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31B1 -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31B1
KR102620531B1 KR1020210098894A KR20210098894A KR102620531B1 KR 102620531 B1 KR102620531 B1 KR 102620531B1 KR 1020210098894 A KR1020210098894 A KR 1020210098894A KR 20210098894 A KR20210098894 A KR 20210098894A KR 102620531 B1 KR102620531 B1 KR 10262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golfer
golf course
service reque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936A (ko
Inventor
설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아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아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아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9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31B1/ko
Priority to US17/516,719 priority patent/US11660522B2/en
Publication of KR2023001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1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a marker advancing in function of the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10Space saving specially constructed to fit in the corner of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그린 촬영부;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 및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상를 생성하고 상기 골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는 상기 골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상을 생성하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골프장 운용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GOLF COURSE}
본 발명은 골프장 운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선행특허문헌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417호에는 야외 골프장의 모습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 관찰, 보안, 감시, 점검, 홍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카메라 및 영상압축 및 전송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야외 골프장 관리자가 전송된 동영상을 재생, 녹화, 저장하고 인터넷에 접속한 사람들에게 단순히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417호 "골프장(실내 와 야외) 실시간 동영상 인터넷 전송에 관한 온라인 오프라인 결합 비즈니스 모델" (2001.08.30)
본 발명의 목적은 골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그린 촬영부;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 및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상를 생성하고 상기 골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는 상기 골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상을 생성하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골프장 운용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그린 촬영부와,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가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확인되는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에 의해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가 확인된 후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검증되는 이벤트 검증 단계; 상기 이벤트 검증 단계에 의해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된 경우에 골퍼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영상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골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영상 전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그린 촬영부와,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상를 생성하고 상기 골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골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상을 생성하므로, 골퍼는 홀인원,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서비스 요청을 통해 이에 대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그린 촬영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린 촬영부에서 IP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골프장 운영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프장 운영 서버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골프장에서 홀 별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그린 촬영부(110)들과, 복수의 골퍼들 각각이 골프 플레이 중 휴대하는 골퍼 단말기(150)와, 골프장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그린 촬영부(110)들, 골퍼 단말기(150) 및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N)는 골프장 내 무선 와이파이(WiFi)망과 같은 골프장 내의 로컬 네트워크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네트워크(N)는 인터넷 통신망이거나, 인터넷 통신망과 골프장 내 로컬 네트워크의 조합일 수 있고, 무선 통신망 외에 유선 통신망일 수도 있다.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그린 촬영부(110)로부터 전송되는 그린의 영상 데이터와 골퍼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골퍼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를 골퍼 및 골프장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복수개의 그린 촬영부(110)들은 골프장에서 홀 별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18개의 홀로 구성된 골프장의 경우, 그린 촬영부(110)는 홀 별로 설치되어서 모두 18개의 그린 촬영부(110)가 이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전체 9개의 홀로 구성된 골프장의 경우, 그린 촬영부(110)는 홀 별로 설치되어서 모두 9개의 그린 촬영부(11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그린 촬영부(1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린 촬영부(110)는 촬영 대상 그린(G)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IP 카메라(12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IP 카메라(120)들은 그린(G)을 가림 방지를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그린(G)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복수개의 IP 카메라(120)들은 골프 플레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도 3에는 IP 카메라(120)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IP 카메라(120)는 촬영된 그린(G)에 대한 영상 정보인 그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카메라 메모리 장치(123)와, 그린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 객체 인식부(126)를 구비한다.
