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450B1 - 조립식 데크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데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450B1
KR102619450B1 KR1020230094134A KR20230094134A KR102619450B1 KR 102619450 B1 KR102619450 B1 KR 102619450B1 KR 1020230094134 A KR1020230094134 A KR 1020230094134A KR 20230094134 A KR20230094134 A KR 20230094134A KR 102619450 B1 KR102619450 B1 KR 10261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egment
coupling portion
bind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익
김동창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 E04F2015/02122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with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이나 별도의 천공작업을 배제하여 데크 간 연속화와 고정 가능하고 신속한 설치와 분해를 가능케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을 건너질러 안착하며, 상기 지지구조물(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결합부에 의해 맞물려 연결되는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단을, 체결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계가공이나 용접 접합 없이, 각각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부 플랜지(12)에 조여서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장치(5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500)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에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T-형 채널(140);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 머리부(51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볼트(510);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걸쳐 밀착하는 체결 블록(520); 그리고 상기 체결 블록(520)을 상기 상부 플랜지(12) 및 하판부(13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체결되는 너트(5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데크 구조물{Prefabricated Deck Structures}
본 발명은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 용접이 어려운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용접이나 별도의 천공작업을 배제하여 데크 간의 연속화와 지지구조물에 대한 고정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함께 데크와 지지구조물의 손상이나 취약부의 생성을 방지하고 없이 신속한 설치와 분해를 가능케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용 데크나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헬리콥터 이착륙장용 데크 등으로서,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강재 구조물을 대체하여, 경량이면서 제조 및 유지보수가 경제적인 알루미늄 함금의 데크 구조물을 사용하는 예가 있다.
데크 재료로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때의 주요한 제한사항 중 하나는 현장용접이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데크의 용접방법은 주로 마찰교반용접(Friction Stir Welding)을 적용해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용접이 제한되고, 기존 구조물과의 연결 및 신설 시 현장연결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헬리콥터 이착륙장(이른바 '헬리데크(Helideck)')과 같은 유형의 데크를 타겟으로 하여, 기계적 현장연결방법에 초점을 맞춘 공법들을 도입하고 있다.
현장연결방법에 의한 기존의 알루미늄 데크 공법들은, 하부에 위치하는 거더(girder)나 프레임(frame)과 같은 하부 지지구조물에 볼트를 관통시켜 데크를 하부 지지구조물과 결합하고, 데크 간의 연결은 알루미늄 성형 시 서로 암수 돌기를 맞물려서 시공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은, 하부 지지구조물에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야 하는데, 이는 하부 지지구조물의 유효 단면을 감소시키거나 취약부를 생성함으로써 구조 강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데크 간 암수 돌기에 의한 불완전한 맞물림에 의해, 데크 시공 시에나 사용하중증가 시에 과도한 유격 형성과 국부파손의 위험성이 존재하여 데크 간의 부등처짐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음발생, 내구성 및 사용성 저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5225호(2012. 11. 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이음 하부 지지구조물에 대한 천공작업이 불필요하고 데크 간의 연속화 연결도 견고하게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함과 함께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은,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을 건너질러 안착하며, 상기 지지구조물(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결합부에 의해 맞물려 연결되는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단을, 체결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계가공이나 용접 접합 없이, 각각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부 플랜지(12)에 조여서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장치(5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500)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에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T-형 채널(140);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 머리부(51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볼트(510);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걸쳐 밀착하는 체결 블록(520); 그리고 상기 체결 블록(520)을 상기 상부 플랜지(12) 및 하판부(13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체결되는 너트(5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상기 체결 블록(520)은, 몸체의 중간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지는 관통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2)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는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에 밀착하는 제1 지지면(524)이 형성됨과 함께 반대쪽에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밀착하는 제2 지지면(526)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블록(520)의 제2 지지면(526)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플랜지(12)의 높이에 따라 상기 체결 블록(520)의 수평을 맞추는 심 블록(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는, 단면 형상이, 상기 상판부(110)와 중간판부(120)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역삼각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트러스형 구조부(115)(115)를 가지는 상부 데크부(100a); 상기 중간판부(120)와 하판부(130) 사이에, 상기 중간판부(120)의 상기 2개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으로부터 상기 하판부(130)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부(125)를 가지는 하부 데크부(100b);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물(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판부(130)에 형성되는 T-형 채널(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상기 하부 데크부(100b)는,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하판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중간판부(132);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제2 중간판부(132) 사이에, 상기 중간판부(120)의 상기 2개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P1, P1)으로부터 상기 제2 중간판부(132)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박스형 구조부(126)를 가지는 제1 하부 데크부(100b-1); 그리고 상기 제2 중간판부(132)와 상기 하판부(130) 사이를 잇는 박스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박스형 구조부(127)를 가지는 제2 하부 데크부(100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로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맞물려 연결하는 맞물림 결합부(150)를 구비하며, 하나의 데크 세그먼트(100)가 가지는 맞물림 결합부(150)는, 아래의 제1 내지 제3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수컷형 결합부(160-1);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1)가 수용되는 맞물림 홈(172-1)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암컷형 결합부(170-1); 를 구비하는 형태
