: 철골빔25: Turnbuckle 50: Steel Beam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의 축조시에 엘리베이터 통로를 이루는 코어벽에 통상 의 타워크레인용 철골빔을 탑재하기 위한 크로스빔을 설치함에 있어 타워크레인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직력과 횡하중에 대한 강도 및 지지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층간 축조공정에 따른 반복적인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and supporting effect against the vertical force and the lateral load generated by the tower crane in installing a cross beam for mounting a steel beam for a normal tower crane on a core wall forming an elevator passage when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structure for installing a tower cran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perform repetitiv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perations according to each interlayer construction process.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축조시에 권상 및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는 건설기계로서, 각종 중량물을 높이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그 작업반경이 넓기 때문에 대도시의 밀집된 고층 건축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플랜트, 철탑 건설 또는 항만 하역용 등의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ower crane is a construction machine that can perform hoisting and swinging motions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or a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lift various heavy materials high and its working radius is wide, so that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of a large city It is widely used in, and recently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lant, steel tower construction or port unloading.
통상, 고층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 현장에 가설되어 있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화물을 작업 공간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주변 환경에 따른 하중이나 풍압 등과 같은 외부 조건을 고려하거나 작업 현장의 제반 상황이나 양중 및 운전자의 사각지대를 확보하고,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와 부재중량에 따른 최대 양중 반경, 타워크레인 및 카운터의 지브(Jib)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In general, when building a high-rise building, various kinds of luggage are moved to the work space by using the tower crane installed on the site.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ternal conditions such as load or wind pressur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securing the dead zone of the lifter and the driver, minimizing mutual interference, the maximum lift radius according to the member weight, and the position to minimize the jib interference of the tower crane and counter.
이러한 타워크레인의 시공방식으로서는 마스트(Mast)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순차적으로 연장하여 타워크레인 본체를 상승시키는 프리스탠딩 타입(Stationary Type)과 골조의 상승 축조에 따라 마스트 및 타워크레인 본체가 들려져 올라가는 클라이밍 타입(Climbing Type)을 예로 들 수 있다.A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the mast is fixed to the floor and extends sequentially to raise the tower crane body and the climbing type in which the mast and the tower crane body are lifted up according to the rising construction of the frame. (Climbing Type) is an example.
상기 프리스탠딩 타입은, 지반에 고정된 앵커(Anchor)를 콘크리트 블록으로 고정시킨 후 타워크레인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아파트 및 철골 구조물 건축 공사시 철골이 타워크레인을 지탱할 수 없을 때 주로 활용된다. 이 공법은 건축물의 골조가 상승 축조됨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수직부재인 마스트를 연장하여 사용함에 따라 마스트 고정구를 건축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Slab)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추가로 소요되는 마스트에 대한 비용이 발생되고 외벽 마감공사에 간섭이 발생되므로 주로 저층 빌딩이나 아파트 축조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freestanding typ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tower crane after fixing an anchor fixed to the ground with a concrete block, and is mainly used when steel cannot support the tower crane during construction of apartments and steel structures. This method is inevitably required to form mast fixtures on the outer wall or slab of the building as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extended and used to extend the mast, which is a vertical member of the tower crane. It is mainly used for low-rise building or apartment construction work because cost is generated and interference occurs in exterior wall finishing work.
한편, 클라이밍 타입은 철골 또는 건축물 공사에서 건축물 외곽에 타워크레인을 설치할 공간이 없거나 고층 건축물에서 추가 마스트 손실비용 및 저층부의 타워크레인 간섭을 없애고 초고층 공사를 원활히 수행하고자 할 때 코아 내부에 타워크레인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는 방법이다. 즉 양중장비의 효과적인 운용에 따른 공중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경제성 및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도입되어 초고층 건축물의 축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법이다.On the other hand, the climbing type supports tower crane inside the core when there is no space to install tower crane outside the steel frame or building construction, or to remove extra mast loss cost and low-rise tower crane interference in high-rise buildings and to perform high-rise construction smoothly. It is a way to raise. In other words, this method is widely used to build high-rise buildings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ir due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heavy lifting equipment and securing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그러나, 이러한 클라이밍 타입에 있어서의 타워크레인을 시공하는 경우, 타워크레인의 하중을 균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앵커의 수직도 및 수평도가 정확하게 세팅된 상태에서 타워크레인용 철골빔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야만 하나, 고정용 앵커의 시공시에 타워크레인의 정확한 장착위치를 찾기가 어려워 실질적으로는 고정용 앵커나 철골빔을 시공할 때 전적으로 작업자의 측량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when constructing the tower crane in this climbing type,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tower crane in a balanced manner, the steel beam for the tower crane is correctly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fixing anchor are set correctl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the exact mounting position of the tower cran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fixing anchor, it is practically dependent on the manual operation by the operator when constructing the fixing anchor or the steel beam.
