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17B1 -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17B1
KR102619917B1 KR1020230083924A KR20230083924A KR102619917B1 KR 102619917 B1 KR102619917 B1 KR 102619917B1 KR 1020230083924 A KR1020230083924 A KR 1020230083924A KR 20230083924 A KR20230083924 A KR 20230083924A KR 102619917 B1 KR102619917 B1 KR 10261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etachable
connection
pai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3008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항공기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어 제공되는 항공촬영 이미지가 지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어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적용되는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Numerical map system modifing the drawing image by GNSS}
본 발명은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 방식은, 지상에서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 항공기 또는 위성 등을 이용해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과 지상측량 자료를 결합하여 제작하는 방법, 또는 기본 지형도를 수정하여 제작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이중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은 지상에서 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비용이 소요되므로 광대한 지역의 지도 제작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위의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은, 항공사진 촬영, 촬영된 항공사진의 합성을 통한 1차 도화용 사진이미지 제작을 진행하고, 평면기준점 측량 및 표석 매설 측량을 통해 상기 1차 도화용 사진이미지에서 판독이 분명한 지상 물체와 연결할 지상기준점들을 취득한 후, 사진기준점측량과, 해석도화 및 도화원도 출력을 통해 최종적으로 수치도화자료 제작 및 출력을 진행한다.
이어서, 수치도화자료의 정확도를 검사하기 위해 출력된 도화원도를 가지고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도로 및 시설들의 폭과 위치를 파악하고, 사무실 등에서 정위치 편집 단계를 거쳐 도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수정하고 도면제작편집 과정을 통해 지도 도식에 맞춰 최종 수정편집을 수행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그 배경이 되는 영상도화이미지에 대한 도화 작업이 필수적이며, 상기 도화 작업을 위해서는 그 기준이 되는 기준점 확인이 절대적이다.
그런데, 기준점 확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설된 표석 측량과 지상기준점의 지정 등이 해당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관행이었으며, 작업자는 도화를 위해 표석이 매설된 현장을 찾아가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를 상기 1차 도화용 사진이미지에 표시해서 GNSS 위치(또는 GPS 위치)에 대한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 과정은 작업이 실내외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곧 도화 작업의 번거로움과 장기화를 의미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공기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어 제공되는 항공촬영 이미지가 지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어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적용되는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한 항공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상기준점에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합성이미지 데이터 및 편집된 영상도화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모듈; 다수의 상기 항공촬영이미지가 연속성을 갖도록 연결해서 하나의 통합이미지로 편집하되, 서로 이웃하는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서로 겹치는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를 맞춰 연결하는 합성모듈; 상기 통합이미지를 기반으로 영상도화이미지를 도화하고 이를 편집하는 도화모듈;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통합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작업자가 가시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모듈; 및 GNSS 정보를 상기 영상도화이미지에 합성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하되, 상기 GNSS 정보의 위치좌표를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의 해당 위치에 맞춰서 합성하는 좌표처리모듈로 된 맵에디터를 포함하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공촬영 유도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상기 탈착체결부 상에 장착되는 위치표시블럭; 상기 위치표시블럭의 상부에 장착되며, 카메라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표시용 발광기; 및 기초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착체결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류퇴치부는, 상기 기초부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 퇴치베이스부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 및 퇴치연결부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에 의하면, 항공기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어 제공되는 항공촬영 이미지가 지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어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적용되는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해당 항공촬영 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항공기의 카메라에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시스템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를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이미지의 