(제2 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컷형 결합부(160-2);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의 상면에 단턱 형태로 절취되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2)가 맞물리는 암컷형 결합부(170-2); 를 구비하는 형태
(제3 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수컷형 결합부(160-3);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3)가 수용되는 맞물림 홈(172-3)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암컷형 결합부(170-3); 를 구비하는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1)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1)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돌기(220-1)(220-1)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2)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2)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채널(220-2)(220-2)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3)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3)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후크형 결속 채널(220-3)(220-3)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4)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4)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채널(220-4)(220-4)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판(180-1); 그리고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걸림돌기판(180-1)이 탄성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채널판(190-1);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체결장치에 의해 데크 세그먼트와 지지구조물을 결합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와 지지구조물 간에 용접이나 천공이 필요없이 강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성 및 내구성이 확보된 데크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데크 세그먼트를 용접이나 천공 없이 체결장치에 의해 지지구조물에 고정하는 한편 데크 세그먼트 사이를 결속 결합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하여 연속화하는 간편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데크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의 신설 및 교체 시 시공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위와 같이 체결장치나 결속장치의 분해가 쉽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데크 구조물의 해체가 용이하고, 데크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뿐만 아니라 체결장치와 결속장치까지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하부 지지구조물의 상부 플랜지의 높이에 따라 심 블록의 심 플레이트 부의 두께가 상이한 것을 선택하여 체결 블록의 수평을 맞출 수 있으므로, 하부 지지구조물의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알루미늄 압출 제품의 데크 세그먼트가 역삼각형의 트러스형 구조부를 가지는 상부 데크부로 구성됨으로써 내하력이 높고 하중 전달에 유리하며, 하부 데크부는 일정 높이의 박스 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트러스 격점으로부터 하부 지지구조물로 하중 전달이 용이하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에 의하면, 알루미늄 압출 제품의 데크 세그먼트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해안 환경에서 강재의 데크보다 부식성이 적기 때문에 장기적인 유지관리 측면에서 경제적인 한편, 용접이나 기계가공이 필요없는 무용접, 무도장 데크로서 제작비가 현저히 감소된다.
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데크를 구조용 바닥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강재 및 콘크리트보다 상대적으로 경량이기 때문에 고정하중이 감소하여 가설 시 하부에 위치한 기존 지지구조물의 하중부담이 줄어든다.
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에 의하면, 본 발명의 데크 구조물은, 보도교 바닥판, 차도교 바닥판, 보도 경사로 데크, 건축물 테라스 데크, 조선소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헬리데크(Helideck), 해양플랜트구조물의 데크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이 지지 구조물 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과 지지 구조물의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의 결합 상태를 보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구조물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이 지지 구조물 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ㅇ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일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데크를 이루는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한편,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의 상면에 고정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지지구조물(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비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데크의 사이즈에 알맞은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H-빔'이나 'I-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구조물(10)은,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 방향(바꾸어 말하면, 지지구조물(10)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2개 이상이 설치되며, 이로써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의 하단을 받쳐 지탱하거나(지지구조물(10)이 폭 방향으로 2개 지점에 설치될 경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지점의 하단을 받쳐 지탱(지지구조물(10)이 폭 방향으로 3개 이사의 지점에 설치될 경우)하게 된다.
즉, 하나의 데크 세그먼트(100)는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을 길게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구조물(10)의 상면에 안착한다.
각 지지구조물(10)은, 상부 플랜지(12), 웨브(14) 및 하부 플랜지(1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데크 세그먼트(100)는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에 안착하여 각각 체결장치(500)에 의해 고정된다.
데크 세그먼트(100)들은, 지지구조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되며,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끼리 맞물림 결합부(150)에 의해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연속화된다.
