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24B1 -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 Google Patents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24B1
KR102618124B1 KR1020210044058A KR20210044058A KR102618124B1 KR 102618124 B1 KR102618124 B1 KR 102618124B1 KR 1020210044058 A KR1020210044058 A KR 1020210044058A KR 20210044058 A KR20210044058 A KR 20210044058A KR 102618124 B1 KR102618124 B1 KR 10261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rtridge
syringe
chemical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210A (ko
Inventor
최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to KR102021004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주사기를 통해 약액 카트리지 내의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때, 시술자를 보호하고 약물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폐기하도록 하는 홀더이 개시된다.
일 예로, 주사기 및 약액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홀더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주사기에 의해 관통되는 바디부; 및 타단이 상기 약액 카트리지를 밀봉하는 격막이 형성된 헤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주사기의 니들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Holder For Liquid Medicine Cartridge}
본 발명은 주사기를 통해 약물 카트리지 내의 약액을 인체에 주입할 때, 시술자를 보호하고 약물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폐기하도록 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이나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액 투여의 목적으로, 병원에서 주사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주사기로 약액을 투여하는 일은 피시술자는 물론 의료직에 종사하는 시술자에게도 정신적 및 신체적으로 많은 위험과 어려움을 주는 과정이다.
대표적으로 시술자가 주사 과정에서, 주사 바늘에 찔리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로 인해 시술자가 감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염병이나 바이러스가 확산되어 있는 상황에서, 시술자가 주사 과정에서 다치는 것은 본인은 물론 의료진의 공백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2/0127150호(2002.09.12.)
본 발명은 주사기를 통해 약액 카트리지 내의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때, 시술자를 보호하고 약물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폐기하도록 하는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는 주사기 및 약액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홀더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주사기에 의해 관통되는 바디부; 및 타단이 상기 약액 카트리지를 밀봉하는 격막이 형성된 헤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주사기의 니들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홀더의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동일하거나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니들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니들이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격막을 관통하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절개홀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삽입시 상기 절개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각각 내측에 결합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직경이 감소하는 병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 결합된 상기 주사기의 니들은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격막을 0.5 내지 3[mm]의 길이로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는 약액 카트리지와 결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사기의 니들이 홀더의 가이드를 따라 삽입되도록 하여, 시술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는 시술 이후, 약액 카트리지와 함께 결합된 상태로 폐기되도록 하여, 폐기가 용이하게 하면서도 시술자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약액 카트리지 및 주사기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약액 카트리지 및 주사기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사기가 약액 카트리지의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즈용 홀더(100)는 바디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제 1 방향(예를 들어,하부)으로부터 주사기가 삽입되는 영역으로, 삽입 단부에 대해 파지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돌기(111)는 시술자가 바디부(110)를 파지했을 때, 홀더(100)를 미끄러지거나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바디부(110)의 제 2 방향(예를 들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절개홀(121)을 따라 각각 이격된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약액 카트리지가 결합부(120)를 따라 제 2 방향에서 삽입될 때, 결합부(1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약액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20)는 대략 중단에 각각 체결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돌기(122)는 약액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약액 카트리지의 헤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약액 카트리지가 홀더(10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약액 카트리지 및 주사기와 결합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약액 카트리지 및 주사기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가 약액 카트리지 및 주사기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100)를 기준으로 제 1 방향(예를 들어, 상부)에서 약액 카트리지(200)가 결합되고, 제 2 방향(예를 들어, 하부)에서 주사기(3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약액 카트리지(200)는 그 상단이 홀더(100)를 향하도록 플립되어 제 1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 약액 카트리지(200)는 바디부(210)와 그 상단에 형성된 격막(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0)는 상단의 헤드부(211)에 개구를 갖고 내부에 주사제나 백신과 같은 약액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는 헤드부(211)의 바로 아래 위치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병목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격막(220)은 마디부(210)의 상단의 개구를 밀봉하며, 이에 따라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약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격막(220)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이후 제 2 방향에서 주사기(300)의 니들에 의해 관통될 수 있고, 니들이 제거된 이후에는 격막(220)이 탄성복원에 의해 다시 막힐 수 있다.
