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27B1 -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27B1
KR102619327B1 KR1020210047038A KR20210047038A KR102619327B1 KR 102619327 B1 KR102619327 B1 KR 102619327B1 KR 1020210047038 A KR1020210047038 A KR 1020210047038A KR 20210047038 A KR20210047038 A KR 20210047038A KR 102619327 B1 KR102619327 B1 KR 10261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sion
eye
sclera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026A (ko
Inventor
사공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27Apparatus for retinal reattach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안구의 공막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검사하는 공막 누르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환자 안구의 공막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확인하고 상기 병변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막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검사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병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에 대하여 조명을 하며 안구를 눌러 안구에 발생된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안구의 공막을 소정의 가상선과 가상원으로 분할되는 제1 영역으로 설정한 후, 환자의 공막에서 발생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Scleral depressor having light and Displaying apparatus for retinal tear position}
본 발명은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안구상의 병변의 발생을 파악하는 공막 누르개와 공막 누르개에 의해 파악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망막 박리(detachment of the retina)는 망막층이 찢어져 눈 속의 수분이 새어 들어가 망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안구 벽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망막 박리가 일어나면 시야의 결손이 나타나고, 박리가 진행되면서 시야 결손 부위도 점차 커지게 되어 실명을 초래하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망막 박리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막돌륭술(scleral buckling), 유리체 절제술, 기체망막유착술 등이 있다.
망막 박리를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인 공막돌륭술은 안구상에 발생되는 병변의 일종인 열공 발생 부위에 의료용 스펀지인 공막돌륭물질을 정확히 위치시켜 열공 부위에 작용하는 유리체 견인을 제거하여 유착을 유도한다. 이 경우 열공 부위에 공막돌륭물질을 정확히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막돌륭술의 시술을 위해서는 망막 박리가 발생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망막 열공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머리에 간접 검안경을 쓰고 안저를 관찰하는데, 한 손에는 공막누르개를 잡고 주변부 망막을 눌러가며 열공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게 되므로, 수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열공의 위치가 파악되면, 공막돌륭물질을 열공 부위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공막돌륭물질을 열공부위와 매칭시킬 때 기존에 발견된 열공의 위치좌표정보가 별도로 제공되지 아니함으로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유리체 절제술은, 견인 및 열공 망막박리, 출형 등 다양한 망막질환에서 행하여지는 대표적인 망막수술로, 미세절개창을 내고 관류액을 주입하면서 안내조명과 절단침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주변부 유리체에 대한 절제가 필수적으로 진행되는데, 기존의 사용자가 모든 도구를 일시에 조작하기 어렵고, 조명침만으로는 주변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샹들리에 조명을 공막창에 고정하고 한손으로는 공막누르개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절단침을 잡고 수술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별도의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명을 비추기가 쉽지 아니하여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08-0066980호와 공개특허 2017-0009451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에 대하여 조명을 하며 안구를 눌러 안구에 발생된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을 통해 외부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기존의 안내 조명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내 조명 사용을 위한 시술자의 수고가 감소되도록 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구 상에서 발생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하는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을 통해 외부 조명을 조사하며, 안구 상의 병변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표시함으로써 망막 박리에 대한 수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 안구의 공막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검사하는 공막 누르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환자 안구의 공막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확인하고 상기 병변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막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검사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를 제공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공막에 접하고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된 광이 투과하는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상기 공막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LED 또는 적외선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공막의 주위를 이동할 때, 상기 누름부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의 회전각도는, 120 내지 150도 일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상기 조명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누름부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사부의 길이는, 각막 윤부 길이의 1/12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조명부의 동작 정도(밝기, 투과도, 확산도, 색상)를 입력하는 입력반과, 상기 입력반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조명부의 동작 정도, 상기 조명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검사부에 의해 파악된 병변의 위치, 병변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사항을 상기 본체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1항에 기재된 상기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상기 안구의 상기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병변의 위치를 출력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안구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 촬영물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촬영물을 이용하여 상기 안구에 대한 3D 매핑(mapping)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촬영부; 상기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파악된 상기 병변을 촬영하여 제2 촬영물을 출력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제2 촬영물과 3D 매핑 이미지를 결합한 결합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결합부; 및 상기 결합 영상에서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 간의 거리를 환산하여 출력하는 거리 환산부를 포함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각막 윤부와 상기 병변 간의 거리는,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직선거리 또는 원호 거리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공막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 및 상기 공막을 가압하는 검사부를 구비하는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안구 형상을 3D 매핑(mapping)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공막 상에 기준점에서 일정 각거리를 갖는 복수의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역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환자의 공막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공막 상에서 파악된 상기 병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D 매핑(mapping)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안구를 단층 촬영기로 촬영하여 촬영물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물에 포함하는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안구 정면의 수정체의 중심을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점을 지나고, 일정 각거리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상선으로 상기 공막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부를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영역의 윤부로 이동시키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병변이 파악되지 않으면 이웃하는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상기 병변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병변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의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변까지의 거리는,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직선거리 또는 원호 거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을 통하여 조명을 하면서 안구를 눌러 안구에 발생된 병변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변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줌으로써, 공막돌륭술진행시 돌륭 물질을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 누르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 누르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A-A 선의 선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환자 안구 상의 제1 영역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공막 상의 열공 위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에 의한 공막 가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 누르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 누르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는 본체(110), 검사부(120), 조명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와 직경을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와 형상이라면, 로드 형태 이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일단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후술하는 검사부(120)가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중간부에서 검사부(120)가 배치되는 본체(110)의 일단으로 진행하며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의 중간부에서 타단까지 균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타단으로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돌기가 돌출된 그립(112)이 배치된다.