맞물림 결합부(150)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양단에 암-수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체결장치(500)는, 맞물림 결합부(150)을 통해 이웃하여 연속화된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단을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에 결합하기 위해 새롭게 설계된 것으로서,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나 데크 세그먼트(100)에 어떠한 체결 구멍이나 홈을 형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 접합 없이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단을 상부 플랜지(12)에 조여서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는, 비철 경합금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첨부도면들에 도시된 프로파일(Profile, 단면 형상)로 압출성형 한 데크로 이루어진다. 압출성형의 특성에 따라, 데크 세그먼트(100)의 단면형상은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데크 세그먼트(100)는, 그 쓰임새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 이외에도, 예를 들어 비철 경합금 중에 마그네슘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데크 세그먼트(100)를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형물로 구성함에 따라, 예를 들어 부재들을 핀이나 축으로 연결하여 축조하는 구조물(예; 트러스 교량)이 아니라, 핀이나 축의 연결점이 없이 단일체를 이루는 단면 일체형의 데크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의 데크는, 해안과 같은 환경에서 강재의 데크보다 내부식성이 좋기 때문에 장기적인 유지관리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또한, 강재 및 콘크리트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경량이기 때문에, 고정하중이 감소하여 가설 시 지지구조물(10)과 같은 하부에 위치한 기존 구조물의 하중부담이 줄어든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의 데크는 도장이 필요 없고, 본 발명의 체결장치(500) 및 맞물림 결합부(15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무용접, 무천공의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제작비가 현저히 감소하고, 지지구조물(10)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과 지지 구조물의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나란히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데크 세그먼트(100)를 지지구조물(10)에 고정하기 위해,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에 T-형 채널(140)을 형성하고, 이 T-형 채널(140)을 이용하여 체결장치(500)를 통해 지지구조물(10)에 결합한다.
T-형 채널(140)은, 데크 세그먼트(100)를 압출 성형할 때 T-형 채널(140)의 단면 형상 가지는 압출다이를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며, 따라서 T-형 채널(140)은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형 채널(140)은, T- 모양의 공간을 가지는 채널을 형성하는 헤드 수용부(142)와, 상기 헤드 수용부(142)의 입구를 형성하는 입구부(144)로 이루어진다.
체결장치(500)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볼트(510)와,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지는 체결 블록(520) 및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체결 블록(520)을 데크 세그먼트(100)와 지지구조물(10)에 가압하는 너트(55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볼트(51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머리부(512)와, 사각형의 목부(514) 및 나사부(516)를 가지고, 상기 사각형의 목부(514)가 T-형 채널(140)의 입구부(144)에 미끄럼 가능하면서 회전 불가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는 공지의 '사각목부형 볼트'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슬라이딩 볼트(510)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T-볼트'와 동일 내지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볼트 타입의 슬라이딩 볼트(510)는, 사각형 머리부를 가지며, 그 머리부가 T-형 채널(14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불가한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체결 블록(520)은,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지고, 상기 너트(550)를 슬라이딩 볼트(510)에 나사결합 함에 따라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걸쳐 밀착한다. 따라서 너트(550)를 체결함에 따라 슬라이딩 볼트(510)를 당김과 함께 체결 블록(520) 가압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와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
좀 더 자세하게, 상기 체결 블록(520)은, 몸체의 중간 부분에 관통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2)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는 제1 지지면(524)이 형성됨과 함께 반대쪽에는 제2 지지면(526)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 블록(520)의 관통공(522)에는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가 삽입 관통되고, 제1 지지면(524)은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에 밀착하며, 제2 지지면(526)은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밀착한다.
또한, 체결장치(500)는, 심 블록(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심 블록(530)은, 체결 블록(520)의 제2 지지면(526)과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플랜지(12)의 높이에 따라 상기 체결 블록(520)의 수평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와 평행이 되도록 높이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심 블록(5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부(532)와, 상기 심 플레이트 부(532)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위치맞춤 돌기(534)를 포함한다. 체결 블록(520)의 제2 지지면(526)에는 상기 위치맞춤 돌기(534)가 끼워지는 위치맞춤 홈(528)이 형성된다. 상기 심 블록(530)의 위치맞춤 돌기(534)를 체결 블록(520)의 위치맞춤 홈(528)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심 플레이트 부(532)의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심 플레이트 부(532)를 미리 준비해 두면, 시공할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규격에 알맞은 두께의 심 플레이트 부(532)를 가지는 심 블록(53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블록(520)의 제1 지지면(524)에는,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측단면(12a)에 밀착하여 걸리기 위한 걸림턱(52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양측 측단면(12a)에서 체결장치(500)를 체결하면, 도면상 좌측의 체결 블록(520)의 걸림턱(524a)은 상부 플랜지(12)의 좌측 측단면(12a)에 밀착하고, 우측의 체결 블록(520)의 걸림턱(524a)은 상부 플랜지(12)의 우측 측단면(12a)에 밀착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100)와 지지구조물(10) 간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체결 블록(520)의 걸림턱(524a)이 상부 플랜지(12)의 측단면(12a)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떨어뜨려서 도시한 것이지, 실제로는 밀착한 상태로 체결한다.