또한, 약액 카트리지(200)는 격막(200)이 홀더(100)를 향하도록 뒤집힌 상태에서 홀더(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약액 카트리지(200)는 오목하게 형성된 병목부(212)가 홀더(100)의 결합 돌기(12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액 카트리지(200)가 홀더(100)의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홀더(100)의 결합부(120)는 절개홀(121)을 따라 벌어지게 된다. 또한, 약액 카트리지(200)의 헤드부(211)가 홀더(100)의 결합 돌기(122)를 지나고 이후 병목부(212)가 결합 돌기(122)의 위치에 도달하면, 홀더(100)의 결합부(120)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무려들게 된다. 따라서, 홀더(100)의 결합 돌기(122)가 약액 카트리지(200)의 병목부(212)에 결합되어, 홀더(100)와 약액 카트리지(20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주사기(300)는 홀더(100)의 제 2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기(300)는 바디부(310), 바디부(310)의 일단으로 도출되는 니들(320), 바디부(310)의 타단에서 결합되는 손잡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300)의 경우, 홀더(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10a)에 진입할 수 있다. 특히, 홀더(100)는 공간(110a) 내에 관통 돌기(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관통 돌기(112)는 그 내부에 관통홀(112a)을 구비하여, 주사기(300)의 바디부(310)의 단부(311) 및/또는 니들(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홀(112a)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 바꿔 설명하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니들(320)의 삽입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주사기(300)의 니들(320)을 통해 시술을 준비함에 있어서, 주사기(300)의 니들(320)이 홀더(100)에 의해 안전하게 가이드되므로, 시술자가 니들(320)에 의해 다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니들(320)의 경우, 홀더(100)의 관통홀(112a)을 따라 이동후 홀더(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홀더(100)에 결합된 약액 카트리지(200)의 격막(220)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320)의 단부(321)은 격막(220)을 뚫고 약액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액과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니들(320)의 단부(321)는 격막(220)의 내부로 0.5 내지 3[mm]의 범위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에 위치한 약액 카트리지(200) 내부의 약액은 하단에 위치한 니들(320)을 통해 주사기(300)의 바디부(310)로 모두 남지 않고 흡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사기가 약액 카트리지의 약액을 흡입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사기가 약액 카트리지의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100)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예를 들어, 상부)에는 약액 카트리지(200)가 결합될 수 있고, 약액 카트리지(200)의 병목부(212)에 홀더(100)의 결합 돌기(122)가 위치하여, 헤드부(211)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홀더(100)의 제 2 방향(예를 들어, 하부)에는 주사기(300)가 결합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주사기(300)의 삽입에서, 니들(320)의 단부(321)는 홀더(100)의 관통홀(112a)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고, 약액 카트리지(200)의 격막(22)을 관통하며, 약액 카트리지(200)의 내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주사기(300)의 손잡이부(100)는 단부(311)에 닿도록 밀어올려진 상태에 있으며, 손잡이부(100)의 말단에 결합된 밀폐부재(340)는 바디부(310)의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5b와 같이, 약액 카트리지(200)가 상부, 주사기(300)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사기(300)의 손잡이부(330)가 시술자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당겨지면, 주사기(300)의 바디부(310)의 내부에 공간이 생기며, 이 때 밀폐부재(340)에 의해 공간에는 일시적으로 진공이 생성되어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압에 의해, 약액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있던 약액(L)이 니들(320)의 단부(321)를 따라 흡입되어 주사기(300)의 바디부(31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술한 것과 같이, 니들(320)의 단부(321)는 약액 카트리지(200)의 격막(220)의 상부로 0.5 내지 3[mm]의 길이로 돌출되어, 약액(L)이 남지않고 모두 주사기(300)의 바디부(3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주사기(300)만을 홀더(100)로부터 분리하여 피시술자에게 접종할 수 있고, 남은 홀더(100)와 약액 카트리지(200)는 결합된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약액(L)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시술자는 홀더(100)만을 파지한 상태에서 약액(L)을 피시술자에게 접종할 수 있게 되므로, 시술자는 접종 준비부터 접종 후 파기까지 안전하고 쉽게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홀더 110; 바디부
