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58B1 - 욕실관리기 - Google Patents

욕실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58B1
KR102327458B1 KR1020170027839A KR20170027839A KR102327458B1 KR 102327458 B1 KR102327458 B1 KR 102327458B1 KR 1020170027839 A KR1020170027839 A KR 1020170027839A KR 20170027839 A KR20170027839 A KR 20170027839A KR 102327458 B1 KR102327458 B1 KR 10232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ner door
door body
door
storag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076A (ko
Inventor
전진현
김성호
조웅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Abstract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기능모듈의 이너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는 욕실관리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된 도어와,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시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전면이 개구된 수납실이 형성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가 구비된 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도어는,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되며, 회전시 상기 이너 도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방된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실관리기{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내에 설치되어 수건을 비롯한 각종 욕실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욕실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집안에서 가장 다습한 장소이기 때문에, 여러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이 쉽게 일어나고, 악취가 쉽게 발생되는 장소이다.
대부분의 욕실은 환기팬에 의존하여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기팬의 가동이 적절히 되지 못하거나 가동이 되더라도 욕실 전체를 건조하게 유지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잔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에 의해 오염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의 수분을 조기에 제거하고, 욕실 내의 건조대에 걸려있는 수건과 같은 젖은 욕실용품도 조기에 건조시켜서, 욕실이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욕실은 수건을 비롯하여 각종 욕실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고, 더불어 세면대, 변기, 거울, 수건걸이, 치솔걸이 등 다양한 편의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욕실에서 헤어드라이기 및 면도기를 비롯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기도 하고, 화장을 하기도 한다.
만약, 상기 수납장의 기능 및 욕실 건조의 기능을 기본으로 하면서, 칫솔살균기의 기능, 화장품 냉장고의 기능 및 전자제품의 충전기능 등이 하나로 통합된 욕실관리기가 개발된다면, 욕실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의 기능을 하는 수납모듈, 상기 욕실 건조의 기능을 하는 공조모듈, 상기 칫솔살균기의 기능을 하는 살균모듈, 상기 화장품 냉장고의 기능을 하는 냉장모듈 및 상기 전자제품의 충전기능을 하는 충전모듈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기능모듈이 독립적으로 구비된 욕실관리기가 개발된다면, 사용자는 상기 기능모듈 중에서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하여 욕실관리기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수납 편의성 및 사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모듈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욕실에 설치된 변기, 세면대 및 거울의 위치가 상이한 바, 상기 기능모듈의 설치 위치를 욕실 환경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욕실 내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도어에는 미러가 설치되기도 하는데, 사용자가 상기 미러를 통해 자신의 머리의 정면 및 측면 일부를 바라볼 수 있지만,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자세히 보기는 힘든 실정이다.
KR 20-0423138 Y JP 2009-028257 A JP 2005-304944 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기능모듈의 이너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된 도어와,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시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전면이 개구된 수납실이 형성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가 구비된 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도어는,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되며, 회전시 상기 이너 도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방된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상기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상기 기능모듈의 상기 이너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기능모듈의 이너 도어에 구비된 미러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곽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의 내부를 투영한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열전 모듈이 마운팅 브래킷에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이너 도어 중 이너 도어 본체가 닫히고 미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러 도어에서 미러를 제거하여 미러 도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너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이 프레임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과, 캐비닛(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9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0)은 욕실관리기의 상측면 외관, 하측면 외관, 좌측면 외관 및 우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패널(110)과,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워 패널(120)과,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 사이드 패널(130)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 사이드 패널(140)을 포함한다.
어퍼 패널(110)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상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상단을 연결하고, 로워 패널(120)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하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하단을 연결한다.
어퍼 패널(110)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패널(120)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캐비닛(100)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프레임 본체(210,220)와, 프레임 본체(210,220)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 브래킷(240)을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캐비닛(100)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백 브래킷(240)은 프레임 본체(210,220)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강성을 보강해준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내부에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은 타월(towel) 케어 모듈(300)과, 살균 모듈(400)과, 스크릿 박스 모듈(500)과, 냉장 모듈(600)과, 충전 모듈(700)과, 블로워 아웃 모듈(800)을 포함한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충전 모듈(7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내부에 모듈단위로 설치된다.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상하좌우측면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한다.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에 상하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 중에서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리브는 후술하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돌출 형성되는 이너 리브(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내부에 기능분할판(303)이 설치된다. 기능분할판(303)은 타월 케어 모듈(3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기능분할판(303)의 상측에 타월을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301)이 형성되고, 기능분할판(303)의 하측에 타월을 수납함과 아울러 수납된 타월을 건조 및 워밍(warming)시키는 제2 수납공간(302)이 형성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기능분할판(303) 없이 제1 수납공간(301)만을 가지는 독립적인 제1 타월 케어 모듈과, 제2 수납공간(302)만을 가지는 독립적인 제2 타월 케어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살균 모듈(400)은 칫솔살균기로 사용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은 내부에 칫솔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의 하측에는 블로워 아웃 모듈(800)이 설치될 수 있고, 블로워 아웃 모듈(800)보다 상측에 해당하는 살균 모듈(400)의 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블로워 아웃 모듈(800)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가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공조 모듈(810)이 설치되어, 살균 모듈(400) 및 공조 모듈(8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상기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를 욕실 내로 배출할 수 있다.
