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09B1 -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 Google Patents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09B1
KR102619309B1 KR1020177014721A KR20177014721A KR102619309B1 KR 102619309 B1 KR102619309 B1 KR 102619309B1 KR 1020177014721 A KR1020177014721 A KR 1020177014721A KR 20177014721 A KR20177014721 A KR 20177014721A KR 102619309 B1 KR102619309 B1 KR 10261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layer
carpet backing
primary carpet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067A (ko
Inventor
에드제 얀 비스허르
아놀트 쿠치어
레오니 스티흐터
Original Assignee
프로이덴베르크 퍼포먼스 머터리얼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이덴베르크 퍼포먼스 머터리얼스 비.브이. filed Critical 프로이덴베르크 퍼포먼스 머터리얼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8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68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 primary backing or the fibrous top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2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용 1차 카펫 백킹으로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은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 터프팅된 터프팅 얀을 포함하고, 상기 터프팅 얀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제1 융점 온도를 갖고, 이때 상기 터프팅 얀의 백스티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상기 용융된 백스티치가 실온으로 냉각된 후에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수득하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섬유의 제1 층을 적어도 포함하며, 이때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동일한 중합체 계열 각각은 제1 융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는다.

Description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PRIMARY CARPET BACKING FOR LATEX FREE TUFTED CARFETS}
본 발명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latex free tufted carpet)을 위한 1차 카펫 백킹(primary carpet backing) 및 그레이지 카펫(greige carpet)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섬유 층을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 및 이러한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는 그레이지 카펫에 관한 것이다.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 방법은 1차 카펫 백킹을 터프팅기(tufting machine) 내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카펫 백킹을 일반적으로 멀티필라멘트 얀(multifilament yarn)인 터프팅 얀(tufting yarns)으로 터프팅(tufting)하여, 터프트(tufts)가 보이는 전면 및 백스티치(backstitches)가 형성된 배면을 갖는 그레이지 카펫이 수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터프트는, 그레이지 또는 터프티드 카펫의 전면 위의 터프팅 얀의 가시 부분(visible part)이다. 백스티치는,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 위의 터프팅 얀의 가시 부분이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우수한 터프트 보유(holding)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그레이지 카펫의 편평한 카펫 표면에 대해 필수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터프들을 수득하기 위해 터프팅의 동적 공정 동안 터프트를 제자리에 보유시키는 높은 스티치 보유능(stitch holding capacity)(SHC)을 나타내야 한다. 1차 카펫 백킹의 스티치 보유능은, 터프트가 형성되는 터프팅 공정 동안 터프트를 제자리에 놓고, 이어지는 터프트 형성 동안 터프트 형성 직후에 터프트를 제자리에 보유시키는 능력이다. 이는 그레이지 카펫의 겉면의 외관 및 터프팅 공정 동안의 그레이지 카펫의 백태그(backtag)의 형성을 결정한다. 백태그는 그레이지 카펫의 헐거운 또는 편평하지 않은 백스티치이며, 필수적으로, 이전에는 그레이지 카펫의 겉면에 있었고 이제는 (부분적으로)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에 있는 터프트이다. 예를 들면 염색(dyeing)과 같은 후속 가공 단계 동안,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스티치 보유능은 터프팅 동안 그레이지 카펫의 표면을 제조된 대로 유지(retain)시킬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그레이지 카펫에 새롭게 형성된 터프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스티치 보유능(SHC)에 의해 제자리에 보유된다. 스티치 보유(stitch holding)(SH)는 그레이지 카펫으로부터의 터프팅 얀(tufting yarn)(의 루프(loop))을 배면으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이다. 이는, 그레이지 카펫의 1차 카펫 백킹과 터핑 얀 사이의 상호작용이 얼마나 강한지를 결정한다. 스티치 보유는, 터프팅 얀이 제자리에 고정(lock)될 때까지 예를 들면 텐터링(tentering) 및/또는 그레이지 카펫 롤의 이송(transport)과 같은 터프팅 이후의 후속 공정 단계에서의 실패 확률을 결정한다. 이들 각각의 공정 단계는, 예를 들면 1차 카펫 백킹의 터프트 보유 특성에 대한 높은 요구를 제기하는, 온도 및/또는 인가된 장력과 관련된 가혹 조건하에 수행될 수 있다.