획득 위치가 정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탈착체결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흡수연결유닛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조류퇴치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제1조류퇴치부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항공기의 카메라에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시스템은 항공기(A)에 설치되어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상기 카메라(100)를 통한 항공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상기준점에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와, 상기 카메라(10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수신해서 이를 도화처리하여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맵에디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00)는 항공촬영 전용의 주지된 장비가 적용될 수 있고, 고도가 높은 원거리 촬영시에도 촬영 대상에 대한 높은 해상도가 유지되도록, 예를 들면 4520×2540(1,100만 화소)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속의 항공기(A)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촬영이미지 수집을 위해 초당 50 ~ 60 프레임의 촬영속도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항공촬영 전용 카메라는 항공기(A)의 1회 운항 시 다양한 방향과 각도의 촬영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이렇게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100)는 일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에 대한 지상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100)의 성능은, 높은 고도에서도 항공촬영 유도장치(40)가 구비하는 표시용 발광기(45)에서 조사하는 저출력의 레이저광을 확인해 촬영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촬영 기준점 상에 장착되는 위치표시블럭(41)과, 상기 위치표시블럭(41)의 상부에 장착되며, 카메라(10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표시용 발광기(4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용 발광기(45)는 지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서 항공촬영시 항공기(A)에 설치된 카메라(10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된다. 표시용 발광기(45)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은 안전을 위해 1 ~ 20W 내의 저출력으로 조사되고, 카메라(100)의 촬영 확률을 높이기 위해 표시용 발광기(45)는 다수의 레이저광을 일시에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용 발광기(45)의 설치 위치는 정확한 위치 확인과 검증을 통해 지정되고, 이렇게 지정된 해당 위치는 수치지도 제작 시 지상기준점으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표시용 발광기(45)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도심지 등의 특정 지역에 다수 개를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잡한 도심지에 다양한 지상기준점을 배치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제작하는 수치지도에 대한 정밀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시용 발광기(45)는 레이저광의 조사를 위한 각종 장치가 내장된 하우징이 구비되며, 외부의 전력이 공급되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표시용 발광기(45)는 메인 컨트롤러(44)의 메인 통신모듈(43)을 통해 확인되는 항공기(A)의 위치를 참조하여, 메인 컨트롤러(44)의 메인 제어부(42)에 의해 레이저광의 조사 여부 및 레이저광의 조사 각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맵에디터(300)는 카메라(100)에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수신해서 이를 기반으로 도화처리 및 수치지도 제작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항공촬영이미지와 합성이미지 및 편집된 영상도화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310)와, 카메라(100)와 접속해서 카메라(100)로부터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모듈(320)과, 지상이 부분적으로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가 연속성을 갖도록 연결해서 하나의 통합이미지로 편집하는 합성모듈(330)과, 상기 통합이미지를 기반으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도화이미지를 도화하는 도화모듈(340)과,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또는 통합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작업자가 가시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모듈(350)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정보를 상기 영상도화이미지에 적용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하는 좌표처리모듈(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320)은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통상적인 데이터 통신수단으로서, 카메라(100)와 공지,공용의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카메라(100)에 내장된 내장메모리를 읽고 기록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는 물론 LTE, 5G 등의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합성모듈(330)은 출력모듈(350)을 통해 출력되는 프레임 단위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작업자가 편집해서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항공촬영이미지의 해상도와 크기 등을 동일하게 편집하고, 이들을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는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항공촬영이미지에는 표시용 발광기(45)에서 조사한 레이저광이 촬영되고, 이렇게 촬영된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는 정확한 위치 기록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를 지상기준점으로 해서 항공촬영이미지의 합성 작업을 수행한다.
