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05B1 -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05B1
KR102605305B1 KR1020230055319A KR20230055319A KR102605305B1 KR 102605305 B1 KR102605305 B1 KR 102605305B1 KR 1020230055319 A KR1020230055319 A KR 1020230055319A KR 20230055319 A KR20230055319 A KR 20230055319A KR 102605305 B1 KR102605305 B1 KR 10260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nection
coordinate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진
Original Assignee
(주)엔토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토포스 filed Critical (주)엔토포스
Priority to KR102023005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64U2101/31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for surveil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이미지DB, 좌표정보DB, 영상이미지DB, 정보합성모듈, 좌표값 조정모듈, 좌표값 확인모듈, 좌표정보 갱신모듈 및 영상이미지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의 좌표정보 오류를 확인해서 지상물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이미지 전체의 수정 편집을 최소화하며, 지상물이미지에 링크되는 좌표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EDITING IMAGE BASIS OF 3D IMAGE}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3차원 입체이미지 제작을 위해 기본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촬영이미지를 조합해서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되고, GNSS좌표와 지상물이미지의 배치 위치 등을 참고해서 하나 이상을 조합한다.
촬영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완성된 영상이미지는 지상물이미지를 3차원 입체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해서, 해당 지상물의 형상과 외면 모습을 현장에서 정확히 확인해야 하고, 3차원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 또한 영상이미지에서 정확한 좌표점에 배치시켜야 한다. 영상이미지는 GNSS좌표인 좌표값과, 명칭 등에 대한 부가정보 등을 촬영이미지의 조합에 합성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런데, 상기 촬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A1, A2, A3)는 도 1(항공촬영된 종래 촬영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촬영 각도에 따라 실제와는 다른 기울어진 형태로 표시되므로, 영상이미지에 지상물이미지(A1, A2, A3)를 정확한 좌표값 위치에 표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고,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A1, A2, A3)들 간의 간격이 실제 지상물들 간의 간격과 차이가 발생하면서 3차원 입체이미지 제작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지상물이미지가 제 위치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지,공용의 좌표값 합성 기술을 통해 좌표값을 적용하면, 지상물의 실제 좌표값과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좌표값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참고로, 공지,공용의 좌표값 합성기술은 기준좌표값을 2개 이상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값 사이에 격자형태의 기준좌표계를 형성시켜서, 기준좌표계의 각 좌표값이 지상물이미지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종래에는 영상이미지에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위치가 지정된 지상물이미지가 배치 오류로 인해 잘못된 좌표값이 링크되고,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 3차원 입체이미지 또한 신뢰할 수 없는 좌표값 링크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3차원 입체이미지 활용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의 좌표정보 오류를 확인해서 지상물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이미지 전체의 수정 편집을 최소화하는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물이미지에 링크되는 좌표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 제작용 촬영이미지를 저장관리하는 촬영이미지DB; 촬영이미지에 좌표정보 합성을 위한 기준좌표값과, 촬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의 지도좌표값 및 실측좌표값을 저장 관리하는 좌표정보DB; 영상이미지 초안을 저장 관리하는 영상이미지DB; 좌표정보DB에서 검색한 기준좌표값의 해당 기준좌표점인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을 촬영이미지에 2개 이상 설정하고,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을 중심으로 X축과 Y축에 대한 P1 기준좌표점의 기준선과 P2 기준좌표점의 기준선을 각각 생성하고, 기준좌표값에 따라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 사이에 기준좌표선을 일정간격으로 생성해서 좌표정보와 촬영이미지가 합성돼 이루어진 영상이미지 초안을 완성하며, 영상이미지 초안을 영상이미지DB에 저장하는 정보합성모듈; 영상이미지DB에서 임의 영상이미지 초안을 검색하고, 좌표정보DB에서 영상이미지 초안에 포함된 기준좌표값과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검색하고, 동일한 지점에 대한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비교해서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불일치한 제1지점을 확인하면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을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실측좌표값으로 수정하고, 제1지점을 중심으로 X축과 Y축에 대한 조정선을 생성해서 P1 기준좌표점의 기준선과 P2 기준좌표점의 기준선 중 선택된 기준선과 조정선이 둘러싸는 범위를 조정범위로 설정하는 좌표값 조정모듈; 정보합성모듈과 좌표값 조정모듈의 제어에 따라 좌표정보DB에서 지도좌표값, 실측좌표값, 기준좌표값을 검색하는 좌표값 확인모듈; 좌표값 조정모듈이 수정한 영상이미지 초안으로 영상이미지DB를 갱신하는 좌표정보 갱신모듈; 및 조정범위에서 X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한 횡축 보정선과 Y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한 종축 보정선을 형성하고, 횡축 보정선의 대상이 되는 각 조정좌표선과 종축 보정선의 대상이 되는 각 조정좌표선 간의 간격을 확인해서, 횡축 보정선과 종축 보정선 간의 간격이 기준치 이하인 조정좌표선은 삭제해서 조정범위를 보정하는 영상이미지 보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상물의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이미지DB로 전송할 수 있는 스테레오카메라; 및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연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수평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조류퇴치유닛은, 차량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 퇴치베이스부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 