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906B1 -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06B1
KR102618906B1 KR1020207006339A KR20207006339A KR102618906B1 KR 102618906 B1 KR102618906 B1 KR 102618906B1 KR 1020207006339 A KR1020207006339 A KR 1020207006339A KR 20207006339 A KR20207006339 A KR 20207006339A KR 102618906 B1 KR102618906 B1 KR 10261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driver
pin
couple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405A (ko
Inventor
안드레 리차드 앤더슨
가쓰 콜린 키슬리
앤드류 제임스 필립 라이더
마이클 휴 제임스 라이더
Original Assignee
웨지락 이큅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지락 이큅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웨지락 이큅먼트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4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978A/ko
Publication of KR2020004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4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uto-engagement means for automatic snap-on of the tool couple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ngitudinal 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31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transversal 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here engagement is effected by a mechanical lever or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7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here disengagement is effected by a mechanical lever or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1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the closing member being operable remotely, e.g. by cables, chains 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hovel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를 토공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커플러는 포획 영역을 갖는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의 핀이 포획 영역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핀을 포획 영역에 포획시킬 수 있지만, 리테이너는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포획 영역으로부터 핀을 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핀이 포획 영역의 내외로 이동하고, 드라이버를 리테이너에서 디커플링시키며 이후 리테이너가 스프링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다시 바이어스될 수 있을 때 핀이 트리거를 타격할 것이다.

Description

퀵 커플러
본 발명은 토공 기계(earth working machines)용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만 배타적이지 않게,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attachment)용 유지 부재를 리셋(reset)하기 위한 트리거 기구를 갖는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퀵 커플러는 예를 들어 버킷(bucket)과 같은 어태치먼트를 굴삭기에 신속하게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는 데 사용된다. 퀵 커플러는 굴삭기 아암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퀵 커플러는 기계 조작자가 어태치먼트를 굴삭기의 캡(cab) 또는 작동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필요 없이 어태치먼트를 결합 및 결합해제할 수 있게 한다. 지면에 놓인 어태치먼트는 조작자가 굴삭기의 아암을 조작하여 어태치먼트와 커플링시킴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어태치먼트를 조작하는데 다른 어떤 도움도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커플링 달성이 "신속"하다.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를 굴삭기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퀵 커플러의 한 가지 형태가 NZ546893호에 기재되어 있다. NZ546893호에서 알 수 있고 도 1a 내지 도 1b 및 도 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태치먼트는 통상적으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그 각각이 퀵 커플러의 각각의 리셉터클(receptacle)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는 두 개의 병렬 핀(P1, P2)을 갖는다. 전방 핀(P1)은 굴삭기 근처에 유지될 수 있고 후방 핀(P2)은 굴삭기에서 멀리 유지된다. 퀵 커플러는 그 어태치먼트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어태치먼트는 무거울 수 있으며 큰 부하를 운반할 수 있다. 안전한 커플링 설정의 오류는 치명적인 사고나 손상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성 증대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퀵 커플러에 의한 어태치먼트의 신속한 커플링 및 디커플링(decoupling) 또한 요구된다. 따라서 안전한 커플링과 신속한 커플링 사이에는 갈등이 존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P1)은 리셉터클(R1)에 수용될 수 있고 핀(P2)은 리셉터클(R2)에 수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R1)에는 핀(P1)을 리셉터클(R1)에 유지할 수 있는 안전 리테이너(6)가 제공된다. 리셉터클(R2)에는 핀(P2)을 리셉터클(R2)에 유지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쐐기(3)가 제공된다.
굴삭기에는 통상적으로 유압식 송출 및 복귀 라인과, 아암 단부에 유압식 부품을 서비스하기 위한 유압식 4/2 밸브가 제공된다. 이는 리테이너(6)와 쐐기(3) 모두를 작동시켜 하나의 핀 또는 두 개 모두의 핀을 결합 및/또는 결합해제하기 위해 퀵 커플러의 유압식 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NZ546893호에서는 두 개의 유압식 램이 사용된다. 하나는 리테이너용이고 다른 하나는 쐐기용이다.
NZ546893호에 기재된 종류의 퀵 커플러로부터 어태치먼트가 어떻게 분리될 수 있는지의 일 예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아암(7)의 단부에 그 어태치먼트가 고정된 굴삭기(5)를 도시한다. 어태치먼트는 커플러로부터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지면과 같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핀이 고정되어 있는 커플러를 도시한다. 도 4는 리테이너(6)와 쐐기(3) 양자의 후퇴를 도시한다. 이는 조작자가 적절한 유압 회로 상의 유압 생성을 촉발시켜 리테이너와 쐐기 각각을 위한 유압식 램을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유압식 램은 리테이너와 쐐기를 각각 해제 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5는 핀(P1) 및 핀(P2)이 각각의 리셉터클(R1, R2)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조작자가 어떻게 커플러를 어태치먼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쐐기 및 리테이너가 해제 상태에 있는 것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 타이머 시스템은 리테이너(6)의 작동을 촉발시켜 리테이너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그 유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NZ546893호에 기재된 종류의 퀵 커플러에 어태치먼트가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쐐기(3)가 후퇴된 것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리셉터클(R1) 내로의 핀(P1) 진입과 리테이너(6)가 진입할 수 있도록 이동됨을 도시한다. 리테이너는 핀(P1)이 리셉터클(R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피벗될 수 있다. 핀(P1)이 리셉터클(R1) 내로 충분히 멀리 이동되면 리테이너(3)는 그 유지 상태로 복귀 이동하기 위해 스프링 로딩된다. 핀(P1)이 리셉터클(R1) 내로 충분히 멀어지면 리테이너는 스프링의 영향 하에 유지 상태로 스냅될 것이다. 스냅 끼워맞춤 유지는, 부착 중에 리테이너가 유지 상태로 이동하게 만들기 위해서 조작자 입력이 전혀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핀(P1)은 리셉터클(R1) 내로 충분히 깊이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도 9는 조작자가 쐐기를 신장시켜 핀(P2)을 리셉터클(R2)에 유지하기 위해 유압 생성을 촉발시킨 것을 도시한다. 이후 어태치먼트가 커플러에 고정됨을 보장하기 위해 신속 래틀(rattle) 테스트가 수행된다.
안전을 위해, 도 2 내지 도 10의 퀵 커플러는 타이머 시스템에서 리테이너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테이너 해제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P1)을 해제하기 위해, 리테이너는 그 유지 위치로 다시 리셋된다. 이것은 리테이너가 핀(P1)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 조건으로 리셋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리테이너를 유지 위치로 다시 리셋하기 위한 전기 및 유압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를 그 해제 상태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것과 리테이너가 그 유지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기 전의 사이에는 사전-설정된 시간이 포함된다. 이는 조작자에게 리셉터클(R1)에서 핀(P1)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리테이너(6)가 상승하는 동안 경보가 울릴 수 있으며, 따라서 조작자는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시간 지연은 10초일 수 있다. 이는 너무 길 수 있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퀵 커플러를 사용하는 타이머는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조작자는 유압식 램을 제어하여 제 2 핀(P2)을 해제할 수 있으며, 거의 동시에 제 1 핀(P1)을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설정된 기간 동안 해제시킨다. 조작자가 설정된 기간 내에 퀵 커플러로부터 어태치먼트를 제거하지 않으면, 리테이너는 유지 위치로 리셋될 것이다. 리테이너가 유지 위치로 복귀하고 핀(P1)이 아직 연결되어 있음을 조작자가 깨닫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어태치먼트를 제거하려고 시도하여 리테이너를 손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의 퀵 커플러는 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램과 리테이너를 후퇴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압식 램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4/2 밸브로는 두 가지 유압식 램 모두를 제어하고 타임아웃 기능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가지 램 모두가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OEM 유압식 밸브를 굴삭기에 맞게 개조할 필요가 있거나, 추가적인 유압 라인 쌍이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비용을 추가시킨다.
공지된 퀵 커플러는 또한 어태치먼트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어태치먼트가 굴삭기 쪽으로 완전히 밀집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브레이커 바와 같은, 무게 중심이 퀵 커플러 부착 영역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는 일부 어태치먼트의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브레이커 바는 운반용 크레이들에 수직으로 보관될 수도 있다. 브레이커 바가 결합해제를 위해 굴삭기 쪽으로 밀집되고 이후 수직 크레이들 위치에 로딩될 필요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합해제되거나 부분적으로 결합해제된 어태치먼트의 취급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은 전술한 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극복하는 커플러 및/또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토공 기계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 명세서 및 기타 문서를 포함하는 외부 정보원이 언급되는 본 명세서에서, 이것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한 문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정보원에 대한 언급은, 어떠한 관할권에서도, 이러한 정보원이 선행 기술이거나 해당 기술 분야의 일반 상식의 일부를 형성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서, 방법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기술되는 경우에, 순서(sequence)는 이 순서를 해석하는 다른 논리적 방식이 없다면 단계가 그 순서로 연대순으로 정렬되어야 함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토공 기계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어태치먼트의 핀이 리셉터클의 통로를 통해서 리셉터클의 포획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통과할 수 있는 마우스 개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의 통로는 커플러 보디로부터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리테이너에 의해 핀이 포획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폐색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에 의해 핀이 포획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통로 폐색된 제 1 위치로 바이어스되고,
(i) 상기 핀을 리테이너에 대해 강제하여 리테이너를 그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제 2 위치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핀이 포획 영역 내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ⅱ) (a) 리테이너와 결합되어, 리테이너가 드라이버에 의해 그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b)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드라이버가 리테이너 위치를 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핀이 포획 영역으로부터 퇴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통로에 대해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러는, 결합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핀이 통로를 통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핀에 의해 그렇게 이동될 때 드라이버가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할 수 있는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플러라고 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는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에 있지 않으면 바이어스의 영향 하에 그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플링된 리테이너와 드라이버가 디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는 리테이너가 드라이버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유지되지 않도록 커플링된 리테이너와 드라이버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디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그 커플링된 상태와 디커플링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보디에 대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커플링된 상태와 디커플링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고 트리거는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드라이버와 트리거 각각은 공통 회전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는 토공 기계에 고정될 수 있거나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보디에 의해 배치되고, 상기 리테이너와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디에 대해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보디에 대해 장착되며, 보디에 대해 회전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고정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차축에 의해 커플러 보디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이동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커플러 보디 및 리셉터클에 대해 배치되는 그 제 1 위치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이동이 리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보디에 대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의 제 1 위치에 대응하고 그 제 2 위치는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의 제 2 위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 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드라이버 이동은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드라이버와 리테이너의 커플링에 의해 유도되는 일체의 회전 운동을 제외하고 직선적이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이동을 차단하기에 충분하게 커플러 보디로부터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그 제 1 위치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이동이 리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커플러 보디로부터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그 제 1 위치와 리테이너가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는 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그 제 2 위치에 있을 때보다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더 많이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2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는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정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지부는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가 그것에 대해 바이어스되는 정지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 스프링은 리테이너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리테이너 상에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리테이너를 보디에 장착시키는 샤프트 상에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의 제 1 위치는 리테이너를 더 가깝게 또는 포획 영역에 배치하는 제 2 위치보다 리테이너를 리셉터클의 마우스에 더 가깝게 배치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축은 핀이 상기 리셉터클에 유지될 때 핀의 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는 상기 핀이 리셉터클 내에 유지될 때 상기 핀이 상기 포획 영역으로부터 퇴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핀이 마우스를 통해서 리셉터클 내로 이동할 때 상기 핀이 리테이너를 지나서 포획 영역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및 리테이너(또는 리테이너를 보디에 장착시키는 샤프트)는 상기 드라이버가 그 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작동적으로 함께 결합되고 드라이버가 그 디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작동적으로 결합해제되는 커플링으로서 작용하는 상호 공동-작동 가능한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는 상기 드라이버가 그 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연결되고 드라이버가 그 디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분리되는 커플링으로서 작용하는 상호 공동-작동 가능한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커플링은 리테이너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는 커플링될 때 함께 포획 또는 인덱싱 또는 후크연결 또는 치합되며 디커플링될 때 분리 또는 후크해제(unhook)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는 리테이너 피벗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있는 장소에서, 커플링될 때 함께 후크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의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는 드라이버가 디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드라이버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가 그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까지 드라이버를 그 디커플링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플링은 리테이너의 리테이너 러그 및 리테이너와 드라이버를 커플링하기 위해 리테이너 러그와 커플링될 수 있는 드라이버의 커플링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러그는 커플링될 때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회전 토크를 한 방향으로 인가하여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테이너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보디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상기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상기 보디에 직접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와 트리거는 함께 보디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와 트리거는 보디에 대해 일제히 회전식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께 보디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및 트리거는 보디에 대해 일제히 회전식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께 보디에 장착되며 드라이버는 트리거에 대해 회전식으로 또는 직선적으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및 트리거는 보디에 대해 일제히 회전식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함께 보디에 장착되며 드라이버는 트리거에 대해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리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드라이버가 이동하게 하기 위해 드라이버 액추에이터에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보디에 의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와 트리거는 함께 보디에 장착되며,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버가 트리거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트리거 회전축 주위로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드라이버를 트리거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유압식 드라이버 액추에이터이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유압식이며, 작동되면,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로 또는 그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드라이버가 이동하게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작동-정지(de-actuate)되면, 리테이너에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가 이동 가능하게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에 작용하는 바이어스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가 작동-정지되고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커플링될 때 바이어스가 리테이너를 그 제 1 위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하다.