더구나,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앵커 위치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 다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능률이 떨어지고 시공비 및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anchor position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t has to be reconstruct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ers is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material cost are high.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4448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시공방식은, 고층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코어벽을 형성하기 위한 형틀에 타워크레인과의 접속위치가 미리 설정된 베이스부재를 장착하고, 이 베이스부재 상에 앵커체를 장착하여 콘크리트로 매설한 후 이 앵커체에 타워크레인의 철골빔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such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construction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444831 discloses a base member in which a connection position with a tower crane is preset in a form for forming a core wall in a high-rise building. After mounting the anchor member on the base member, and embedded in concrete, and configured to bind the steel beam of the tower crane to the anchor body.
그런데, 이 시공방식의 경우, 코어벽 상의 앵커체와 타워크레인의 철골빔이 체결되어 있는 부위에 하중(荷重)이 그대로 전달되어 전단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손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중량물인 철골빔을 공간 상에 유지한 상태에서 중심을 맞추고 작업자가 앵커체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작업 자체가 매우 난해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construction method,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site where the anchor body on the core wall and the steel beam of the tower crane are fastened as it is, and the shear stress acts intensively. Since the center of the steel beam is maintained in the space and the operator must be fastened by bolting to the anchor body has a problem that the work itself is very difficult.
또한, 상기 코어벽의 간격에 시공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철골빔 자체를 다시 제작해야만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으며, 통상 코어벽 상에 베이스부재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마감 처리함에 따라 외관을 크게 손상시킨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if a construction error occurs in the gap between the core wall is not provided at all, there is an unreasonable point to re-produce the steel beam itself, there is usually a surface of the base member is exposed on the core wall as it is The problem was that the appearance of the finish was greatly dama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건축물의 각 층간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코어벽 상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전체 하중에 따른 수직력에 대한 전단강도는 물론 타워크레인용 철골빔을 유 지하는 크로스빔의 수평력(횡하중)에 대한 저항강도 및 지지효과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wer crane as well as the shear strength of the vertical force according to the total load of the tower crane is installed on the core wall to build each inter-layer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m structure for installing a tower cran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resistance strength and supporting effect against the horizontal force (lateral load) of the cross steel beam maintaining the molten steel beam.
또한, 본 발명은 각 층간 축조공정에 따른 크로스빔의 반복적인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크로스빔이 해체된 후에도 매립유닛이 코어벽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repeate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of the cross beam according to each interlayer construction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tower crane installation that can be finished so that the landfill unit is not exposed from the core wall even after the cross beam is dismantled It is to provide a beam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의 시공단계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야 할 통로 상의 코어벽에 철골빔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평판체의 양면으로 돌출봉이 각각 형성되고 코어벽의 축조시에 보조판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매립유닛과, 상기 매립유닛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봉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몸체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판을 가지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마감 브래킷을 포함하여 고정 설치되는 가로빔 및 이 가로빔으로부터 타측 코어벽에 설치된 브래킷과 연결되는 세로빔으로 이루어져 있는 크로스빔과, 이 크로스빔의 측면부 및 코어벽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편들을 서로 연결하여 타워크레인의 횡하중을 코어벽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턴버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structure for mounting a steel beam on the core wall on the passage to be installed the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high-rise building, protruding rods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flat plate and the core A buried unit which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via an auxiliary plate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a bracket having a support plate which is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while being fastened by a protruding rod formed on one side of the buried unit, and mounted on the bracket Cross beam consisting of a horizontal beam fixedly installed, including a closing bracket, and a vertical beam connected to the bracket installed on the other core wall from the horizontal beam, and fixing pieces mounted on the side portions of the cross beam and the core wall. It consists of turnbuckles for dispersing the lateral loads of the tower crane to the core wall by connecting them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by.