및 퇴치연결부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조류퇴치부는, 퇴치연결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퇴치회전바디; 차량와 평행되게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1조류퇴치부; 및 제1조류퇴치부와 수직되게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2조류퇴치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조류퇴치유닛은, 퇴치회전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퇴치구동모터; 퇴치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퇴치연결바; 제1퇴치연결바에 결합되어 제1퇴치연결바와 같이 회전되는 제1조류퇴치바디;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 제1레이저조사부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초음파발생부; 제1초음파발생부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빛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1빛조사부; 및 제1빛조사부가 마련된 영역의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는 제1태양전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퇴치베이스는, 차량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모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모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 제3프레임에 탈착 결합되는 프레임하우징; 및 프레임하우징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퇴치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포스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하는 영상이미지의 좌표정보 오류를 줄여서 3차원 입체이미지에 도시되는 3차원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신뢰도를 높이고, 제작이 완료된 3차원 입체이미지의 수정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영상이미지의 보수와 관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항공촬영된 종래 촬영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순차대로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좌표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기준좌표값과 기준좌표계를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영상이미지의 촬영이미지에 기준좌표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지상물이미지의 지도좌표값에 오류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지도좌표값의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영상이미지에 적용된 조정좌표계를 보정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퇴치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조류퇴치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영상처리부(100) 및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810)가 설치된 차량(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처리부(100)는,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 제작용 촬영이미지를 저장 관리하는 촬영이미지DB(10)와, 실측좌표값과 지도좌표값 및 기준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좌표정보DB(20)와,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가 합성돼 이루어진 영상이미지 초안을 저장 관리하는 영상이미지DB(80)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를 합성하고 영상이미지 초안을 형성하는 정보합성모듈(30)과, 좌표정보DB(20)에서 실측좌표값과 지도좌표값 및 기준좌표값을 검색하고 기준좌표계에 맞춰 확인하는 좌표값 확인모듈(50)과, 좌표값 확인모듈(50)이 확인한 결과에 따라 기준좌표계를 조정하고 상기 기준좌표계의 조정을 통해 생성된 조정좌표계를 영상이미지 초안에 적용해서 오류를 수정하는 좌표값 조정모듈(60)과, 영상이미지DB(80)의 해당 영상이미지 초안을 갱신하는 좌표정보 갱신모듈(70)과, 영상이미지DB(80)에서 갱신된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를 기초로 3차원 지상물이미지를 생성하고 조정좌표계에 맞춰 3차원 입체이미지를 완성하는 입체이미지 생성모듈(90)과, 3차원 입체이미지 생성 이전에 영상이미지 내 좌표계를 재보정해서 조정좌표계로 인한 새로운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는 영상이미지 보정모듈(95)을 포함한다.
촬영이미지DB(10)는 다수의 촬영이미지를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촬영이미지는 영상이미지의 배경을 이루며, GNSS좌표를 고려해서 편집된다. 또한, 완성된 촬영이미지는 GNSS좌표를 기준으로 저장 관리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의 가공은 표정(Orientation)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표정은 크게 내부 표정과 외부 표정으로 구분되는데, 내부표정(inner orientation)은 촬영시와 같은 광학 조건으로 도화기에서 투영되도록 하는 조작이며, 외부표정은 한 모델의 사진이 완전 입체시 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이 있으며, 완전 입체시된 모델을 사진상의 좌표와 대응되는 대상물의 좌표가 일치시키는 절대 표정(absolute orientation)이 있다. 촬영이미지 가공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촬영이미지 제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좌표정보DB(20)는 촬영이미지에 좌표정보를 합성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GNSS좌표인 기준좌표값과, 실제 지상물의 GNSS좌표를 실측한 실측좌표값과, 정보합성모듈(30)의 합성 작업 과정에서 지상물이미지에 적용된 GNSS좌표값인 지도좌표값을 저장한다.
정보합성모듈(30)은 영상이미지 초안 작성을 위해서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를 합성한다.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순서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좌표값 확인모듈(50)은 정보합성모듈(30)과 좌표값 조정모듈(60)의 제어에 따라 좌표정보DB(20)를 검색한다. 일반적으로 좌표값 확인모듈(50)은 정보합성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좌표정보DB(20)에서 기준좌표값을 검색하고, 좌표값 조정모듈(60)의 제어에 따라 좌표정보DB(20)에서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검색한다.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영상이미지 초안의 오류를 검색하고, 오류가 있는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조정한다. 좌표값을 조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순서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좌표정보 갱신모듈(70)은 좌표값 조정모듈(60)이 조정한 좌표값을 갖는 영상이미지 초안으로 영상이미지DB(80)를 갱신한다. 영상이미지DB(80)는 해당하는 영상이미지 초안을 포함하므로, 좌표정보 갱신모듈(70)은 오류가 확인된 대상 영상이미지 초안을 갱신한다.
영상이미지DB(80)는 정보합성모듈(30)이 완성한 영상이미지 초안을 저장하며, 좌표정보 갱신모듈(70)에 의해 영상이미지 초안이 갱신된다.