카메라 메모리 장치(123)에는 IP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그린(G)에 대한 영상 정보인 그린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카메라 메모리 장치(123)에 저장된 그린 영상 데이터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요청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메모리 장치(123)로는 SD 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객체 인식부(126)는 그린 영상 데이터에서 실시간으로 객체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객체 인식부(126)에서 인식되는 인식 대상 객체는 골퍼(도 2의 P), 홀컵(도 2의 C), 홀컵 깃대(도 2의 F) 및 골프공(도 2의 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객체 인식부(126)는 통상적인 인공지능(AI)에 의해 학습된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린 촬영부(110)가 3개의 IP 카메라(120)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2개 또는 4개 이상의 IP 카메라(12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골퍼 단말기(150)는 복수의 골퍼들 각각이 골프 플레이 중 휴대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골퍼 단말기(150)는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골프장 운영 서버(17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골퍼 단말기(150)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퍼 단말기(150)가 골퍼의 스마트워치(smart watch)와 같이 골퍼의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 착용형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벨트 착용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골퍼 단말기(15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LCD 장치와 같은 영상 출력부와, 스피커 장치와 같은 소리 출력부와, 골퍼의 제어명령을 인식하는 입력부와, GPS 장치와 같은 위치 인식부와,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부와, 외부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다. 골퍼 단말기(150)의 이러한 구성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골퍼 단말기(15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골퍼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되어서 작동하여, 위치 인식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 전송하고,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영상 출력부와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골퍼 단말기(150)의 입력부는 영상 출력부에 나타나는 버튼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골퍼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장치일 수도 있고,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골퍼 단말기(150)의 입력부는 골퍼 단말기(150)를 사용하는 골퍼에 의한 홀인원 서비스 요청,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 및 기타 서비스 요청을 인식한다. 홀인원 서비스 요청은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간 상황(홀인원)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이며,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은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이고, 기타 서비스 요청은 티샷을 제외한 샷에서 좋은 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간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이다.
홀인원 서비스 요청은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간 상황(홀인원)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으로서, 골퍼 단말기(150)의 입력부는 홀인원 서비스 요청의 인식을 위한 예를 들어서 '홀인원 서비스'라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골퍼가 골퍼 단말기(150)가 제공하는 '홀인원 서비스' 버튼을 누르면, 골퍼 단말기(150)는 홀인원 서비스 요청을 인식하게 된다. 홀인원 서비스 요청에 의해 골퍼 단말기(150)는 홀인원 영상을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부터 전송받는다. 골퍼가 티박스에서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티박스에서 홀인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골퍼가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홀인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은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으로서, 골퍼 단말기(150)의 입력부는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의 인식을 위하여 예를 들어서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라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골퍼가 골퍼 단말기(150)가 제공하는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버튼을 누르면, 골퍼 단말기(150)는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을 인식하게 된다.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에 의해 골퍼 단말기(150)는 티샷 홀컵 근접 영상을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부터 전송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거리는 1m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골퍼가 티박스에서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티박스에서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골퍼가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기타 서비스 요청은 티샷을 제외한 샷에서 좋은 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간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골퍼가 요청하는 것으로서, 골퍼 단말기(150)의 입력부는 기타 서비스 요청의 인식을 위하여 예를 들어서 '기타 서비스'라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골퍼가 골퍼 단말기(150)가 제공하는 '기타 서비스' 버튼을 누르면, 골퍼 단말기(150)는 기타 서비스 요청을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타 서비스는 골프에서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등을 포함한다. 즉, 골퍼는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 등의 훌륭한 플레이를 했을 때 기타 서비스 요청을 하게 된다. 기타 서비스 요청에 의해 골퍼 단말기(150)는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등의 영상을 티샷 홀컵 근접 영상을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부터 전송받는다. 기타 서비스는 골퍼가 샷을 한 위치에서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 바로 기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골퍼가 그린의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기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골퍼 단말기(150)의 영상 출력부 또는 소리 출력부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골퍼 단말기(150)는 골프장에서 골프 플레이를 하는 복수의 골퍼들이 동시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골퍼 단말기(150)는 영상 출력부 및 소리 출력부를 통해 다양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골퍼 단말기(150)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에 의한 수익은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자와 골프장의 운영자에게 적절한 비율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골퍼 단말기(150)는 골퍼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골퍼 단말기(15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촬영부(110)로부터 전송되는 그린 영상 데이터와 골퍼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골퍼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골프장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골퍼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도 4에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제어부(171)와, 골프장의 코스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17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와, 골퍼의 골프장 내 위치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7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와, 골퍼(P)에게 전송되는 서비스 영상이 저장되는 서비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74)와, 제어부(171)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부(176)를 구비한다.