스크릿 박스 모듈(500)은 어린아이 및 손님이 보거나 만져서는 안되는 물건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 모듈(600)은 의약품 및 화장품을 냉장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 모듈(600)에는 냉장 모듈(600) 내로 냉기를 공급하고 냉장 모듈(600)의 외부로는 열기를 방출하는 열전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모듈(700)은 헤어 드라이기 및 전기면도기를 비롯한 전자기기를 보관하면서 충전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충전 모듈(700)에는 헤어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거치구가 설치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 또는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전원 플러그가 꼽아지는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프레임 본체(210)와,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본체(22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본체(210) 및 제2 프레임 본체(22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충전 모듈(700) 및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소비자가 필요한 것만 골라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는 타월 케어 모듈(300)만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고, 타월 케어 모듈(300) 두 개와 살균 모듈(400) 하나와 냉장 모듈(600)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이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되는 개수에 따라 프레임 본체(210,220)의 개수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900)는 욕실관리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900)는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한다. 도어(900)는 프레임 본체(210,2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본 제1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210,220)는 2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90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도어(910) 및 제2 도어(920)를 포함한다. 제1 도어(910)는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 중 좌측을 개폐하고, 제2 도어(920)는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 중 우측을 개폐한다.
제1 도어(910) 및 제2 도어(920)의 전면은 각각 미러(911,921)로 구비될 수 있다. 미러(911,921)는 욕실 내에 설치되는 거울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러(911,921)는 제1 도어(9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미러(911)와, 제2 도어(92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 미러(921)를 포함한다.
도어(900)의 배면에는 힌지(930)가 설치된다. 힌지(930)는 도어(900)의 배면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힌지부재와, 상기 제1 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 본체(210,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930)는 제1 도어(910)의 배면 중 상측 및 하측에 하나씩 설치되고, 제2 도어(910)의 배면 중 상측 및 하측에 하나씩 설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 및 하측면이 캐비닛(1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이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측면이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는 어퍼 커버(150)가 삽입 배치된다. 어퍼 커버(150)는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어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어퍼 커버(150)는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의 공간을 가려서, 도어(9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900)의 배면 상측에 설치된 힌지(930)가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를 통해 욕실관리기의 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도어(9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를 통해 욕실관리기의 전방에서 욕실벽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어퍼 커버(150)는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부, 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150)의 전면부에는 도어(900)가 닫힘 위치일 때 힌지(930)가 수용되는 오목홈(151)이 형성되어,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에 힌지(9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는 컨트롤 패널(160)이 삽입 배치된다. 컨트롤 패널(160)은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어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컨트롤 패널(160)은 상측이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에서 나오는 공기는,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 컨트롤 패널(160)의 상측과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후술할 제1 공기토출구(2)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샤워를 한 후, 제1 공기토출구(2)에서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바디를 말릴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0)에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비롯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누르거나 터치하여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을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0)은 도어(900)가 닫힘 위치일 때 상기 입력부가 설치된 부분이 도어(90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캐비닛(100)은 어퍼 패널(110)의 전단,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전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전단에 각각 데코부재(171,172,173)가 결합된다. 데코부재(171,172,173)는 어퍼 패널(10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데코부재(171)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 데코부재(172)와,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3 데코부재(173)를 포함한다. 로워 패널(120)의 전단에는 데코부재(171,172,173)가 설치되지 않고, 컨트롤 패널(160)의 전단에 의해 가리어진다. 즉, 컨트롤 패널(160)은 로워 패널(120)의 전단을 가려서 데코부재(171,172,173)의 기능을 대신한다. 컨트롤 패널(160)은 데코부재(171,172,173)와 동일한 색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211)과,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워 프레임(212)과,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을 포함한다.
어퍼 프레임(211)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상단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상단을 연결하고, 로워 프레임(212)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하단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하단을 연결한다.