그레이지 카펫의 터프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프리코트(pre-coat)가 일반적으로 라텍스 용액으로서 또는 발포 라텍스(foamed latex)로서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에 도포되며, 이어서 상기 프리코트가 건조되고 임의로 경화되어, 상기 터프트의 기저부(base), 즉 1차 카펫 백킹과 접촉하는 터프팅 얀의 일부와 1차 카펫 백킹 사이의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터프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킨 후, 중질 층(heavy layer)이 터프티드 카펫의 배면 상에 도포될 수 있고/있거나 제2 카펫 백킹이 도포되어, 터프티드 카펫이 예를 들면 광폭 카펫(broadloom carpet), 카펫 타일(carpet tile) 또는 매트(mat)의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ISO 4919에 따른 터프트 결합(tuft bind)은, 터프팅 얀을 제자리에 고정시킨 후 (마감된) 터프티드 카펫 외부의 하나에서 터프트를 전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대 힘이다. 상기 터프트 결합은, 터프트의 한쪽 끝을 컷 파일(cut pile)을 위해 예를 들면 외과용 겸자(surgical forceps)로 잡거나(gripping), 또는 루프를 걸고(hooking) 제거 공정 동안 등록된 최대 힘을 기록하여 측정한다. 이들 터프트 그립(tuft grip)은 인장 시험기의 상부 조(upper jaw)에 부착된다. 당해 시험기는, 카펫의 시험편을 터프트 또는 루프 상의 당김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평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램핑(clamping)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터프티드 카펫의 수명 주기가 끝나면 다량의 터프트 카페트는 매립 쓰레기로 처리된다.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이 바람직하지만, 미리 코팅된 터프티드 카펫의 문제점은 카펫이 용이하게 재활용될 수 없다는 점이며, 한 가지 이유는 프리코트가 존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나일론-6 또는 PA6으로도 알려짐)계 제품은, 대체로, 폴리아미드-6 생성물을 단량체로 해중합(depolymerizing)하고 상기 해중합 생성물 스트림을 정제한 후 상기 정제된 해중합 제품 스트림을 재생 나일론-6으로 재중합(repolymerization)함으로써 화학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기술적 및 경제적 이유 모두에서, 재활용되는 물질의 폴리아미드-6 함량은 가능한 한 높아야 한다.
따라서 카펫 제조업자 및 장비 제조업자는 그레이지 카펫의 터프팅 얀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리코트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대안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면, EP 1598476 A1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은 가열된 롤러(heated roller)의 표면과 접촉되어 열가소성 터프팅 얀의 백스티치가 용융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터프팅 얀의 개별 섬유들은 실온으로 냉각시 서로에게 그리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부착되어, 상기 터프팅 얀을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정착(anchor)되도록 한다. 열가소성 접착제가 상기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에 추가로 도포되어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대한 상기 터프팅 얀의 정착을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다.
WO 2012/076348 A2는 프리코트가 불필요한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그레이지 카펫은 가열된 표면을 갖는 바디(body)를 따라 상대 속도로 공급되고,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은 가열된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터프팅 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고 상기 터프팅 얀의 용융된 물질을 퍼지게 하여, 터프팅 얀의 개별 섬유들이 서로에게 그리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부착되도록 한다.
EP 0568916 A1은 오직 한 가지 유형의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재활용 가능한 터프티드 패브릭(tufted fabric)을 개시한다.
공지된 1차 카펫 백킹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제조를 위한 상기 언급된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언급된 공정에서 처리된 상기 터프트 1차 카펫 백킹 중의 터프트 결합은 몇 가지 경우에, 특히 극심한 트래픽(traffic)을 겪는 터프티드 카펫에 있어서 여전히 불충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P 1598476 A1의 방법에서, 열가소성 접착제가 상기 그레이지 카펫의 배면에 추가로 도포되고 이어서 상기 그레이지 카펫이 가열된 롤러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대한 상기 터프팅 얀의 정착이 추가로 개선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1차 카펫 백킹을 그레이지 카펫에 제공하여, 라텍스가 없는 개선된 터프티드 카펫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카펫 백킹 및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 터프팅된 터프팅 얀을 포함하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용 그레이지 카펫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터프팅 얀은 특히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제1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섬유의 제1 층을 적어도 포함하고, 이때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family)의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상기 제1 융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는 상이한 중합체 계열이다.
중합체의 융점 온도는 ISO 11357-3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법(DSC)으로 측정된다.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내의 터프팅 얀의 터프트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내의 터프팅 얀은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터프팅 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spinning auxiliary),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내의 터프팅 얀은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1형 섬유 및 제2 열가소성 중합체로 특히 이루어진 2형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단, 상기 터프팅 얀은 상기 터프팅 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7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중량%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여, 상기 터프팅 얀은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럭,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alternating) 공중합체, 삼량체(terpolymer),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또는 변형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레핀은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된 일련의 대체로 포화된 개환 중합체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통상의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 및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및/또는 메틸펜텐 단량체의 각종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때 반복 단위(recurring unit)들의 적어도 85%는 에틸렌 단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얀에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포함되고/되거나 1차 카펫 백킹에 저융점 중합체로서 포함된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때 반복 단위들의 적어도 85%는 프로필렌 단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얀에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포함되고/되거나 1차 카펫 백킹에 저융점 중합체로서 포함된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스테르는, 반복 단위들의 적어도 85%가, 카복실산 및 디하이드록시 알코올과, 에스테르 단위의 형성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 링키지(linkages)와의 축합 생성물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는 방향족,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산 및 디-알코올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스테르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럭,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블렌드, 및 이의 변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의 축합 생성물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락트산(PLA)이다.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얀에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포함되고/되거나 1차 카펫 백킹에 저융점 중합체로서 포함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 단독중합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아미드는, 반복 단위들의 적어도 85%가, 아미노 그룹 및 카복실산 또는 산 클로라이드 그룹과, 아미드 단위의 형성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 링키지와의 축합 생성물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아미드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럭,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블렌드, 및 이의 변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6(PA6), 폴리아미드-6,6(PA6,6), 폴리아미드-6,10(PA6,10), 폴리아미드-6,12(PA6,12), 폴리아미드-6,T(PA6,T) 및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얀에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포함되고/되거나 1차 카펫 백킹에 저융점 중합체로서 포함된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이다.