바람직하게, 바이어스는 드라이버를 커플링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이어스는 드라이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바이어스는 드라이버를 보디에 대해 회전하도록 압박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커플러 보디 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리셉터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 2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상기 제 2 리셉터클은 어태치먼트의 제 2 핀을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리셉터클이 제공되고 제 2 리셉터클은 상기 제 1 리셉터클이 상기 제 1 핀을 유지하고 있을 때 어태치먼트의 제 2 핀을 유지할 수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제 2 리셉터클은 상기 제 1 리셉터클에 상기 제 1 핀이 없을 때 어태치먼트의 제 2 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 2 리테이너가 제공되고 이는 제 2 리셉터클에 배치된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위치와 유지된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는 유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용 유압식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용 유압식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와 동일한 유압 회로 상에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용 유압식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드라이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용 유압식 액추에이터의 작동-정지는 유압식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를 작동-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 비활성화되면, 드라이버에 작용하는 바이어스는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와 커플링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드라이버가 이동하게 만든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의 작동은 기계적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계적 액추에이터는 나사 및 나사산 형태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의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커플러 보디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핀이 상기 제 1 리셉터클의 포획 영역에 들어가고 나올 때 핀에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트리거 영역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포획 영역 내로 또는 그 밖으로 이동하는 핀에 의해 초래되는 보디에 대한 트리거의 운동(바람직하게 회전) 시에 드라이버를 리테이너에 대해 충분히 이동(바람직하게 드라이버를 회전)시켜 드라이버와 리테이너를 디커플링시키는 방식으로 드라이버와 접촉하거나 및/또는 드라이버를 이동시키는 트립(trip) 영역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리테이너와의 커플링 및 디커플링을 위해 회전하고, 리테이너와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병진 방식으로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트립 영역은 드라이버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트리거의 표면이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보디에 대한 회전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이 위치에서 트리거는 포획 영역 내로 및/또는 그 밖으로 이동할 때 핀에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의 회전 바이어스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가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사이의 디커플링을 초래할 때, 리테이너는 드라이버 또한 리테이너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이어스의 힘 하에 그 제 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플러는 토공 기계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유압식 액추에이터(들)용 유압식 펌프는 토공 기계에 의해 운반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는 커플러가 토공 기계의 아암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는 리셉터클을 함께 형성하기 위해 그 에지로부터의 리베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이격된 연결된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는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일제히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리테이너가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의 일차 플레이트에 하나씩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일제히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트리거가 커플러 보디의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의 일차 플레이트에 하나씩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는 트리거가 드라이버와 리테이너의 디커플링을 초래할 때 리테이너 바이어스 하에 그 제 1 위치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기 위해 이동하도록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는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는 반면에, 제 1 리테이너는 그 제 1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리테이너는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는 반면에, 제 1 리테이너는 그 제 1 위치에 있고 드라이버로부터 디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에는 리셉터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러 보디는, 상호 평행하고 그 각각이 상기 리셉터클을 형성하기 위해 에지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커플링 핀을 구비하는 어태치먼트를 토공 기계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a. 토공 기계에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커플러 보디,
b. 상기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셉터클,
c. 커플러 보디에 대한 핀 유지 위치에서 핀을 리셉터클에 유지하기 위해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테이너로서, 리테이너에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핀 유지 위치로부터 핀이 리셉터클에서 퇴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드라이버와 커플링 및 디커플링될 수 있는 리테이너,
d. 리테이너와 액추에이터의 디커플링을 초래하기 위해 핀이 리셉터클에 진입 및 이탈하도록 보디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핀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커플러라고 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리테이너가 바이어싱 력의 영향 하에 그 핀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리테이너가 핀 유지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리테이너와 액추에이터를 디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섀시 및 섀시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토공 기계라고 말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전에 기재된 커플러는 아암의 단부에서 지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커플링 핀을 구비하는 어태치먼트를 토공 기계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a. 커플러 보디,
b. 상기 핀을 리셉터클의 마우스를 통해서 수용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셉터클,
c. 상기 핀을 리셉터클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위치와 상기 핀이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리셉터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보디에 의해 배치되는 리테이너로서, 리테이너를 제 1 위치 쪽으로 압박하는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i. 핀이 리셉터클 내로 이동하여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그곳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핀이 마우스를 통해서 리셉터클 내로 이동할 때 핀, 및
ⅱ. 보디에 의해 배치되고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리테이너 커플링된 드라이버
각각에 의해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는, 리테이너, 및
d. 보디에 의해 배치되며,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에 있지 않으면 바이어스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플링된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가 디커플링되도록 이동하게 만들기 위해 상기 핀이 (i) 리셉터클 내로 이동하는 방향 및 (ⅱ)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및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핀에 접촉되고 상기 핀에 의해 보디에 대해 이동되도록 리셉터클에 대해 제공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커플러라고 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섀시는 상기 커플러의 상기 액추에이터(들)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압 모터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들)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밸브를 구비하는 유압 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섀시는 상기 토공 기계의 조작자가 상기 토공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위치하는 캡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압 밸브는 조작자에 의해 상기 캡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장착 핀을 구비하는 어태치먼트를 토공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커플러는 장착 핀을 수용하기 위해 포획 영역을 갖는 리셉터클 및 핀을 포획 영역에 포획시킬 수 있는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로서, 리테이너는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핀을 포획 영역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커플러 보디, 및 핀이 포획 영역 내로 또는 그 밖으로 이동하고 이후 드라이버를 리테이너로부터 디커플링시키도록 이동하며 이후 리테이너가 스프링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다시 바이어스될 수 있을 때 핀의 타격을 받게 될 트리거를 포함하는, 커플러라고 말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장착 핀을 구비하는 어태치먼트를 토공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커플러는 장착 핀을 수용하기 위해 포획 영역을 갖는 리셉터클 및 보디에 대해 유지 위치에 있을 때 핀을 포획 영역에 포획시키는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로서, 리테이너는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핀을 포획 영역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보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커플러 보디, 및 핀이 포획 영역 내외로 이동하고 이후 드라이버를 리테이너로부터 디커플링시키도록 이동하며 이후 리테이너가 드라이버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속되지 않을 때 핀이 트리거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디로부터 제공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커플러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제공되는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또는 둘 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명사 뒤의 "(들)"은 명사의 복수 및/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을 의미한다. 이 용어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및 청구범위]의 설명을 해석할 때, 각각의 설명에서 이 용어를 수반하는 특징부가 모두 존재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특징부도 존재할 수 있다. "포함한다" 및 "포함된"과 같은 관련 용어도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및 하기 인용되는 모든 출원, 특허 및 간행물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언급되거나 지칭되는 부분, 요소 및 특징부와, 상기 부분, 요소 또는 특징부 중 임의의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 또는 모든 조합으로 구성된다고 광의로 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관련된 기술 분야의 공지된 등가물을 갖는 특정 정수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경우에, 이러한 공지된 등가물은 개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커플러와 부분적으로 결합된,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커플러에 완전히 결합된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어태치먼트의 핀과 결합해제된 종래 기술의 커플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어태치먼트의 핀과 결합되는 종래 기술의 커플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유지 시스템의 확대 측면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22는 유지 시스템에 의한 유지를 위해 퇴출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도 23은 핀 퇴출 이후 '리프트 모드'로 리셋된 유지 시스템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도 24 내지 도 31은 도 22 이후와 같이 핀이 퇴출된 후 유지 시스템에 진입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제 1 결합 모드).
도 32 내지 도 41은 대체(제 2 버전) 실시예 유지 시스템을 떠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도 42 내지 도 45는 유지 시스템이 '리프트 모드'에 있는 이후에 유지 시스템에 진입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제 2 결합 모드).
도 46 내지 도 48은 유지 시스템이 '리프트 모드'에 있고 조작자가 결합을 위해 유지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이후에 유지 시스템에 진입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제 3 결합 모드).
도 49는 스프링 바이어스 및 회전 정지부가 상세하게 도시된 본 발명의 유지 시스템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유지 시스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유지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유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3은 대체 유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4는 제 3 버전 유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5는 드라이버와 트리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 특징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 3 버전 유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평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57은 드라이버 램 및 리턴 스프링을 강조하기 위해 트리거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 55의 평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58 내지 도 66은 제 1 결합 모드에서 제 3 버전 유지 시스템에 진입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도 67 내지 도 83은 제 3 버전 유지 시스템에서 퇴출되는 어태치먼트의 핀의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도 84는 드라이버용 래칭 시스템을 강조하는 상세 측면 개략도이다.
유사한 특징부가 일반적으로 유사한 숫자로 표시되는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유지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퀵 커플러(C)가 도시되어 있다. 퀵 커플러는 예를 들어 굴삭기(5)(도 2에 도시됨)의 아암의 단부(7)에 퀵 커플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장착 지점(4A, 4B)을 구비할 수 있는 보디(2)를 포함할 수 있다. 퀵 커플러는 어태치먼트(A)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는 굴삭기 버킷일 수 있다. 어태치먼트(A)는 커플러(C)의 이격된 리셉터클(R1, R2)에서 각각 확고하게 수용될 수 있는 두 개의 평행한 이격된 핀(P1, P2)을 제공한다. 핀(P2)을 리셉터클(R2)에서 유지하기 위해, 제 2 리테이너(3)가 사용된다. 제 2 리테이너(3)는 예를 들어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램(40)에 의해 후퇴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리테이너일 수 있다. 제 2 리테이너는 쐐기 형상이거나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 또는 플레이트 또는 막대 또는 유사물일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R1)에는 유지 시스템(1)이 제공된다. 유지 시스템(1)과 제 2 리테이너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 주위로 교환될 수 있다.