입체이미지 생성모듈(90)은 조정좌표계가 적용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3차원 지상물이미지를 표시해서 합성 처리한다.
영상이미지 보정모듈(95)은 상기 영상이미지에 적용된 조정좌표계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조정좌표계를 재보정하고, 이를 기초로 입체이미지 생성모듈(90)이 3차원 지상물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된 입출력모듈(40)은 작업자가 정보합성모듈(30)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값 등을 입력하고, 정보합성모듈(30)의 제어상황을 텍스트와 이미지 등으로 출력한다. 입출력모듈(40)은 일반적인 키보드와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출력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영상이미지 제작을 위해 동작하는 과정을 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순차대로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좌표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기준좌표값과 기준좌표계를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영상이미지의 촬영이미지에 기준좌표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지상물이미지의 지도좌표값에 오류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지도좌표값의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S10; 기준좌표값 설정단계
작업자는 입출력모듈(40)을 통해 정보합성모듈(30)을 제어해서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처리한다.
정보합성모듈(30)은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지점의 촬영이미지를 촬영이미지DB(10)에서 검색하고, 좌표값 확인모듈(50)을 통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의 좌표정보를 좌표정보DB(20)에서 검색한다.
계속해서, 정보합성모듈(30)은 촬영이미지DB(10)와 좌표정보DB(20)에서 각각 검색된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를 다음 합성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우선, 도 4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좌표정보에 포함된 기준좌표점(P1, P2)의 기준좌표값에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중점에 기준좌표점(P1, P2)을 표시한다.
기준좌표점(P1, P2)이 표시되면 정보합성모듈(30)은 기준좌표점(P1, P2)을 중심으로 기준선(101, 102, 103, 104)을 생성시킨다. 도 4의 (a)도면에서는 P1 기준좌표점을 중심으로 101 기준선과 102 기준선을 생성시키고, P2 기준좌표점을 중심으로 103 기준선과 104 기준선을 생성시킨다.
S20; 좌표정보 합성단계
정보합성모듈(30)은 기준좌표점(P1, P2)을 중심으로 기준선(101, 102, 103, 104)의 생성을 완료하면, 기준좌표점(P1, P2)을 확인해서 도 4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기준좌표선(110)으로 이루어진 기준좌표계를 생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P1 기준좌표점의 기준좌표값은 (167760.450, 291199.580)이고, P2 기준좌표점의 기준좌표값은 (167760.750, 291199.430)이므로, P1과 P2의 X좌표값 차는 '0.300', Y좌표값 차는 '0.150'이다. 따라서 P1과 P2 간의 기준좌표계는 0.010 단위로 각각 기준좌표선(110)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국, 정보합성모듈(30)은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 사이에는 29개의 Y축 기준좌표선(110)을 생성하고, 14개의 X축 기준좌표선(110)을 생성한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기준좌표계가 완성되면, 기준좌표계의 좌표값에 따라 촬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의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와 좌표정보의 합성이 완료되면, 정보합성모듈(30)은 좌표정보가 합성된 촬영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영상이미지 초안을 영상이미지DB(80)에 저장한다. 아울러, 정보합성모듈(30)은 기준좌표계에 의해서 지상물이미지에 적용된 지도좌표값을 좌표정보DB(20)에 저장한다.
S30, S40; 좌표값 비교단계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상기 영상이미지 초안이 완성되면, 기준좌표계에 의해 생성된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비교해서 영상이미지 초안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좌표값 확인모듈(50)을 통해 좌표정보DB(20)를 검색하고, 지상물이미지별로 설정된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에 차이가 발생하면, 좌표값 조정모듈(60)은 기준좌표계에서 실측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좌표값 조정을 종료하고,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좌표값 조정을 속행한다.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촬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가 잘못된 위치로 배치되어서, 기준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이 (167760.554, 291199.492)인데 반해, 기준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지상물이미지의 실측좌표값의 해당 지점인 제2지점(P3)의 실측좌표값이 (167760.540, 291199.48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좌표값 조정을 속행한다.
S50; 좌표값 조정단계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차이를 확인한 대상 지상물이미지의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을 제2지점(P3)의 실측좌표값으로 수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영상이미지를 이용해서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실측좌표값을 입력해 검색하면, 상기 지상물이미지가 정확히 검색되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그런데, 단순히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을 제2지점(P3)의 실측좌표값으로 수정하면, 기준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좌표값 처리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조정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준좌표계를 조정한다.
S60; 좌표계 조정단계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지상물이미지의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을 조정한 후 기준좌표계를 조정하기 위해서, 제1지점(RP1)과 인접한 기준좌표점(P1, P2)의 기준선(101, 102, 103, 104)과 만나는 조정선(201, 202)을 생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실측좌표값으로 조정된 제1지점(RP1)과 기준좌표점(P2)을 비교한다.