어퍼 프레임(211)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프레임(212)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 및 로워 프레임(212)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 본체(210) 및 제2 프레임 본체(22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상하 구분없이 설치될 수 있고, 좌우 구분없이 설치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은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워 프레임(212)은 어퍼 프레임(211)이 상하로 뒤집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 및 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로워 프레임(212)은 상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에는 각각 사각형상의 제1 개구부(216)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6)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의 전선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16)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되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내측에는 각각 이너 리브(215)가 형성된다. 이너 리브(215)는 제1 개구부(216)의 상측 및 하측에서 프레임 본체(210,2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너 리브(215)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개별적으로 프레임 본체(210,220) 내로 삽입시에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의 삽입을 안내하고,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이 프레임 본체(210,220) 내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을 지지한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외측에는 각각 아우터 리브(217)가 형성된다. 아우터 리브(217)는 제1 개구부(216)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프레임 본체(210,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우터 리브(217)는 제1 개구부(216)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된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의 전선이 제1 개구부(216)를 통해 빠져나온 후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시킨다.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에는 사각형의 절개라인(218)이 형성된다. 절개라인(218)은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작업자가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에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되는 내측 부분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어퍼 프레임(211)에 형성되는 절개라인(218)과 로워 프레임(212)에 형성되는 절개라인(218) 중에서, 살균모듈(400)이 어퍼 프레임(21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어퍼 프레임(211)에 형성된 절개라인(218)을 파단시켜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어퍼 프레임(211)의 내측 부분을 떼어 낼 수 있고, 살균모듈(400)이 로워 프레임(2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로워 프레임(212)에 형성된 절개라인(218)을 파단시켜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로워 프레임(212)의 내측 부분을 떼어 낼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 및 로워 프레임(212)에는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내측 부분이 작업자에 의해 떼어지는 경우 제2 개구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160)의 하측면에는 제2 개구부(219)의 하측에 제3 개구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에는 제3 개구부(161)의 하측에 제4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로워 패널(120)의 상측면에는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블로워 루버(181)가 설치되거나, 로워 커버(183)가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 루버(181)는 제4 개구부(121)가 살균모듈(400)의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블로워 루버(181)가 설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로워 커버(182)가 설치되어 제4 개구부(121)는 로워 커버(182)에 의해 차폐된다.
블로워 루버(181)는 토출 그릴을 가지고 있으며,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블로워 아웃 모듈(800)에서 나오는 공기를 제4 개구부(121)로 안내한다.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블로워 루버(182)가 설치되는 경우, 제4 개구부(121)는 제2 공기토출구(121)가 된다. 즉, 캐비닛(100)은 프레임(200)의 하측면인 로워 프레임(212)과의 이격된 사이에 제1 공기토출구(2)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2 공기토출구(121)가 형성된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로워 패널(120) 및 로워 프레임(212) 사이에서 컨트롤 패널(160)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상단은 제2 개구부(219)로 삽입되어 상기 송풍기가 송풍한 공기를 흡입하고, 하단이 제3 개구부(161)를 관통하여 블로워 루버(181)와 연결된다. 또한,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전면에 제1 공기토출구(2)와 연통되는 전면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에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유로절환 베인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유로절환 베인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전면개구부를 개방하고 하단을 닫는 경우 상기 공조 모듈(8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과하여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고, 상기 전면개구부를 닫고 하단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송풍기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블로워 루버(181)를 통과하여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된다. 즉,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공조 모듈(810)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제1 공기토출구(2) 및 제2 공기토출구(121) 중 하나로 절환한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60)에 설치되는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800)의 상기 유로절환 베인의 회전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욕실 내를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본체(210,22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본체(210,220)들의 서로 인접한 사이드 프레임(214,213)의 전면에는 센터 커버(18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 본체(210,220)가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전면과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전면에는 센터 커버(184)가 설치된다. 센터 커버(184)는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 및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을 전방에서 가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센터 커버(184)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삽입된 후,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양 사이드 프레임(213,214)의 전면에 체결된 모듈체결 리브(미도시)를 전방에서 가리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곽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의 내부를 투영한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열전 모듈이 마운팅 브래킷에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 모듈(600)은 외곽 케이스(620)와, 외곽 케이스(6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이너 도어(630)를 포함한다.
