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89B1 - 약장 - Google Patents

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89B1
KR102619289B1 KR1020230089100A KR20230089100A KR102619289B1 KR 102619289 B1 KR102619289 B1 KR 102619289B1 KR 1020230089100 A KR1020230089100 A KR 1020230089100A KR 20230089100 A KR20230089100 A KR 20230089100A KR 102619289 B1 KR102619289 B1 KR 10261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low path
passage
door
medicin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들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들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들길
Priority to KR102023008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장에 관한 것이다.
약장은, 내부에 제1챔버와 제2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를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로 구획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제1챔버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챔버의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는 드로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장{Medicine Cabinet}
본 발명은 약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하는 약장에 관한 것이다.
약품보관장인 약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약품이 보관될 수 있다.
냉장이 필요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야하는 약품이나, 건조된 상태가 유지되는 약품이나, 살균이 필요한 약품이 있다.
등록특허 KR 10-1795340 B1에서는 폐약품을 보관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사용중인 약품을 적절하게 보관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약품공간을 형성하는 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약품을 적절한온도로 보관할 수 있는 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약품을 살균할 수 있는 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도어가 개방될 때, 외부로 자외선 광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약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약장은, 내부에 제1챔버와 제2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를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로 구획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제1챔버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챔버의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는 드로어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이너홀과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이너홀과,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아우터홀이 형성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전모듈과, 상기 제1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제1팬과 상기 제2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제2팬이 배치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3팬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에는, 제1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에는 제2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을 폐쇄하거나,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제1유로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을 폐쇄하거나,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제2유로와 연통시킨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1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아우터홀과 상기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이너홀에서 상기 제1아우터홀로 공기유동을 형성하거나 반대방향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이너홀에서 상기 제2아우터홀로 공기유동을 형성하거나 반대방향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킨다.
상기 약장은,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모드,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모드, 및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각각을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팬이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2아우터홀 사이간격은 상기 제1이너홀과 상기 제2이너홀 사이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챔버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홈과, 상기 램프홈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램프홈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램프커버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램프커버가 상기 램프홈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한다.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홈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돌기홈과 제2돌기홈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배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을 가압하는 커버튼이 배치된다.
상기 제1돌기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돌기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구조를 가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장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약품을 적절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케이스 내부의 약품을 살균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자외선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도어가 개방되고, 드로어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드로어가 인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드로어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장치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형성되는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장치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형성되는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에서 램프커버의 구체적인 구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 램프커버의 구체적인 구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미들플레이트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냉방모드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난방모드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의 제습모드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약품보괌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장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약장은 내부에 제1챔버(12)와 제2챔버(14)를 형성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제1챔버(12)를 개폐하는 도어(20, 40), 케이스(10)의 제2챔버(14)에 인입되어나 인출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6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제1챔버(12)와 제2챔버(14)가 형성된 전방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어(20, 40)는, 제1도어(20)와 제2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20)와 제2도어(40) 각각은 제1챔버(12)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도어(20)는 케이스(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도어(40)는 케이스(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도어(20)의 일측에는 제1도어(20)를 사용자가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도록 형성된 제1손잡이홈(26)이 형성된다. 제2도어(40)의 일측에는 제2도어(40)를 사용자가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도록 형성된 제2손잡이홈(46)이 형성된다.
드로어(60)의 전방면에도, 사용자가 드로어(60)를 인출할 때, 잡도록 형성된 드로어홈(6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챔버(12) 내부의 구조와 제1도어(20)와 제2도어(40) 각각의 구조를 설명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약품 등이 수납되는 공간인 제1챔버(12)가 형성된다. 제1챔버(12)는, 제2챔버(14)의 상측에 배치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제1챔버(12)와 제2챔버(14)를 구획하는 미들플레이트(100)가 배치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제1챔버(12)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이너선반(16)이 배치된다.
제1도어(2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1도어플레이트(22), 제1도어플레이트(22)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도어프레임(24)을 포함한다.
제1도어플레이트(22)는, 케이스(10)의 제1챔버(12)의 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도어프레임(24)은, 제1도어(20)가 폐쇄될 때, 케이스(10) 내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도어프레임(24)의 하부면은 제1도어(20)에 배치되는 물건을 받치는 선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도어(20)는, 제1도어프레임(24)이 형성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제1도어선반(28)을 포함한다. 제1도어선반(28)은, 제1도어플레이트(22)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도어(20)는, 제1도어프레임(24)의 하부면이나 제1도어선반(28)으로부터 일정간격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제1도어선반고정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20)는, 제1힌지(32)와 제1힌지플레이트(34)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힌지(32)는, 제1도어(2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1힌지플레이트(34)는, 제1도어(20)와 케이스(10) 각각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힌지플레이트(34)가 제1힌지(32)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1도어(20)가 케이스(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도어(4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도어플레이트(42), 제2도어플레이트(42)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도어프레임(44)을 포함한다.