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구성원(member)은, 당해 분야 숙련가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 포함된 단량체 및 제2 중합체에 포함된 단량체가 동일한 유형의 화학 결합에 의해 연결(connect)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2개의 단량체가 에스테르 단위, 즉 에스테르-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중합체에서 2개의 단량체가 에스테르-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및 상기 제2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계열의 구성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2개의 단량체가 아미드 단위, 즉 아미드-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중합체에서 2개의 단량체가 아미드-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및 상기 제2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중합체 계열의 구성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50% 및 상기 제2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50%는 동일한 화학 결합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75% 및 상기 제2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75% 는 동일한 화학 결합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0% 및 상기 제2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0%는 동일한 화학 결합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5% 및 상기 제2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5%는 동일한 화학 결합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에서 더 큰 터프트 결합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8% 및 상기 제2 중합체 내의 단량체들 사이의 화학 결합의 적어도 98%는 동일한 화학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저융점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구성하는 상이한 단량체들 내의 탄소 원자의 수는 최대 5, 바람직하게는 최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로 상이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는 섬유의 형태로 포함된다. 용어 섬유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 및 필라멘트 둘 다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테이플 섬유는 일반적으로 2 내지 200mm 범위인 특정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20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m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방사구금(spinneret) 내의 방사 홀(spinning hole)을 통한 필라멘트의 연속 압출(extrusion) 및 인발(drawing)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무한할 수 있다. 용어 섬유는 원형(round), 삼각형(trilobal), 멀티로벌(multilobal)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상기 섬유는 테이프(tape)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one ord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two order)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1 층에 적어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터프팅 니들(tufting needles)을 접하는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과 함께 터프팅기로 공급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백스티치가 섬유의 제1 층과 접촉할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1 층에 적어도 포함되며, 섬유의 제1 층은 섬유의 부직물 층(nonwoven layer)이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대체로 임의 유형의 부직물, 예를 들면 널리 공지된 공정, 예를 들면 카딩(carding) 공정, Ÿ‡-레이드(wet-laid) 공정 또는 에어-레이드(air-laid) 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스테이플 섬유 부직물일 수 있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널리 공지된 스펀본딩(spunbonding) 공정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부직물일 수도 있으며, 이때 필라멘트는 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되고 이어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필라멘트들의 웹(web)으로서 놓이고(laid down) 이어서 상기 웹을 본딩(bonding)으로도 공지된 압밀(consolidate)을 수행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며; 또는 2단계 공정(여기서 필라멘트를 바람직하게는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는 단계, 및 이어서 상기 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상기 웹을 압밀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한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기계적 압밀(mechanical consolidation)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압밀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스티칭(stitching), 기계적 니들링(mechanical needling) 및/또는 유체 제트(fluid jet)에 의한 유체역학적 압밀(hydrodynamic consolidation)에 의해, 특히 수교락(hydroentanglement)에 의해, 화학적 압밀에 의해, 예를 들면 결합제 분산액 또는 결합제 용액을 일반적으로 건조되고 임의로 경화된 섬유의 부직물 층에 도포함으로써, 및/또는 열적 압밀에 의해, 예를 들면 캘린더링(calandering), 초음파 본딩(ultrasonic bonding) 및/또는 열풍 본딩(hot air bonding)에 의해 압밀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1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형의 1성분 섬유 각각은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1성분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1성분 섬유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다성분 섬유에, 바람직하게는 2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인 구별은 3가지 유형의 2성분 섬유들 사이에 묘사된다: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형, 코어-쉬쓰(core-sheath)형 및 해도(islands-in-the-sea)형의 2성분 섬유들.
하나의 양태에서, 2성분 섬유를 형성하는 2개 중합체의 융점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로 상이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융점은 적어도 50℃로 상이하다. 이러한 2성분 섬유들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낮은 융점을 갖는 중합체의 융점의 범위의 온도에 상기 섬유의 웹을 놓음으로써 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코어-쉬쓰형의 2성분 섬유,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로부터 주로 제조된다. 주로(predominantly)는, 섬유의 부직물 층에 포함된 섬유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코어-쉬쓰형의 2성분 섬유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2성분 섬유들 내의 코어/쉬쓰 비는 95/5용적% 내지 5/95용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쉬쓰 비는 50/50용적% 내지 95/5용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의 성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의 쉬쓰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해도형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해도형 섬유의 해(sea)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성분 섬유들은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중의 섬유는, 1차 카펫 백킹에, 그레이지 카펫에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에 더 큰 인장 강도 및/또는 더 큰 인열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필라멘트이다.
상기 제1 부직물 층 섬유에 포함된 섬유의 선밀도는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의 선밀도는 적어도 1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dtex여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 단위 dtex는 10000m 길이당 섬유의 중량(그램)으로 정의된다. 상기 제1 부직물 층 섬유에 포함된 섬유의 선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5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dtex,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5dtex여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충분한 스티치 보유능을 제공하기 위해,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충분한 표면 커버율(coverage)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1 층에 적어도 포함되며, 섬유의 제1 층은 섬유의 직물 층(woven layer)이다. 섬유의 직물 층인, 섬유의 제1 층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내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에 유리하다.
섬유의 제1 직물 층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제직(weaving) 공정에 의해 섬유의 직물 층으로 제직된,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연장하는 경사(warp threads) 및 기계 횡단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으로 연장하는 위사(weft threads)를 포함한다.