또, 상기 한쌍의 세로빔 사이에 하나 이상의 커넥팅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nnecting bar is mounted between the pair of longitudinal beams.
또한,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의 시공단계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야 할 통로 상의 코어벽에 철골빔을 장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평판체를 기준으로 그 양면에 길이가 서로 다른 돌출봉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매립유닛을 거푸집 내면의 설정 위치에 체결볼트로서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벽을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것에 의해 매립유닛의 평판체가 통로 상의 코어벽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체의 각 돌출봉에 브래킷을 개재하여 체결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매립유닛 상에 브래킷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일측 브래킷 상에 단일의 가로빔을 체결시킨 후 이 가로빔으로부터 한쌍의 세로빔을 타측 코어벽에 설치된 브래킷 상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상기 가로빔 및 세로빔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 빔을 포함한 코어벽과의 사이에 턴버클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세로빔 상에 타워크레인의 가설을 위한 철골빔을 탑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unting a steel beam on the core wall on the passage to be install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ge of a high-rise building, the buried bar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protruding rods on both sides based on the flat plate Mounting the unit as a fastening bol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placing concrete into the form to cure the core wall, and then dismantling the formwork so that the flat body of the landfill unit is exposed from the core wall on the passage; And mounting the brackets on the buried unit by fixing the bolts through the brackets to the protrusions of the flat plate, and fastening a single horizontal beam on the one side bracket and then using a pair of the horizontal beams. Fastening and fixing the vertical beam on a bracket installed on the other core wall, the horizontal beam and three It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eam installing the turnbuckle in the mounted state between the core wall, including those beams, comprising the steps of fixing to the mounting steel beam for the hypothesis of the tower crane on the vertical beam.
여기서, 상기 매립유닛을 거푸집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평판체와 거푸집 사이에 보조판을 개재하여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Her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uried unit to the formwork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losely fixing the gap between the plate and the formwork so as not to form a gap.
또, 상기 가로빔은 브래킷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1차로 체결된 후 가로빔의 상단부에 마감 브래킷을 탑재하여 2차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eam is first fastened in a state seated on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unting by mounting the closing bracket on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상기 한쌍의 세로빔 사이에 하나 이상의 커넥팅바를 장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빔 및 세로빔을 해체한 상태에서 매립유닛이 코어벽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후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unting one or more connecting bars between the pair of longitudinal beams, and further including post-processing the buried unit so as not to be exposed from the core wall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eams and the longitudinal beams are disassembl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통상의 고층 건축물을 축조하는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통로 상의 코어벽(10)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도시생략)의 철골빔(50)을 가장 쉽고 안전하게 조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 층간 축조에 따라 제반 구성요소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1A to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ower crane installation beam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wer crane is installed on the
먼저, 거푸집(11A,11B) 내에서 양생된 코어벽(10) 내에 한쪽면이 노출된 상태로 매립유닛(12)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매립유닛(12)은 평판체(12a)를 중심으로 그 양면에 돌출봉(13a,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매립측 돌출봉(13a)의 끝단에는 플랜지(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변에는 후술하는 별개의 가설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유닛(14)이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First, the
상기 코어벽(10)으로 노출된 매립유닛(12)에는 몸체(15a)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판(15b)을 가지는 브래킷(15)이 장착되며, 이들 브래킷(15)은 엘리베이터 도어(도시생략)가 위치하는 개방측 코어벽(10)에 3개, 내측의 코어벽(10)에 2개가 설치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uried
또한, 상기 매립유닛(12)과 브래킷(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판(16)을 제거한 상태에서 곧바로 이들을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브래킷(15)에 형 성되는 볼트체결용 홀(15c)은 장공형태로 가공되어 시공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ate of removing the
한편, 상기 브래킷(15) 상에는 단일의 가로빔(17) 및 한쌍의 세로빔(18A, 18B)으로 이루어진 크로스빔(19)이 탑재되고, 마감 브래킷(20)이 안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체결볼트(21)들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cross beam 19 consisting of a single