위와 같은 체결장치(500)를 통한 지지구조물(10)의 고정 작업에 임하여,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는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폭보다 좀 더 넓은 간격으로 2개의 슬라이딩 볼트(510)를 미리 끼워둔다.
슬라이딩 볼트(510)를 끼운 데크 세그먼트(100)를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 위에 올리고,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맞물림 결합부(150)를 통해 결합하여 연속화한다.
이어서,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높이에 알맞은 높이의 심 플레이트 부(532)를 가진 심 블록(530)을 각 체결 블록(520)의 위치맞춤 홈(528)에 끼워 결합한다.
이어서, 심 블록(530)이 결합 된 체결 블록(520)을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운 후, 체결 블록(520)의 걸림턱(524a)을 상부 플랜지(12)의 측단면(12a)에 밀착하도록 슬라이딩 볼트(510)를 미끄럼 이동시켜 맞춘다.
이어서, 슬라이딩 볼트(510)에 와셔(540)를 끼우고 너트(550)를 나사 체결하여 조이면, 체결 블록(520)의 제1 지지면(524)은 상부 플랜지(12)의 하면을 위로 가압함과 함께, 슬라이딩 볼트(510)의 머리부(512)는 하판부(130)를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와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를 상하방향으로 강하게 조여 고정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세그먼트(100)를 고정할 때, 기존의 하부 지지구조물(10)과 용접할 필요도 없고, 지지구조물(10)에 구멍을 천공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시공 및 해체가 간편하고, 모든 부재를 재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 및 맞물림 결합부(150)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결합 상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데크 세그먼트(100)의 단면 형상(프로파일)에 대해 설명한다.
데크 세그먼트(100)는, 상판부(110), 중간판부(120) 및 하판부(130)를 가진다. 상판부(110)와 중간판부(120)를 포함하는 위층의 상부 데크부(100a)가 형성되고, 중간판부(120)와 하판부(130)를 포함하는 아래층의 하부 데크부(100b)가 형성된다.
상부 데크부(100a)는, 상판부(110)와 중간판부(120)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역삼각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트러스형 구조부(115)(115)를 가진다. 역삼각형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에 의해 하부 데크부(100b)로의 하중전달에 유리하고 내하력이 높은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데크부(100b)는, 중간판부(120)와 하판부(130) 사이에, 상기 2개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으로부터 하판부(130)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부(125)를 가진다. 박스형 구조부(125)는,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으로부터 하부의 지지구조물(10)로 하중전달 및 높은 구조강성의 확보에 유리하다.
T-형 채널(140)은, 상기 하판부(130)에서, 상기 박스형 구조부(125)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판부(130)의 충분히 넓은 하면을 확보할 수 있어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부 데크부(100a)는, 상기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에 더하여, 입설판부(115a) 등의 구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부 데크부(100b)는, 상기 박스형 구조부(125)에 더하여, 경사판부(125a) 등의 구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맞물림 결합부(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맞물림 결합부(150)는, 하나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이웃하여서 동일한 형태의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연결하여 연속화하기 위한 구조부분이다.
도 4,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수컷형 결합부(160-1)와, 그 반대쪽 단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암컷형 결합부(170-1)를 포함한다.
따라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는, 서로 수컷형 결합부(160-1)와 암컷형 결합부(170-1)가 마주보게 된다.
암컷형 결합부(170-1)에는,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1)가 수용되는 맞물림 홈(172-1)이 형성된다.
수컷형 결합부(160-1)는, 도 6 및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암컷형 결합부(170-1)의 맞물림 홈(172-1)에 비스듬히 들어가서 맞물림으로써,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결합 위치를 잡아주는 한편,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경계 부분에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할 경우 수컷형 결합부(160-1)와 암컷형 결합부(170-1)가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수컷형 결합부(160-1)와 암컷형 결합부(170-1)의 상단 부분에서 맞닿은 수직한 면에 의해, 경계 부분이 아래쪽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웃하여 맞물린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폭 방향으로 떨어뜨리려는 힘이 작용할 때 수컷형 결합부(160-1)와 암컷형 결합부(170-1)가 폭 방향으로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는 맞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맞물림 결합부(150)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한다.
결속 결합부(200)는, 상기 맞물림 결합부(150)의 아래쪽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는 결속 폴(Binding Pole)(210-1)을 포함한다. 결속 폴(210-1)은, 해당 단면 형상이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속 폴(210-1)은, 알루미늄 합금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속 폴(210-1)을 결합하기 위해,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는 T-형 결속 돌기(220-1)(220-1)가 형성된다.