그런데,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지점(RP1)과 기준좌표점(P2) 사이에 다른 지상물이미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에는 제3지점(P4)이 설정되어 좌표정보로 관리되며,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제3지점(P4)의 지도좌표값과 계측좌표값을 비교해서 동일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3지점(P4)의 지도좌표값과 계측좌표값이 일치하면, 기준좌표계의 조정범위를 기준좌표점(P2)이 아닌 제3지점(P4)으로 변경한다. 그러나 제3지점(P4)의 지도좌표값과 계측좌표값이 불일치하면, 기준좌표계의 조정범위를 기준좌표점(P2)으로 유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3지점(P4)의 지도좌표값이 계측좌표값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기준좌표계의 조정범위를 제1지점(RP1)과 제3지점(P4)으로 변경한다.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술한 절차에 따라 조정될 기준좌표계의 조정범위(200)가 결정되면,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조정범위(200)에 위치한 기준좌표계의 기준좌표선(110) 정보를 삭제한다.
계속해서, 좌표값 조정모듈(60)은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지점(RP1)의 실측좌표값과 제3지점(P4)의 실측좌표값을 기준으로 조정좌표계의 조정좌표선(210)을 생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지점(RP1)의 실측좌표값은 (167760.540, 291199.480)이고, 제3지점(P4)의 실측좌표값은 (167760.670, 291199.450)이므로,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제1지점(RP1)과 제3지점(P4) 사이에 X축 방향으로 12개, Y축 방향으로 2개의 조정좌표선(210)을 생성한다.
그런데,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지점(RP1)과 제3지점(P4)의 실측좌표값을 기준으로 조정좌표선(210)을 생성하면, 기준좌표계의 기준좌표선(110)의 위치와 조정좌표계의 조정좌표선(210)의 위치가 서로 불일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좌표값 조정모듈(60)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정범위(200)의 둘레부에 기준좌표선(110)과 조정좌표선(210)을 맞추는 조합범위(300)를 형성시키고, 조합범위(300) 내에 기준좌표선(110)과 조정좌표선(210)을 맞추는 조합선(310)을 생성한다.
좌표값 조정모듈(60)이 생성한 조합선(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좌표선(110)의 임의 지점과 조정좌표선(210)의 이웃 지점을 직접 연결한 선으로서, X축과 Y축의 좌표값이 연속하도록 한다. 일 예를 들면, 제1지점(RP1)의 실측좌표값이 (167760.540, 291199.480)이므로, 제1지점(RP1)과 직접 연결되는 좌표점은 기준좌표계에서 (167760.530, 291199.480)과 (166760.540. 291199.490)이 된다.
결국, 좌표값 조정모듈(60)이 생성한 조합선(310)은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조합선(310)에 표시된 촬영이미지 내 지상물은 조합선(310)이 가리키는 좌표값으로 설정되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영상이미지를 이용해서 좌표값에 대한 검색을 진행할 때, 조합선(310)을 기준으로 위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70; 영상이미지 갱신단계
좌표값 조정모듈(60)이 영상이미지 초안에 설정된 좌표정보를 수정해서 영상이미지 초안을 갱신하면, 좌표정보 갱신모듈(70)은 갱신한 영상이미지 초안을 영상이미지DB(80)에 저장해서 기존 영상이미지 초안을 갱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영상이미지에 적용된 조정좌표계를 보정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S80; 조정범위 보정단계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정범위(200)에 설정되는 조정좌표선(210)은 기준좌표선(110)과는 항상 동일한 오차를 갖지 않고 위치에 따라 점차 커지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조정범위(200) 내에서는 지상물이미지의 위치와 좌표값이 옳게 표시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오차율이 커질 수도 있다. 따라서 조정범위(200)의 넓이는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이미지 보정모듈(95)은 전술한 과정에 따라 조정범위(200)가 확정된 영상이미지에서 조정범위(200)를 줄이기 위해 좌표선을 재보정한다.
조정범위(200)가 완성되면,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영상이미지 보정모듈(95)은 조정범위(200) 내에 기존 기준좌표선(110) 중 X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되는 횡축 보정선(CL1, CL2, CL3)과 Y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을 각각 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횡축 보정선(CL1, CL2, CL3)은 위로 갈수록 조정범위(200)에서 그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210)과의 간격이 커지고,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은 좌측으로 갈수록 조정범위(200)에서 그 대상이 조정좌표선(210)과의 간격이 커진다.
그런데, 횡축 보정선(CL1, CL2, CL3) 및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과 그들의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210) 간의 간격이 커질수록 좌표값에 대한 오차 가능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영상이미지 보정모듈(95)은 횡축 보정선(CL1, CL2, CL3) 및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과 그들의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210) 간의 간격이 일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조정좌표선(210)을 무시하고 횡축 보정선(CL1, CL2, CL3) 및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을 조정좌표선으로 보정하며, 조정범위(200')를 보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준치를 횡축 보정선(CL1, CL2, CL3)의 간격에 50% 이상 거리, 종축 보정선(L1, L2, L3, L4, L5)의 간격에 50% 이상 거리로 해서,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210)을 무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횡축 보정선(CL3)과 그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므로, 상기 조정좌표선을 유지한다. 또한, 종축 보정선(L5)과 그 대상이 되는 조정좌펴선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므로, 상기 조정좌표선을 유지한다. 따라서,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수의 횡축 보정선 중 'CL1'과 'CL2'의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은 삭제되고, 다수의 종축 보정선 중 'L1 내지 L4'의 대상이 되는 조정좌표선은 삭제되어서, 보정된 조정범위(200')를 완성한다.