상기 크로스빔(19)의 경우, 가로빔(17)을 브래킷(15)에 1차 결속시킨 상태에서 이 가로빔(17)으로부터 한쌍의 세로빔(18A,18B)을 타측 코어벽(10)에 설치된 브래킷(15)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 빔(17,18A,18B)의 상단 및 측면 연결부위에 평판형 체결판(22a,22b)을 개재하여 상호 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cross beam 19, a pair of
또한, 크로스빔(19)을 이루는 한쌍의 세로빔(18A,18B)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커넥팅바(23a,23b)를 장착함에 따라 양 세로빔(18A,18B)을 균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코어벽(10)에 장착된 보조유닛(14)을 포함한 크로스빔(19)의 측면부에는 고정편(24)을 개재하여 턴버클(25)을 결속시키는 것에 의해 타워크레인의 횡하중을 코어벽(10)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one or more connecting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의 시공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tower crane installation be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평판체(12a)를 기준으로 그 양면에 길이가 서로 다른 돌출봉(13a,13b)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매립유닛(12)을 철근이 배열되 어 있는 통로측 거푸집(11A) 내면의 설정된 위치에 각각 체결볼트(21)로 장착시킨 후 양 거푸집(11A,11B)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어벽(10)을 양생시키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reinforcing rods are formed in the buried
이어서, 상기 거푸집(11A,11B)을 해체하는 것에 의해 매립유닛(12)의 평판체(12a) 한쪽이 통로 상의 코어벽(10)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Subsequently, by disassembling the
또한, 이와는 별도로 대략 매립유닛(12)의 절반 크기로 제작된 보조유닛(14)을 코어벽(10)의 필요 부위에 마찬가지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매립유닛(12)을 거푸집(11A)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평판체(12a)와 거푸집(11A) 사이에 합판이나 스티로폴로 제작된 보조판(16)을 개재시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에 매립유닛(12)과 거푸집(11A)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벽(10)으로 노출되어 있는 매립유닛(12)의 평판체(12a)에 브래킷(15)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돌출봉(13a) 내로 체결볼트(21)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각 매립유닛(12)에 브래킷(15)을 장착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A, the
이 때,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평판체(12a)와 브래킷(15) 사이에 보조판(16)을 개재하거나 혹은 도 2c에서와 같이 보조판(16)을 제거한 상태에서 브래킷(15)을 직접 장착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B, the
그 후,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브래킷(15) 상에 크로스빔(19)을 구성하는 단일의 가로빔(17)을 체결시킨 후 이 가로빔(17)으로부터 한쌍의 세로빔(18A,18B)을 타측 코어벽(10)에 설치된 브래킷(15) 상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가로빔(17) 및 세로빔(18A,18B)을 브래킷(15) 상에 체결시킨 후 이들 상단부에 마감 브래킷(20)을 탑재하여 체결하는 것이 작업 편의상 바 람직하지만 양 빔(17,18A,18B) 들을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브래킷(15)에 안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3A and 3B, a single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빔(17) 및 세로빔(18a,18b)의 상단부나 측면부의 접속부위에는 평판형상의 체결판(22a,22b)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A to 4C, the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크로스빔(19)이 장착된 상태에서 코어벽(10)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보조유닛(14)을 포함한 양 빔(17,18A,18B)의 측면부에 고정편(24)을 부착시킨다.5A and 5B, the side portions of both
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빔(18A,18B) 사이에 2개의 커넥팅바(23a,23b)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빔(17) 및 세로빔(18A,18B)을 포함한 코어벽(10)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편(24)을 이용하여 턴버클(2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호간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wo connecting
이어서,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코어벽(10)에 크로스빔(19)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 크로스빔(19)을 구성하는 세로빔(18A,18B) 상에 사각형태의 철골빔(50)을 탑재하여 타워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the cross beam 19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해체한 후에는 코어벽(10)으로 노출되어 있는 매립유닛(12)을 시멘트 등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코어벽(10)의 외관을 한층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하여 다음 층의 축조공정을 연속해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다.In addition, after dismantling each component in the state of complet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ur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고층 건축물의 각 층간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코어벽 상에 평판체의 양면으로 돌출봉을 가지는 매립유닛 및 브래킷을 개재하여 크로스빔이 설치됨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전체 하중에 따른 수직력에 대한 전단강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wer crane installation beam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ied unit and the bracket having protruding rods on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on the core wall for constructing each interlayer structure of the high-rise building As the intersecting cross beam is installed, the shear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orce according to the total load of the tower crane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타워크레인이 탑재되는 철골빔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빔에 하나 이상의 커넥팅바 및 턴버클이 설치되어 타워크레인에 의한 횡하중을 코어벽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저항강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one or more connecting bars and turnbuckles are installed in the cross beam for maintaining the steel beam on which the tower crane is mounted, the lateral load caused by the tower crane can be distributed to the core wall,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resistance strength. .