본체(110)의 타단으로는 제1 커넥터(114A)가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어부(150)과 연결되는 신호선(116)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0)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조명부(130)에 연결되는 전원선(미도시)과 신호선(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의 동작을 단속하는 동작 스위치(SW)와 후술하는 표시부(140)가 배치된다.
본체(110)는 플라스틱, 탄소 섬유 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소정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검사부(12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검사부(120)는 본체(110)의 일단으로 배치된다.
검사부(120)는 누름부(122) 및 투명창(124)을 포함한다.
누름부(12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막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며 망막과 안구의 변화를 관찰하며, 열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안구상에 발생되는 병변 중 하나인 열공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누름부(122)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누름부(122)는 환자의 공막에 접촉 시 공막에 대하여 손상을 주지 않도록 원통 형상으로 루어진다. 또한, 누름부(122)의 길이는 환자 안구의 각막 윤부 길이의 1/12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122)는 일측이 본체(110)의 일단과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122)는 검사부 본체(110)의 단부에 배치되되, 본체(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체(110)와 누름부(122)의 연결 부위는 누름부(122) 상에서 후술하는 투명창(124)이 연결되는 부위의 반대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는 단면이 타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누름부는 단면이 타원 형태인 것 이외에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누름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122A)는 단면이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각 로드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122)의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창(124A)의 가장자리는 공막에 대한 손상 방지를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누름부(122)는 원통형상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투명창(124)은 누름부(122)의 하면 즉, 누름부(122)에서 환자의 공막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조명부(130)에서 발광된 광이 공막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투명창(124)은 누름부(122)의 표면을 따라 소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투명창(124)은 누름부(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투명창(124)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와 같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22)의 단면 형상인 사각형인 경우에는 투명창(124A)은 누름부(122A)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누름부(122)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누름부(122)가 제공하는 공간에는 후술하는 조명부(130)가 배치된다.
조명부(130)는 누름부(122)의 내측으로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된다. 조명부(1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소정의 광을 발광한다. 조명부(130)에서 발광된 광은 투명창(124)을 통해 환자의 안구의 공막을 향하여 조사된다.
조명부(130)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조작에 의해 발광 정도가 제어된다.
여기서, 조명부(130)는 소정의 LED 또는 적외선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광섬유,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의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더 깊고 넓게 안구 내측 부분을 비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의 전방에 광원을 굴절시키는 프리즘 또는 굴절을 일으키는 매질을 배치하여 일정범위로의 확산과 함께 공막과 맥락막을 지나 안구 내에서 초점이 맞도록 도울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를 넓은 각도로 촘촘하게 배치하여 광원의 확산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의 A-A 선의 선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명부(130)는 누름부(122)의 내측 중심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30)는 원통 형상의 누름부(122) 내측에서 누름부(1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소정 범위를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사부(120)가 공막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때, 투명창(124)은 누름부(12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조명부(130)는 투명창(124)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며, 조명부(130)에서 발광된 광의 조사 각도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130)의 광 조사 각도(θ)는 120~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창(124)은 조명부(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누름부(122)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40)는 본체(110)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검사부(120)의 동작 상태 즉, 검사부(120)의 시작점, 이동거리, 검사부(120)가 이동한 원호길이, 곡율, 깊이, 위치, 마크(환부 체크)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사항은 소정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명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본체(110)와 이격되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본체(110)와는 소정의 신호선(116)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의 일측으로는 신호선(116)과 연결되는 제2 커넥터(114B)가 배치된다.
제어부(150)는 조명부(130)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 색상, 조사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입력반(152)과 표시창(154)을 포함한다.