외곽 케이스(620)는 전면 중 좌측부분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곽 케이스(620)의 양측면에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형성된 이너 리브(215)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리브(610)가 형성된다. 외곽 케이스(3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610)는 냉장 모듈(600)을 프레임(200) 내의 장착공간으로 삽입시에 이너 리브(215)에 의해 삽입이 안내되면서 지지되고, 냉장 모듈(600)이 프레임(200) 내의 장착공간에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너 리브(215)에 의해 지지되어, 냉장 모듈(600)이 이너 리브(215)에 의해 프레임(200) 내의 장착공간으로 삽입이 안내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외곽 케이스(620)에는 냉장 보관이 요구되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실(621)과, 수납실(621)의 일측에 기계실(622)이 형성된다. 외곽 케이스(620)는 격벽(623)을 가지고 있으며, 격벽(623)을 기준으로 일측에 수납실(621)이 형성되고, 격벽(623)을 기준으로 타측에 기계실(622)이 형성된다. 즉, 외곽 케이스(620)의 내부공간은 격벽(623)에 의해 수납실(621) 및 기계실(622)로 구획되어, 외곽 케이스(620)는 수납실(621)과 별도로 구획된 기계실(622)을 가지게 된다.
수납실(621)은 전면이 개구되고, 이 개구된 수납실(621)은 이너 도어(630)에 의해 개폐된다.
이너 도어(630)는 외곽 케이스(620) 중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곽 케이스(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수납실(621)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기계실(622)에는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640)이 설치된다. 열전 모듈(640)은 격벽(623)에 설치되어 기계실(622) 내에 배치된다. 열전 모듈(640)은 전력에 의해 일면에서 열기를 생성하고 타면에서 냉기를 생성하여서, 수납실(621)로 냉기를 공급하고, 기계실(622)로 열기를 배출한다.
외곽 케이스(620)에는 기계실(622)와 연통하는 공기흡입구(624) 및 공기배출구(625)가 형성된다. 공기흡입구(624)는 외곽 케이스(620) 중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측면에 열전 모듈(64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공기배출구(625)는 외곽 케이스(620) 중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후면에 열전 모듈(64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공기흡입구(624)를 통해 기계실(622)로 유입된 공기는 열전 모듈(640)과 열교환된 후 공기배출구(625)를 통해 기계실(622)의 외부로 배출된다.
외곽 케이스(620) 중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측면에는 공기흡입구(624)에 흡입그릴(601)이 설치된다. 흡입그릴(601)은 공기흡입구(624)를 통해 기계실(622)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623)에는, 열전 모듈(640)을 거친 공기가 수납실(621)로 유동하는 제1 유로(626)와, 수납실(621)의 공기가 열전 모듈(640)로 유동하는 제2 유로(627)가 형성된다.
제2 유로(62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유로(626)는 복수의 제2 유로(6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2 유로(627)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하나로 형성된다.
격벽(623)에는 제1 유로(626) 및 제2 유로(627)에 데코부재(602)가 설치될 수 있다.
열전 모듈(640) 중 제1 유로(626)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송풍팬(603)이 설치된다. 송풍팬(603)은 열전 모듈(640)에서 냉각된 공기를 제1 유로(626)를 통해 수납실(621)로 송풍한다.
열전 모듈(640)은 마운팅 브래킷(640)을 통해 격벽(623)에 설치된다. 즉, 마운팅 브래킷(650)은 열전 모듈(640)을 마운팅하여 격벽(623)에 결합된다. 마운팅 브래킷(650)은 전면에 열전 모듈(640)을 마운팅하는 마운팅부(651)가 돌출 형성되고, 격벽(623)과 맞닿는 면인 후면에는 공기유동공간(652)이 형성된다.
마운팅 브래킷(650)이 격벽에 설치된 상태일 때, 격벽(623)에 형성되는 제1 유로(626) 및 제2 유로(627)는 마운팅 브래킷(650)의 후면에 형성된 공기유동공간(652)과 연통된다.
열전 모듈(640)은, 일면에 복수의 제1 핀(641)이 돌출 형성되고, 타면에 복수의 제2 핀(642)이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핀(641)은 열전 모듈(640)의 일면에서 생성된 열기를 확산시키고, 복수의 제2 핀(642)은 열전 모듈(640)의 타면에서 생성된 냉기를 확산시킨다.
복수의 제1 핀(641)은 공기배출구(625)의 공기흐름 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핀(642)은 복수의 제1 핀(641)과 직교되게 형성된다. 즉, 복수의 제1 핀(641)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핀(642)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마운팅 브래킷(650)에 형성된 마운팅부(651)는 상하로 이격되어 두 개가 형성되어서, 상측에 배치되는 마운팅부(651)는 복수의 제1 핀(641)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것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마운팅부(651)는 복수의 제1 핀(641)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것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마운팅 브래킷(650)에는 복수의 제2 핀(642)이 삽입되는 관통홀(653)이 형성된다. 즉, 열전 모듈(640)이 마운팅 브래킷(650)의 전면에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된 마운팅부(651) 사이로 삽입되어 마운팅부(651)에 의해 마운팅되면, 복수의 제2 핀(642)은 관통홀(653)로 삽입되어 공기유동공간(652)으로 돌출된다.