또, 본 발명은 각 층간 축조공정에 따른 크로스빔의 반복적인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크로스빔을 제거한 이후에 매립유닛이 코어벽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깨끗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repeate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peration of the cross beam according to each inter-layer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to cleanly finish the buried unit is not exposed from the core wall after removing the cross beam. .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578A KR100788000B1 (en) | 2007-05-08 | 2007-05-08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578A KR100788000B1 (en) | 2007-05-08 | 2007-05-08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8000B1 true KR100788000B1 (en) | 2007-12-21 |
Family
ID=3914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4578A KR100788000B1 (en) | 2007-05-08 | 2007-05-08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80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5602A (en) * | 2011-04-22 | 2012-10-24 | 上海庞源机械租赁股份有限公司 | Double-layer vertically-crossed steel beam arrangement structure of internally climbing tower crane |
CN106276630A (en) * | 2016-09-30 | 2017-01-04 | 沈阳建筑大学 | A kind of internal-climbing tower crane supporting construction of band shearing fr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9593A (en) * | 1992-12-15 | 1994-06-28 | Kajima Corp | Column head fixing device of crane girder |
KR100444831B1 (en) | 2004-04-09 | 2004-08-21 | 신우개발 (주) | Tower Crane Setup Method and Anchor used therein |
-
2007
- 2007-05-08 KR KR1020070044578A patent/KR10078800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9593A (en) * | 1992-12-15 | 1994-06-28 | Kajima Corp | Column head fixing device of crane girder |
KR100444831B1 (en) | 2004-04-09 | 2004-08-21 | 신우개발 (주) | Tower Crane Setup Method and Anchor used therei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5602A (en) * | 2011-04-22 | 2012-10-24 | 上海庞源机械租赁股份有限公司 | Double-layer vertically-crossed steel beam arrangement structure of internally climbing tower crane |
CN106276630A (en) * | 2016-09-30 | 2017-01-04 | 沈阳建筑大学 | A kind of internal-climbing tower crane supporting construction of band shearing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24283C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RC structured high rise building | |
US20100180519A1 (en) | Precast Wall Panels and Method of Erecting a High-Rise Building Using the Panels | |
CA2561444A1 (en) |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KR100820299B1 (en) | Temporary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beam of pylon setting method using the bracket | |
CA2970888C (en) | Prefabricated reus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 |
KR100788000B1 (en) |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 |
CN111561071A (en) | Assembly type shear wall connec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 |
JP2015124599A (en) | Temporary windshield unit | |
JP200203061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tower structure | |
KR100599059B1 (en) | table form estabishment apparatus for building and estabishment method thereof | |
JP2001329700A (en) | Temporary jointing method for column during building demolition in jack system | |
KR102121363B1 (en) |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 |
JPH0657710A (en) | Construction of concrete main tower | |
KR102242175B1 (en) | Mold for prefabricated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 |
JP4027170B2 (en) | External scaffold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scaffold device | |
KR102425363B1 (en) | A structure of a flared shieldin integrated with climbing system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 |
KR100539829B1 (en) | Method of pulling-up gang form for a flash board using a shaped steel | |
US11655641B2 (en) |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H10121417A (en) | Concrete fr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is concrete frame | |
KR102386983B1 (en) | Precast Concrete Panel for exterio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US20210198908A1 (en) |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3287816B2 (en) | Building interior stairs | |
KR100386354B1 (en) | method of apartment construction for the slip form construction method | |
JP2727263B2 (en) | Formwork unit construction method | |
KR100336710B1 (en) |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