S90; 입체이미지 생성단계
영상이미지의 조정범위(200') 보정이 완료되면, 상기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3차원 지상물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지상물이미지를 상기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와 좌표계를 기초로 삽입해서 3차원 입체이미지를 완성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이미지 생성은 애니메이션 전용 프로그램 또는 3D CAD 프로그램 등으로 제작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차량(800)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840), 수평지지대(840)의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위치부(700), 수평위치부(7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600), 상하구동유닛(6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상물의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이미지DB(10)로 전송할 수 있는 스테레오카메라(810) 및 차량(8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차량(800)의 지붕에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810)가 더 설치되어 입체 영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가 높은 건물의 경우 그 직상방에서 항공촬영할 경우 측면 이미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측면 이미지를 입체 영상이미지로 획득한 후 평면 이미지와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미지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때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820)와 제2수직지지대(83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820)과 제2수직지지대(83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은 수평위치부(70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부에 결합된 스테레오카메라(810)를 승강시키거나 스테레오카메라(810)를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은, 스테레오카메라(810)와 수평위치부(7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유닛바디(610)와, 구동유닛바디(610)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620)와, 일측부는 회전바디(6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스테레오카메라(810)에 결합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630)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620)에 결합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640)와, 구동유닛바디(6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6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650)와, 구동유닛바디(610)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630)와 수평회전부(64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66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의 구동유닛바디(610)에는 제1베어링(611)이 마련되어 회전바디(6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의 승강구동부(630)는 스테레오카메라(810)에 연결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630)는 회전바디(62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631)와, 승강실린더(631)에 마련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의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로드(632)와, 일측부는 승강로드(63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스테레오카메라(81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63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부(630)의 승강실린더(631)는 배터리(660)에 연결되어 배터리(66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63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승강실린더(631)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630)의 결합플레이트(633)는 승강로드(632)와 스테레오카메라(8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의 수평회전부(640)는 스테레오카메라(8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부(640)는, 구동유닛바디(61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641)와, 구동모터(641)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642)와, 일측부는 회전바디(6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구동베벨기어(642)와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동베벨기어(64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피동베벨기어(643)의 중심축은 회전바디(620)에 고정 결합되어 피동베벨기어(643)와 회전바디(62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의 회전댐핑부(650)는 구동유닛바디(610)에서 회전바디(62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댐핑부(650)는, 구동유닛바디(610)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651)과, 제1프레임(651)과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프레임(652)과, 일측부가 제2프레임(652)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653)과, 제1스프링(653)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롤러지지바디(654)와, 롤러지지바디(65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회전바디(620)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롤러부재(65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디(620)의 회전 시 롤러부재(655)의 상면부를 가압하므로 회전바디(6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바디(62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롤러부재(655)를 통해 진동이 제1스프링(653)으로 전달되고, 제1스프링(653)으로 전달된 진동은 제1스프링(653)의 진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유닛(600)의 배터리(660)는 구동유닛바디(610)의 벽부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631)와 구동모터(64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는 상측부는 수평지지대(840)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하구동유닛(600)에 연결되어 수평지지대(840)의 기울어짐에도 스테레오카메라(81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는, 구동유닛바디(610)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포스트(710)와, 볼포스트(7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볼포스트(7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볼부재(720)와, 볼부재(720)가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볼하우징(730)과, 볼하우징(730)과 볼부재(7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730)에서 볼부재(7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740)와, 일측부는 볼하우징(73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수평지지대(840)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75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위치부(700)의 볼포스트(710)는, 구동유닛바디(610)의 상면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포스트(710)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볼포스트(71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의 볼부재(720)는 볼댐핑부(740)에 둘러 싸여서 볼하우징(7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720)는 수평지지대(84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볼하우징(730)이 기울어지는 경우 볼하우징(730)의 내부에서 볼댐핑부(740)와 같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의 볼하우징(730)은 가장자리에 볼플랜지(731)가 마련되고, 볼플랜지(731)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7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7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의 볼댐핑부(740)는 볼하우징(7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부재(720)를 둘러싸며 볼부재(7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스테레오카메라(81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볼댐핑부(740)는, 볼하우징(730)과 볼부재(7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720)의 일측부를 덮으며 볼포스트(710)가 관통되는 제1댐핑바디(741)와, 볼하우징(730)과 볼부재(7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720)의 타측부를 덮는 제2댐핑바디(742)와, 제1댐핑바디(741)에 마련된 제1블록결합홈(7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블록(743)과, 제1지지블록(743)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744)과, 제2댐핑바디(742)에 마련된 제2블록결합홈(742a)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744)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블록(745)과, 제1댐핑바디(741)와 제2댐핑바디(742)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741)와 제2댐핑바디(742)의 회전시 볼하우징(730)과 제1댐핑바디(741), 볼하우징(730)과 제2댐핑바디(742)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부재(746)를 포함한다.