두 개의 T-형 결속 돌기(220-1)(220-1)는, 도 7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결속 폴(210-1)의 양측에 형성된 T-홈 부분에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한다.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맞물림 결합부(150)를 결합한 상태에서, 결속 폴(210-1)을 양측의 T-형 결속 돌기(220-1)(220-1)에 끼운 후,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결속 폴(210-1)이 T-형 결속 돌기(220-1)(220-1)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이 완료된다. 결속 폴(210-1)의 미끄럼 삽입이 잘 안될 경우에는, 플라스틱 망치 같은 도구로 결속 폴(210-1)을 두드리면서 결합시킨다.
이처럼 맞물림 결합부(150)에 더하여 결속 결합부(200)에 의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결속함에 따라,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폭 방향으로 묶어줌과 함께 상하방향으로도 묶어주게 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조적으로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안정적으로 합성거동하게 된다.
한편,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맞물림 결합부(150)와 결속 결합부(200)에 더하여, 걸림돌기판(180-1)과 걸림 채널판(190-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판(180-1)과 걸림 채널판(190-1)은,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측단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돌기판(180-1)과 걸림 채널판(190-1)은 끝 부분에 돌기를 가져 탄성으로 결합하여 걸림으로써, 맞물림 결합부(150)와 결속 결합부(200)를 보완하여,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가 폭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상하방향의 유동도 잡아준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맞물림 결합부(150)와 결속 결합부(200)만을 구비한 형태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구성 예를 보여준다.
즉, 제1 실시예에서 걸림돌기판(180-1)과 걸림 채널판(190-1)이 배제되고, 결속 결합부(200)가 아래쪽에 치우쳐 형성된 형태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 및 결속 결합부(2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맞물림 결합부(150) 및 결속 결합부(200)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컷형 결합부(160-2)와,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의 상면에 단턱 형태로 절취 되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2)가 맞물리는 암컷형 결합부(170-2)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수컷형 결합부(160-2)와 암컷형 결합부(170-2)는, 제1 실시예의 수컷형 결합부(160-1)가 암컷형 결합부(170-1)의 맞물림 홈(172-1)에 삽입되는 것과는 다르게, 돌출된 수컷형 결합부(160-2)가 단턱진 암컷형 결합부(170-2)에 폭 방향으로 단순하게 맞춰지는 형태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결속 폴(210-2)을 구비한다.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는, 상기 결속 폴(210-2)이 미끄럼 결합하기 위한, T-형 결속 채널(220-2)(220-2)이 형성된다.
결속 폴(210-2)이 T-형 결속 채널(220-2)(220-2)에 삽입되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폭 방향으로 견고하게 묶어줌과 함께 상하방향으로도 묶어주게 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에 비해, 상부 데크부(100a) 및 하부 데크부(100b)의 구조만이 상이하고, 맞물림 결합부(150), 결속 결합부(200) 및 걸림 결합부(180)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부 데크부(100a)는, 제1 실시예에 비해 폭 방향으로 좁은 형태(예; 입설판부(115a)가 배제된 형태)를 가지지만, 트러스형 구조부(115)(115)는 동일하다.
상기 하부 데크부(100b)는, 중간판부(120)와 하판부(130) 사이에 제2 중간판부(132)를 더 구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판부(132)를 가지는 하부 데크부(100b)는, 상기 중간판부(120)와 제2 중간판부(132) 사이의 제1 하부 데크부(100b-1)와, 제2 중간판부(132)와 하판부(130) 사이의 제2 하부 데크부(100b-2)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 데크부(100b-1)는, 상부 데크부(100a)의 2개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으로부터 제2 중간판부(132)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박스형 구조부(126)를 가진다.
제2 하부 데크부(100b-2)는, 제2 중간판부(132)와 하판부(130) 사이를 잇는 박스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박스형 구조부(127)를 가진다.
여기서, 제1 박스형 구조부(126)는 역-사다리꼴로 형성하고, 제2 박스형 구조부(127)는 사다리꼴로 구성하여 하중의 전달과 구조강성 확보에 유리하도록 ㅎ하할 수 있다.
데크 세그먼트(100)를 지지구조물(10)에 고정하기 위한 T-형 채널(140)은 하판부(130)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와 다소 다른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는, 수컷형 결합부(160-1)가 위쪽으로 약간 굽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컷형 결합부(160-3)는 아래쪽으로 약간 굽어서, 암컷형 결합부(170-3)의 선단에 돌기끼리 걸리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맞물림 결합부(150)는, 위와 같이 데크 구조물의 사용목적이나 제조, 조립 특성에 따라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결속 결합부(200)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 따른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3)을 구비한다.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는, 상기 결속 폴(210-3)이 미끄럼 결합하기 위한, 후크형 결속 채널(220-3)(220-3)이 형성된다.