섬유의 제1 직물 층의 직물 조직은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직물 층의 위사는, 이의 인근의 위사와 직접 접촉하도록 필수적으로 배열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스티치 보유능을 증가시킨다. 이의 인근의 위사와 직접 접촉하도록 필수적으로 배열되는 것은, 선택된 길이의 섬유의 직물 층으로 제직된 모든 위사의 폭의 합계, 예를 들면, 섬유의 직물 층의 1미터의 선택된 길이가, 섬유의 직물 층의 선택된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위사의 폭의 합계는, 섬유의 직물 층의 선택된 길이의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이다.
섬유의 제1 직물 층의 위사를 형성하는 섬유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그레이지 카펫의 스티치 보유능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섬유의 제1 직물 층의 위사의 적어도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는 테이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섬유의 제1 직물 층의 위사의 100%가 테이프이다.
1차 카펫 백킹의 폭 1미터당 섬유의 제1 직물 층 중의 경사의 양은 상당히 가변적일 수 있다. 경사의 양은, 위사가 섬유의 코히어런트(coherent) 제1 직물 층 내에 충분히 고정되도록 선택되고/되거나 터프팅 공정 및/또는 후속 가공 단계, 예를 들면 백스티치 용융 단계에 적용되는 장력이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과도한 연신(elongation)을 초래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섬유의 제1 직물 층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서 포함된 테이프는 1성분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1성분 테이프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1성분 테이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또 다른 중합체 및/또는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1성분 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섬유의 제1 직물 층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서 포함된 테이프는 다성분 테이프, 특히 다층형(multi-layered)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2층형 테이프 또는 3층형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층 둘 다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층형 테이프는 공압출 공정을 포함하는 널리 공지된 공정에 의해 또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층형 테이프를 형성하는 2개 중합체의 융점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로 상이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융점은 적어도 50℃로 상이하다. 이러한 층형 테이프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1 직물 층은, 섬유의 직물 층을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는 중합체의 융점의 범위의 온도에 놓음으로써 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의 제1 직물 층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층을 포함하는 층형 테이프로부터 주로 제조된다. 주로는, 섬유의 직물 층에 포함된 테이프들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층을 포함하는 층형 테이프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층형 테이프의 성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또 다른 중합체 및/또는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테이프가 층형 테이프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형 테이프의 외부 층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섬유의 제1 층과 평면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바람직하게는 바로 인접한, 섬유의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를 들면 터프팅기로의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인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체형(integrated) 1차 카펫 백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은 기계식 연결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스티칭, 기계적 니들링 및/또는 유체 제트에 의한 유체역학적 작용에 의해, 특히 수교락에 의해, 화학적 연결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 사이에 접착제 또는 결합제 분산액 또는 결합제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및/또는 열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캘린더링, 초음파 본딩 및/또는 열풍 본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은 터프팅 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평행하게 배향된 2개의 개별적인 층들, 및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제2 층은 섬유의 제1 층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터프팅 공정에서 장력은,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에 동시에 인가된다. 섬유의 2개의 개별적인 층들을 서로에 대해 배열되도록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렵기는 하지만,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이 2개의 개별적인 층들로서 공급된 1차 카펫 백킹은, 특히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총 중량이 적어도 140g/㎡, 또는 적어도 160g/㎡, 또는 적어도 200g/㎡인 경우, 섬유의 제1 층과 섬유의 제2 층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 1차 카펫 백킹보다 터프팅이 더 용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예를 들면, 터프팅 니들을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 관통(penetration)시키는 것은,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을 섬유의 2개의 개별적인 층들로서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섬유의 제1 층과 섬유의 제2 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1차 카펫 백킹보다 더 적은 힘을 요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터프팅 니들을 접하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과 함께 터프팅기로 공급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백스티치가 섬유의 제1 층과 접촉할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 이상은 섬유의 제2 층에,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제2 층에 포함된 섬유에 포함된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2 층은 섬유의 부직물 층일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임의 유형의 부직물, 예를 들면 널리 공지된 공정, 예를 들면 카딩 공정, Ÿ‡-레이드 공정 또는 에어-레이드 공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스테이플 섬유 부직물일 수 있다.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또한 널리 공지된 스펀본딩 공정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로 구성된 부직물일 수 있으며, 이때 필라멘트는 방사구금으로부터 압출되고 이어서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이고 이어서 상기 웹을 본딩으로도 공지된 압밀을 수행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며, 또는 2단계 공정(여기서 필라멘트를 바람직하게는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는 단계, 및 이어서 상기 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상기 웹을 압밀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한다.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기계적 압밀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압밀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스티칭, 기계적 니들링 및/또는 유체 제트에 의한 유체역학적 압밀에 의해, 특히 수교락에 의해, 화학적 압밀에 의해, 예를 들면 결합제 분산액 또는 결합제 용액을 일반적으로 건조되고 임의로 경화된 섬유의 부직물 층에 도포함으로써, 및/또는 열적 압밀에 의해, 예를 들면 캘린더링, 초음파 본딩 및/또는 열풍 본딩에 의해 압밀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1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1성분 섬유의 하나 이상의 유형 각각은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1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성분 섬유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다성분 섬유에, 바람직하게는 2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인 구별은 3가지 유형의 2성분 섬유들 사이에 묘사된다: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코어-쉬쓰형 및 해도형 유형의 2성분 섬유들.