111; 파지 돌기 120; 결합부
121; 절개홀 122; 결합 돌기
200; 약액 카트리지 210; 바디부
211; 헤드부 212; 병목부
220; 격막 300; 주사기
310; 바디부 320; 니들
21; 니들 단부 330; 손잡이부

Claims (8)

  1. 주사기 및 약액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홀더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주사기에 의해 관통되는 바디부; 및
    타단이 상기 약액 카트리지를 밀봉하는 격막이 형성된 헤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주사기의 니들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니들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일단에서 상기 홀더의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니들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니들이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격막을 관통하여 상기 약액 카트리지와 연통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절개홀에 의해 이격되는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삽입시 상기 절개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된 홀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각각 내측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직경이 감소하는 병목부에 결합되는 홀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결합된 상기 주사기의 니들은 상기 약액 카트리지의 격막을 0.5 내지 3[mm]의 길이로 관통하여 돌출된 홀더.
KR1020210044058A 2021-04-05 2021-04-05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KR10261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58A KR102618124B1 (ko) 2021-04-05 2021-04-05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58A KR102618124B1 (ko) 2021-04-05 2021-04-05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10A KR20220138210A (ko) 2022-10-12
KR102618124B1 true KR102618124B1 (ko) 2023-12-29

Family

ID=8359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58A KR102618124B1 (ko) 2021-04-05 2021-04-05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7150A1 (en) * 2001-03-07 2002-09-12 Sasso John T. Vial access device for use with various size drugs vi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996A (en) * 1984-04-16 1992-02-18 Kopfer Rudolph J Anti-aerosoling drug reconstitu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7150A1 (en) * 2001-03-07 2002-09-12 Sasso John T. Vial access device for use with various size drugs v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10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3793B2 (ja) 選択的に格納可能な針を有する皮下注射器
KR960005816B1 (ko) 바늘 찔림 방지 및 의약 남용 방지 주사기
US5246427A (en) Safety hypodermic needle and shielding cap assembly
EP0609741B1 (en) Prefilled syringe assembly
ES2234489T3 (es) Embolo de jeringa perfeccionado ppara jeringa de aguja retractil.
KR102581612B1 (ko) 해제 불가능하게 록킹 가능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매체를 위한 이송 기구
US5713871A (en) Protective sleeve for hypodermic needle
US20060184103A1 (en) Syringe safety device
US20060079848A1 (en) Non-skin penetrating reconstituting syringe
MX2007000146A (es) Jeringa de un solo uso.
JPH0211164A (ja) 注射器
JPH02243163A (ja) 皮下注射器に取外し自在なカニューレの防護装置
WO1991007196A1 (en) Medical needle
BRPI0808477B1 (pt) conjunto de seringa tendo mecanismo de desabilitação com características de resistência a violação
EP1421961A2 (en) Self-aligning shield for syringe
KR102618124B1 (ko)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KR102569794B1 (ko) 약액 카트리지용 홀더
JP3294537B2 (ja) バイアル及びアンプルからの流体にアクセスする流体移送装置及びその装置を使用して流体を移送する方法
AU2020315548B2 (en) Syringe tip cap
KR102272644B1 (ko) 1회용 안전 주사바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 장치
TW201726196A (zh) 注射裝置
US9789262B2 (en) Sheath protecting a cannula, and safety syringe comprising said sheath
US10813834B2 (en) Disinfecting capping device for sharp medical objects
KR101742803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JPH1028739A (ja) 医療用穿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