상기 볼댐핑부(740)의 제1댐핑바디(741)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볼하우징(7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댐핑바디(741)에는 볼포스트(710)가 관통되는 포스트홀(741a)이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블록(743)이 끼우 맞춤 결합되는 제1블록결합홈(741b)이 마련될 수 있고, 윤활부재(746)가 결합되는 바디홈(741c)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댐핑부(740)의 제2댐핑바디(742)는 제1댐핑바디(741)와 같이 볼부재(720)를 둘러싸서 볼하우징(7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댐핑바디(742)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1댐핑바디(741)와 합쳐서 볼부재(720)를 원형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2댐핑바디(742)에는 제2지지블록(745)이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제2블록결합홈(74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핑바디(741)와 제2댐핑바디(742)는 제2스프링(744)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부재(7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볼하우징(730)으로부터 볼부재(72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제2스프링(744)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제1댐핑바디(741), 제2댐핑바디(742)와 같이 상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볼댐핑부(740)의 윤활부재(746)는 제1댐핑바디(741)의 외벽에 마련된 바디홈(741c)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74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746)는 제2댐핑바디(742)에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746)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부(700)의 연결플레이트(750)는 수평지지대(84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퇴치유닛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조류퇴치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조류퇴치유닛(500)은 차량(8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스테레오카메라(810)로 접근되는 조류에게 레이저와 초음파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하여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류퇴치유닛(500)은 차량(800)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510), 베이스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520),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퇴치베이스부(510)는 한 쌍의 제1프레임(511),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모터(512),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513),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2모터(514), 제2프레임(513)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515), 제3프레임(515)에 탈착 결합되는 프레임하우징(516), 프레임하우징(516)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퇴치연결부(520)에 결합되는 지지포스트(517)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511)은 차량(800)의 상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모터(512)는 한 쌍의 제1프레임(511)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이 나사축에는 제2프레임(513)이 연결되어 제2프레임(513)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514)는 제2프레임(513)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이 나사축에는 제3프레임(515)이 연결되어 제3프레임(515)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은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감지 센서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경우 조류의 접근을 감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퇴치연결부(520)는 퇴치베이스부(510)의 지지포스트(517)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513)과 제3프레임(515)의 이동 방향과 같이 이동될 수 있고, 조류퇴치부(5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퇴치연결부(520)는 지지포스트(517)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프레임(521), 연결프레임(521)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522), 복수의 연결포스트(522)의 상부에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바디(523), 회전지지바디(523)에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52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521)은 지지포스트(517)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터(524)는 조류퇴치부(530)의 퇴치회전바디(53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치회전바디(5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부(530)는 퇴치연결부(520)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부(530)는 퇴치연결부(52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퇴치회전바디(531), 차량(800)와 평행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1조류퇴치부(532), 제1조류퇴치부(532)와 수직되게 퇴치회전바디(531)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2조류퇴치부(533)를 포함한다.
상기 퇴치회전바디(531)는 회전지지바디(523)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베이스(531a), 회전베이스(531a)의 양측에 회전베이스(531a)와 수직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포스트(531b)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베이스(531a)의 저면부에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이 회전축은 회전지지바디(523)에 마련된 베어링에 회전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524)에 커플링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한 쌍의 회전포스트(531b)에 수직되게 각각 결합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회전포스트(531b)의 상부에 결합되는 퇴치구동모터(532a), 퇴치구동모터(532a)와 연결되도록 회전포스트(531b)에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퇴치연결바(532b), 제1퇴치연결바(532b)에 결합되어 제1퇴치연결바(532b)와 같이 회전되는 제1조류퇴치바디(532c),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532d), 제1레이저조사부(532d)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을 발생시키는 제1초음파발생부(532e), 제1초음파발생부(532e)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빛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1빛조사부(532f), 제1빛조사부(532f)가 마련된 영역의 제1조류퇴치바디(532c)에 마련되는 제1태양전지(532g)를 포함한다.