물론,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기(A)의 촬영 고도에 따라 항공촬영이미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위치 오차가 증가하므로, 항공촬영이미지의 중앙부분에 대한 유효범위만이 항공촬영이미지의 합성에 활용되고, 상기 유효범위 내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 만이 지상기준점으로 이용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도화모듈(340)은 상기 합성이미지를 기반으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작업하는 것으로서, 상기 합성이미지 내 도로 및 특정 인공구조물 등을 지정하면 지정된 해당 도로 및 인공구조물 등을 기준으로 도화모듈(340)은 도화원도를 도화해서 영상도화이미지를 완성한다. 이때, 영상도화이미지에는 표시용 발광기(45)의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의 위치가 표시되어서, 좌표처리모듈(360)에 의한 GNSS 좌표(또는 GPS 좌표) 합성 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도화모듈(340)은 도화원도로 도화한 영상도화이미지를 편집해서 최종 영상도화이미지로 완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작업자가 도화원도를 가지고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도로 및 시설들의 폭과 위치를 파악해서 이를 기초로 수정 대상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도화원도를 수정해 최종 영상도화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화는 도화지에 직접 도화를 진행하는 기계식과, 영상이미지로 도화하는 영상도화 방식이 있는데, 현재 영상도화 방식이 널리 활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도화모듈(340)은 영상도화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합성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도화모듈(340)의 도화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영상도화이미지를 도화하는 구체적인 과정과 적용 이론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출력모듈(350)은 합성모듈(330)의 항공촬영이미지 및 합성이미지와 도화모듈(340)의 영상도화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출력모듈(350)은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합성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의 각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X축선과 Y축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이미지 좌표계를 갖출 수 있으며, 항공촬영이미지, 합성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 상에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출력모듈(350)은 해당 화면 내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GNSS 좌표값(또는 GPS 좌표값)을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좌표처리모듈(360)은 GNSS(또는 GPS)와 연동하면서 도화모듈(340)에서 완성한 영상도화이미지에 GNSS 좌표(또는 GPS 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의 촬영 위치를 기준으로 GNSS 좌표(또는 GPS 좌표)를 맞추어서 영상도화이미지와 GNSS 좌표(또는 GPS 좌표)를 최종 합성한다.
즉, 표시용 발광기(45)의 레이저광 발광 지점은 위치좌표가 정확히 기록된 위치이므로, GNSS 좌표(또는 GPS 좌표)의 해당 위치좌표를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에 맞춰서 서로 합성하는 것이 된다.
상기 기준점 DB(370)는 지상의 특정 지점들에 대한 각각의 지상기준점 및 촬영기준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치지도시스템은 항공촬영이미지에 잡아야 하는 기준점을 기준점 DB(370)에 미리 저장된 지상기준점에 맞춰서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지상기준점 정보는 지상에 선정된 특정 지점의 GNSS 좌표(또는 GPS 좌표)로 된 좌표값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점DB(370)가 항공촬영이미지에 위치한 지상 지점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 DB(310)는 항공촬영이미지와 합성이미지 및 편집된 영상도화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발명의 필요에 따라 각 이미지에 링크된 지상기준점 또는 촬영기준점의 좌표값까지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시스템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를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이미지의 획득 위치가 정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항공기(A)의 카메라(30)를 통한 항공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지상기준점별로 매칭되어 설치된다.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지상기준점이 위치한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1000)와, 상기 기초대(1000)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800) 및 제2수직지지대(900)와, 상기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과, 상기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600)와, 상기 수평지지대(6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700)와, 상기 탈착체결부(700) 상에 장착되는 위치표시블럭(41)과, 상기 위치표시블럭(41)의 상부에 장착되며, 카메라(10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표시용 발광기(45) 및 상기 기초대(10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항공기의 카메라(100)는 항공촬영이미지의 획득 시 사전에 정해진 고도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위치표시블록(41) 및 표시용 발광기(45)들이 모두 촬영 범위에 들어오는 조건일 때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표시용 발광기(45)는 도심지에 적용되고, 항공촬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물(B)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표시용 발광기(45)의 레이저(미도시)는 직상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조준된 주레이저(미도시)와, 상기 주레이저를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어서 일정한 각도로 조준된 다수의 보조레이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위치표시블럭(41), 표시용 발광기(45) 외에도 항공기의 카메라(100)와 통신하는 메인통신모듈(43)과 표시용 발광기(45)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통신모듈(43) 및 메인제어부(42)는 별도의 메인컨트롤러(44)에 장착되어 표시용 발광기(45) 및 위치표시블록(41)과 이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통신모듈(43)은 항공기(A)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항공기(A)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항공기(A)가 표시용 발광기(45)에 근접해서 직상방에 위치할 경우, 메인통신모듈(43)과 연결되는 메인제어부(42)에 의해 표시용 발광기(45)가 직상방으로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정확히 조사할 수 있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통신모듈(43)은 항공기(A)와의 통신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며, 항공기(A)가 전송한 GNSS 위치정보를 메인제어부(42)에 전달하고, 메인제어부(42)는 현재 항공기의 위치를 연산하고, 확인된 항공기(A)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용 발광기(45)의 자세 제어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표시용 발광기(45)가 구비하는 레이저는 표시용 발광기(45)의 위치 상태에 따라 항공촬영이미지에 기록될 수 있도록,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색을 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자유전자레이저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제어부(42)는 표시용 발광기(45)가 구비하는 레이저의 발신 파장을 조정해서 레이저광의 색상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컨대, 항공촬영 유도장치(40)가 설치되는 지상기준점에 빌딩 등이 들어서서 기저장된 지상기준점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용 발광기(45)가 구비하는 레이저의 발신 파장을 조정해서 레이저광의 색상에 변화를 줄 수 있고, 항공기의 카메라(100)는 색상이 수정된 레이저광 이미지를 촬영하고, 다른 색상의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가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작업자가 확인해서, 다른 색상의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지형변화 여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지도의 수정 및 갱신을 시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탈착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탈착체결부(700)는 수평지지대(600)의 상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700)의 상부에는 위치표시블록(41)이 결합된다. 