결속 폴(210-3)이 후크형 결속 채널(220-3)(220-3)에 맞물려 미끄럼 삽입되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폭 방향으로 견고하게 묶어줌과 함께 상하방향으로도 묶어주게 된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6 실시예는, 제4 실시예(도 11 참조) 및 제5 실시예(도 12 참조)에 비해 결속 결합부(200)와 맞물림 결합부(150)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맞물림 결합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맞물림 결합부(150)와 동일하다.
제 6실시예에 따른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형상을 이루어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4)을 구비한다.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는, 상기 결속 폴(210-4)이 미끄럼 결합하기 위한 T-형 결속 채널(220-4)(220-4)이 형성된다.
결속 폴(210-4)이 양측의 T-형 결속 채널(220-4)(220-4)에 맞물려 미끄럼 삽입되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폭 방향으로 견고하게 묶어줌과 함께 상하방향으로도 묶어 주게 된다.
(실시예 7)
다음으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8 참조)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에 비해, 데크부의 구조만이 상이하고, 맞물림 결합부(150), 결속 결합부(200), 걸림 결합부(180) 및 체결장치(500)를 포함하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데크 세그먼트(100)는 제1 실시예에서의 상부 데크부(100a)만을 가지고 제1 실시예에서의 하부 데크부(100b)가 없는 단층의 형태이다.
즉, 데크 세그먼트(100)는, 데크의 상판을 이루는 상판부(110)와, 상기 상판부(110)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는 하판부(120-1)를 가진다.
상기 하판부(120-1)는, 제1 실시예의 중간판부(120)와 같은 형상이며, 제7 실시예에서는 하판부의 역할을 한다.
이에, 상판부(110)와 하판부(120-1)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상판부(110)와 하판부(120-1)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역삼각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트러스형 구조부(115)(115)를 가진다. 또한, 상기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에 더하여, 입설판부(115a) 등의 구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와 입설판부(115a)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제7 실시예)에서, T-형 채널(140)은 하판부(120-1)에 형성된다. T-형 채널(140)은 하판부(120-1)에서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양 격점(P1, P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T-형 채널(140)의 구조와 거기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볼트(510)를 포함하는 체결장치(5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7 실시예의 데크 세그먼트(100)에서, 맞물림 결합부(15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결합부(15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 결합부(180)와 결속 결합부(200)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
(실시예 7)
다음으로,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제8 실시예는, 제7 실시예에 비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 간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제7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8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는, 그 결합부가 걸림 결합부(180)가 없고 맞물림 결합부(150) 및 결속 결합부(200)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여기서, 맞물림 결합부(150)는, 제7 실시예와도 동일하다).
즉, 맞물림 결합부(150)는, 제1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컷형 결합부(160-1)와 암컷형 결합부(170-1)로 이루어진다.
결속 결합부(2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단 부분에 형성된다. 결속 결합부(200)는, 결속 폴(210-1)과 T-형 결속 돌기(220-1)(220-1)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9)
다음으로,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크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제9 실시예는, 제7, 8 실시예에 비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 간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제7, 8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9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의 결합부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도 10 참조)와 동일하다.
즉, 맞물림 결합부(150)는, 수컷형 결합부(160-2)와 암컷형 결합부(170-2)로 이루어진다. 결속 결합부(200)는, 결속 폴(210-2)과 T-형 결속 채널(220-2)(220-2)로 이루어진다.
(데크 구조물 시공 과정)
도 17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데크 세그먼트(100)의 시공 과정도 동일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장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형을 통해 데크 세그먼트(100)를 공사 현장에 반입한 후,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 2개의 슬라이딩 볼트(510)를 삽입해 둔다.
2개의 슬라이딩 볼트(510)의 위치 및 간격은, 하부의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폭을 감안하여, 그보다 다소 넓게 확보한다.
또한, 만일 지지구조물(10)의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부 플랜지(12)마다 2개씩의 슬라이딩 볼트(510)를 삽입하여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슬라이딩 볼트(510)를 미리 삽입한 데크 세그먼트(100)를 지지구조물(10)들을 건너지르는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지지구조물(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웃하도록 하여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를 상부 플랜지(12)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100)를 맞물림 결합부(150) 및/또는 걸림 결합부(180)를 차례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결속 폴(210)(이는, 각 실시예에 따른 결속 폴(210-1 ~ 210-4 중 하나)을 결속 결합부(200)에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100)간의 연속화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데크 세그먼트(100)의 연속화가 완료되면, 체결장치(500)를 사용하여 각 데크 세그먼트(100)를 지지구조물(1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높이에 알맞은 높이의 심 플레이트 부(532)를 가진 심 블록(530)을 각 체결 블록(520)의 위치맞춤 홈(528)에 끼워 결합한다.