제2도어플레이트(42)는, 케이스(10)의 제2챔버(14)의 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도어프레임(44)은, 제2도어(40)가 폐쇄될 때, 케이스(10) 내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도어프레임(44)의 하부면은 제2도어(40)에 배치되는 물건을 받치는 선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도어(40)는, 제2도어프레임(44)이 형성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제2도어선반(48)을 포함한다. 제2도어선반(48)은, 제2도어플레이트(42)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도어(40)는, 제2도어프레임(44)의 하부면이나 제2도어선반(48)으로부터 일정간격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제2도어선반고정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어(40)는, 제2힌지(52)와 제2힌지플레이트(54)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힌지(52)는, 제2도어(4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2힌지플레이트(54)는, 제2도어(40)와 케이스(10) 각각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힌지플레이트(54)가 제2힌지(52)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2도어(40)가 케이스(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로어(60)는, 케이스(10)의 제2챔버(14) 내부에 삽입되거나, 제2챔버(14)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드로어(60)는, 내부에 약품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드로어(60)는 제2챔버(14)의 전방을 커버하는 드로어커버(64)와 제2챔버(14) 내부에 수용되게 배치되고,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하우징(66)을 포함한다.
드로어하우징(66)은 상측으로 개구된 구조를 가진다. 드로어하우징(66)은, 드로어(60)가 제2챔버(14) 내부에 장착될 때, 미들플레이트(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에는, 제1챔버(12)를 살균하는 살균장치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장에는, 제2챔버(14) 내부에 배치되는 드로어(60)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장치가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면에 살균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0) 내부에는, 살균램프(70)가 배치되는 램프홈(72)과 램프홈(72)의 일측을 개폐하는 램프커버(74)가 배치된다.
제1도어(20)에는, 제1도어(20)의 배치에 따라 램프커버(74)의 일측을 누르는 커버버튼(88)가 배치된다. 제2도어(40)에는, 제2도어(40)의 배치에 따라 램프커버(74)의 일측을 누르는 제2돌기(80)가 배치된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균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면에는,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홈(72)과, 램프홈(72)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램프(70)를 포함한다.
램프홈(72)은, 케이스(10)의 내부측면에 배치된다. 살균램프(70)는, 제1챔버(12)로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램프홈(72)의 일측에는 도어의 배치에 따라 램프홈(72)을 개폐하는 램프커버(74)가 배치된다. 램프커버(74)는, 도어가 개방될 때, 램프홈(72)을 폐쇄하고, 도어가 폐쇄될 때, 램프홈(72)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커버(74)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때, 살균램프(70)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도어(20)의 제1도어프레임(24)에는, 램프커버(74)의 일측을 가압하여 램프커버(74)를 개방시키는 커버버튼(88)가 배치된다. 제1도어프레임(24)은, 제1도어(2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커버버튼(88)는, 제1도어프레임(24)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도어(20)의 커버버튼(88) 구조는, 제2도어(40)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살균램프(70)와 램프홈(72), 램프커버(74)의 구조도 제2도어(40)가 배치되는 케이스(10)의 다른 측면에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램프커버(74)는, 커버버튼(88)가 누르지 않을 때, 램프홈(72)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램프홈(72)의 일측면에는 커버버튼(88)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버튼홈(90)이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램프홈(72)의 전방에 버튼홈(90)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램프커버(74)의 작동원리 및 구조를 설명한다.
램프커버(74)는, 커버플레이트(76)와, 커버플레이트(76)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78)와 제1돌기(78)와 이격된 위치에서 커버플레이트(76)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80)를 포함한다.