탈착체결부(700)는 위치표시블록(41)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탈착체결부(700)는, 수평지지대(6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71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712), 탈착함몰부(7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730), 탈착모터(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7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731), 탈착기어(7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732), 탈착스프링(7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7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72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740) 및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7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7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710)는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7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712)는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712)에는 탈착모터(730), 탈착기어(731), 탈착스프링(732) 및 탈착승강부(7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720)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712)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7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7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7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7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7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732)이 회전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7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732)은 탈착기어(731)와 탈착승강부(7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7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7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7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7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721)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740)의 상부에는 위치표시블록(41)이 결합된다. 탈착삽입부(740)는 수용공간(711)에 삽입되는 하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710)의 상부에 놓이는 상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742)는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7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720)의 승강경사면(7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7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741)은 승강경사면(7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721)을 밀어 올리고, 탈착승강부(7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탈착승강부(720)는 승강진입부(7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732)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7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7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750)는 승강진입부(742)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751) 및 탈착경사면(7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742)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7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7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720)는 탈착스프링(7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741)이 승강경사면(7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720)를 상승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7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720)가 승강진입부(7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7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750)의 탈착높이면(752)은 탈착승강부(7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7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를 탈착케이스(7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7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7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732) 및 탈착승강부(7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7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721)은 탈착스토퍼(750)의 탈착경사면(7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7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720)는 상승된다. 탈착승강부(720)가 상승되면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위치표시블록(41)은 분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흡수연결유닛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800)과 제2수직지지대(90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조류퇴치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구비하는 제1조류퇴치부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조류퇴치유닛(500)은 기초대(10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위치표시블록(41) 및 표시용 발광기(45)로 접근되는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하여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류퇴치유닛(500)은 기초대(1000)상 일측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510), 퇴치베이스 상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520),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퇴치베이스부(510)는 한 쌍의 제1프레임(511),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모터(512),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513),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2모터(514),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515), 제3프레임(515)에 탈착 결합되는 프레임하우징(516), 프레임하우징(516)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퇴치연결부(520)에 결합되는 지지포스트(517)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511)은 기초대(1000)의 상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모터(512)는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이 나사축에는 제2프레임(513)이 연결되어 제2프레임(513)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514)는 제2프레임(513)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이 나사축에는 제3프레임(515)이 연결되어 제3프레임(515)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은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감지 센서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경우 조류의 접근을 감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퇴치연결부(520)는 퇴치베이스부(510)의 지지포스트(517)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의 이동 방향과 같이 이동될 수 있고, 조류퇴치부(5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퇴치연결부(520)는 지지포스트(517)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521), 연결프레임(521)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522), 복수의 연결포스트(522)의 상부에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바디(523), 회전지지바디(523)에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52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521)은 지지포스트(517)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터(524)는 조류퇴치부(530)의 퇴치회전바디(53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부(530)는 퇴치연결부(520)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광)을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부(530)는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퇴치회전바디(531), 기초대(1000)와 평행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1조류퇴치부(532), 제1조류퇴치부(532)와 수직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2조류퇴치부(533)를 포함한다.