상기 퇴치구동모터(532a)와 제1퇴치연결바(532b)는 커플링을 포함하는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저조사부(532d)는 녹색의 레이저를 조류에게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초음파발생부(532e)는 조류의 뇌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초음파(20-50㎑)를 방사하되,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초음파 주파수 대역을 일정시간(2-5초)마다 랜덤(Random)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초음파발생부(532e)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와, 난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난수 발생기와,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에 응답하여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들을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초음파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빛조사부(532f)는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조류에서 조사하여 제1레이저조사부(532d)를 피해 근접되는 조류에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1빛조사부(532f)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엘이디에서 나오는 빛이 확산되도록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류퇴치부(532)는 한 쌍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각각이 서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측면으로부터의 조류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류퇴치부(533)는 회전베이스(531a)에 수직되게 각각 결합되어 조류에게 초음파와 레이저와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류퇴치부(533)는 회전베이스(531a)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533a), 실린더에 결합되는 제2조류퇴치바디(533b),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레이저조사부(533c), 제2레이저조사부(533c)와 이격되도록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초음파발생부(533d), 제2초음파발생부(533d)와 이격되도록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빛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2빛조사부(533e), 제2빛조사부(533e)가 마련된 영역의 제2조류퇴치바디(533b)에 마련되는 제2태양전지(533f)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533a)는 퇴치연결부(5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어 조사되는 레이저나 레이저를 제외한 빛의 조사 높이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저조사부(533c)는 녹색의 레이저를 조류에게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초음파발생부(533d)는 조류의 뇌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초음파(20-50㎑)를 방사하되,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초음파 주파수 대역을 일정시간(2-5초)마다 랜덤(Random)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초음파발생부(533d)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와, 난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난수 발생기와,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에 응답하여 복수의 초음파 출력부들을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초음파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빛조사부(533e)는 레이저를 제외한 확산되는 빛을 조류에서 조사하여 제2레이저조사부(533c)를 피해 근접되는 조류에서 확산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빛조사부(533e)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엘이디에서 나오는 빛이 확산되도록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영상처리부 10 : 촬영이미지DB 20 : 좌표정보DB
30 : 정보합성모듈 40 : 입출력모듈 50 : 좌표값 확인모듈
60 : 좌표값 조정모듈 70 : 좌표정보 갱신모듈 80 : 영상이미지DB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조류퇴치유닛
510 : 퇴치베이스부 511 : 제1프레임 512 : 제1모터
513 : 제2프레임 514 : 제2모터 515 : 제3프레임
516 : 프레임하우징 517 : 지지포스트 520 : 퇴치연결부
521 : 연결프레임 522 : 연결포스트 523 : 회전지지바디
524 : 제1구동모터 530 : 조류퇴치부 531 : 퇴치회전바디
531a : 회전베이스 531b : 회전포스트 532 : 제1조류퇴치부
532a : 퇴치구동모터 532b : 제1퇴치연결바 532c : 제1조류퇴치바디
532d : 제1레이저조사부 532e : 제1초음파발생부 532f : 제1빛조사부
532g : 제1태양전지 533 : 제2조류퇴치부 533a : 승강실린더
533b : 제2조류퇴치바디 533c : 제2레이저조사부 533d : 제2초음파발생부
533e : 제2빛조사부 533f : 제2태양전지 600 : 상하구동유닛
610 : 구동유닛바디 611 : 제1베어링 620 : 회전바디
630 : 승강구동부 631 : 승강실린더 632 : 승강로드
633 : 결합플레이트 640 : 수평회전부 641 : 구동모터
642 : 구동베벨기어 643 : 피동베벨기어 650 : 회전댐핑부
651 : 제1프레임 652 : 제2프레임 653 : 제1스프링
654 : 롤러지지바디 655 : 롤러부재 660 : 배터리
700 : 수평위치부 710 : 볼포스트 720 : 볼부재
730 : 볼하우징 731 : 볼플랜지 732 : 체결부재
740 : 볼댐핑부 741 : 제1댐핑바디 741a : 포스트홀
741b : 제1블록결합홈 741c : 바디홈 742 : 제2댐핑바디
742a : 제2블록결합홈 743 : 제1지지블록 744 : 제2스프링
745 : 제2지지블록 746 : 윤활부재 750 : 연결플레이트
800 : 차량 810 : 스테레오카메라 820 : 제1수직지지대
830 : 제2수직지지대 840 : 수평지지대

Claims (1)

  1. 3차원 입체이미지의 배경으로 활용되는 영상이미지 제작용 촬영이미지를 저장관리하는 촬영이미지DB;
    촬영이미지에 좌표정보 합성을 위한 기준좌표값과, 촬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의 지도좌표값 및 실측좌표값을 저장 관리하는 좌표정보DB;
    영상이미지 초안을 저장 관리하는 영상이미지DB;
    좌표정보DB에서 검색한 기준좌표값의 해당 기준좌표점인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을 촬영이미지에 2개 이상 설정하고,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을 중심으로 X축과 Y축에 대한 P1 기준좌표점의 기준선과 P2 기준좌표점의 기준선을 각각 생성하고, 기준좌표값에 따라 P1 기준좌표점과 P2 기준좌표점 사이에 기준좌표선을 일정간격으로 생성해서 좌표정보와 촬영이미지가 합성돼 이루어진 영상이미지 초안을 완성하며, 영상이미지 초안을 영상이미지DB에 저장하는 정보합성모듈;
    영상이미지DB에서 임의 영상이미지 초안을 검색하고, 좌표정보DB에서 영상이미지 초안에 포함된 기준좌표값과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검색하고, 동일한 지점에 대한 지도좌표값과 실측좌표값을 비교해서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불일치한 제1지점을 확인하면 제1지점(RP1)의 지도좌표값을 해당 지상물이미지의 실측좌표값으로 수정하고, 제1지점을 중심으로 X축과 Y축에 대한 조정선을 생성해서 P1 기준좌표점의 기준선과 P2 기준좌표점의 기준선 중 선택된 기준선과 조정선이 둘러싸는 범위를 조정범위로 설정하는 좌표값 조정모듈;
    정보합성모듈과 좌표값 조정모듈의 제어에 따라 좌표정보DB에서 지도좌표값, 실측좌표값, 기준좌표값을 검색하는 좌표값 확인모듈;
    좌표값 조정모듈이 수정한 영상이미지 초안으로 영상이미지DB를 갱신하는 좌표정보 갱신모듈; 및
    조정범위에서 X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한 횡축 보정선과 Y축 좌표선으로부터 연장한 종축 보정선을 형성하고, 횡축 보정선의 대상이 되는 각 조정좌표선과 종축 보정선의 대상이 되는 각 조정좌표선 간의 간격을 확인해서, 횡축 보정선과 종축 보정선 간의 간격이 기준치 이하인 조정좌표선은 삭제해서 조정범위를 보정하는 영상이미지 보정모듈; 을 포함하되,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상물의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이미지DB로 전송할 수 있는 스테레오카메라; 및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제1연결바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제2연결바디에 마련되는 연결로드; 연결로드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 및 연결볼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2패킹부재; 를 포함하며,