하나의 양태에서, 2성분 섬유들을 형성하는 상기 2개 중합체의 융점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로 상이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융점은 적어도 50℃로 상이하다. 이러한 2성분 섬유들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낮은 융점을 갖는 중합체의 융점의 범위의 온도에 상기 섬유의 웹을 놓음으로써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코어-쉬쓰형 2성분 섬유,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로부터 주로 제조된다. 주로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섬유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코어-쉬쓰형 2성분 섬유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쉬쓰 2성분 섬유의 코어/쉬쓰 비는 95/5용적% 내지 5/95용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쉬쓰 비는 50/50용적% 내지 95/5용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의 성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의 쉬쓰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해도형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해도형 섬유의 해(sea)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성분 섬유들은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 중의 섬유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그레이지 카펫에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에 더 큰 인장 강도 및/또는 더 큰 인열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필라멘트이다.
상기 제2 부직물 층 섬유에 포함된 상기 섬유들의 선밀도는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들의 선밀도는 적어도 1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dtex여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 단위 dtex는 10000m 길이당 섬유의 중량(그램)으로 정의된다. 상기 제2 부직물 층 섬유에 포함된 섬유의 선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5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dtex,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5dtex여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충분한 스티치 보유능을 제공하기 위해,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충분한 표면 커버율을 제공한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2 층은 섬유의 직물 층일 수 있다. 섬유의 직물 층인 섬유의 제2 층은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스티치 보유능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에 유리하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2 층에 적어도 포함되며, 섬유의 제2 층은 섬유의 직물 층이다.
섬유의 제2 직물 층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공정에 의해 섬유의 직물 층으로 제직된, 기계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 및 기계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사를 포함한다.
섬유의 제2 직물 층의 직물 조직은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제2 직물 층의 위사는, 이의 인근의 위사와 직접 접촉하도록 필수적으로 배열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스티치 보유능을 증가시킨다. 이의 인근의 위사와 직접 접촉하도록 필수적으로 배열되는 것은, 선택된 길이의 섬유의 직물 층으로 제직된 모든 위사의 폭의 합계, 예를 들면, 섬유의 직물 층의 1미터의 선택된 길이가, 섬유의 직물 층의 선택된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위사의 폭의 합계는, 섬유의 직물 층의 선택된 길이의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이다.
섬유의 제2 직물 층의 위사를 형성하는 섬유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그레이지 카펫의 스티치 보유능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섬유의 제2 직물 층의 위사의 적어도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는 테이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섬유의 제2 직물 층의 위사의 100%가 테이프이다.
1차 카펫 백킹의 폭 1미터당 섬유의 제2 직물 층 중의 경사의 양은 상당히 가변적일 수 있다. 경사의 양은, 위사가 섬유의 코히어런트 제2 직물 층 내에 충분히 고정되도록 선택되고/되거나 터프팅 공정 및/또는 후속 가공 단계, 예를 들면 백스티치 용융 단계에 적용되는 장력이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과도한 연신을 초래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섬유의 제2 직물 층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서 포함된 테이프는 1성분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1성분 테이프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1성분 테이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또 다른 중합체 및/또는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성분 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섬유의 제2 직물 층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서 포함된 테이프는 다성분 테이프, 특히 다층형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2층형 테이프 또는 3층형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층 둘 다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층 테이프는 공압출 공정을 포함하는 널리 공지된 공정에 의해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층형 테이프를 형성하는 2개 중합체의 융점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로 상이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융점은 적어도 50℃로 상이하다. 이러한 층형 테이프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2 직물 층은, 섬유의 직물 층을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는 중합체의 융점의 범위의 온도에 놓음으로써 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의 제2 직물 층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 층을 포함하는 층형 테이프로부터 주조 제조된다. 주로는, 섬유의 직물 층에 포함된 테이프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 층을 포함하는 층형 테이프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2 직물 층에 포함된 층형 테이프의 성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또 다른 중합체 및/또는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테이프가 층형 테이프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형 테이프의 외부 층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는 저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 및 섬유의 제2 층은 바람직하게는 35g/㎡ 내지 150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0g/㎡ 내지 135g/㎡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g/㎡ 내지 125g/㎡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g/㎡ 내지 110g/㎡의 범위의 동일한 중량을 필수적으로 갖는다. 용어 필수적으로 동일한 중량은, 섬유의 제1 층의 중량 및 섬유의 제2 층의 중량이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5%로 상이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의 총 질량은 적어도 2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g/㎡,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g/㎡일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의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융점 온도를 갖는다. 상기 1차 카펫 백킹 중의 고융점 중합체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에 개선된 인장 강도 및/또는 치수 안정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개별적으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터프팅 얀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일 수 있거나, 터프팅 얀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상이한 중합체 계열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예를 들면,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치수 안정성,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염색능(dyeability), 및/또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터프트능(tuftability), 예를 들면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감소된 니들 내관통능, 및/또는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기계적 특성, 예를 들면 파단시 강도 및/또는 파단시 연신율과 관련된,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터프팅 얀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상이한 중합체 계열일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는 상이한 중합체 계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는 상이한 중합체 계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의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융점 온도를 갖는, 최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40중량%의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인장 강도 및/또는 치수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의 총 질량은 적어도 2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g/㎡,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g/㎡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 인장 강도 및/또는 치수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는 섬유의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의 형태로 포함된다.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섬유의 제1 직물 층, 섬유의 제2 부직물 층 및/또는 섬유의 제2 직물 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1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형의 1성분 섬유 각각은 필수적으로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1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1성분 섬유는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다성분 섬유들, 바람직하게는 2성분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인 구별은 3개 유형의 2성분 섬유들 사이에 묘사된다: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코어-쉬쓰형 및 해도형의 2성분 섬유들.