입력반(152)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조명부(130)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 색상, 조사 범위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반(152)을 통해 조명부의 동작 온(ON)/오프(OFF)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창(154)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부(13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의 표시창(154)으로는 검사부(120)에 의해 파악된 열공의 위치와 열공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입력반과 표시창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를 이용하여 열공의 위치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의 표시는 다음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200)는 제1 촬영부(210), 제2 촬영부(220), 영상 결합부(230) 및 거리 환산부(240)를 포함한다.
제1 촬영부(210)는 환자의 안구(1)를 촬영하여 제1 촬영물을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촬영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3D 매핑(mapping) 이미지를 출력한다.
제2 촬영부(22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구(1) 상에서 열공을 파악하면, 안구(1)를 촬영하여 제2 촬영물을 출력한다.
제1 촬영부(210)와 제2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결합부(230)는 제1 촬영물과 제2 촬영물을 결합하여, 결합 영상을 출력한다.
거리 환산부(240)는 영상 결합부(230)에서 출력되는 결합 형상에서 각막 윤부(22)와 열공 간의 거리를 환산하여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은 3D 매핑(mapping)하는 단계(ST110),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T120),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T140), 병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ST150)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20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3D 매핑(mapping)하는 단계(ST110)는 환자의 안구 형상을 3차원으로 나타내는 단계이다.
환자의 안구 형상이 3차원으로 표현됨으로써, 후술하는 단계에서 병변의 위치 표시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3D 매핑(mapping)하는 단계(ST110)는 제1 촬영부(210)에서 출력되는 제1 촬영물을 이용한다.
제1 촬영부(210)는 환자의 안구(1)에 대하여 복수의 촬영을 수행하여 제1 촬영물을 출력한 후, 이를 이용하여 안구(1)의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환자의 안구 형상을 3차원으로 표현한다.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T120)는 환자의 공막을 일정한 각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제1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환자 안구 상의 제1 영역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1)의 정면 중앙으로는 수정체(2)가 배치된다.
우선, 수정체(2)의 정면 중심을 제1 영역을 설정하는 기준점(C)으로 설정한다(ST112).
수정체(2)의 정면 중심을 기준점(C)으로 설정한 후, 기준점(C)을 기준으로 일정 각간격으로 복수의 가상선을 설정한다(ST114).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상선은 30도의 각거리를 갖도록 하여, 제1 내지 제12 단위 가상선(L1~L12)이 설정되고, 제1 내지 제12 단위 가상선(L1~L12)에 의해 공막 상에는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설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 각각은 30도의 각폭을 가질 수 있다.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의 폭은 소정의 각거리로 표시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mm 단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선 간의 각거리와 제1 영역이 포함하는 단위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병변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T140)는 검사부(120)를 이용하여 공막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며 동시에 압력을 인가하며 안구상에 발생된 열공과 열공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열공 위치 파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의 동작 스위치(SW)를 온(ON) 조작하여, 조명부(130)가 발광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를 조작하여 조명부(150)의 밝기, 확산도 등을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도로 설정한 후, 제1 영역이 포함하는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며, 열공위치를 파악한다.
즉, 사용자는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 상에서 수정체(2) 가장자리에서 각 단위 영역의 윤부까지 검사부(120)로 안구의 표면을 가압하며 이동시켜, 열공의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공막누르개의 검사부(120)의 길이는, 상기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의 각 호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열공의 위치가 각막 윤부 360도에서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누름부(120)가 제1-1 단위영역으로부터 제1-12 단위 영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열공이 파악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막 누르개(10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파악된 열공의 위치를 소정의 기록 수단을 통해 기록한다.
예를 들어, 제1-1 단위 영역(Z1)에서 열공이 파악되었다면, 제2 촬영부(220)가 열공을 촬영하도록 하여 제2 촬영물을 출력한다.
병변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ST150)는 병변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T140)에서 파악된 열공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우선,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Z1~Z12) 중 열공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열공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에서 각막 윤부에서 열공까지의 직선거리와 원호 거리를 표시한다.
열공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에서, 각막 윤부에서 열공까지의 거리 측정을 위해 영상 결합부(230)와 거리 환산부(240)가 사용된다.
영상 결합부(230)는 제1 촬영물과 제2 촬영물을 결합한 결합 영상을 출력한다.
거리 환산부(240)는 결합 영상을 이용하여 각막 윤부에서 열공까지의 직선거리와 원호 거리를 측정한 후, 이를 출력한다.