이어서, 심 블록(530)이 결합 된 체결 블록(520)을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운 후, 체결 블록(520)의 걸림턱(524a)이 상부 플랜지(12)의 측단면(12a)에 밀착하도록 슬라이딩 볼트(510)를 조금씩 미끄럼 이동시켜서 맞춘다.
이어서, 슬라이딩 볼트(510)에 와셔(540)를 끼우고 너트(550)를 나사 체결하여 조인다.
그러면, 체결 블록(520)의 제1 지지면(524)은 상부 플랜지(12)의 하면을 위로 가압함과 함께, 슬라이딩 볼트(510)의 머리부(512)는 하판부(130)를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와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를 상하방향으로 강하게 조여 고정되어 데크 구조물이 완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구조물 12: 상부 플랜지
14: 웨브 16: 하부 플랜지
100: 데크 세그먼트 100a: 상부 데크부
100b: 하부 데크부 100b-1: 제1 하부 데크부
100b-2: 제2 하부 데크부 110: 상판부
112: 마찰 돌기 115: 트러스형 구조부
120: 중간판부 125: 박스형 구조부
126: 제1 박스형 구조부 127: 제2 박스형 구조부
130: 하판부 140: T-형 채널
150: 맞물림 결합부 160-1, 160-2, 160-3: 수컷형 결합부
170-1, 170-2, 170-3: 암컷형 결합부 180: 걸림 결합부
180-1: 걸림돌기판 190-1: 걸림 채널판
200: 결속 결합부 210-1, 210-2, 210-3, 210-4: 결속 폴
220-1: T-형 결속 돌기 220-2: T-형 결속 채널
220-3: 후크형 결속 채널 220-4: T-형 결속 채널
500: 체결장치 510: 슬라이딩 볼트
520: 체결 블록 522: 관통공
524: 제1 지지면 526: 제2 지지면
528: 위치맞춤 홈 530: 심 블록
540: 와셔 550: 너트

Claims (10)

  1.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지지구조물(10)을 건너질러 안착하며, 상기 지지구조물(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결합부에 의해 맞물려 연결되는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 및
    상기 복수의 데크 세그먼트(100) 각각의 하단을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장치(500); 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는, 단면 형상이,
    상판부(110)와 중간판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110)와 중간판부(120)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역삼각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트러스형 구조부(115)(115)를 가지는 상부 데크부(100a);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지지구조물(10)에 안착하여 결합하는 하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하판부(130) 사이에, 상기 중간판부(120)의 상기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으로부터 상기 하판부(130)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부(125)를 가지는 하부 데크부(100b); 및
    상기 체결장치(500)를 사용하여 상기 하판부(130)를 상기 지지구조물(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판부(130)에 형성되는 T-형 채널(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500)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T-형 채널(140)에 머리부(51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볼트(510);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걸쳐 밀착하는 체결 블록(520); 및
    상기 체결 블록(520)을 상기 상부 플랜지(12) 및 하판부(13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체결되는 너트(55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블록(520)은,
    몸체의 중간 부분에 상기 슬라이딩 볼트(510)에 끼워지는 관통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2)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는 상기 지지구조물(10)의 상부 플랜지(12)의 하면에 밀착하는 제1 지지면(524)이 형성됨과 함께 반대쪽에는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의 하면에 밀착하는 제2 지지면(526)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블록(520)의 제2 지지면(526)과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하판부(130)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 플랜지(12)의 높이에 따라 상기 체결 블록(520)의 수평을 맞추는 심 블록(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데크부(100b)는,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하판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중간판부(132);
    상기 중간판부(120)와 상기 제2 중간판부(132) 사이에, 상기 중간판부(120)의 상기 2개의 트러스형 구조부(115)(115)의 격점(P1, P1)으로부터 상기 제2 중간판부(132)를 잇는 박스형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박스형 구조부(126)를 가지는 제1 하부 데크부(100b-1); 및
    상기 제2 중간판부(132)와 상기 하판부(130) 사이를 잇는 박스형의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박스형 구조부(127)를 가지는 제2 하부 데크부(100b-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맞물려 연결하는 맞물림 결합부(150)를 구비하며,
    하나의 데크 세그먼트(100)가 가지는 맞물림 결합부(150)는, 아래의 제1 내지 제3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제1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수컷형 결합부(160-1);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1)가 수용되는 맞물림 홈(172-1)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암컷형 결합부(170-1); 를 구비하는 형태
    (제2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컷형 결합부(160-2);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의 상면에 단턱 형태로 절취되어,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2)가 맞물리는 암컷형 결합부(170-2); 를 구비하는 형태
    (제3형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수컷형 결합부(160-3);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수컷형 결합부(160-3)가 수용되는 맞물림 홈(172-3)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암컷형 결합부(170-3); 를 구비하는 형태