퀵 커플러(C)의 보디(2)는 두 개의 일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는 일차 플레이트(500)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일차 플레이트는 제 1 일차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바람직하게 평행한 상태에서 제 1 일차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보디의 일차 플레이트 및/또는 다른 부분은 바람직하게 리셉터클(R1)을 형성한다. 플레이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한 형상의 에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R1)에는 핀(P1)[예를 들어 어태치먼트(A)의 전방 핀]이 수용될 수 있다. 보디에 결합될 때 핀(P1)과 핀(P2) 또한 일차 플레이트의 측면을 통해서 연장되고 일차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플러의 깊이는 대부분의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에 일차 플레이트 상으로 바라보는 측면도가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완전히 유지된 상태에서, 유지 시스템은 핀(P1)이 리셉터클의 마우스를 통해서 리셉터클(R1)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상태에서 핀(P1)을 리셉터클(R1)의 포획 영역(CR)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셉터클(R1)에서 커플러(C)의 보디(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R1)은 핀(P1)이 이를 통해서 리셉터클(R1)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마우스 개구(M)를 갖는다. 리셉터클(R1)은 핀(P1)이 착좌되어 리테이너(6)에 의해 포획 유지될 수 있는 포획 영역(CR)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 영역에서의 착좌는 느슨하거나 헐거울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하듯이 포획 영역(CR)과 마우스(M)의 중간에는 통로(P)가 존재한다. 핀은 리셉터클(R1)의 상기 통로(P)를 통해서 리셉터클(R1)의 포획 영역(CR)으로 이동하도록 통과할 수 있다. 리셉터클(R1)의 통로(P)는, 통로(P)를 통한 포획 영역에서의 핀 통과를 차단하는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리테이너(6)에 의해 핀이 포획 영역(CR)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색될 수 있다. 도 11에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서, 통로의 일 측부로부터 리셉터클(R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돌출할 수 있는 것은 리테이너(6)이다. 리테이너는 바람직하게 스틸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그 제 1 위치로도 지칭되는 그 유지 상태에 있는 리테이너(6)는 도 11에 도시하듯이 핀(P1)이 포획 영역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R1)을 가로질러 충분히 멀리 돌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테이너(6)는 리테이너 축(15) 주위로 보디(2)에 대해 회전 장착된다(예를 들어 일차 플레이트에 대해 그리고 바람직하게 일차 플레이트에 의해 장착된다). 리테이너 축(15)은 결합될 때 전방 핀(P1)의 긴 핀 축(16)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리테이너(6)는 직선 운동하도록 보디에 장착될 수 있다.
리테이너(6)가 그 리테이너 축(15)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6)는 리테이너 샤프트(17) 상의 보디(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너 샤프트는 그 단부에서 보디의 일차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리테이너(6)는 그 리테이너 축(15) 상에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그 유지 제 1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피벗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를 그 제 1 위치로부터 그 제 2 위치를 향해서 멀리 푸시하는 핀에 의해 또는 후술될 드라이버에 의해 핀(P1)이 리셉터클(R1) 내에 삽입될 때 발생할 수 있다. 리테이너(6)가 도 11에 도시된 그 유지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정지부(33)가 제공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회전 정지부(33)는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6)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대체 형태의 회전 정지부가 제공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리테이너(6)는 도 11에 도시된 그 핀 유지 위치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드라이버(11)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것은 리테이너의 리테이너 러그(8)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러그는 핀일 수 있거나 리테이너(6)의 표면일 수 있거나, 또는 드라이버(11)가 그와 커플링될 수 있도록 구성 및 적응되는 리테이너(6)에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유압식 램(9)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드라이버(11)의 그 제 2 위치로의 이동은 드라이버와 리테이너가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6)가 그 핀 유지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드라이버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드라이버(11)에 의해 리테이너(6)에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리테이너 러그(8)는 리테이너(6)의 리테이너 축(15)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 러그(8)와 후크연결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커플링 영역(19)을 포함할 수 있다.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와 커플링될 때, 리테이너(6)가 리셉터클(R1)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그 제 1 위치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그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모드 및/또는 실시예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리테이너가 도 16, 도 33, 도 46 및 도 73에 도시된 그 제 2 위치에 있을 때 핀이 리테이너(6)와 전혀 간섭할 수 없도록 리테이너(6)가 리셉터클(R1)에서 완전히 퇴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테이너(6)가 핀(P1)과 간섭하기 쉬운 경우에, 핀(P1)은 리테이너를 리테이너 러그(8)가 커플링 영역(19)과 디커플링될 수 있는 지점을 지나서 푸시할 수 있다. 리테이너(6)가 그 제 2 위치에서 리셉터클 외부에 유지되도록 이렇게 완전히 회전하는 것은 우발적 디커플링을 방지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움이 된다.
도 16에 도시된 위치에서 핀(P1)은 리테이너(6)로부터의 간섭 없이 리셉터클(R1)로부터 퇴출될 수 있다. 리셉터클 내로 연장되거나 리셉터클로부터 퇴출하는 것이 언급될 때, 이것은 보디/하우징의 일차 플레이트(500) 상으로 바라보는 참조 프레임이며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어 있음을 알 것이다. 리테이너는 제 1 일차 플레이트(5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대응 리테이너는 제 2 일차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관련 유지 시스템 부품은 마찬가지로 퀵 커플러의 보디의 다른 측에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드라이버(11)의 차축(21)이 이를 따라서 장착되는 하우징의 트랙 또는 슬롯(20)에 의해 경로를 따라 이동[드라이버 액추에이터(9)에 의해 초래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차축(21)은 슬롯(20)을 따라서 병진 이동하기 위해 슬롯(20)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드라이버 축(22)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 러그(8) 및 커플링 영역(19)에서 드라이버(11)를 리테이너(6)와 커플링시키는 도 11에 도시된 커플링된 상태와 커플링 영역(19) 및 리테이너 러그(8)가 서로 디커플링되는 도 22에 도시된 디커플링된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슬롯(20) 및 차축(21)은 이러한 회전이 도 11 및 도 22에 도시된 예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지 시스템(1)은 트리거(10)를 포함한다. 트리거(10)가 트리거 축(24)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트리거(10)는 트리거 차축(23)에 의해 보디(2)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10)는 트리거의 트리거 영역(25)이 리셉터클(R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돌출하거나 돌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10) 및 따라서 트리거 영역(25)은 통로를 통해서 이동하는 핀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될 통로(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돌출한다. 그러므로 트리거 영역(25)은 핀(P1)이 트리거(10)를 통과할 때 핀(P1)에 의해 접촉되며 따라서 그 트리거 축(24) 상에서 회전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트리거는 대신에 (대체 실시예 도 32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2)에 대해 직선 운동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와 리셉터클은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핀이 트리거와의 접촉을 피할 수 없도록 형상화된다.
또한, 일부 형태에서, 트리거(10)는 그 드라이버 축(22) 주위로의 드라이버(11) 회전을 제어하기에 적절한 방식으로 드라이버(11)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트립핑 영역(26)을 가질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트리거(10)의 트립핑 영역(26)에 기대어질 수 있는 트립 핀(27)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축(22), 리테이너 축(15) 및 트리거 축(24)은 모두 상호 평행하며, 유지되거나 진입할 때는 핀 축(16)과도 평행하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 시스템(1)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핀(P1)을 결합해제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 12 내지 도 23 및 핀(P1)을 결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 24 내지 도 31의 시퀀스가 이제 참조될 것이다.
도 12에는 리테이너(6)에 의해 리셉터클(R1)에 안전하고 확실하게 유지되는 핀(P1)이 도시되어 있다.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 러그(8)와 커플링될 때 변위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압식 램(9)은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의 시계 방향 회전을 초래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11)가 변위되게 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유압식 램(9) 및 유압식 램(40)은 드라이버(11) 및 리테이너(3)를 각각 작동시킨다. 유압식 램(9) 및 유압식 램(40)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유압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태치먼트의 해제를 위해, 유압식 램(40)에 압력이 공급되고 리테이너(3)는 핀(P2)을 해제시키기 위해 후퇴되며, 동시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테이너(6)는 드라이버(11)를 거쳐서 유압식 램(9)에 의해 후퇴되어 핀(P1)의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리테이너(6)는 유지 시스템(1)의 기계적 트리거 기구(10)가 전방 핀(P1)의 퇴출에 의해 촉발되기 때문에 어떠한 유압도 요구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유지 위치로 리셋된다. 전술한 상태로부터 어태치먼트(A)를 부착시키기 위해, 핀(P1, P2)은 각각의 리셉터클(R1, R2)에 진입한다. 유압의 역전 또는 해제를 통해서, 유압식 램(40)은 리테이너(3)를 신장시켜 후방 핀(P2)을 유지한다. 리테이너(6)는 설명된 트리거 기구(10)의 작동으로 인해 신장되는 이 리테이너(3)와 무관하다. 그러나, 드라이버(11)는 유압식 램(9)과 결합되며, 드라이버 액추에이터의 유압이 역전 또는 해제되면, 드라이버(11)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부터의) 바이어스 등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드라이버(11)가 그 제 2 위치로 계속 변위되면 리테이너(6)는 리셉터클(R1)로부터의 핀(P1) 제거와 더 이상 간섭하지 않도록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가 리셉터클(R1) 내로 돌출하는 것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를 리셉터클(R1) 내로 여전히 부분 돌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리테이너(6)는 리셉터클(R1)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바람직하게 핀(P1)은 리테이너(6)를 이 위치(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됨)로 푸시할 수 없는데 그것은 이로 인해 리테이너(6)가 드라이버(11)와 다시 래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테이너(6)가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조작자는 핀을 리셉터클(R1) 밖으로 조종하기 위해 굴삭기 아암 및 그로 인해 퀵 커플러(C)를 움직일 수 있다. 리테이너(6)가 리셉터클(R1)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트리거(10)에는 리셉터클(R1) 내로 돌출하는 트리거링 영역(25)이 제공된다. 트리거링 영역은 핀(P1)이 리셉터클(R1)을 떠날 때 핀(P1)과 접촉하도록 리셉터클(R1) 내로 충분히 멀리 돌출한다.
상이한 어태치먼트의 상이한 크기의 핀이 리셉터클(R1)에서 위치맞춤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핀이 트리거(10) 작동 없이 트리거 영역(25)을 통과할 수 없는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25)이 상이한 크기의 핀과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리셉터클을 떠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이유로, 작은 핀(P1)이 리셉터클(R1)에서 퇴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극단적인 경우와 작은 핀이 어떻게 트리거(10)를 여전히 작동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핀 진입 시에, 후술하듯이 큰 핀(P1)이 리셉터클(R1)에 진입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큰 핀(P1)은 극단적인 경우와 큰 핀이 리테이너(6)가 커플링 영역(25)과 결합하게 만들지 않는 방법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어 있다.
트리거 작동은 핀(P1)의 제거 시에 또는 핀(P1)이 포획 영역에 진입할 때의 핀(P1) 힘이 트리거(10)에 작용하여 트리거(10)를 그 트리거 축(24) 상의 회전 등에 의해 이동하게 만들 때 발생한다. 도면에 도시된 배향에서 이러한 회전은 반시계 방향이다. 도 18 및 도 19의 도면 시퀀스로 나타나 있듯이 핀이 리셉터클(R1) 밖으로 진행됨에 따라, 트리거(10)가 트리거 축(24)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트립핑 영역(26)이 드라이버(11)의 트립 핀(27)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것은 리테이너(6)의 리테이너 러그(8)와 드라이버(11)의 커플링 영역(19) 사이의 디커플링을 초래한다.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가 디커플링되면, 리테이너(6)는 그 유지 위치를 향해서 복귀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더 이상 드라이버(11)에 의해 도 18에 도시된 그 해제 위치에 유지되지 않지만, 그 유지 위치를 향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 회전할 수 있다. 리테이너(6)는 리테이너 축(15) 주위로 작용하는 비틀림 스프링(31)과 같은 스프링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바이어스의 예는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드라이버가 디커플링될 때 리테이너를 그 유지 위치로 스냅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의 디커플링 이후 핀(P1)이 리셉터클(R1) 밖으로 진행되면 리테이너(6)가 도 22에 도시된 그 유지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핀(P1)과 리테이너(6)는 이 진행 중에 접촉할 수 있지만 핀(P1)은 더 이상 리테이너(6)에 의해 리셉터클(R1)에 유지되지 않는다.