송풍팬(603)은 복수의 제2 핀(642)에 결합되어 마운팅 브래킷(650)의 공기유동공간(652) 내에 배치되며, 제1 유로(626)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송풍팬(603)은 복수의 제2 핀(642)이 확산시키는 냉기를 제1 유로(626)를 통해 수납실(621)로 송풍한다.
공기흡입구(624)는 외곽 케이스(620) 중 복수의 제1 핀(641)이 돌출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625)는 외곽 케이스(620) 중 공기흡입구(624)와 직교되는 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흡입구(624)를 통해 기계실(622) 내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제1 핀(641) 사이의 틈을 수평한 방향으로 지나면서 복수의 제1 핀(641)에서 확산시키는 열기와 열교환된 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공기배출구(625)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1 유로(626)는 격벽(623) 중 송풍팬(603)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고, 제2 유로는 제1 유로(626)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2 핀(642)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납실(621) 내의 공기는 제2 유로(627)를 통해 공기유동공간(652)으로 유입된 후, 복수의 제2 핀(642) 사이의 틈을 수직한 방향으로 지나면서 복수의 제2 핀(642)에서 확산시키는 냉기와 열교환된 후, 송풍팬(603)에 의해 제1 유로(626)로 송풍되어 수납실(621)로 다시 유입된다.
외곽 케이스(620)는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후면이 개구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외곽 케이스(620)의 개구된 후면은 백 커버(604)에 의해 차폐된다. 즉, 백 커버(604)는 외곽 케이스(620)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며 외곽 케이스(620)에 결합된다. 물론, 백 커버(604)에는 공기배출구(625)가 형성된다.
수납실(621) 내에는 수납실 광원(661,66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수납실 광원(661,662)은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도어(630)의 개방시 점등되어 빛을 생성하고 이너 도어(630)가 닫혔을 때에는 소등될 수 있다. 수납실 광원(661,662)이 이너 도어(630)의 개방시 빛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납실(621) 내에 보관된 냉장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수납실 광원(661,662)은 수납실(621)의 후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수납실 광원(661)과, 수납실(621)의 후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수납실 광원(662)을 포함한다.
외곽 케이스(620)는 수납실(621)의 후면 일측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제1 모서리 개구부(605)와, 수납실(621)의 후면 타측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제2 모서리 개구부(606)가 형성된다.
제1 모서리 개구부(605)는 제1 수납실 광원 커버(663)에 의해 차폐된다. 즉, 제1 수납실 광원 커버(663)는 제1 모서리 개구부(605)를 차폐하며 외곽 케이스에 결합된다. 제1 수납실 광원 커버(663)에 제1 수납실 광원(661)이 마운팅된 후, 제1 수납실 광원 커버(663)는 제1 모서리 개구부(605)를 차폐하면서 외곽 케이스(6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모서리 개구부(606)는 제2 수납실 광원 커버(664)에 의해 차폐된다. 즉, 제2 수납실 광원 커버(664)는 제2 모서리 개구부(606)를 차폐하며 외곽 케이스(620)에 결합된다. 제2 수납실 광원 커버(664)에 제2 수납실 광원(662)이 마운팅된 후, 제2 수납실 광원 커버(664)는 제2 모서리 개구부(606)를 차폐하면서 외곽 케이스(6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곽 케이스(620)에는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기계실(622)과 연통하는 제1 돌기 가이드홀(628)이 형성된다. 또한, 기계실(622)에는 제1 돌기 가이드홀(628)과 대응되는 부분에 열전 모듈(640)을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607)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너 도어(630)의 후면에는 제1 돌기 가이드홀(628)로 삽입되어 제1 스위치(607)를 가압하는 제1 스위치 돌기(631)가 형성된다. 제1 스위치(607)는 제1 스위치 돌기(631)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온상태가 되고, 제1 스위치 돌기(631)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 오프상태가 된다.
이너 도어(630)가 닫힌 상태일 때 제1 스위치 돌기(631)는 제1 돌기 가이드홀(628)로 삽입되어 제1 스위치(607)를 가압하여 온시켜서 열전 모듈(640)이 작동되도록 하고, 이너 도어(630)가 개방된 상태일 때 제1 스위치 돌기(631)는 제1 돌기 가이드홀(628)로부터 빠져나와 제1 스위치(607)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1 스위치(607)를 오프시켜서 열전 모듈(640)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너 도어(6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열전 모듈(640)이 정지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이너 도어(630)를 개방된 상태로 두었을 경우에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이너 도어 중 이너 도어 본체가 닫히고 미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러 도어에서 미러를 제거하여 미러 도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너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냉장 모듈이 프레임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과,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이너 도어(630)는 두 개의 도어(637,638)로 구성된다. 즉, 이너 도어(630)는 외곽 케이스(62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실(621)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637)와, 이너 도어(630)의 전면을 형성하고 이너 도어 본체(63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 도어(638)를 포함한다.