하나의 양태에서, 2성분 섬유들을 형성하는 상기 2개 중합체의 융점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로 상이하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융점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의 제1 융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융점은 적어도 50℃로 상이하다. 이러한 2성분 섬유들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1 층 및/또는 섬유의 제2 층은,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는 중합체의 융점의 범위의 온도에 상기 섬유의 층이 놓임으로써 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섬유의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2 층은 코어-쉬쓰형 2성분 섬유,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로부터 주로 제조된다. 주로는, 상기 섬유의 층에 포함된 섬유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코어-쉬쓰형 2성분 섬유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쉬쓰 2성분 섬유의 코어/쉬쓰 비는 95/5용적% 내지 5/95용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어/쉬쓰 비는 50/50용적% 내지 95/5용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의 성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성분 섬유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방사 조제, 충전제, 난연 물질, UV 억제제, 결정화 지연제/촉진제, 가소제, 열안정제, 항균 첨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코어-쉬쓰 섬유의 코어는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다성분 섬유들이 2성분 해도형 섬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성분 해도형 섬유의 도(island)는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성분 섬유들은 원형, 삼각형, 멀티로벌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자는 특정 폭과 높이를 갖고 이때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어, 당해 양태에서, 상기 섬유는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의 폭은 상기 테이프의 높이보다 적어도 1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더 크다.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1 층 및/또는 섬유의 제2 층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는 섬유의 제2 층에 포함되어,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제1 층은,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중의 하나에만 포함된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스티치 보유를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적어도 7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g/㎡,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5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1차 카펫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00g/㎡, 바람직하게는 최대 27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5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20g/㎡의 중량을 가져서, 터프팅 니들을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 관통시키는 힘(니들 내관통능)은, 터프팅 니들의 휨(deflection)을 초래하지 않으며 그레이지 카펫에서의 터프팅 얀의 배치오류(misplacement)를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백킹의 두께는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트 결합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DIN/ISO 9073-2(1996년 10월)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0.2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의 상기 터프팅 얀의 터프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백킹의 두께는 최대 3.0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5mm이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또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에 포함된 섬유들의 선밀도는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들의 선밀도는 적어도 1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dtex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들의 선밀도는 최대 25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5dtex이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물질 층(material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추가의 물질 층 각각은, 예를 들면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또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인장 강도 및/또는 치수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부직물 층, 스크림(scrim), 그리드(grid) 또는 필름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양태에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팅 얀 중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 또는 폴리아미드-6,6이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아미드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 및/또는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최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40중량%의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40중량%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중량% 내지 65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20중량%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내지 45중량%의 하나 이상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특히, 50중량%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80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10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의 하나 이상 폴리아미드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PA6) 및/또는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중량%의 하나 이상 폴리아미드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PA6) 및/또는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50중량%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80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10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30중량%의 하나 이상 폴리아미드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PA6) 및/또는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팅 얀 중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또는 폴리락트산이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또는 폴리락트산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터프팅 얀 중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올레핀 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카펫 백킹은,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이 25N 이상, 바람직하게는 30N 이상의 터프트 결합을 나타내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카펫 백킹은,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 중합체, 또는 단일 유형의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6을 고함량으로 갖는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을 기술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으로 이루어진 1차 카펫 백킹을 제조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2성분 코어-쉬쓰 필라멘트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필라멘트를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고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상기 웹을 에어 본딩에 의해 열적으로 압밀하여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또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을 형성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76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24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00℃인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76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24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중량이 100g/㎡이고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중량이 100g/㎡이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터프팅 니들을 접하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과 함께 2개의 개별적인 층들로서 터프팅기로 공급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백스티치가 섬유의 제1 부직물 층과 접촉할 것이다. 상기 터프팅 얀은 폴리아미드-6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졌다.
고함량 폴리아미드-6의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EP 1598476 또는 WO 2012/076348에 따르는 공정에 따라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그레이지 카펫 및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능을 개선시킨다.
EP 1598476 및 WO 2012/076348의 교시사항에 따라, ISO 4919에 따르는 터프트 결합이 40N 이하인 라텍스가 없는 카펫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으로 이루어진 1차 카펫 백킹을 제조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2성분 코어-쉬쓰 필라멘트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필라멘트를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고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상기 웹을 에어 본딩에 의해 열적으로 압밀하여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또는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을 형성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60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40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76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졌고, 상기 쉬쓰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24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중량이 100g/㎡이고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중량이 100g/㎡이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2 부직물 층은 터프팅 니들을 접하는 섬유의 제1 부직물 층과 함께 2개의 개별적인 층들로서 터프팅기로 공급되어, 그레이지 카펫의 백스티치가 섬유의 제1 부직물 층과 접촉할 것이다. 상기 터프팅 얀은 폴리아미드-6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EP 1598476 또는 WO 2012/076348에 따르는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경우, 그레이지 카펫 및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능을 개선시킨다.