    제2연결부의 연결볼은 기둥브래킷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에 마련된 볼록부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기 수평위치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며,
    상기 조류퇴치유닛은,
    차량에 마련되는 퇴치베이스부; 퇴치베이스부에 마련되는 퇴치연결부; 및 퇴치연결부에 회전되게 마련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조류퇴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퇴치부는,
    퇴치연결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퇴치회전바디; 차량와 평행되게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1조류퇴치부; 및 제1조류퇴치부와 수직되게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초음파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2조류퇴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류퇴치부는,
    퇴치회전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퇴치구동모터; 퇴치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퇴치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퇴치연결바; 제1퇴치연결바에 결합되어 제1퇴치연결바와 같이 회전되는 제1조류퇴치바디;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 제1레이저조사부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조류에게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초음파발생부; 제1초음파발생부와 이격되도록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어 레이저를 제외한 빛을 조류에게 조사하는 제1빛조사부; 및 제1빛조사부가 마련된 영역의 제1조류퇴치바디에 마련되는 제1태양전지; 를 포함하고,
    상기 퇴치베이스부는,
    차량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모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모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 제3프레임에 탈착 결합되는 프레임하우징; 및 프레임하우징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퇴치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포스트; 를 포함하며,
    한 쌍의 제1모터는 한 쌍의 제1프레임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나사축에는 제2프레임이 연결되어 제2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모터는 제2프레임에 회전되게 마련되는 나사축에 연결되고, 나사축에는 제3프레임이 연결되어 제3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30055319A 2023-04-27 2023-04-27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319A KR102605305B1 (ko) 2023-04-27 2023-04-27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319A KR102605305B1 (ko) 2023-04-27 2023-04-27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305B1 true KR102605305B1 (ko) 2023-11-24

Family

ID=8897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319A KR102605305B1 (ko) 2023-04-27 2023-04-27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3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93A (ko) *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골드텔 조류 퇴치를 위한 드론 운항시스템
KR102401255B1 (ko) * 2022-01-04 2022-05-25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드론으로 수집한 실시간 영상정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4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93A (ko) *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골드텔 조류 퇴치를 위한 드론 운항시스템
KR102401255B1 (ko) * 2022-01-04 2022-05-25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드론으로 수집한 실시간 영상정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4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699B1 (ko) 대상 객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 획득을 위한 촬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US20040105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X-ray source and detector at various source to image distances
KR102307616B1 (ko) 3차원 입체영상이미지의 형성을 위해 드론과 차량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CN101745745B (zh) 光栅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KR101048873B1 (ko) 수치지도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을 통한 지피에스 기반의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2604394B1 (ko)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5B1 (ko) 3차원 입체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850222B1 (ko) 삼차원 프린터의 축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FI128589B (fi) Tietokonetomografia ja kuvautuvaksi halutun anatomian asemointi
CN113390336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可调式屏幕贴合对位装置和标定方法
KR101571886B1 (ko) 해저 지형을 3차원으로 확인하는 수심측량방법
KR102605306B1 (ko) 영상이미지 및 지도데이터 합성을 통해 지형정보의 평면부를 표현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2697B1 (ko)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변화된 지형을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12694B1 (ko) 신구 공간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이 가능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617680B1 (ko) 영역별 영상데이터를 정밀하게 처리하여 표현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097898B1 (ko) 항공촬영이미지 기반 지피에스 정밀 합성 편집이 가능한 영상도화시스템
KR102605302B1 (ko) 영상정보와 항공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N116645476A (zh) 一种基于多目视觉的棒材三维数据模型重建方法及系统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05304B1 (ko) 드론을 이용하여 3d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19917B1 (ko)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1172873B1 (ko) 터널 및 사면 조사용 입체 영상 촬영 장치
KR102617679B1 (ko) 왜곡비율을 확인하여 영상이미지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WO2022217737A1 (zh) 组装棱镜的方法、组装棱镜的装置以及组装棱镜的设备
CN114485482A (zh) 一种振镜扫描系统的校准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