도 20 내지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리테이너(6)의 바람직한 기하구조는 핀(P1)이 트리거의 트리거 영역(25)과 결합할 때 리테이너의 유지 위치로의 복귀가 핀(P1)에 의해 간섭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충분히 제거되어 이후 리테이너(6)가 트립핑되면 리테이너(6)에 의한 리셉터클(R1) 밖으로의 추가 이동이 방지되지 않으면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사이[예를 들어 리테이너 러그(8)와 커플링 영역(19) 사이]의 커플링의 트립핑을 초래할 수 있을 뿐임을 의미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기구의 트립핑이 발생하면 리테이너(6)는 핀(P1)에 대해 지지된다. 그러나, 핀(P1)이 더 빨리 제거되거나, 리테이너(6)의 바이어스가 (유압식 축압기의 사용 등에 의해) 리테이너(6)의 이동을 초래하기에는 약하거나 더 느리면, 리테이너(6)는 그 이탈 시에 핀(P1)에 대해 지지되지 않을 것이다.
도 23은 도 11에 도시된 그 제 1 상태로 리셋된 유지 시스템을 도시한다. 리테이너(6)가 그 최저 지점으로 회전하는 것과(도 22) 드라이버(11)가 리테이너(6)와 다시 커플링되는 것(도 23) 사이의 단계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에 의해 드라이버(11)가 그 제 1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되거나 복귀하게 된 것이다.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와 다시 커플링되기 위해 회전 및 측방 스프링 바이어스[스프링(31)에 의한]로 인해 그 커플링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조작자가 예를 들어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를 해제함으로써[예를 들어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로부터 유압을 해제함으로써] 드라이버(11)의 작동을 해제시키면,
a) 리테이너(6)가 완전히 상승하기 전에[즉 리테이너(6)는 아직 드라이버(11)와 결합되어 있음], 리테이너(6)는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가거나,
b) 핀이 퇴출 완료되기 전에[즉 핀(P1)이 트리거(10)를 작동시키지 않았음], 리테이너(6)는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갈 것이다.
도면은 핀(P1)이 리셉터클(R1)을 빠져나갔을 때 도 23의 단계에서 드라이버(11)의 해제를 초래하는 조작자를 나타낸다. 그러나, 조작자는 트리거(10)가 리테이너(6)를 리테이너 러그(8)에서 커플링하는 것으로부터 드라이버(11)를 트립핑하기 위해 작동된 도 20의 단계로부터 드라이버(11)를 해제할 수도 있다. 도 19는 리테이너 러그(8)가 커플링 영역(19)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전환점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리테이너(6)는 예를 들어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30)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라이버(11)의 바이어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이어싱은 드라이버(11)를 도 49에 도시된 그 커플링 상태로 푸시하기 위해 스프링(3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9에는 드라이버(11)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방향으로 보디(2)와 드라이버(11) 사이에 작용하는 동일한 스프링(31)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드라이버(11)가 그 회전 및 병진 커플링을 통해서 그 제 1 상태로 이동하도록 촉구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31)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리거(10)는 바이어스된 드라이버(11)가 트리거(10)에 대해 푸시되고 이어서 트리거(10)를 바이어스시키는 것과 별개로 자유롭게 부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바이어스가 트리거(10)에 인가될 수도 있다. 이 바이어스는 도면에 도시하듯이 시계 방향으로 보디(2)와 트리거(10)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5의 대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34)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트리거(10)의 직접 또는 간접 바이어스는 트리거(10)를 트리거 영역(25)이 리셉터클(R1)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리셋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핀이 트리거와 결합할 때 드라이버와 접촉하고 핀이 트리거와 접촉하지 않을 때 드라이버와의 접촉에서 벗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리거는 항상 드라이버와 작동적으로 접촉한다. 이후 설명되는 대체 형태에서, 트리거 및 드라이버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일제히 드라이버의 커플링된 상태와 디커플링된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리테이너가 드라이버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드라이버가 리테이너로부터 디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조작자는 도 22에 도시된 커플러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된 상태로 진행함으로써 리프트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리프팅 모드는 양 리테이너(6, 3)가 유지 위치에 있지만 각각의 리셉터클에 핀이 존재하지 않는 모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리테이너(3)가 그 유지 위치(도 1b에 도시됨)로 연장되도록 유압의 해제 또는 역전을 초래함으로써 커플러가 도 22의 단계에서 도 23의 단계로(즉 리프팅 모드로)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유압이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로도 해제되기 때문에,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와 커플링되기 위해 다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제 제 1 결합 모드에서 핀(P1)이 커플러(C)와 함께 유지되기 위해 어떻게 커플러(C)와 결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도 24 내지 도 31이 참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 모드에서는, 오래된 핀이 리셉터클(R1)로부터 제거되었으며 다른 어태치먼트의 새로운 핀(P1)으로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자는 리테이너(3)를 후퇴시키고 리테이너(6)를 상승시키기 위해 유압(또는 기계식 나사 등과 같은 유사한 작동 수단)의 인가를 촉발시켰다. 오래된 핀이 제거되며, 이는 트리거(10)를 트립시키고 리테이너(6)가 그 유지 위치로 이동한다. 드라이버(11)가 유압식 램(9)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아직 그 바이어스된 상태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있음(즉 그 제 2 위치에 있음)에 주목한다. 조작자는 이후 도 24에 도시된 새로운 핀을 리셉터클(R1)에 진입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리테이너(6)에 의해 리셉터클(R1)에 고정된다. 드라이버가 그 제 1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와 커플링되기 위한 위치로 복귀하지 않았지만, 조작자는 핀(P2)을 리셉터클(R2) 내에 진입시키고, 리테이너(3)는 핀(P2)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신장된다. 핀(P2)의 유지는 핀(P1)의 유지와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 모드는 조작자가 어태치먼트를 교체할 때 가장 보편적인 모드이다.
도 24에서 리테이너 시스템(1)은 그 유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6)는 그 유지 위치[리셉터클(R1)에 핀이 없음]에 있으며, 리셉터클(R1)을 빠져나가는 오래된 핀에 의해 트립 및 리셋된 후에 리셉터클(R1) 내로 부분적으로 신장된다. 드라이버(11)는 여전히 작동 위치에 있다. 이후 퀵 커플러(C)는 조작자에 의해 새로운 핀(P1)을 마우스(M)를 통해서 리셉터클(R1)에 도입하도록 조종된다. 이렇게 핀(P1)이 리셉터클(R1) 내로 이동하면 도 25에 도시하듯이 리테이너(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러그(8)는 드라이버(11)에 대해 작용할 수 있지만, 다시 래칭되지는 않는다.
드라이버(11)와 러그(8)의 재-커플링(즉, 결합 영역에서의)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특징부는 도 24에 도시된 안내면(28)이다. 안내면은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의 커플링을 방지하기 위해 러그(8) 또는 드라이버(11)의 다른 부분과 충합된다. 핀(P1)이 리셉터클 내에 진입함에 따라, 핀(P1)은 리테이너(6)와 결합된다. 리테이너(6)의 러그(8)는 드라이버(11)의 안내면에 충합되며, 따라서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와 커플링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사이의 커플링을 방지한다. 드라이버는 리테이너보다 느리게 그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트리거(10)는 핀(P1)에 의해 초래되는 이동에 대해 부유할 수 있다.
리테이너(6)가 아이들링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고 핀(P1)이 통과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로 핀(P1)은 리셉터클(R1)에 완전히 착좌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핀(P1)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하게 리테이너(6)를 통과하면, 리테이너(6)는 전술한 바이어스 하에 그 유지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핀(P1)이 리셉터클(R1) 내로 이동하는 동안, 트리거(10)는 또한 도 24에 도시된 그 활동(active) 위치로부터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된 그 트립핑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트리거(10)는 리테이너(6)를 그 유지 위치로 다시 리셋하는데 활동적이지 않을 뿐더러, 리테이너 러그(8)와 커플링 영역(19) 사이의 커플링을 수립 또는 단절시키는데 활동적이지 않은데, 이는 리테이너(8)가 드라이버(11)에 커플링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트리거(10)는 단지 아이들링 상태에 있으며 핀(P1)이 리셉터클(R1)에 진입함에 따라 핀(P1)의 길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핀(P1)이 그 리셉터클(R1)에 완전히 착좌되거나, 리테이너(6)가 핀(P1)을 통과할 수 있으면, 리테이너(6)는 그 회전 바이어스를 통해서 도 29에 도시된 그 유지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조작자는 [전방 핀(P1)이 유지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 핀(P2)이 리테이너(3)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동시에 드라이버(11)가 도 30 내지 도 31에 도시된 그 바이어스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40)로의 유압을 해제 또는 역전시킨다.
드라이버(11)는 도 31에 도시된 드라이버(11)와 관련된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가 작동 또는 유압 역전 또는 해제되면, 리테이너 러그(8)와 커플링되기 위해 그 제 1 위치로 리셋될 수 있거나 리셋된다.
드라이버(11)는 이후 도 1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다시 리테이너(6)를 그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리테이너(6)에 커플링된다.
트리거(10)의 트리거 영역(25)은 핀(P1)이 트리거(10)를 지나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캐밍(camming) 표면으로서 작용하도록 성형된다. 트리거 영역(25)은 리셉터클(R1) 내외로의 핀(P1)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둥근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트리거(10)는 그 트리거 피벗(24) 주위로 회전될 수 있지만, 리셉터클(R1) 내외로의 그 이동 중에 핀(P1)의 움직임을 여전히 방해하지 않는다.
리테이너(6)의 형상은, 핀이 리셉터클(R1)에 있고 리테이너(6)가 그 유지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6)가 그 해제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할 때까지 리테이너가 핀(P1)을 리셉터클(R1)에 유지하게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정지부(33)는 리테이너(6)가 특정 한계를 넘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리테이너(6)가 그 유지 위치에 있을 때 핀(P1)이 그 리셉터클(R1)에 고정 유지되도록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리테이너(6)의 기하 구조는 핀(P1)이 리셉터클(R1) 내에 수용될 때[그리고 리테이너(6)가 도 26에 도시된 그 해제 위치로 회전될 때] 리테이너(6)가 작동 드라이버(11)와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 내지 도 30에서 알 수 있듯이, 드라이버(11)는 그 비틀림 스프링(30)(도 49에 도시됨)의 영향 하에 리테이너(6)가 그 유지 위치로 복귀 바이어스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즉 리테이너(6)와 커플링되지 않는다]. 대체 실시예에서, 핀(P1)이 리셉터클(R1)에 진입할 때 드라이버(11)의 이동이 러그(8)와 드라이버(11)의 커플링을 방지하게 만드는 것은 트리거(10)의 형상일 뿐이다.
핀(P1)이 그 리셉터클(R1)에 충분히 수용된 후 드라이버(11)가 리테이너(6)의 그 유지 위치로의 복귀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러그(8) 영역 주위의 기하 구조가 중요하다. 핀(P1)이 리셉터클(R1) 내부에 충분히 위치한 후 리테이너 러그(8)가 드라이버(11)에 의한 리테이너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트립 핀(27)에 대한 리테이너(6) 및 트립핑 영역(26)의 형상이 중요하다.
이후 드라이버(11)가 그 커플링 위치를 향해서 후속 회전 변위 복귀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제 2 및 제 3 커플러 결합 모드에 의해 핀(P1)의 결합을 초래할 수 있다.