EP 1598476 및 WO 2012/076348의 교시사항에 따라, ISO 4919에 따르는 터프트 결합이 30N 이하인 라텍스가 없는 카펫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섬유의 제2 부직물 층, 섬유의 제3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4 부직물 층으로 이루어진 1차 카펫 백킹을 제조하였다. 섬유의 상기 4개 부직물 층 각각은 중량이 35g/㎡이었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4 부직물 층은 50/50 중량 비의 1형 및 2형의 2성분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혼합물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필라멘트 혼합물은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고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았다. 섬유의 제2 부직물 층 및 섬유의 제3 부직물 층은 상기 1형의 2성분 코어-쉬쓰 필라멘트로 완전히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필라멘트는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고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았다. 섬유의 4개 부직물 층 전부는 에어 본딩에 의해 일체형 1차 카펫 백킹으로 열적으로 압밀하였다.
섬유의 제1 및 제4 부직물 층의 1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1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60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1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40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1 및 제4 부직물 층의 2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2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76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2형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24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00℃인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졌다.
일체형 1차 카펫 백킹은 터프팅기로 공급되었다. 상기 터프팅 얀은 폴리아미드-6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졌다.
EP 1598476 또는 WO 2012/076348에 따르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상기 1차 카펫 백킹 그레이지 카펫 및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의 재활용능을 개선시킨다.
EP 1598476 및 WO 2012/076348의 교시사항에 따라, ISO 4919에 따르는 터프트 결합이 27N 이하인 라텍스가 없는 카펫을 제조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으로 이루어진 1차 카펫 백킹을 제조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2성분 코어-쉬쓰 필라멘트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필라멘트는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 위에 방사 및 권사하고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상기 웹을 에어 본딩에 의해 열적으로 압밀하여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을 형성하였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의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코어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76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졌고, 쉬쓰 성분은 상기 코어-쉬쓰 필라멘트의 24중량%를 나타내며 융점 온도가 220℃인 폴리아미드-6(PA6)으로 이루어졌다. 섬유의 제1 부직물 층은 중량이 100g/㎡이었다.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터프팅기로 공급되었다. 상기 터프팅 얀은 폴리아미드-6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졌다.
EP 1598476 및 WO 2012/076348의 교시사항에 따라, ISO 4919에 따르는 터프트 결합이 25N 미만인 라텍스가 없는 카펫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차 카펫 백킹(primary carpet backing) 및 상기 1차 카펫 백킹으로 터프팅된(tufted) 터프팅 얀(tufting yarns)을 포함하는, 라텍스(latex)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tufted carpet)용 그레이지 카펫(greige carpet)으로서, 상기 터프팅 얀은 적어도 75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제1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섬유의 제1 층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한 중합체 계열(family)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적어도 3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동일한 중합체 계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저융점 중합체 각각은 상기 제1 융점 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은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 각각은 상기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융점 온도를 갖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프팅 얀에 포함된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는 상이한 중합체 계열의 중합체인, 그레이지 카펫.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이, 상기 섬유의 제1 층과 평면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섬유의 제2 층을 포함하는, 그레이지 카펫.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제1 층 및 상기 섬유의 제2 층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1차 카펫 백킹을 형성하는, 그레이지 카펫.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융점 중합체가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섬유의 제2 층에 적어도 포함되는, 그레이지 카펫.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섬유의 제1 층이 섬유의 부직물 층 또는 섬유의 직물 층인, 그레이지 카펫.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상기 섬유의 제2 층이 섬유의 부직물 층 또는 섬유의 직물 층인, 그레이지 카펫.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 얀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6 또는 폴리아미드-6,6이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이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아미드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및 폴리아미드-6과 폴리아미드-6,6의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그레이지 카펫.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 얀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또는 폴리락트산이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이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레이지 카펫.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프팅 얀을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이 적어도 30중량%의 하나 이상의 저융점 폴리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레이지 카펫.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레이지 카펫.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제2 층이 상기 섬유의 제1 층에 바로 인접하는, 그레이지 카펫.