미러 도어(638)는 회전시 이너 도어 본체(6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면에 미러(635)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수납실(621)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토록 이너 도어 본체(637)가 수납실(621)을 닫은 상태로 둔 채로, 미러 도어(638)가 이너 도어 본체(6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키면서, 미러(635)에 비추는 자신의 머리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미러 도어(638)는 사용자에 의해 최대로 회전되어 이너 도어 본체(6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때, 개방된 도어(920)의 측면으로 돌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방된 도어(920)의 전면에 구비된 미러(921)를 통해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바라보면서, 미러 도어(638)의 전면에 구비된 미러(635)를 통해 자신의 머리의 측면도 함께 바라볼 수 있다.
이너 도어 본체(637)는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와,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을 포함한다.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는 사각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은 외곽 케이스(62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외곽 케이스(620) 중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 상단 및 전면 하단에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힌지홀(609)이 형성된다.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이 외곽 케이스(620)에 형성된 제1 힌지홀(60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이너 도어 본체(637)는 외곽 케이스(62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미러 도어(638)는 미러(635)의 후면에 결합되어 미러(635)를 지지하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를 포함한다.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는 사각 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전면에는 미러(635)가 결합된다.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의 일측은 외곽 케이스(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의 타측에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에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힌지홀(639)이 형성된다.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가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에 형성된 제2 힌지홀(63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미러 도어(638)는 이너 도어 본체(63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외곽 케이스(620)에는 기계실(6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기계실(622)과 연통하는 제2 돌기 가이드홀(629)이 형성된다. 또한, 기계실(622)에는 제2 돌기 가이드홀(629)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스위치(608)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너 도어 본체(637)에는 제2 돌기 가이드홀(629)과 연통하는 제3 돌기 가이드홀(633A)이 형성된다. 제3 돌기 가이드홀(633A)은 이너 도어 본체(637)가 닫힌 상태일 때 제2 돌기 가이드홀(629)과 연통된다. 제3 돌기 가이드홀(633A)은 이너 도어 본체(637) 중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에 형성된다.
그리고, 미러 도어(638)에는 내부에 제2 스위치(608)에 의해 점등되어 미러(635)로 비추는 미러 도어 광원(670)이 배치된다. 미러 도어 광원(670)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미러 도어(638)에는 후면에 제2 돌기 가이드홀(629) 및 제3 돌기 가이드홀(633A)로 삽입되어 제2 스위치(608)를 가압하는 제2 스위치 돌기(632)가 형성된다. 제2 스위치 돌기(632)는 미러 도어(638)가 이너 도어 본체(637)에 완전히 붙어 있을 경우에만 제2 스위치(608)를 가압한다. 제2 스위치 돌기(632)는 미러 도어(638) 중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후면에 형성된다.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전면에는 미러 도어 광원(670)이 삽입 장착되는 미러 도어 광원 장착부(636A)가 형성된다. 미러 도어 광원 장착부(636A)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전면 중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이 각각의 미러 도어 광원 장착부(636A)에 미러 도어 광원(670)이 하나씩 삽입 장착된다. 미러 도어 광원 장착부(636A)에 미러 도어 광원(670)이 삽입 장착된 후,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전면에 미러(635)가 결합됨으로써, 미러 도어 광원(670)은 미러 도어(638)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스위치 돌기(632)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2 스위치(608)는 제2 스위치 돌기(632)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온상태가 되고, 제2 스위치 돌기(632)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오프상태가 된다.
미러 도어(638)가 이너 도어 본체(637)의 전면에 완전히 붙어 있을 경우에 제2 스위치 돌기(632)는 제2 스위치(608)를 가압하여 오프시켜서 미러 도어 광원(670)을 소등시키고, 미러 도어(638)가 회전되면서 이너 도어 본체(6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었을 경우에 제2 스위치 돌기(632)는 제2 스위치(608)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2 스위치(608)를 온시켜서 미러 도어 광원(670)을 점등시킨다.
