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842B1 -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842B1
KR102617842B1 KR1020220186877A KR20220186877A KR102617842B1 KR 102617842 B1 KR102617842 B1 KR 102617842B1 KR 1020220186877 A KR1020220186877 A KR 1020220186877A KR 20220186877 A KR20220186877 A KR 20220186877A KR 102617842 B1 KR102617842 B1 KR 10261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ge
mobile
st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선
황이택
Original Assignee
하동선
황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선, 황이택 filed Critical 하동선
Priority to KR102022018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에 설치되어, 작동시 작동 정보를 송출하는 전광판 어플; 무대에 설치되는 영상 송출부; 상기 전광판 어플로부터 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정보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 가능하다.

Description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STAGE}
본원은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대에 사용되는 기기에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이벤트 발생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 기기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대장치들은 무대의 상황에 따라 각각 출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런데, 연극이나 오페라, 음악회 등, 공연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이 직접 각각의 무대장치를 상황에 따라 직접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중앙 관제소에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무대장치 제어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근데, 근래에는, 무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객들이 각자가 소지한 모바일의 전광판 어플을 이용해 응원 문구 등을 도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관객과 무대의 공연자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관객이 도시하는 응원 문구를 무대에 이미지(영상)로 도시할 필요가 있어 왔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7262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객이 객석에서 본인의 모바일을 이용해 도시하는 응원 문구를 무대에서도 영상으로 송출할수 있도록 무대 장치를 제어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에 설치되어, 작동시 작동 정보를 송출하는 전광판 어플; 무대에 설치되는 영상 송출부; 및 상기 전광판 어플로부터 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정보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 가능하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관객이 전광판 어플을 이용해 모바일로 영상을 송출하면, 제어부가 전광판 어플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무대의 영상 송출부를 제어해 무대의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객과 호흡하는 무대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무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위치 고정 유닛이 미돌출 상태인 위치 고정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위치 고정 유닛이 돌출 상태인 위치 고정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전광판 어플(1)을 포함한다. 전광판 어플(1)은 모바일(91)에 설치되어, 작동시 작동 정보를 송출한다. 전광판 어플(1)은 모바일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문구를 송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광판 어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 정보는, 전광판 어플(1)에 의해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무대(92)에 설치되는 영상 송출부(2)를 포함한다. 영상 송출부(2)는 영상이 송출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영상 송출부(2)는 무대(92)에 설치되어 영상을 송출하는 장치일 수 있는데,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일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제어부(3)를 포함한다. 제어부(3)는 전광판 어플(1)로부터 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송출부(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전광판 어플(1)에 의해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이미지)을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 가능하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모바일이 전광판 어플(1)에 의해 송출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고, 제어부는 송신받은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송출부(2)를 통해 모바일(91)이 송출하는 이미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 어플(1)이 설치되는 모바일(91)이 복수개 인경우, 제어부는 복수개의 모바일 중 하나가 송출하는 영상을 영상 송출부(2)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객이 각각의 모바일을 통해 이미지를 송출하면, 복수의 모바일(91)로부터 제어부로 복수의 영상 정보가 발신될 수 있고, 제어부는 복수개의 모바일 중 하나를 미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선택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제어부를 제어하여 선택한 하나의 모바일(91)로부터 송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송출부(2)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정보는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3)는 카메라가 하나의 모바일의 소유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나의 모바일(91)의 위치 정보를 카메라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카메라가 하나의 모바일(91)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모바일(91) 근방을 영상으로 수집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영상 송출부(2)를 통해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의 카메라 제어는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작업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무대(92)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41) 복수개 및 조명(41) 복수개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구조체(42)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일 구조체(42)는 조명(41)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421) 및 조명을 레일부(421)에 연결하며 레일부(4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장착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부(421)는 트랙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2열로 