1) 제 2 결합 모드에서 커플러는 이전에 리프팅(제 1) 모드에 있었다. 즉 적어도 리테이너(6)는 유지 위치에 있으며 드라이버(11)와 래칭된다. 조작자는 핀이 리테이너(6)를 후퇴시키지 않으면서 도 42 내지 도 45에 도시하듯이 리테이너(R1) 내로 이동되도록 커플러(C)를 조종한다. 제 2 결합 모드와 제 1 결합 모드의 차이는 제 2 모드에서는 드라이버(11)가 그 제 2 위치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 제 3 결합 모드에서 커플러는 이전에 리프팅(제 1) 모드에 있었다. 즉 적어도 리테이너(6)는 유지 위치에 있으며 드라이버(11)와 래칭된다. 조작자는 드라이버(11)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테이너(6)의 후퇴를 초래한다. 조작자는 핀이 리셉터클(R1) 내로 이동되고 트리거(10)가 리테이너(6)를 그 유지 위치로 리셋하기 위해 트립핑되도록 커플러(C)를 조종하며, 이 과정은 도 46 내지 도 48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작자는 이후 핀(P2)을 리셉터클(R2) 내에 진입시키고, 이후 리테이너(3)가 핀(P2)을 유지하기 위해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작동 압력을 해제한다. 핀(P1)의 유지는 핀(P2)의 유지와 무관하다.
일 예에서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 커플링된 상태와 디커플링된 상태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만 운동하도록 보디에 대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회전 방식으로만 운동하도록 보디에 대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보디에 대한 트리거 및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의 회전 장착은 상호 평행한 각각의 회전축 주위로의 회전 장착이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드라이버를 리테이너로부터 디커플링시키기 위해 드라이버가 보디에 대해 및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포획 영역에 대한 핀의 진입 및 퇴출 두 경우에 핀에 의해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리테이너는 상기 핀이 리셉터클에 유지될 때 상기 핀의 퇴출을 방지하며, 상기 핀이 리셉터클 내로 리테이너를 지나서 진입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에 작용하는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는 리셉터클에 있을 때의 핀에 의해 접촉되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31 및 도 42 내지 도 51에 도시된 기구의 변형예를 도 32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를 그 유지 위치(6a)로부터 그 완전히 후퇴된 위치(6b)로 견인하지 않으며, 대신에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를 그 유지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32에는 그 안에 전방 핀(P1)이 위치맞춤되는 전방 리셉터클(R1)을 갖는 커플러(C)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 내지 도 41은 해제 위치로 작동되는 리테이너를 통해서 핀(P1)이 커플러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도시하며, 핀(P1)에 의한 트리거의 후속 트립핑은 리테이너가 그 폐색 위치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핀이 진입된 이 실시예의 도면은 도시되지 않았다.
유지 시스템(1)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것은 그 회전축(15) 주위로 회전하도록 커플러(C)의 보디(2)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6)이다. 그 일부를 형성하거나 그와 결합되는 것은 역시 리테이너(6)와 함께 회전하는 리테이너 러그(8)이다. 리테이너 러그(8)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드라이버(11)에 의해 결합 및 커플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링 및 디커플링이 반드시 연결 및 분리를 각각 의미하지는 않는다. 드라이버(11)는 디커플링될 때 리테이너(6)에 여전히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지만, 드라이버(11)는 커플링될 때까지 리테이너(6)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리테이너(6)에 힘을 부여할 수 없다. 즉 드라이버(11)가 리테이너/러그(8)와 디커플링되는 대신에, 드라이버에 대해 드라이브가 디커플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1)는 러그(8)와의 접촉에서 벗어남으로써 기계적으로 디커플링된다.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는 드라이버(11)를 (위치 9a와 9b 사이에서) 변위시켜, 커플링될 때 러그(8)를 푸시하고 리테이너(6)를 도 32에 도시된 그 유지 위치로부터 도 35에 도시된 그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11) 자체는 변위와 회전을 둘 다 할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11)용 드라이버 축(22)을 형성하기 위해 드라이버 차축(21)에서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에 피벗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드라이버(11)와 러그(8)의 재-래칭(즉, 커플링 영역에서의)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특징부는 도 39에 도시된 안내면(28)이다. 안내면은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의 커플링을 방지하기 위해 러그(8) 또는 드라이버(11)의 다른 부분과 충합된다. 핀(P1)이 리셉터클 내에 진입할 때, 핀(P1)은 리테이너(6)와 접촉하여 리테이너(6)를 회전시킨다. 리테이너(6)의 러그(8)는 드라이버(11)의 안내면과 충합되며 따라서 둘 사이의 커플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실시예에서 트리거(10)는 드라이버(11)가 트리거(10)와 결합됨으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유지 시스템(1)과 같이, 리셉터클(R1)에 출입하는 핀(P1)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트리거(10)가 제공된다. 리테이너(6)가 도 35에 도시된 그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도 36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R1)로부터의 핀(P1) 제거는 트리거(10)가 리테이너 러그(8)로부터 드라이버(11)를 이동 및 디커플링시키게 만들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31에 도시된 유지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트리거(10)는 드라이버(11)를 운반 또는 안내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26)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0)에 의해 형성되며, 드라이버(11)의 핀(27)을 유지한다. 슬롯은 또한 드라이버(11)의 핀(27)과 결합되는 트립핑 영역(26)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트립핑 영역(26)이다. 트립핑 영역(26)은 트리거(10)에 의해 형성되는 한정된 트립핑 표면 또는 슬롯(26)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 드라이버(11)의 트립 핀(27)을 (위치 10a와 10c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11)와 러그(8)의 디커플링은 (트리거가 위치 10c에 있을 때) 디커플링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6)가 드라이버(11)로부터 디커플링된 후 그 유지 위치로 복귀 스냅되게 할 수 있다. 디커플링은 위치 10a와 10b 사이에서 발생할 수 없지만, 10b를 지나서 10c를 향해 발생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트리거(10)의 이동이 보디(2)에 대해 직선적일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다른 실시예는 촉발될 때 트리거의 순수 회전적인 운동을 나타낸다.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의 조합일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 1 변형예(적어도 도 11에 도시되어 있음)와 다른 변형예(적어도 도 32 및 도 54에 도시되어 있음)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는 디커플링된 상태에 있을 때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가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는 연결되어 있지만 디커플링된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의 위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11)는 구동에 효과적이지 않지만, 적어도 도 32에 도시된 변형예와 매우 유사하게 여전히 리테이너(6)를 추종하고 그것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의 커플링된 상태에서,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는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지만, 양 실시예에서 커플링된 상태에서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드라이버(11)의 작동은 나사산 기구 등을 통해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라이버(11)의 작동은 유압식 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드라이버(11)[액추에이터(9)] 및 제 2 리테이너(3)[액추에이터(40)] 양자의 작동을 위해 커플러(C)에 제공되는 두 개의 유압식 램이 존재하며, 이것은 도 52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와 리테이너 중 하나(예를 들어 리테이너 러그)는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와 커플링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드라이버를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버의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 스프링 중 하나 이상을 수용 및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 러그는 리테이너가 상기 커플링을 허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드라이버와 커플링되지 않을 때 드라이버 및 관련 트리거를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버의 영역과 결합한다.
이제 전술한 기구의 변형예를 도 54 내지 도 8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이전의 두 변형예에서 앞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로 계속된다. 이 변형예에서 드라이버(11)는 드라이버 조립체(60)의 일부이며, 드라이버 조립체(60)에 의해 배치 및 운반된다. 드라이버 조립체(60)는 드라이버(11), 드라이버 액추에이터(9), 리턴 스프링(31), 트리거(10)로서 작용하기 위해 리세스(R1) 내로 돌출하는 연장부 및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트리거(10)는 리셉터클(R1)에 출입하는 핀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이동될 때 드라이버 조립체를 차축(21) 주위로 회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조립체(60)가 트리거(10)를 운반하게 하는 것은 커플링 시스템이 보디(2)에 덜 연결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5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드라이버 조립체(60)/드라이버(11)는 드라이버/트리거 또는 드라이버 조립체 차축(21)인, 보디(2)에 대한 트리거(10)와 동일한 연결 지점을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조립체 차축(21)은 드라이버(11) 및 트리거(10)가 보디에 대해 그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차축으로서 작용한다.
보디(2)에 대한 연결 지점의 감소는 커플링 시스템이 상이한 크기의 보디(2) 사이에서 용이하게 제조 및/또는 모듈화될 수 있게 한다. 모듈성은 이것이 상이한 크기의 기계에 대한 상이한 크기의 보디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연결 지점의 감소는 제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커플링 시스템의 수리 및/또는 정비를 보조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를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10)에 대해 순수한 병진 운동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드라이버(11)는 또한 드라이버 조립체(60)가 차축(21)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회전 경로 상에서 이동한다. 드라이버 조립체(60)는 트리거 영역(25)이 핀(P1)에 의해 이동될 때 회전한다.
드라이버 조립체(60)는 드라이버(11)를 구동하기 위해 유압식 램(9)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조립체는 이전 변형예에서와 매우 유사하게, 드라이버(11)를 복귀 바이어스/복귀시키기 위해 리턴 스프링(31)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 리턴 스프링(31)은 비틀림 스프링 대신에 인장 스프링이다.
이전 실시예와 같이, 트리거(10)는 리셉터클(R1) 내로 연장되는 두 개의 트리거 영역(25)을, 핀 진입 접점 용으로 하나 그리고 핀 이탈 접점 용으로 하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6에 도시하듯이, 드라이버 조립체(60)는 트리거(10)와 일체형이거나 결합되는 중간 하우징 부분(510)을 갖는다. 하우징 부분(510)은 유압식 램(9) 및 드라이버(11)를 구동 및 후퇴시키는 리턴 스프링(31)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도 57은 트리거(10), 유압식 램(9) 및 리턴 스프링(31)을 도시하지만, 명료함을 위해 중간 하우징 부분은 은폐한다. 리턴 스프링(31)은 일 단부에서 트리거(10)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드라이버(11)에 고정된다.
드라이버(11)는 트리거(10)에 대해 병진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버(10)는 트리거 차축(21)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직선 병진 경로를 따라서 트리거(10)에 대해 병진 이동한다. 드라이버(11)는 작동 시에 안내 수단에 의해 이 직선 병진 경로를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수단은 돌출부(48) 및 상보적 안내 채널(47)이다. 돌출부(48)는 드라이버(11) 상에 배치하고, 상보적 안내 채널(47)은 드라이브 조립체(60)의 일부이다. 돌출부(48)는 도 55에서 볼 수 있으며, 안내 채널(47)은 도 57에서 볼 수 있다. 드라이버(11)가 트리거(10)에 대해 병진 방식으로 드라이브 조립체와 함께 장착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기구 및 구성이 있을 수 있다.
드라이버(11)는 전술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으로 작동한다. 드라이버(11)는 리테이너(6) 상의 러그(8)와 커플링될 수 있는 커플링 영역(19)을 포함한다. 드라이버(11)가 유압식 액추에이터(9)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리테이너(6)는 리셉터클(R1) 내로 연장되는 리테이너(6)의 영역이 핀(P1)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개구로부터 제거되도록 그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강제된다. 핀(P1)이 통과할 때, 이는 트리거(10)의 영역(25)과 간섭할 것이며, 따라서 드라이버 조립체(40)를 상승시키기 위해 트리거(10)를 트립시키고, 트리거(10)를 차축(21) 주위로 트립시킬 것이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커플링 영역(19)을 디커플링시킴으로써 드라이버(11)는 더 이상 리테이너(6)와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테이너(6)는 이후 비틀림 리턴 스프링(31)에 의해 리셉터클(R1)의 개구 내로 다시 바이어스된다.