미러 도어 광원(670)은 점등되어 빛을 미러(635)로 비춰서 미러(635)가 은은하게 발광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미러(635)를 통해 자신의 머리를 볼 때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미러 도어 광원(670)의 전선(671)은 이너 도어 본체(63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미러 도어(638)의 일측에서 미러(635) 및 미러 도어 플레이트(636) 사이를 통해 빠져나온 후, 미러 도어(638)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이너 도어 본체(637)의 타측에서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 및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 사이를 통해 이너 도어 본체(637)의 내부로 삽입된 후,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의 내부를 따라 배선되어 외곽 케이스(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이너 도어 본체(637)의 일측에서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633) 및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634) 사이를 통해 이너 도어 본체(637)의 외부로 빠져나온 후, 외곽 케이스(620)에 형성된 기계실(622)의 내부로 들어간다. 따라서, 이너 도어 본체(637) 및 미러 도어(638)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었을 경우에, 미러 도어 광원(670)의 전선(671)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사용자가 개방된 도어(920)의 미러(921)를 통해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바라보면서, 미러 도어(638)의 전면에 구비된 미러(635)를 통해 자신의 머리의 측면도 함께 바라볼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 외곽 케이스(62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실(621)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637)와, 이너 도어 본체(63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이너 도어 본체(63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미러 도어(638)로 이너 도어(630)를 구성하여, 이너 도어(630)가 냉장 모듈(6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너 도어(630)를 이너 도어 본체(637) 및 미러 도어(638)로 구성하여, 다른 기능모듈(300,400,500,700)의 전면이 개구된 수납실을 형성하는 외곽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수납실을 개폐하도록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복수의 제1 핀(641)의 공기흐름방향으로 공기흡입구(624) 및 공기배출구(625)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핀(642)의 공기흐름방향으로 제1 유로(626) 및 제2 유로(627)가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 모듈(640)에서 생성된 열기가 기계실(62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열전 모듈(640)이 쉽게 냉기를 생성할 수 있고, 열전 모듈(640)에서 생성된 냉기가 수납실(62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수납실(621)의 온도를 단시간에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의 정면을 도어(920)에 구비된 미러(921)를 통해 바라보면서, 자신의 머리의 측면을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이너 도어(630)에 구비된 미러(635)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캐비닛 200 : 프레임
300 : 타월 케어 모듈 400 : 살균 모듈
500 : 시크릿 박스 모듈 600 : 냉장 모듈
601 : 흡입그릴 603 : 송풍팬
604 : 백 커버 605 : 제1 모서리 개구부
606 : 제2 모서리 개구부 607 : 제1 스위치
608 : 제2 스위치 620 : 외곽 케이스
621 : 수납실 622 : 기계실
623 : 격벽 624 : 공기흡입구
625 : 공기배출구 626 : 제1 유로
627 : 제2 유로 628 : 제1 돌기 가이드홀
629 : 제2 돌기 가이드홀 630 : 이너 도어
631 : 제1 스위치 돌기 632 : 제2 스위치 돌기
633: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 633A : 제3 돌기 가이드홀
634 :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 635 : 미러
636 : 미러 도어 플레이트 636A : 미러 도어 광원 장착부
637 : 이너 도어 본체 638 : 미러 도어
640 : 열전 모듈 641 : 제1 핀
642 : 제2 핀 650 : 마운팅 브래킷
652 : 공기유동공간 653 : 관통홀
661 : 제1 수납실 광원 662 : 제2 수납실 광원
663 : 제1 수납실 광원 커버 664 : 제2 수납실 광원 커버
670 : 미러 도어 광원 671 : 미러 도어 광원의 전선
700 : 충전 모듈 900 : 도어
911,912 : 미러

Claims (16)

  1.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된 도어; 및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시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전면이 개구된 수납실이 형성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가 구비된 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도어는,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미러 도어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되고,
    상기 미러 도어는, 최대로 회전되어 상기 이너 도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때, 상기 개방된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실의 일측에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상기 기계실과 연통하는 제2 돌기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상기 기계실에 제2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는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과 연통하는 제3 돌기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도어에는, 내부에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로 비추는 미러 도어 광원이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 및 상기 제3 돌기 가이드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 스위치 돌기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는,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외곽 케이스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도어는, 상기 미러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미러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빛을 생성하여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로 비추는 미러 도어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 도어 광원의 전선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미러 도어의 일측에서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도어 플레이트 사이를 통해 빠져나오고,
    상기 미러 도어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 사이를 통해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선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 사이를 통해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외부로 빠져나와 상기 외곽 케이스에 형성된 기계실의 내부로 들어가는 욕실관리기.