제1돌기(78)는, 제2돌기(8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커버(74)는, 램프홈(72)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는 제1돌기홈(82)과 제2돌기홈(84)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제1돌기(78)는 제1돌기홈(82)을 따라 이동한다. 제2돌기(80)는 제2돌기홈(84)을 따라 이동한다. 제1돌기홈(82)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 수 있다. 따라서, 제1돌기(78)가 제1돌기홈(82)을 따라 이동하면, 커버플레이트(76)의 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제2돌기홈(84)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돌기(78)의 중심은 살균램프(7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2돌기(80)의 중심은 살균램프(7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76)는, 램프홈(72)을 커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제1돌기(78)와 제2돌기(80)는, 커버플레이트(7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76)의 전방일단부는 램프홈(72)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램프커버(74)의 일측에는, 커버플레이트(76)의 배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86)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86)는, 커버버튼(88)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에서 램프홈(72)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86)는, 램프홈(72)의 후방에 배치되고, 커버플레이트(76)를 후방으로 당기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램프커버(74)는, 램프홈(72)을 닫는 제1위치(P1)와, 램프홈(72)을 개방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가 케이스(10)의 전방을 닫을 때, 커버버튼(88)이 커버플레이트(76)의 전방부를 가압하여, 램프커버(74)가 제2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76)에 램프커버(74)가 접촉하지 않을 때, 탄성부재(86)에 의해 램프커버(74)가 제1위치(P1)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버튼(88)은, 제1돌기(78)보다 전방에서 커버플레이트(76)와 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미들플레이트(100)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의 구조와, 이를 통한 드로어(60) 내부의 온도조절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미들플레이트(100)에는, 제1유로(102)와 제2유로(1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02)와 제2유로(104) 각각은 상측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유로(102)는, 일측에서 하측으로 개방된 제1이너홀(108)이 형성되고, 타측에서 후방으로 개방된 제1아우터홀(112)이 형성된다. 제1이너홀(108)은, 제1유로(102)와 드로어하우징(66)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킨다. 제1아우터홀(112)은, 제1유로(102)와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2유로(104)는, 일측에서 하측으로 개방된 제2이너홀(110)이 형성되고, 타측에서 후방으로 개방된 제2아우터홀(114)이 형성된다. 제2이너홀(110)은, 제2유로(104)와 드로어하우징(66)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킨다. 제2아우터홀(114)은, 제2유로(104)와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1이너홀(108)과 제2이너홀(110)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제1아우터홀(112)이 제2아우터홀(114)과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이너홀(108)과 제2이너홀(110) 각각은 제1유로(102)와 제2유로(104) 각각의 원거리에 위치한 영역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제1이너홀(108)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2이너홀(110)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이너홀(1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1이너홀(108)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유로(102)에는, 제1팬(120)이 배치된다. 제2유로(104)에는 제2팬(122)이 배치된다.
제1팬(120)과 제2팬(122) 각각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축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어(60) 내부의 작동모드에 따라 제1팬(120)과 제2팬(122) 각각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아우터홀(112)에는 제1필터(116)가 배치된다. 제2아우터홀(114)에는 제2필터(118)가 배치된다.
미들플레이트(100)는, 제1유로(102)를 냉각하고, 제2유로(104)를 가열하는 열전소자(126)가 배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126)는, 제1유로(102)와 제2유로(104) 사이에 배치된다. 열전소자(126)는, 제1유로(102) 방향으로 냉각핀(128)이 배치되고, 제2유로(104) 방향으로 가열핀(130)이 배치된다.
열전소자(126)는 제1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열전소자(126)는 제2유로(104)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미들플레이트(100)에는, 제1유로(102)의 일측과 제2유로(104)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106)는, 열전소자(126)가 배치되는 위치와 제1팬(120)과 제2팬(122)이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제1유로(102)와 제2유로(104)를 연결한다.
연결유로(106)에는 제3팬(124)에 배치된다. 제3팬(124)은 제1유로(102) 방향에서 제2유로(104)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연결유로(106)의 일단에는 연결유로(106)의 일단을 폐쇄하거나, 제1유로(102)와 연결유로(106)를 연통시키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제1밸브(132)가 배치된다. 연결유로(106)의 타단에는 연결유로(106)의 타단을 폐쇄하거나, 제2유로(104)와 연결유로(106)를 연통시키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제2밸브(134)가 배치된다.
제1밸브(132)와 제2밸브(134)는 동시에 연결유로(106)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1밸브(132)와 제2밸브(134)가 연결유로(106)를 개방할 때, 제3팬(124)이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작동모드에 따른 미들플레이트(100) 내부 구성의 배치와 작동을 설명한다.
미들플레이트(100)의 공조장치는 드로어(60) 내부공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모드(CM), 드로어(60) 내부공간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모드(HM), 드로어(60) 내부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모드(DM)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냉각모드(CM)에서 제1팬(120)과 제2팬(122)의 회전방햐이 다르게 형성된다. 제1팬(120)은 제1아우터홀(11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1이너홀(108)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제2팬(122)은 제2이너홀(11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2아우터홀(114)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제3팬(124)의 작동은 정지된다. 제1밸브(132)와 제2밸브(134)는, 연결유로(106)를 폐쇄한다.
제1유로(10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열전소자(126)에 의해 냉각되어 제1이너홀(108)을 통해 드로어(60)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드로어(60) 내부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드로어(60) 내부공기는 제2유로(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열모드(HM)에서 제1팬(120)과 제2팬(122)의 회전방향이 다르게 형성된다. 제1팬(120)은 제1이너홀(108)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1아우터홀(112)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제2팬(122)은 제2아우터홀(11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2이너홀(110)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제3팬(124)의 작동은 정지된다. 제1밸브(132)와 제2밸브(134)는, 연결유로(106)를 폐쇄한다.
제2유로(10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열전소자(126)에 의해 가열되어 제2이너홀(110)을 통해 드로어(60)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드로어(6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드로어(60) 내부공기는 제1유로(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습모드(DM)에서 제1팬(120)과 제2팬(122)의 작동은 정지된다.