드라이버(11)와 러그(8)의 재-래칭(즉 커플링 영역과의)을 방지하는 특징부는 도 57 내지 도 59에 도시된 안내면(28)이다. 안내면(28)은 드라이버(11)와 리테이너(6)의 커플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러그(8) 또는 드라이버(11)의 다른 부분과 충합된다. 핀(P1)이 리셉터클(R1)에 진입할 때, 핀(P1)은 리테이너(6)와 접촉하여 리테이너(6)를 회전시킨다. 리테이너(6)의 러그(8)는 드라이버(11)의 안내면(28)과 충합되며 따라서 둘 사이의 커플링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트리거(10)는 드라이버(11)가 트리거(10)에 의해 직접 운반될 때 드라이버(11)와 함께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26에는 트립핑 영역이 전혀 없는데, 이제 트리거(10)가 드라이버(11)를 운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촉발될 때 트리거(10)의 이동은 운반되는 드라이버(11)를 직접 이동시킨다.
드라이버(11)와 트리거(10)는 조합되어 트리거/드라이버 조립체로 지칭될 수 있다. 트립핑 영역(25)은 트리거/드라이버 조립체의 드라이버(11) 또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대안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리테이너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해, 이제 핀(P1)을 결합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 58 내지 도 66 및 핀(P1)을 결합해제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 도 67 내지 도 83 도면의 시퀀스가 참조될 것이다.
도 58 내지 도 66은 유지 시스템이 조작자가 어태치먼트를 교체할 때 가장 보편적인 모드인 제 1 결합 모드일 때 유지 시스템(1)에 진입하는 핀을 도시한다. 제 1 결합 모드에서 드라이버(11)는 이전 결합해제 과정에서 이미 연장되어 있다.
도 58은 드라이버(11)를 도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트립핑 영역(26)[드라이버(11)를 보기 위해 명료함을 위해 이들 도면에서는 부분적으로 감춰져 있지만, 도 57에서는 볼 수 있음]과 결합하는 리테이너 러그(8)를 통해서 유지되는 관련 트리거(10)를 도시한다. 러그(8)가 트립핑 영역(26)과 결합됨에 따라, 트리거(10)는 통로(P)를 폐색하기 위해 통로(P) 내로 실질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핀(P1)은 트리거 영역(25)에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으면서, 리셉터클(R1)의 통로(P)에 진입할 수 있다.
핀(P1)이 통로(P)를 통과하여 리셉터클에 진입함에 따라, 핀(P1)은 리테이너(6)와 접촉하며, 따라서 리테이너(6)를 리테이너 샤프트(17) 주위로 회전시킨다. 핀(P1)이 충분히 통과하면 리테이너(6)는 다시 그 바이어스 상태로 바이어스된다. 드라이버 리턴 스프링(31)이 드라이버(11)를 도 64 내지 도 66에 도시된 그 후퇴 위치로 다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사용자가 드라이버 램(9)으로부터의 유압 해제를 초래할 때까지 트리거(10)는 그 바이어스 상태로 다시 바이어스되지 않는다. 드라이버(11)가 그 후퇴 위치로 돌아가면, 트립핑 영역(26)이 리테이너 러그(8)(도 65 내지 도 66)에 의해 더 이상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트리거(10)는 그 트리거 차축(21)을 중심으로 그 바이어스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트리거는 트리거 리턴 스프링(34)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는 트리거/드라이버가 도면에 도시된 배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 위해 트리거 및/또는 드라이버에 작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11)가 신장되는 동안, 트리거(10)의 트립핑 영역(26)과 리테이너 러그(8)는 상호 결합한다.
리테이너(6)는 핀(P1)이 가능한 한 큰 도 60에서 그 전체 회전 한계 중 하나에 있다. 더 작은 핀은 리테이너(6)를 이 정도로 회전시키지 않을 것이지만(그러나 아직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큰 핀(P1)을 도시하는 것은 드라이버(11)의 러그(8)가 결코 안내면(28)을 떠나지 않거나 안내면(28)을 지나서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드라이버(11)가 신장되는 동안 드라이버(11)가 러그(8)와 커플링 영역(19)에서 커플링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67 내지 도 83은 유지 시스템(1)에서 퇴출되는 핀을 보여준다. 도 67은 리셉터클에서 포획되는 실무 작업 모드에 있는 핀(P1)을 도시한다. 드라이버(11)는 후퇴되고, 트리거(10)는 아래쪽으로 바이어스되며, 리테이너(6)는 핀(P1)을 리셉터클(R1)에 로크시키기 위해 아래쪽으로 바이어스되고, 트립핑 영역(25)은 통로(P) 내로 연장된다. 도 68은 드라이버 아암(9)에 인가되는 유압을 통해서 신장되기 시작하는 드라이버(11)를 도시한다. 도 68 내지 도 69는 리테이너(6)와 결합되기 시작하는 드라이버(11) 커플링 영역(19)을 도시한다. 도 69 내지 도 70은 리테이너(6)가 도 73에서 그 회전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그 리테이너 샤프트(17) 주위로 회전되는 리테이너(6)를 도시하며 따라서 이는 핀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통로(P)를 폐색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조작자/사용자는 핀(P1)이 통로(P)를 통해서 리셉터클(R1)에서 퇴출될 수 있도록 유지 시스템(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4는 핀(P1)이 트리거(10)의 트립핑 영역(25)과 간섭하기 시작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로 인해 드라이버는 들어올려져 러그(8)와의 작동 접촉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76은 드라이버(10)의 커플링 영역(19)과의 접촉이 손실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에서의 리테이너(6)의 러그(8)를 도시한다. 도 77은 리테이너(6)가 회전 정지부(33)(도 72에 도시됨)에 의해 정지되기 위해 그 유지 위치로 다시 회전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커플링 영역(19)을 지나서 통과하는 리테이너(6)의 러그(8)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핀(P1)은 리테이너(6)를 드라이버(10)로부터 완전히 해제시키기 위해 여전히 드라이버(11) 및 트리거(10)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도 78은 드라이버(10) 및 관련 커플링 영역(19)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리테이너(6) 및 관련 러그(8)를 도시한다.
도 79는 리셉터클(R1)로부터 거의 완전히 또는 충분히 후퇴된, 그 가장 높은 지점에서의 리테이너(6) 및 트리거(10)를 도시한다. 도 80으로부터, 리테이너(6)는 핀이 리셉터클(R1)을 떠나면서 리셉터클(R1) 내로의 그 바이어싱된 위치로 되돌아가기 시작했다. 도 80에서 트리거(10)는 그 가장 높은 지점에 있다. 도 81에서, 트리거(10)는 리셉터클(R1) 내로 진입 및 복귀하기 시작한다. 도 83은 이제 도 58에 도시된 단계에 있다.
커플링 영역(19)에서의 러그(8) 및 드라이버(11)의 기하 구조는 리테이너(6)가 리셉터클(R1)이 실질적으로 제거되는 것에 대응하는 그 회전 범위에 있거나 그 회전 범위에 근접할 때 커플링 영역(19)이 러그(8)로부터 미끄러져 나갈 수 있게 하는 등의 것이어야 한다. 러그(8)에 언더컷 형상이 너무 많으면, 핀에 의한 트리거의 상향 이동이 러그(8)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러그(8)는 리테이너(6)와 일체형이거나 리테이너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러그(8) 또는 다른 커플링 특징부는 리테이너(6)의 회전 샤프트에 부착되는 것과 같이 리테이너(6)로부터 분리 또는 이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리테이너(6)가 그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러그(8)는 여전히 리테이너(6)와 일체형일 수 있다.
리테이너(6)의 작동 영역에 대한 트리거의 트리거 영역(25)의 위치 및 형상도 중요하다. 핀(P1)이 리셉터클(R1)을 떠날 때, 도 73 내지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P1)은 핀(P1)의 전진 방향 접면에서 트리거 영역(25)과 접촉해야 하며 이어서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출입 방향으로 충분히 전진한 후에 리테이너(6)가 다시 리셉터클(R1) 내로 회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리테이너(6)는 핀(P1)이 리셉터클(R1)로부터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핀(P1)의 전진 방향 접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성형 및/또는 배치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리테이너(6)는 핀(P1)이 핀(P1)의 후미(trailing) 방향 접면과 더불어 리셉터클(R1) 밖으로 전진함에 따라 핀(P1)과 접촉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드라이버(11)의 커플링 영역(19)은 기어식 랙(geared rack) 타입 특징부이다. 러그(8)와 유사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작용하는 상보형 기어식 랙, 표면 또는 기어가 리테이너(6) 상에 배치되거나 리테이너(6)와 일체형이다. 드라이버의 전후 직선 동작은 기어식 랙 커플링 영역을 이동시켜 랙을 이 랙이 커플링 영역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6) 상에서 구동시킨다. 트리거는 기어식 드라이버를 리테이너(6)에 대해 디커플링 및 커플링시키기 위해 이 기어식 선형 드라이버에 여전히 작용할 수 있다. 기어식 시스템의 단점은 기어식 시스템의 티쓰가 단일 표면 결합보다 빨리 마모될 수 있거나 파편이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체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드라이버의 커플링 영역은 기어식 랙 또는 기어이며, 이는 러그와 유사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작용하지만,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된다. 즉 드라이버는 직선 동작을 갖지 않으며, 이는 대신에 리테이너(6) 상의 유사 티쓰와 결합하기 위해 커플링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티쓰를 갖는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치차이다. 트리거는 기어식 드라이버를 리테이너(6)에 대해 디커플링 및 커플링하기 위해 여전히 이 기어식 회전 드라이버에 작용할 수 있다. 커플링 및 디커플링은 기계적 시스템 디커플링 또는 유압식/전기 드라이브의 디커플링의 형태일 수 있다. 기어식 드라이버는 피벗되는 레버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촉발될 때, 레버는 기어식 드라이버를 리테이너(6)의 기어로부터 디커플링시키기 위해 들어올려진다. 대체 실시예에서, 기어식 드라이버는 리테이너(6)가 그 통로 폐색 위치로 다시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기어식 드라이버가 디커플링될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압식 디커플링을 가질 수 있다. 이 대체 실시예의 추가적인 대체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가 비틀림 바이어스되는 대신에, 드라이버가 리테이너(6)를 그 폐색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 역방향 회전하도록 비틀림 바이어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양자는 이것들이 그 회전 시작 위치로 회전 복귀하도록 바이어스되기 위해 비틀림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완전한 치차가 아닐 수도 있으며, 공유 피벗 축 주위로 회전하는 코드 사이 티쓰의 섹션/주변일 수 있다.