도 11은 공막 상의 열공 위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영상 결합부(230)에서 출력된 결합 영상으로 일 예로서 열공(4)의 위치가 파악된 환자의 안구(1)를 측면에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1) 상의 소정 단위 영역의 윤부에 열공(4)이 파악되면, 거리 환산부(240)는 결합 영상을 이용하여 각막 윤부(22)에서 열공(4)까지의 거리를 환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각막 윤부(22)에서 열공(4)까지의 거리는 각막 윤부(22)에서 열공(4)까지의 직선거리(D1)과 각막 윤부(22)에서 열공(4)까지의 안구의 외주면 표면을 따라 측정한 원호 거리(D2)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거리는 표시창(154)을 통해 출력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구의 외부에서 공막을 통하여 안구의 내측으로 조명을 하고 동시에 안구를 눌러 안구에 발생된 안구 상의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안구 상의 병변의 위치를 공막외부와의 거리를 통하여 표시하여 둘 수 있으므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막 누르개 110: 본체
120: 검사부 130: 조명부
140: 표시부 150: 제어부
200: 병변 위치 표시 장치 210: 제1 촬영부
220: 제2 촬영부 230: 영상 결합부
240: 거리 환산부

Claims (20)

  1. 환자의 안구 공막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검사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환자 안구의 공막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확인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막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검사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및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 색상, 조사 범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입력반과,
    상기 입력반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광의 밝기, 색상, 조사 범위 중 하나 이상 그리고 상기 검사부에 의해 파악된 병변의 위치 및 병변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창과,
    상기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사항을 상기 본체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공막에 접하고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된 광이 투과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공막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LED 또는 적외선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의 길이는,
    각막 윤부 길이의 1/12 길이인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안구 공막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공막 상의 병변을 검사하고,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의 위치와 상기 병변 간의 거리를 환산하여 출력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안구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복수의 제1 촬영물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촬영물을 이용하여 상기 안구에 대한 3D 매핑(mapping)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 촬영부;
    상기 공막 누르개를 이용하여 파악된 상기 병변을 촬영하여 제2 촬영물을 출력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제2 촬영물과 3D 매핑 이미지를 결합한 결합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결합부; 및
    상기 결합 영상에서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 간의 거리를 환산하여 출력하는 거리 환산부를 포함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 윤부와 상기 병변 간의 거리는,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직선거리 또는 원호 거리인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부는,
    상기 제1 촬영물 상에서 상기 환자의 공막 상에 기준점에서 일정 각거리를 갖는 복수의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부에서 설정되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안구 정면의 수정체의 중심을 상기 기준점으로 하여 일정 각거리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상선으로 상기 공막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을 포함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1 내지 제1-12 단위 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영역의 각막 윤부로 이동하며 검사를 수행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선택된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영역에서 상기 병변이 파악되지 않으면 이웃하는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는 안구상의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환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상기 병변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거리를 환산하는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까지의 거리는,
    상기 각막 윤부에서 상기 병변까지의 직선거리 또는 원호 거리인 안구 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KR1020210047038A 2021-04-12 2021-04-12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KR10261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38A KR102619327B1 (ko) 2021-04-12 2021-04-12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38A KR102619327B1 (ko) 2021-04-12 2021-04-12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26A KR20220141026A (ko) 2022-10-19
KR102619327B1 true KR102619327B1 (ko) 2023-12-29

Family

ID=8380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38A KR102619327B1 (ko) 2021-04-12 2021-04-12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6714A1 (en) * 2014-06-24 2015-12-24 Oasis Medical, Inc. Electronic eye marking device
US20170238919A1 (en) * 2016-02-19 2017-08-24 Brett Foxman Scleral de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451A (ko) * 2015-07-17 2017-01-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막 누르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6714A1 (en) * 2014-06-24 2015-12-24 Oasis Medical, Inc. Electronic eye marking device
US20170238919A1 (en) * 2016-02-19 2017-08-24 Brett Foxman Scleral de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26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041B2 (ja) 眼科装置
JP6098061B2 (ja) 眼底撮影装置
JP2017509376A (ja) 手術器具を備えたセット
JP6006519B2 (ja) 眼科装置
JP6858245B2 (ja) 撮像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6641730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JP2024061830A (ja) レーザ治療器
KR101789276B1 (ko)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02996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トーリック眼内レンズ
JP6556466B2 (ja) レーザ治療装置
JP6892540B2 (ja) 眼科装置
KR102619327B1 (ko) 조명을 포함하는 공막 누르개와 이를 이용한 안구상의 병변 위치 표시 장치
WO2020189299A1 (ja) スリットランプ顕微鏡
JP6003234B2 (ja) 眼底撮影装置
JP6775337B2 (ja) 眼科装置
WO2019235148A1 (ja) 眼科測定装置
KR102169674B1 (ko)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EP3412198A1 (en) Visual function test apparatus
JP2013248075A (ja) 眼底検査装置
JP4168251B2 (ja) スリットランプ
JP7216562B2 (ja) 眼科装置
JP2019062981A (ja) 眼科装置及び検眼システム
JP7147276B2 (ja) 眼科測定装置
JP6912554B2 (ja) 眼科装置
JP7147277B2 (ja) 眼科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