제어부(171)는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와 데이터를 주고 받고, 통신부(176)를 통해 복수개의 그린 촬영부(110)들 및 복수개의 골퍼 단말기(150)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71)는 메모리에 저장된 골프 정보 제공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어부(171)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1)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를 확인하는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와, 골퍼(P)의 위치를 확인하는 골퍼 위치 확인부(177)와,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하는 이벤트 검증부(178)와,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을 생성하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구비한다.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를 확인한다. 골퍼(P)는 자신이 사용하는 골퍼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홀인원 서비스 요청,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 및 기타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골퍼 단말기(150)는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홀인원 서비스 요청,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 및 기타 서비스 요청을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 전송한다.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는 골퍼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홀인원 서비스 요청,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 및 기타 서비스 요청을 전송받아서 확인한다.
골퍼 위치 확인부(177)는 골퍼(P)가 사용하는 골퍼 단말기(150)에 구비되는 위치 인식부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골프 단말기(15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골퍼(P)의 위치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 단말기(150)가 위치 정보를 10초 내지 60초마다 1회 골프장 운영 서버(170)로 전송하고, 골퍼 위치 확인부(177)가 이를 확인하여 골퍼(P)의 위치가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골퍼 위치 확인부(177)에 의해 확인된 골퍼(P)의 시간대별 위치가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다.
이벤트 검증부(178)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한다. 이벤트 검증부(178)는 IP 카메라(120)로부터 전송되는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와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저장된 골퍼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한다. 이벤트 검증부(178)는 골퍼(P)가 요청한 홀인원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홀인원의 발생, 골퍼(P)가 요청한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티샷에 의한 골프공의 홀컵 근접 상황 발생, 골퍼(P)가 요청한 기타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발생을 검증한다.
홀인원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홀인원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골퍼(P)의 위치가 티박스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티샷에 의한 골프공의 홀컵 근접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골퍼(P)의 위치가 티박스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골퍼(P)가 요청한 기타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기타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대한 골퍼(P)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는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을 생성한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는 통상적인 영상 편집 소프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자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이용하여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여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동영상을 편집하여 생성한다.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IP 카메라(120)의 메모리 장치(12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운영자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이용하여 이를 편집하게 된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영상은 IP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그린(G)의 동영상과 홀에서 샷을 한 골퍼의 위치를 보여주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인원 서비스의 경우에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은 골프공이 그린(G) 영역으로 진입하여 홀컵(C)으로 들어가는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과, 골퍼(P)가 티샷을 한 위치를 홀 지도 상에서 보여주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영상은 서비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74)에 저장된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영상은 서비스를 요청한 골퍼뿐만 아니라 함께 하는 다른 동반 골퍼에게도 전송될 수 있다.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생성된 서비스 영상을 등록된 골퍼의 온라인 계정(예를 들어, 카카오톡 등의 SNS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제어부(17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는 골프장의 홀별 기본 코스정보가 저장된다.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저장되는 홀별 기본 코스정보는 홀의 지도 정보를 포함한다.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72)에 저장된 기본 코스정보는 제어부(171)에 제공되어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정보의 생성에 활용된다.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는 골퍼의 골프장 내 위치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7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저장되는 골퍼의 골프장 내 위치 데이터는 확인된 시간 별로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되어서 유지된다.