그러나, 그 일부가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 영역(19) 및 러그(8)는 기어식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커플링 영역(19) 및 러그(8)는 슬라이딩, 글라이딩, 충합 및/또는 단일 표면 결합을 갖는다. 이러한 것들의 이점은 기어식 시스템 또는 더 복잡한 시스템 또는 기타 시스템에 비해서 마모, 파편 포착 기회 및/또는 제조 공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리테이너(6) 또는 러그(8)와 안내면(8)의 결합(결합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커플링 영역(19)은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6)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샤프트 또는 차축이다. 차축은 유압식 모터 또는 전기 모터와 같은 드라이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리테이너(6)를 그 폐색으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테이너(6)의 회전은 모터의 구동을 통해서 차축을 구동하여 리테이너(6)를 회전 및 구동시킨다. 리테이너(6)로부터 모터의 커플링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리거 시스템은 (a) 모터의 구동, 즉 리테이너(6)를 그 상승된 위치로부터 해제시키도록 모터가 자유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유압식 또는 전기적 디커플링, 또는 (b) 리테이너(6)가 그 폐색 위치로 다시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모터를 리테이너에 대해 디커플링할 수 있는 기계적 트리거 중 어느 하나를 촉발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84에 도시되어 있는 대체 실시예에서, 안내면(28)은 이제 돌출부(48) 아래에 위치된다. 안내면(20)은 리테이너(6) 또는 러그(8)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프링 래치 시스템(50)은 드라이버(10)가 완전히 신장되고 디커플링을 위해 위쪽으로 트리거링된 후에 드라이버(10)를 캐치하여 리테이너(6)의 러그(8)와 결합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테이너(6)는 드라이버(10)와 다시 결합 또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그 제 1 위치로 되돌아갈 때까지 통로 내의 그 폐색 위치로 복귀 회전할 수 있다. 트리거(11)에 의해 촉발될 때 드라이버(10)는 스프링 래치 시스템(50)의 래치(51) 위로 푸시된다. 드라이버(10)의 일부, 이 실시예에서 돌출부(48)가 래치(51) 위에 있으면, 드라이버(10)는 아래쪽으로 바이어스되어 리테이너(6)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드라이버(10)가 후퇴될 때, 돌출부는 드라이버(10)가 그 원래 위치로 회전식으로 복귀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래치(51) 밖으로 슬라이딩한다. 스프링 래치 시스템(50)의 스프링(52)은 드라이버(10)가 트리거(11)에 의해 위쪽으로 구동될 때 래치(51)가 안내면(28) 아래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드라이버가 상승되고 이후 래치(51)에 의해 유지되면 리테이너가 드라이버와의 상호 작용 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8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대체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드라이버(10)는 경로 또는 슬롯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드라이버가 신장되어 리테이너(6)를 그 상승 위치로 구동시킴에 따라, 드라이버는 제 1 신장 경로를 따른다. 드라이버가 위쪽으로 촉발되면 드라이버가 복귀 경로에 진입하고, 드라이버가 후퇴되면 드라이버는 복귀 경로를 따른다. 복귀 경로는 리테이너(6)가 그 폐색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드라이버(10)와 리테이너(6) 사이의 상호 작용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안내면(28)은 리테이너(6) 또는 러그(8)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안내면(28)은 커플러의 보디에 대해 고정되는 슬롯 부분이며, 결합면(28)은 드라이버(10)의 일부와 결합된다.
굴삭기에 대한 표준으로 제공되는 유압 장치에 관한 추가 장점은 대부분의 굴삭기에 공급되는 표준 4/2 밸브가 일체의 수정 없이 현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압 시스템은 도 52에 도시되어 있으며, 표준 4/2 밸브(4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플러(C)에 공급되는 커플러 유압 시스템(42)은 리테이너(3) 유압식 램(40) 및 리테이너(6) 유압식 램(9)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가압될 때 램(40)의 후퇴를 작동시키는 유압 라인 및 가압될 때 램(40)의 신장을 작동시키는 유압 라인에 각각 대응하는 후퇴(RETRACT) 및 신장(EXTEND) 라인이 도시되어 있다.
현대 기계에서 유압 시스템 압력은 연료 절약을 위해 종종 급속히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테이너(6)를 간접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식 램(9)의 후퇴 및 신장에 관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는 전방 핀(P1)의 로크 해제 중에 압력이 부족하면 리테이너(6)를 리셉터클(R1)의 개구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리셉터클(R1)을 완전히 로크 해제하기 위해 완전히 신장될 수 있게 되기 전에 유압식 램(9)이 후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일럿 체크 밸브(44)의 추가는 이러한 현대 기계를 구비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파일럿 체크 밸브(44)의 추가는 모든 시스템에서 필수적이지 않다.
유압식 램(9)용 파일럿 체크 밸브(44)를 갖는 유압 회로의 예가 도 53에 도시되어 있다. 파일럿 체크 밸브(44)는 유압식 램(9)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후퇴(로크 해제) 과정 중에 적어도 후퇴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RETRACT 라인 유체 압력이 떨어지면 유체가 유압식 램(9)으로부터 RETRACT 라인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 체크 밸브(44)와 함께, RETRACT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식 램(9)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44)의 부작용은 유압식 램(9)이 후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EXTEND 회로의 작동 중에 파일럿 체크 밸브(44)를 개방하기 위해, '높은' 압력의 EXTEND 라인으로부터 파일럿 체크 밸브(44)로 이어지는 파일럿 라인(47)을 구비함으로써 극복된다. 고압이 EXTEND 회로를 통해서 공급되면, 파일럿 체크 밸브(44)는 유체가 TANK로 복귀되는 저압의 (RETRACT) 라인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유압식 램(9)은 스프링(31)으로부터의 그 스프링 바이어스로 인해 후퇴한다. 대안적으로, 파일럿 라인(47)은 예를 들어 파일럿 밸브(45) 이후에, 램(40) 이전에, 또는 램(40)에서 떨어져, EXTEND 회로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유압식 램(40)은 또한 커플러가 로크 위치에 있는 동안 리테이너(3) 및 유압식 램(40)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파일럿 체크 밸브(46)를 가질 수 있으며, EXTEND 라인으로부터 나오는 고압은 없다. 체크 밸브(45)의 부작용은 유압식 램(40)이 이후 후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파일럿 체크 밸브(46)는 파일럿 체크 밸브(46)를 개방하기 위한 대응 파일럿 라인(46)을 갖는다. 파일럿 라인(46)은 RETRACT 라인으로부터 공급된다.
EXTEND 라인을 통해서 압력이 구동되는 동안, 유압식 램(40)은 신장된다. EXTEND 라인으로부터 압력이 해제되거나 감소될 때, 유압식 램(40)은 파일럿 체크 밸브(44)로 인해 후퇴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제한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RETRACT 라인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한 리테이너(3)[유압식 램(40)에 부착됨]가 후퇴[및 통로(P)를 개방]하지 않는 안전 특징부로서 바람직하다.
표준 4/2 밸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전술한 이점을 여전히 포함하도록 유압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조작자가 특정 모드에 들어갈 때 스피커(43)를 통해서 소리가 방출될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로크 아웃 스위치(44) 또한 존재한다. 조작자에 의해 스위치(44)가 작동될 때, 커플러 유압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44)가 작동되는 것과 동시에 버저(43)가 울린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치(44)의 작동 없이는 임의의 핀(P1 또는 P2)의 우발적 해제가 있을 수 없으며, 이는 리테이너(3, 6) 중 어느 것을 해제하기 위해 유압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게 할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공지된 등가물을 갖는 요소 또는 정수가 참조되는 경우에, 이러한 등가물은 개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포함된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수정 및/또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43)

  1. 토공 기계에 부착물(attachment)을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에 있어서,
    입구 개구부(mouth opneing)를 포함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개구부에 의해 부착물의 핀이 상기 리셉터클의 통로를 통해서 상기 리셉터클의 포획 영역(captive region)으로 이동하도록 통과할 수 있으며, 커플러 보디로부터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리테이너에 의해 핀이 포획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의 통로는 폐색(occluded)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핀이 포획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통로 폐색된 제 1 위치로 편향(bias)되고,
    (i) 상기 핀을 리테이너에 대해 강제(forcing)하여 리테이너를 그 편향에 대항하여 제 2 위치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핀이 포획 영역 내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ⅱ)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핀이 포획 영역으로부터 퇴출(egress)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통로에 대해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는 (a) 리테이너가 그것의 제 2 위치로 드라이버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b) 드라이버가 그것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리테이너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는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핀과 맞물리는 방식으로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핀이 통로를 통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핀에 의해 그렇게 이동될 때 드라이버가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할 수 있는 트리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결합된 리테이너와 드라이버를 결합해제하여, 그것의 제 1 위치를 벗어나 있는 리테이너가 편향의 영향 하에 그것의 제 1 위치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결합된 리테이너와 드라이버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고 결합해제하여 리테이너가 더 이상 드라이버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리테이너에 대한 결합된 상태와 결합해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커플러 보디에 대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커플러 보디에 대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리테이너와 결합된 상태와 결합해제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고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드라이버와 트리거 각각은 상호 평행한 각각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플러 보디는 토공 기계에 고정될 수 있거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되고,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장착되며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식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리테이너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통과를 차단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플러 보디로부터 돌출하는 그 제 1 위치와, 포획 영역 밖으로의 핀 통과가 리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그 제 2 위치에 있을 때보다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더 많이 리셉터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위치로부터 벗어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플러 보디는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정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정지면을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지면에 대해 지지되는(bear agains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의 회전축은, 핀이 상기 리셉터클의 포획 영역 내에 유지될 때 핀의 긴 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또는 리테이너를 커플러 보디에 장착시키는 샤프트와 드라이버는, 결합부(coupling)로서 역할을 하는, 상호 공동-작동 가능한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를 갖고, 상기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대해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가 함께 맞물리고,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대해 결합해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커플링 표면 또는 부재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리테이너에 제공되는 리테이너 러그(lug) 및 드라이버의 커플링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의 커플링 표면은 상기 리테이너와 드라이버를 결합하기 위해 리테이너 러그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와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식으로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및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함께 장착되며 드라이버는 트리거에 대해 회전식으로 또는 직선적으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및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해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함께 장착되며 드라이버는 트리거에 대해 직선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플러는 커플러 보디에 장착되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상기 드라이버가 리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드라이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4. 제 23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고, 드라이버 액추에이터와 트리거는 함께 커플러 보디에 장착되며,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버가 트리거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5. 제 23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유압식이며, 작동되면,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로 또는 그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드라이버가 이동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6. 제 25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액추에이터는, 작동-정지되면,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가 그 제 1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가 이동 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7. 제 26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액추에이터가 작동-정지되고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에 작용하는 편향이 리테이너를 그 제 1 위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향은 드라이버를 리테이너와 결합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은 드라이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은 드라이버를 커플러 보디에 대해 회전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위에 언급된 제 1 리셉터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 2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상기 제 2 리셉터클은 부착물의 제 2 핀을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은
    상기 제 1 리셉터클이 상기 제 1 핀을 유지하고 있을 때, 및
    상기 제 1 리셉터클에 상기 제 1 핀이 없을 때
    중 적어도 하나일 때 부착물의 제 2 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 2 리테이너가 제공되고 이는 제 2 리셉터클에 배치된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위치와 유지된 제 2 핀이 제 2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2 리테이너는, 상기 제 2 리테이너에 결합된 유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리테이너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해 회전하고, 리테이너와 결합될 때 리테이너를 그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병진운동(translational)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커플러 보디에 대한 회전 위치로 편향되며 이 위치에서 트리거는 포획 영역 내로 및 그 밖으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할 때 핀에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7. 제 36 항에 있어서,
    트리거의 회전 편향은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드라이버와 리테이너 사이의 결합해제를 초래할 때, 드라이버가 리테이너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리테이너가 편향력 하에 그 제 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9. 커플링 핀을 구비하는 부착물을 토공 기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에 있어서,
    a. 토공 기계에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커플러 보디,
    b. 상기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셉터클,
    c. 커플러 보디에 대한 핀 유지 위치에서 핀을 리셉터클 내에 유지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테이너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드라이버와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리테이너에 결합될 때 리테이너를 핀 유지 위치로부터 핀이 리셉터클에서 퇴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리테이너,
    d. 핀이 리셉터클의 입구 개구부를 통해서 리셉터클에 진입 및 이탈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핀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트리거로서, 핀에 의해 이동하고 이로써 리테이너와 드라이버의 결합해제를 초래할 수 있는, 상기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40. 섀시 및 섀시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토공 기계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커플러는 아암의 단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 기계.