상기 퇴치회전바디(531)는 회전지지바디(523)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베이스(531a), 회전베이스(531a)의 양측에 회전베이스(531a)와 수직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포스트(531b)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베이스(531a)의 저면부에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이 회전축은 회전지지바디(523)에 마련된 베어링에 회전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524)에 커플링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한 쌍의 회전포스트(531b)에 수직되게 각각 결합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회전포스트(531b)의 상부에 결합되는 퇴치구동모터(532a), 퇴치구동모터(532a)와 연결되도록 회전포스트(531b)에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퇴치연결바(532b), 제1퇴치연결바(532b)에 결합되어 제1퇴치연결바(532b)와 같이 회전되는 제1조류퇴치바디(532c),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제외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조사부(532d), 제1 광조사부(532d)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을 발생시키는 제1초음파발생부(532e), 제1초음파발생부(532e)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빛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2 광조사부(532f), 제2 광조사부(532f)가 마련된 영역의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는 제1태양전지(532g)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퇴치구동모터(532a)와 제1퇴치연결바(532b)는 커플링을 포함하는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광 조사부(532d) 및 제2 광조사부(532f)는 레이저를 제외한 광(예: LED 광)을 출력하되 표시용 발광기(45)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와 주파수 및 파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광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초음파발생부(532e)는 조류의 뇌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초음파(20-50㎑)를 방사하되,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초음파 주파수 대역을 일정시간(2-5초)마다 랜덤(Random)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초음파발생부(532e)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와, 난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난수 발생기와,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에 응답하여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들을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초음파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광조사부(532f)는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광을 조류에 조사하여 제1 광조사부(532d)를 피해 근접되는 조류에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조사부(532f)는 LED를 포함하고, LED에서 나오는 빛이 확산되도록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한 쌍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각각이 서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측면으로부터의 조류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류퇴치부(533)는 회전베이스(531a)에 수직되게 각각 결합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류퇴치부(533)는 회전베이스(531a)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533a), 실린더에 결합되는 제2조류퇴치바디(533b),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3 광조사부(533c), 제3 광조사부(533c)와 이격되도록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초음파발생부(533d), 제2초음파발생부(533d)와 이격되도록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광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4 광조사부(533e), 제4 광조사부(533e)가 마련된 영역의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는 제2태양전지(533f)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33a)는 퇴치연결부(5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어 조사되는 레이저를 제외한 빛의 조사 높이를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3 광조사부(533c)는 레이저를 제외한 광을 조류에게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초음파발생부(533d)는 조류의 뇌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초음파(20-50㎑)를 방사하되,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초음파 주파수 대역을 일정시간(2-5초)마다 랜덤(Random)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초음파발생부(533d)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와, 난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난수 발생기와,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에 응답하여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들을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초음파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광조사부(533e)는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광을 조류에서 조사하여 제3 광조사부(533c)를 피해 근접되는 조류에 확산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광조사부(533e)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LED를 포함하고, LED에서 나오는 광이 확산되도록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40: 항공촬영 유도장치 41: 위치표시블록
42: 메인 제어부 43: 메인통신모듈
44: 메인 컨트롤러 45: 표시용 발광기
100; 카메라 300: 맵에디터
310: 이미지DB 320; 입력모듈
330; 합성모듈 340; 도화모듈
350: 출력모듈 360: 좌표처리모듈
370: 기준점DB 400 : 흡수연결유닛
500: 조류퇴치유닛 600: 수평지지대
700: 탈착체결부 800: 제1수직지지대
900: 제2수직지지대 1000: 기초대

Claims (1)

  1.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상기 카메라(100)를 통한 항공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상기준점에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와,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합성이미지 데이터 및 편집된 영상도화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310); 상기 카메라(100)로부터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모듈(320); 다수의 상기 항공촬영이미지가 연속성을 갖도록 연결해서 하나의 통합이미지로 편집하되, 서로 이웃하는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서로 겹치는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를 맞춰 연결하는 합성모듈(330); 상기 통합이미지를 기반으로 영상도화이미지를 도화하고 이를 편집하는 도화모듈(340);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통합이미지 또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작업자가 가시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모듈(350); 및 GNSS 정보를 상기 영상도화이미지에 합성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하되, 상기 GNSS 정보의 위치좌표를 레이저광 이미지(a, b, c, d)의 해당 위치에 맞춰서 합성하는 좌표처리모듈(360)로 된 맵에디터(300)를 포함하되,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1000); 기초대(1000)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600); 수평지지대(6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700), 상기 탈착체결부(700) 상에 장착되는 위치표시블럭(41); 상기 위치표시블럭(41)의 상부에 장착되며, 카메라(10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표시용 발광기(45); 및 기초대(10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700)는,