통신부(176)는 제어부(171)에 의해 제어되어서 복수개의 그린 촬영부(110)들 및 복수개의 골퍼 단말기(150)들과의 통신에 사용된다.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골프장 전체의 골퍼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골프장 관리자는 골프장 전체의 원활한 경기 진행을 위해 골프장 맴에 표시된 골퍼들의 위치에 따라 경기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골프장 관리자는 IP 카메라(120)를 통해 골프장 전체의 그린(G)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와 함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가 골프장 운영 서버(170)에 의해 확인되는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와,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에 의해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가 골프장 운영 서버(170)에 의해 확인된 후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되는 이벤트 검증 단계(S120)와, 이벤트 검증 단계(S120)를 통해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된 경우에 골퍼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이 생성되는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와,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영상이 골퍼(G)에게 전송되는 서비스 영상 전송 단계(S140)를 포함한다.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에서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가 골프장 운영 서버(170)에 의해 확인된다.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는 골퍼(P)가 골퍼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요청한 서비스(홀인원 서비스 요청,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 및 기타 서비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요청)가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확인됨으로써 수행된다.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를 통해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가 확인된 후 이벤트 검증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벤트 검증 단계(S120)에서는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S110)에 의해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가 확인된 후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된다. 이벤트 검증 단계(S120)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이벤트 검증부(178)에 의해 수행된다. 이벤트 검증부(178)는 IP 카메라(120)로부터 전송되는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와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73)에 저장된 골퍼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한다. 이벤트 검증부(178)는 골퍼(P)가 요청한 홀인원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홀인원의 발생, 골퍼(P)가 요청한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티샷에 의한 골프공의 홀컵 근접 상황 발생, 골퍼(P)가 요청한 기타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발생을 검증한다.
홀인원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홀인원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골퍼(P)의 위치가 티박스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티샷에 의한 골프공의 홀컵 근접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골퍼(P)의 위치가 티박스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골퍼(P)가 요청한 기타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은 서비스 요청 확인부(175)에 의해 기타 서비스 요청이 확인된 후, IP 카메라(120)로부터 객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서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대응하는 시간에 대한 골퍼(P)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공(B)이 홀컵(C)에 들어간 것이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자가 IP 카메라(120)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벤트 검증 단계(S120)는 IP 카메라(120)에 의한 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인되는 자동 검증 방식이 먼저 수행되고, 자동 방식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관리자가 동영상을 직접 확인하는 수동 검증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에서는 이벤트 검증 단계(S120)를 통해 골퍼(G)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된 경우에 골퍼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이 생성된다.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에서 서비스 영상의 생성은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에 의해 생성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자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이용하여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여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동영상을 편집하여 생성한다.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골퍼(P)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IP 카메라(120)의 메모리 장치(12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운영자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이용하여 이를 편집하게 된다. 서비스 영상 생성부(179)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영상은 IP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그린(G)의 동영상과 홀에서 샷을 한 골퍼의 위치를 보여주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인원 서비스의 경우에 골퍼(P)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은 골프공이 그린(G) 영역으로 진입하여 홀컵(C)으로 들어가는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과, 골퍼(P)가 티샷을 한 위치를 홀 지도 상에서 보여주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영상은 서비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74)에 저장된다.
서비스 영상 전송 단계(S140)에서는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S130)를 통해 생성되고 서비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74)에 저장되는 서비스 영상이 골퍼(G)에게 전송된다. 서비스 영상 전송 단계(S140)는 골프장 운영 서버(170)의 제어부(171)에 의해 수행된다. 제어부(171)는 서비스 영상을 서비스를 요청한 골퍼뿐만 아니라 함께 하는 다른 동반 골퍼에게도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영상을 등록된 골퍼의 온라인 계정(예를 들어, 카카오톡 등의 SNS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골프장 운영 서버(170)는 생성된 서비스 영상을 등록된 골퍼의 온라인 계정(예를 들어, 카카오톡 등의 SNS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서비스 영상 생성부(179)를 통해 생성된 서비스 영상은 서비스를 요청한 골퍼뿐만 아니라 함께 하는 다른 동반 골퍼에게도 전송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그린 촬영부
120 : IP 카메라 123 : 카메라 메모리 장치
126 : 객체 인식부 150 : 골퍼 단말기
170 : 골프장 운영 서버 171 : 제어부
172 :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 173 : 골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74 : 서비스 영상 데이터베이스 175 : 서비스 요청 확인부
176 : 통신부 177 : 골퍼 위치 확인부
178 : 이벤트 검증부 179 : 서비스 영상 생성부

Claims (13)