제1밸브(132)와 제2밸브(134)가 연결유로(106)를 개방한다. 즉, 제1밸브(132)가 제1유로(102)와 연결유로(106)를 연통시킨다. 제2밸브(134)가 제2유로(104)와 연결유로(106)를 연통시킨다.
제3팬(124)은 제1유로(102)의 공기를 제2유로(104)로 보낸다.
따라서, 제1이너홀(108)을 통해 드로어(60) 내부의 공기가 제1유로(102)로 유동한다. 제1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는 냉각핀(128)을 통해 냉각되고 일부 응축되어 건조될 수 있다. 제1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는 연결유로(106)를 통해 제2유로(104)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로(104)를 유동하는 공기는 가열핀(130)을 통해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될 수 있다. 제2유로(104)를 유동하는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제2이너홀(110)을 통해 드로어(60) 내부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건조한 공기가 제2이너홀(110)을 통해 유입되고, 드로어(60) 내부의 공기가 제1이너홀(108)을 통해 빠져나가므로, 드로어(60) 내부가 건조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제1유로(102)에서, 제1밸브(132)가 배치되는 공간부터 제1아우터홀(112)이 형성되는 영역은 하측으로 경사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모드(DM)에서 제1유로(102)측에 형성된 응축수가 제1아우터홀(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내부에 제1챔버와 제2챔버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를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로 구획하는 미들플레이트;
    상기 제1챔버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챔버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는 드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이너홀과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이너홀과,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케이스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아우터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전모듈과, 상기 제1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제1팬과 상기 제2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공기 유동을 형성시키는 제2팬이 배치되는 약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3팬이 배치되는 약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에는, 제1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에는 제2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을 폐쇄하거나,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제1유로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을 폐쇄하거나, 상기 연결유로를 상기제2유로와 연통시키는 약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1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아우터홀과 상기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약장.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이너홀에서 상기 제1아우터홀로 공기유동을 형성하거나 반대방향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이너홀에서 상기 제2아우터홀로 공기유동을 형성하거나 반대방향으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약장.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장은,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모드,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모드, 및 상기 드로어의 내부공간을 제습하는 제습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각각을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팬이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약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우터홀과 상기 제2아우터홀 사이간격은 상기 제1이너홀과 상기 제2이너홀 사이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약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챔버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홈과, 상기 램프홈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램프홈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램프커버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램프커버가 상기 램프홈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약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커버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홈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돌기홈과 제2돌기홈이 형성되는 약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배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약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을 가압하는 커버버튼이 배치되는 약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돌기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구조를 가지는 약장.
KR1020230089100A 2023-07-10 2023-07-10 약장 KR10261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100A KR102619289B1 (ko) 2023-07-10 2023-07-10 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100A KR102619289B1 (ko) 2023-07-10 2023-07-10 약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289B1 true KR102619289B1 (ko) 2023-12-29

Family

ID=8933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100A KR102619289B1 (ko) 2023-07-10 2023-07-10 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009A (ko) * 1997-12-23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제습장치
KR20020021555A (ko) * 2000-09-15 2002-03-21 윤종용 전자렌지
KR20030033530A (ko) * 2001-10-23 2003-05-01 황규천 자외선 살균기 도어장치
KR20070082082A (ko) * 2005-09-12 2007-08-21 주식회사 신생 화학약품 보관 시약장
KR20080063576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4861B1 (ko) * 2012-11-02 2014-03-18 주식회사 해건 의약품 보관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009A (ko) * 1997-12-23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제습장치
KR20020021555A (ko) * 2000-09-15 2002-03-21 윤종용 전자렌지
KR20030033530A (ko) * 2001-10-23 2003-05-01 황규천 자외선 살균기 도어장치
KR20070082082A (ko) * 2005-09-12 2007-08-21 주식회사 신생 화학약품 보관 시약장
KR20080063576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4861B1 (ko) * 2012-11-02 2014-03-18 주식회사 해건 의약품 보관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67302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EP3662788B1 (en) Dryer for bed
ES2731462T3 (es) Armario frigorífico o climatizado
CA2571967C (en) Electric oven
US10702060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10739022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20180259204A1 (en) Refrigeration module and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JP2001174136A (ja) 冷蔵庫
KR102619289B1 (ko) 약장
KR102619284B1 (ko) 화장대 겸 약장
KR20210158757A (ko) 신발 관리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케어 장치
KR102327458B1 (ko) 욕실관리기
KR100333615B1 (ko) 냉장고용 댐퍼장치
US20240148231A1 (en) Shoes care device
KR20190070123A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US20240065524A1 (en) Shoes care device
US20210401263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JP2000172929A (ja) 自動販売機
JPS5934871Y2 (ja) 自動販売機
JPH041709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