    상기 수평지지대(6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71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712); 탈착함몰부(7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730); 탈착모터(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7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731); 탈착기어(7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732); 탈착스프링(7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7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72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740); 및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7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742);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800)와 제2수직지지대(90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퇴치유닛(500)은,
    상기 기초대(1000)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510); 퇴치베이스부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520); 및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530); 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퇴치부(530)는.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퇴치회전바디(531); 기초대(1000)와 평행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1조류퇴치부(532); 및 제1조류퇴치부(532)와 수직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2조류퇴치부(533);를 포함하며,
    상기 퇴치베이스부(510)는,
    기초대(10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511);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모터(512);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513);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2모터(514);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515); 제3프레임(515)에 탈착 결합되는 프레임하우징(516); 프레임하우징(516)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퇴치연결부(520)에 결합되는 지지포스트(5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20230083924A 2023-06-29 2023-06-29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261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924A KR102619917B1 (ko) 2023-06-29 2023-06-29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924A KR102619917B1 (ko) 2023-06-29 2023-06-29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17B1 true KR102619917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924A KR102619917B1 (ko) 2023-06-29 2023-06-29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43B1 (ko) * 1994-12-29 1998-04-27 배순훈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승산기 메시지 검출방법
KR101233104B1 (ko) * 2012-11-05 2013-02-14 서광항업 주식회사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KR101238306B1 (ko) *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90937B1 (ko) *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443B1 (ko) * 1994-12-29 1998-04-27 배순훈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승산기 메시지 검출방법
KR101233104B1 (ko) * 2012-11-05 2013-02-14 서광항업 주식회사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KR101238306B1 (ko) *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90937B1 (ko) *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873B1 (ko) 수치지도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을 통한 지피에스 기반의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34911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899363B1 (ko) 지하시설물과 지형지물 영상촬영 데이터의 3차원 정밀 처리를 위한 측량 시스템
KR102619917B1 (ko)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1099014B1 (ko) 지피에스 및 항공촬영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통해 도화이미지의 오차를 수정하는 영상도화이미지 보정시스템
KR101097898B1 (ko) 항공촬영이미지 기반 지피에스 정밀 합성 편집이 가능한 영상도화시스템
KR101259921B1 (ko) 위치정보 및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590937B1 (ko)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KR101104450B1 (ko) 터널 조사용 입체 영상 촬영 장치
KR102512694B1 (ko)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1172873B1 (ko) 터널 및 사면 조사용 입체 영상 촬영 장치
KR102617680B1 (ko) 영역별 영상데이터를 정밀하게 처리하여 표현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N116183613A (zh) 一种电缆隧道衬砌渗漏水检测装置及轮廓建模方法
KR101224080B1 (ko)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멀티 기능 기반의 수치지도 시스템
KR102604394B1 (ko)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17679B1 (ko) 왜곡비율을 확인하여 영상이미지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099019B1 (ko) 도화이미지의 오차 대상 자동 검색형 영상도화 업그레이드시스템
KR102605304B1 (ko) 드론을 이용하여 3d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2B1 (ko) 영상정보와 항공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1099012B1 (ko)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정밀 도화가 가능한 영상도화시스템
KR102605305B1 (ko)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6B1 (ko) 영상이미지 및 지도데이터 합성을 통해 지형정보의 평면부를 표현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125586B1 (ko) 수치지도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을 통한 지피에스 기반의 측지측량 시스템
KR102617683B1 (ko) Gnss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617682B1 (ko)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하여 국가기준점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