  1.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IP 카메라;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 및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상를 생성하고 상기 골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에서 골그공을 포함하는 인식 대상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를 구비하며,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는 상기 골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상을 생성하는 서비스 영상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하는 이벤트 검증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벤트 검증부는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프공의 위치와 골퍼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증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프공의 위치는 상기 객체 인식부에 의해 자동으로 확인되며,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퍼의 위치는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확인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퍼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홀인원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홀인원 서비스 요청은 홀인원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홀인원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은 상기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기타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기타 서비스 요청은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기타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 대상 객체는 골퍼, 홀컵, 홀컵 깃대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골프장에서 그린을 포함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그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IP 카메라와, 골프장에서 골퍼가 휴대하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외부로 골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골퍼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골프장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가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확인되는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확인 단계에 의해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가 확인된 후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검증되는 이벤트 검증 단계;
    상기 이벤트 검증 단계에 의해 골퍼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된 경우에 골퍼에게 전송할 서비스 영상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영상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영상이 상기 골프장 운영 서버에 의해 골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영상 전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상기 이벤트에 대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검증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프공의 위치와 골퍼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이 검증되며,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프공의 위치는 상기 IP 카메라에 구비되어서 상기 그린 영상 데이터에서 골프공을 포함하는 인식 대상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에 의해 자동으로 확인되며,
    상기 서비스 요청시 골퍼의 위치는 상기 골퍼 위치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확인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홀인원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홀인원 서비스 요청은 홀인원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골퍼 단말기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홀인원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은 상기 골퍼의 티샷으로 골프공이 홀컵에 설정된 근접거리 안에 위치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골퍼 단말기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티샷 홀컵 근접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기타 서비스 요청을 포함하며,
    상기 기타 서비스 요청은 알바트로스, 이글, 버디, 칩인 버디, 롱 퍼팅에 의한 홀 아웃 상황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골퍼가 상기 골퍼 단말기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영상은 상기 기타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IP 카메라에 촬영된 그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98894A 2020-12-29 2021-07-28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2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94A KR102620531B1 (ko) 2021-07-28 2021-07-28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7/516,719 US11660522B2 (en) 2020-12-29 2021-11-0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olf information for gol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94A KR102620531B1 (ko) 2021-07-28 2021-07-28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36A KR20230017936A (ko) 2023-02-07
KR102620531B1 true KR102620531B1 (ko) 2024-01-03

Family

ID=8522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94A KR102620531B1 (ko) 2020-12-29 2021-07-28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17A (ko) 2001-06-15 2001-08-30 안근식 골프장(실내 와 야외) 실시간 동영상 인터넷 전송에 관한온라인 오프라인 결합 비즈니스 모델
KR102128310B1 (ko) * 2012-07-13 2020-06-30 김병천 골프의 그린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36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340B2 (en)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0882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utomatic sensing, analysis,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a 3d space, scene, object, and equipment
KR100435582B1 (ko) 스포츠경기의 심판 판정과 코칭스테프의 경기운영에 관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정성 평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89243A1 (en) Automated video production system
JP2018509016A (ja) 放送において目標を追跡及びタグ付け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229748A1 (en) Golf game video analytic system
JP2010510589A (ja) スワームイメージング
US20230252782A1 (en) Augmented reality event switching
CN108616718A (zh) 监控显示方法、装置及系统
WO2019206078A1 (zh) 控制装置以及摄影方法
JP2004505514A (ja) カメラに基づくシステム内のモード切り換え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126099A (zh) 远程裁判方法及其系统
CN108965791A (zh) 一种通过机器人ar摄像头与物联网设备交互方法及系统
KR102620531B1 (ko) 골프장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6605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olf information for golfer
US798633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indicator
WO2019134308A1 (zh) 一种游乐场的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2080618B1 (ko) 실제 당구대를 대상으로 하는 보조 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9159515A (ja) ホールインワン確認システム
KR101888747B1 (ko) 구기 스포츠에서의 이벤트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영상 생성 방법
JP2003111882A (ja) ホールインワン認定システム
CN207354489U (zh) 实时视频技战术录制装置
TWM601938U (zh) 互動式轉帳系統
CN108833741A (zh) 用于ar与实时动捕相结合的虚拟摄影棚系统及其方法
JP7428911B2 (ja) 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リモート応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