KR1020177014721A 2014-11-11 2015-11-09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KR102619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2608.9A EP3020860A1 (en) 2014-11-11 2014-11-11 Primary Carpet Backing for Latex Free Tufted Carpets
EP14192608.9 2014-11-11
PCT/EP2015/076046 WO2016075072A1 (en) 2014-11-11 2015-11-09 Primary carpet backing for latex free tufted carp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067A KR20170083067A (ko) 2017-07-17
KR102619309B1 true KR102619309B1 (ko) 2024-01-02

Family

ID=5186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721A KR102619309B1 (ko) 2014-11-11 2015-11-09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70314191A1 (ko)
EP (2) EP3020860A1 (ko)
JP (1) JP6671365B2 (ko)
KR (1) KR102619309B1 (ko)
CN (1) CN107208364A (ko)
AU (1) AU2015345267B2 (ko)
CA (1) CA2967114C (ko)
DK (1) DK3218543T3 (ko)
MX (1) MX368164B (ko)
NZ (1) NZ732314A (ko)
RU (1) RU2697469C2 (ko)
WO (1) WO2016075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0267B2 (en) * 2013-12-13 2019-01-29 Bfs Europe Nv Artificial turf for landscape and sports
CN108286113A (zh) * 2018-02-10 2018-07-17 青岛大学 一种不带乳胶机织地毯的制备方法
WO2019222610A1 (en) * 2018-05-17 2019-11-21 Shaw Industries Group, Inc. Carpet compositions having laminated film backing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2362231B1 (ko) * 2018-06-19 2022-02-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195662A1 (en) * 2019-05-22 2022-06-23 Low & Bonar Inc. Primary carpet backing
CN111041732B (zh) * 2019-12-29 2022-01-28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地毯的制备方法
CN112301577B (zh) * 2020-09-03 2023-03-31 诺奥(福建)环保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阻燃有色弯头纱满铺毯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3410A1 (en) * 2003-04-25 2004-12-16 Higgins Kenneth B. Surface covering
US20080044599A1 (en) 2006-08-18 2008-02-21 Mondo S.P.A. Synthetic grass turf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US20120244310A1 (en) 2009-12-09 2012-09-27 Colbond B.V. Primary carpet backing
WO2014016172A1 (en) 2012-07-26 2014-01-30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and tufted carpet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323A (en) * 1963-07-05 1967-06-13 John H Forkner Tufting through a porous backing which is subsequently fused
CA2094875A1 (en) * 1992-05-01 1993-11-02 James A. Corbin Tufted fabric
US5556684A (en) * 1994-02-04 1996-09-17 Forero; Miguel Manufacturing process for synthetic fiber carpets fixed by fusion at regular intervals with crest or tufts, without using glues or using small amounts of glues, where threads do not loosen and thus obtaining the carpets
US5536551A (en) * 1994-07-18 1996-07-16 Jps Automotive Method for binding tufts
US5604009A (en) * 1994-12-02 1997-02-18 Synthetic Industries, Inc. Non-adhesive bonded tufted carp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K0821748T3 (da) * 1995-03-17 2002-04-02 Bp Corp North America Inc Forbedret tæppekonstruktion og tæppebagside dertil
CA2171913A1 (en) * 1995-06-05 1996-12-06 Randall A. Sferrazza Recyclable carpet and method of recycling
JPH1025652A (ja) * 1996-07-11 1998-01-27 Toray Ind Inc パイル布帛およびカーペット
JP2002515951A (ja) * 1997-02-28 2002-05-28 ショ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ーペット、カーペット裏地材料及び方法
US20040197522A1 (en) * 2002-09-13 2004-10-07 Reisdorf Raymond Joseph Carpet with improved tuft retention
CN1780730A (zh) * 2003-04-25 2006-05-31 美利肯公司 表面覆盖物
NL1026245C2 (nl) 2004-05-21 2005-11-22 Klieverik Heli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tapijt.
DE202006007567U1 (de) * 2006-05-10 2006-07-27 Colbond B.V. Vliesstoff, getufteter Vliesstoff und die Stoffe enthaltende Erzeugnisse
EP2649234B8 (en) 2010-12-06 2020-03-18 DSM IP Assets B.V. A method to produce a textile product and a textile product resulting from the same
CN105264134B (zh) * 2013-03-12 2019-07-30 博爱无纺布公司 可延伸的无纺织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3410A1 (en) * 2003-04-25 2004-12-16 Higgins Kenneth B. Surface covering
US20080044599A1 (en) 2006-08-18 2008-02-21 Mondo S.P.A. Synthetic grass turf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US20120244310A1 (en) 2009-12-09 2012-09-27 Colbond B.V. Primary carpet backing
WO2014016172A1 (en) 2012-07-26 2014-01-30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and tufted carpet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18641A (ru) 2018-12-13
MX368164B (es) 2019-09-20
JP6671365B2 (ja) 2020-03-25
WO2016075072A1 (en) 2016-05-19
KR20170083067A (ko) 2017-07-17
RU2697469C2 (ru) 2019-08-14
MX2017006145A (es) 2017-11-17
DK3218543T3 (da) 2019-10-14
US20170314191A1 (en) 2017-11-02
CA2967114C (en) 2023-03-21
EP3218543A1 (en) 2017-09-20
JP2018503531A (ja) 2018-02-08
CN107208364A (zh) 2017-09-26
AU2015345267A1 (en) 2017-06-15
AU2015345267B2 (en) 2020-01-23
EP3020860A1 (en) 2016-05-18
RU2017118641A3 (ko) 2019-04-11
CA2967114A1 (en) 2016-05-19
NZ732314A (en) 2021-07-30
EP3218543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309B1 (ko) 라텍스가 없는 터프티드 카펫을 위한 1차 카펫 백킹
JP5340146B2 (ja) タフテッド不織布及びボンデッド不織布
KR101914468B1 (ko) 1차 카펫 백킹
CN104662223B (zh) 地毯基底布和包括地毯基底布的簇绒地毯
KR100987893B1 (ko) 터프티드 제품의 제조 방법, 터프티드 제품 및 그의 용도
US20180030632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textile product, a primary backing for use in this method and a method to manufacture this primary backing
US20100104796A1 (en) High-strength lightweight tufted back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U20242023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rpet or a rug and a carpet or rug obtained thereby
JP2016540138A (ja) キャリヤ材料を提供する方法
US20230077606A1 (en) Recyclable tuf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220011136A (ko) 1차 카펫 백킹
CN114026283A (zh) 包含次级地毯背衬的簇绒地毯
WO2023036625A1 (en) Material for a primary carpet backing
EP3680387A1 (en) Secondary carpet backing for tufted carp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