  6. 제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Figure 112023079783946-pat00009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1)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1)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돌기(220-1)(220-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Figure 112023079783946-pat00010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2)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2)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채널(220-2)(22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Figure 112023079783946-pat00011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3)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3)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후크형 결속 채널(220-3)(220-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는,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맞잡아 결속하는 결속 결합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 결합부(200)는,
    단면이 '
    Figure 112023079783946-pat00012
    ' 형상을 이루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속 폴(210-4)과,
    이웃하는 두 데크 세그먼트(100)(100)의 마주보는 단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속 폴(210-4)이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T-형 결속 채널(220-4)(220-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한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판(180-1); 및
    상기 데크 세그먼트(100)의 폭 방향 반대쪽 단부면에서, 이웃하는 데크 세그먼트(100)의 상기 걸림돌기판(180-1)이 탄성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채널판(190-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
KR1020230094134A 2023-07-19 2023-07-19 조립식 데크 구조물 KR10261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134A KR102619450B1 (ko) 2023-07-19 2023-07-19 조립식 데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134A KR102619450B1 (ko) 2023-07-19 2023-07-19 조립식 데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450B1 true KR102619450B1 (ko) 2023-12-29

Family

ID=8933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134A KR102619450B1 (ko) 2023-07-19 2023-07-19 조립식 데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4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8080U (ko) * 1973-09-03 1975-05-13
JPS57159904U (ko) * 1981-04-02 1982-10-07
JPS592287U (ja) * 1982-06-28 1984-01-09 太陽合成株式会社 風呂蓋
JP2004132063A (ja) * 2002-10-10 2004-04-30 Hirose & Co Ltd 覆工板の締結装置
KR100437326B1 (ko) * 2002-07-15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클램프 치구
KR101205225B1 (ko) 2012-09-20 2012-11-27 경도에어로 주식회사 조립식 헬리포트
KR101444284B1 (ko) * 2013-03-29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용 체결부재
KR20170113028A (ko) * 2017-01-31 2017-10-12 (주)비오씨앤티 헬리포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8080U (ko) * 1973-09-03 1975-05-13
JPS57159904U (ko) * 1981-04-02 1982-10-07
JPS592287U (ja) * 1982-06-28 1984-01-09 太陽合成株式会社 風呂蓋
KR100437326B1 (ko) * 2002-07-15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클램프 치구
JP2004132063A (ja) * 2002-10-10 2004-04-30 Hirose & Co Ltd 覆工板の締結装置
KR101205225B1 (ko) 2012-09-20 2012-11-27 경도에어로 주식회사 조립식 헬리포트
KR101444284B1 (ko) * 2013-03-29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용 체결부재
KR20170113028A (ko) * 2017-01-31 2017-10-12 (주)비오씨앤티 헬리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4527B2 (en) Corrugated metal plate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CA2607711C (en)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CN113550225B (zh) 具有防止间隙张开和分离的连接单元的模块化嵌板结构
KR101676707B1 (ko) 기둥-보 접합 구조
DE102006056866A1 (de) Modulare Fachwerkkonstruktion aus Beton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Montage
CA2217208A1 (en) A series of fittings for joining i or u-beams or other beam cross sections
CN1249305C (zh) 格构板结构
JP4302275B2 (ja) プレハブ鋼床版鈑桁の連結構造
KR102619450B1 (ko) 조립식 데크 구조물
JP2007297836A (ja) 床版または覆工板の製造方法
US20060135005A1 (en) Snappy structural system
JPH11124820A (ja) 構築物用床版
US6256949B1 (en) Supporting wooden panel element for constructing ceilings or bridges and use of a screw for connecting boards to form a panel element
CN215593647U (zh) 一种采用钢桁-砼预制结合梁段的梁拱组合结构
JPH08184121A (ja) プレキャスト床板接合部構造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EP0393091B1 (en) A load-bearing horizontal structural system for a building
KR102284139B1 (ko) 거더보강물 및 거더보강물을 이용한 거더보강 시공방법
CA2869050C (en)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CN108729335B (zh) 钢混结合段及其安装方法
KR20230156305A (ko) 판넬형 톱니 형상 빔 어셈블리
CN113005874A (zh) 一种采用钢桁-砼预制结合梁段的梁拱组合桥及施工方法
JP2023140780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支持構造
SU1377347A1 (ru) Уз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ерев нн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