  41. 커플링 핀을 구비하는 부착물을 토공 기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에 있어서,
    a. 커플러 보디,
    b. 상기 핀을 리셉터클의 입구 개구부를 통해서 수용하기 위해 커플러 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리셉터클,
    c. 상기 핀을 리셉터클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위치와 상기 핀이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리셉터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되는 리테이너로서, 리테이너를 제 1 위치 쪽으로 압박하는 편향에 대항하여
    i. 핀이 입구 개구부를 통해서 리셉터클 내로 이동할 때 핀이 리셉터클 내로 이동하여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그곳에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핀, 및
    ⅱ. 리테이너에 대해 결합된 상태와 결합해제된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되는 드라이버로서, 리테이너를 그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상기 드라이버
    각각에 의해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수 있는, 리테이너, 및
    d. 커플러 보디에 의해 배치되는 트리거로서, 제 1 위치를 벗어나 있는 리테이너가 편향에 의해 그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리테이너 및 드라이버가 결합해제되도록 만들기 위해 상기 핀이 (i) 리셉터클 내로 이동하는 방향 및 (ⅱ)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핀에 접촉되고 상기 핀에 의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되도록 리셉터클에 대해 제공되는, 상기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42. 장착 핀을 구비하는 부착물을 토공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에 있어서,
    장착 핀을 수용하기 위해 포획 영역을 갖는 리셉터클과, 커플러 보디에 대해 유지 위치에 있을 때 핀을 포획 영역 내에 포획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포획 영역으로부터 핀을 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드라이버에 의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커플러 보디, 및
    핀이 포획 영역 내외로 이동할 때 핀이 트리거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플러 보디로부터 제공되는 트리거로서, 트리거는 상기 핀에 의해 이동되어 드라이버를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시키며 이후 리테이너가 리테이너에 작용하는 편향의 영향 하에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하는, 상기 트리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43. 장착 핀을 구비하는 부착물을 토공 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커플러에 있어서,
    장착 핀을 수용하기 위해 포획 영역을 갖는 리셉터클과, 커플러 보디에 대해 유지 위치에 있을 때 핀을 포획 영역 내에 포획시키는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커플러 보디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포획 영역으로부터 핀을 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드라이버에 의해 커플러 보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커플러 보디, 및
    핀이 포획 영역 내외로 이동할 때 핀이 트리거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플러 보디로부터 제공되는 트리거로서, 트리거는 상기 핀에 의해 이동되어 드라이버를 리테이너로부터 결합해제시키며 이후 리테이너가 그 유지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드라이버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상기 트리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KR1020207006339A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KR10261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4101A KR20240005978A (ko)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734332 2017-08-04
NZ73433217 2017-08-04
NZ742077 2018-04-30
NZ74207718 2018-04-30
PCT/IB2018/055835 WO2019026031A1 (en) 2017-08-04 2018-08-03 QUICK COUPL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101A Division KR20240005978A (ko)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405A KR20200043405A (ko) 2020-04-27
KR102618906B1 true KR102618906B1 (ko) 2023-12-27

Family

ID=652336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339A KR102618906B1 (ko)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KR1020237044101A KR20240005978A (ko)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101A KR20240005978A (ko) 2017-08-04 2018-08-03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643787B2 (ko)
EP (2) EP4265928A3 (ko)
JP (1) JP7189200B2 (ko)
KR (2) KR102618906B1 (ko)
CN (1) CN111164263B (ko)
AU (1) AU2018311534A1 (ko)
CA (1) CA3083298A1 (ko)
ES (1) ES2965897T3 (ko)
MX (2) MX2020001367A (ko)
WO (1) WO2019026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083B2 (en) 2015-12-07 2023-12-1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Locking device for a quick coupler
US11643787B2 (en) 2017-08-04 2023-05-0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Quick coupler
DE102019108929A1 (de) * 2019-04-05 2020-10-08 Markus Riedlberger Bolzenverbindung
US11702816B2 (en) 2020-01-30 2023-07-18 Wedgelock Equipment Limited Quick coupl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4636A1 (en) 2000-02-11 2003-08-21 Gary Miller Universal coupler for excavator buckets
GB2450127A (en) 2007-06-13 2008-12-17 Miller Uk Ltd Coupling an accessory to an excavator arm
US20100031539A1 (en) 2008-08-07 2010-02-11 Jrb Attachments, Llc Spread-style coupler with supplemental safety lock
US20110286788A1 (en) 2010-03-26 2011-11-24 Robert Sikorski Coupler with pivoting front hook lock
US20140301779A1 (en) 2009-12-09 2014-10-09 S T Couplers Limited Couplers
WO2016153360A1 (en) 2015-03-25 2016-09-2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A visual indicator for a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140A (en) * 1968-01-26 1970-09-29 Int Harvester Co Tractor quick hitch attachment
US3572759A (en) * 1968-12-23 1971-03-30 Allis Chalmers Mfg Co Latch control means
US3807769A (en) 1972-09-25 1974-04-30 Massey Ferguson Inc Quick hitch attachment
US4398745A (en) 1981-06-01 1983-08-16 International Harvester Co. Three point hitch lower link claw
US4549744A (en) 1984-08-20 1985-10-29 Deere & Company Quick coupler latch
JPS6361207U (ko) * 1986-10-13 1988-04-23
US4958848A (en) * 1989-05-01 1990-09-25 Nash Boyd B Pintle type trailer coupling
IT1253787B (it) * 1991-07-10 1995-08-23 Cbm Spa Meccanismo di movimentazione del chiavistello di bloccaggio automaticoe sblocco comandato delle rotule di attrezzi portati e semiportati da macchine agricole, per ganci inferiori di attacchi a tre punti.
GB2330570B (en) * 1998-09-08 1999-09-15 Miller Ronald Keith Quick coupler for bucket excavators
US6478094B2 (en) 2001-04-10 2002-11-12 Frank David Alexander Hydraulic three point tractor hitch
US6508616B2 (en) * 2001-05-25 2003-01-21 Bing-Wen Hung Bucket fastener for a hydraulic shovel
DE60215289T2 (de) * 2001-12-06 2007-05-24 Geith Patents Ltd. Werkzeugschnellkupplung zum Kuppeln eines Anbauteils an einen Baggerarm und die Werkzeugschnellkupplung umfassend ein Steuerungssystem
ITBO20030056A1 (it) 2003-02-07 2004-08-08 Cangini Benne Srl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utensili.
NO20050638D0 (no) 2005-02-04 2005-02-04 Gjerstad Mek Ind As Vendbar hurtigkobling
US7530405B2 (en) * 2005-09-09 2009-05-12 Deere & Company Implement quick coupler latch mechanism
NZ546893A (en) * 2006-05-02 2008-02-29 Wedgelock Equipment Ltd A safety locking device for a quick hitch/coupler of an earth working machine
EP1852555B1 (en) 2006-05-02 2012-09-12 Kinshofer GmbH A safety locking device for a quick coupler
US7648305B2 (en) 2007-02-08 2010-01-19 Cws Industries (Mfg.) Corp. Pin grabber coupler
CA2686622C (en) 2008-03-07 2016-06-28 Wedgelock Equipment Limited Coupler for earth moving or materials handling machine
GB0816335D0 (en) 2008-09-08 2008-10-15 Hill Ian Coupler with gravity operated safety device
GB2464988B8 (en) * 2008-11-03 2013-02-20 Miller Int Ltd Coupler with coupling status sensors
WO2010059948A1 (en) * 2008-11-20 2010-05-27 Jrb Attachments, Llc Coupler with secondary lock on front hook
GB2467380B (en) * 2009-02-03 2010-12-22 Miller Int Ltd Fully automatic coupler for excavator arm
NZ599352A (en) 2009-09-22 2013-12-20 Ian Hill Hydraulic coupler with pin retention system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work machine
GB0918536D0 (en) * 2009-10-21 2009-12-09 Whites Material Handling Ltd Double action safety lock
US9217235B2 (en) 2012-05-30 2015-12-22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RU146194U1 (ru) 2012-12-10 2014-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Г. Шухова" Быстро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AU2013364566A1 (en) 2012-12-18 2015-07-09 Jb Attachments Limited A coupler
KR101338036B1 (ko) 2013-03-07 2013-12-11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DE202013004797U1 (de) 2013-05-23 2014-08-25 Kinshofer Gmbh Schnellkuppler
DE202014004430U1 (de) 2013-05-31 2014-09-02 Kinshofer Gmbh Schnellkuppler
AU2013206475A1 (en) * 2013-06-21 2015-01-22 Miller International Ltd. Coupler
DE202013005679U1 (de) 2013-06-24 2014-09-25 Kinshofer Gmbh Schnellkuppler
JP6284445B2 (ja) 2014-06-26 2018-02-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イックカプラ
US11846083B2 (en) 2015-12-07 2023-12-1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Locking device for a quick coupler
US11643787B2 (en) 2017-08-04 2023-05-0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Quick coupler
GB2576131B (en) 2018-06-25 2023-01-18 Miller Uk Ltd Coup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4636A1 (en) 2000-02-11 2003-08-21 Gary Miller Universal coupler for excavator buckets
GB2450127A (en) 2007-06-13 2008-12-17 Miller Uk Ltd Coupling an accessory to an excavator arm
US20100031539A1 (en) 2008-08-07 2010-02-11 Jrb Attachments, Llc Spread-style coupler with supplemental safety lock
US20140301779A1 (en) 2009-12-09 2014-10-09 S T Couplers Limited Couplers
US20110286788A1 (en) 2010-03-26 2011-11-24 Robert Sikorski Coupler with pivoting front hook lock
WO2016153360A1 (en) 2015-03-25 2016-09-29 Wedgelock Equipment Limited A visual indicator for a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5928A3 (en) 2024-01-10
EP3662112A1 (en) 2020-06-10
KR20200043405A (ko) 2020-04-27
US20230235526A1 (en) 2023-07-27
WO2019026031A1 (en) 2019-02-07
MX2020001410A (es) 2021-02-18
RU2020108325A (ru) 2021-09-06
EP3662112A4 (en) 2021-04-28
KR20240005978A (ko) 2024-01-12
CN111164263A (zh) 2020-05-15
ES2965897T3 (es) 2024-04-17
CN111164263B (zh) 2022-04-22
JP7189200B2 (ja) 2022-12-13
US11643787B2 (en) 2023-05-09
JP2020529541A (ja) 2020-10-08
CA3083298A1 (en) 2019-02-07
EP4265928A2 (en) 2023-10-25
EP3662112B1 (en) 2023-09-13
RU2020108325A3 (ko) 2021-10-18
US20200263382A1 (en) 2020-08-20
MX2020001367A (es) 2020-08-17
AU2018311534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906B1 (ko) 퀵 커플러
US11702816B2 (en) Quick coupler
WO2010059948A1 (en) Coupler with secondary lock on front hook
KR20120088821A (ko) 신속 걸림 연결장치
KR20120110113A (ko) 개량 커플러
PL194314B1 (pl) Wtykowe urządzenie łącznikowe
EP1887172A2 (de)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Möbelteils und Möbel
GB2492850A (en) Hitch coupler
EP3750446A1 (en) Slide rail assembly
KR101737019B1 (ko) 백호 버킷용 퀵 히치 커플러
EP2975202A1 (en) Spring bolt arrangement
EP1739257B1 (de) Schloss
DE102019134730B4 (de) Parksperre für ein Kraftfahrzeug
JP5722724B2 (ja) 安全スイッチ
EP3543436B1 (de) Gegenschloss für eine standflügeltür
RU27734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ъе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к машине для земляных работ (варианты) и машина для земляных работ,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соединитель
US20170191240A1 (en) Work Tool Coupler Engagement System
AU2020201875A1 (en) Quick hitch
WO2023193034A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NZ762637A (en) Quick hitch
EP4144940A2 (de) Schloss
AT14993U1 (de) Kupplungseinrichtung zum lösbaren Anbinden eines Werkzeuges an eine Baumaschine
IES86256Y1 (en) A safety mechanism for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IE20130069U1 (en) A safety mechanism for a coupler for coupling an accessory to a dippe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