  5.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된 도어;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전면이 개구된 수납실이 형성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가 구비된 냉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도어는,
    상기 수납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이너 도어 본체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미러가 구비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미러 도어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되고,
    상기 미러 도어는, 최대로 회전되어 상기 이너 도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때, 상기 개방된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실의 일측에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상기 기계실과 연통하는 제2 돌기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상기 기계실에 제2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는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과 연통하는 제3 돌기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도어에는, 내부에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로 비추는 미러 도어 광원이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제2 돌기 가이드홀 및 상기 제3 돌기 가이드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2 스위치 돌기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는,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외곽 케이스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도어는, 상기 미러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 도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미러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빛을 생성하여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로 비추는 미러 도어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 도어 광원의 전선은,
    상기 이너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미러 도어의 일측에서 상기 미러 도어에 구비된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도어 플레이트 사이를 통해 빠져나오고,
    상기 미러 도어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 사이를 통해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선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도어 본체 프레임 사이를 통해 상기 이너 도어 본체의 외부로 빠져나와 상기 외곽 케이스에 형성된 기계실의 내부로 들어가는 욕실관리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는 내부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기 수납실과 기계실로 구획되고,
    상기 냉장 모듈은,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일면에 열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1 핀이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납실을 향하는 타면에는 냉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2 핀이 돌출되어 수직하게 배치된 열전 모듈과,
    상기 복수의 제2 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핀이 확산시키는 냉기를 상기 수납실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곽 케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핀이 돌출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기계실과 연통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직교되는 후면에 상기 기계실과 연통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부분에 상기 수납실과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제2 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실과 연통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을 마운팅하여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격벽에 맞닿는 면에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공간과, 상기 복수의 제2 핀이 삽입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으로 돌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유동공간 내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복수의 제2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는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부분의 후면이 개구되고,
    상기 외곽 케이스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며 상기 외곽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에는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상기 기계실과 연통하는 제1 돌기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열전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이너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제1 돌기 가이드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스위치를 가압하는 제1 스위치 돌기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도어의 개방시 빛을 생성하는 수납실 광원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광원은,
    상기 수납실의 후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수납실 광원과,
    상기 수납실의 후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수납실 광원을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외곽 케이스는, 상기 수납실의 후면 일측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제1 모서리 개구부와, 상기 수납실의 후면 타측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제2 모서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납실 광원이 마운팅되고, 상기 제1 모서리 개구부를 차폐하며 상기 외곽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수납실 광원 커버와,
    상기 제2 수납실 광원이 마운팅되고, 상기 제2 모서리 개구부를 차폐하며 상기 외곽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수납실 광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KR1020170027839A 2017-03-03 2017-03-03 욕실관리기 KR102327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39A KR102327458B1 (ko) 2017-03-03 2017-03-03 욕실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39A KR102327458B1 (ko) 2017-03-03 2017-03-03 욕실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76A KR20180101076A (ko) 2018-09-12
KR102327458B1 true KR102327458B1 (ko) 2021-11-16

Family

ID=6359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839A KR102327458B1 (ko) 2017-03-03 2017-03-03 욕실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384B (zh) * 2021-03-09 2022-03-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台嵌式消毒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64Y1 (ko) * 2002-06-14 2002-09-11 대우전자주식회사 온도 제어 장치가 구비된 반찬 냉장고
JP2005304944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423138Y1 (ko) * 2006-04-27 2006-08-03 주식회사 그라스텍 화장품냉장고 일체형 수납장
JP2009028257A (ja) *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445038Y1 (ko) * 2008-04-16 2009-06-25 주식회사 하이럭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화장품용 냉장고
JP2017032207A (ja) * 2015-07-31 2017-02-09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保存庫及び電子冷蔵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64Y1 (ko) * 2002-06-14 2002-09-11 대우전자주식회사 온도 제어 장치가 구비된 반찬 냉장고
JP2005304944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423138Y1 (ko) * 2006-04-27 2006-08-03 주식회사 그라스텍 화장품냉장고 일체형 수납장
JP2009028257A (ja) *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445038Y1 (ko) * 2008-04-16 2009-06-25 주식회사 하이럭스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화장품용 냉장고
JP2017032207A (ja) * 2015-07-31 2017-02-09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保存庫及び電子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76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073B1 (ko)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KR102334744B1 (ko) 욕실관리기
KR102334745B1 (ko) 욕실관리기
KR102339976B1 (ko) 욕실관리기
KR102352579B1 (ko) 욕실관리기
KR102542121B1 (ko) 욕실관리기
KR102267351B1 (ko) 욕실관리기
KR102334746B1 (ko) 욕실관리기
KR20180044589A (ko) 욕실관리기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102327458B1 (ko) 욕실관리기
JP6643679B2 (ja) 化粧台、および送風機能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US10501918B2 (en) Washstand cabinet
KR20180044588A (ko) 욕실관리기
KR20180049912A (ko) 욕실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