형성되는 메인부 및 2열의 메인부의 일단끼리를 연결하는 상호 연결하고, 2열의 메인부의 타단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는 장착부(422)가 레일부(42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421)는 레일부(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4211)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4211)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공부(4211)의 단면은 후술하는 바퀴(4222)의 구름 운동이 가능하게 수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부(421)는 중공부(4211)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중공부(4211) 대비 좁은 폭을 갖는 입구(4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422)는, 중공부(4211)에 위치하며 입구(4212)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장착 유닛(4221) 및 장착 유닛(4221)의 하측에 구비되어 레일부(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421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4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바퀴(4222)는 중공부(4211)의 폭 방향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41)은 레일부(421)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조명(41)의 레일부(421)를 따른 이동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422)는 바퀴(4222)에 구름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모터부를 제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3)가 모터부를 ON하는 경우 바퀴(4222)가 구름 운동하여 조명(41)은 레일부(421)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모터부가 OFF 하는 경우, 바퀴(422)의 구름 운동이 멈추며 조명(41)의 레일부(421)를 따른 이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장착부(422)는 위치 고정 구조체(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고정 구조체(5)는 장착 유닛(4221)의 폭 방향으로의 일측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위치 고정 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 구조체(5)는 위치 고정 유닛(51)의 일부를 레일부(421)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장착 유닛(4221)의 폭 방향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돌출 작동 장치(5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작동 장치(53)는 위치 고정 유닛(51)과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1 상태에서 폭 방향 타측으로 수축되고 고온인 제2 상태에서 폭 방향 일측으로 신장되도록 설정되는 SMA 스프링(Shape Memory Alloy Spring)(533)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유닛(4221)에는 위치 고정 유닛(5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위치 고정 유닛(51)은 돌출 작동 장치(53)에 의해 선형 이동되며 장착 유닛(422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레일부(42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장착부(422)는 장착 유닛(422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고정 유닛(51)과 레일부(421)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위치 고정 유닛(51)이 없다면, 장착부(422)는 바퀴(4222)가 멈추어진 상태에 있으나,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시스템은, 장착부(422)를 위치 고정 유닛(51)과 레일부(421)의 선택적 마찰 접촉을 이용하여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위치 고정 유닛(51)의 타단부 및 레일부(421)의 위치 고정 유닛(51)이 접촉되는 타측 내면 중 하나 이상에는 마찰력 증가 패드(519, 419)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력 증가 패드(519, 419)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위치 고정 유닛(51)의 상하 방향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출 작동 장치(53)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 작동 장치(53)는 SMA 스프링(Shape Memory Alloy Spring)(531)을 포함한다.
SMA 스프링(531)은 와류 발생 유닛(11)과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1 상태에서 하향 수축되고(도 4 참조) 고온인 제2 상태에서 상향 신장(도 5 참조)되도록 설정된다.
즉, SMA 스프링(531)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저온인 제1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초기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해진 외력에 따라 변형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고온인 제2 상태에서는 다시 초기 형태로 복원되려는 형상 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SMA 스프링(531)이 제1 상태(외력 작용에 따라 쉽게 변형되는 저온 상태)일 때의 스프링 상수는 SMA 스프링(531)이 제2 상태(초기 형태를 유지하려는 상태)일 때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의 저온 상태(제1 상태)인 SMA 스프링(531)에 열을 가하여 SMA 스프링(531)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고온 상태(제2 상태)에 도달하면, 변형되기 이전의 형태(초기 형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에 따라 제1 상태에서의 SMA 스프링(5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장되면서, 돌출 작동 장치(53)는 상측 방향으로 선형 구동될 수 있다(도 4에서 도 5로의 구동).
반대로, 도 5의 고온 상태(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이 냉각되어 SMA 스프링(531)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저온 상태(제1 상태)에 도달하면,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초기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2 상태에서의 SMA 스프링(5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축되면서, 돌출 작동 장치(53)는 하측 방향으로 선형 구동될 수 있다(도 5에서 도 4로의 구동).
장착부(42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들을 갖는 SMA 스프링(531)의 온도를 조절하여 돌출 작동 장치를 상하 구동시킴으로써, 위치 고정 유닛(51)을 중공부의 폭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은 SMA 스프링(531)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기계 장치 없이 온도 조절을 통해 능동 제어가 가능한 위치 고정 유닛(51)과 돌출 작동 장치(53)를 포함하는 위치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 작동 장치(53)는 일반 스프링(5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스프링(533)은 SMA 스프링(531) 상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일반 스프링(533)은 외력이 작용되면 해당 스프링 상수에 맞게 압축되고,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는 통상적인 스프링 구성이라 할 수 있다. SMA 스프링(531)도 초기 형태를 유지하려는 고온 상태(제2 상태)에서는 일반 스프링(533)과 같은 압축 변형 및 복원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SMA 스프링(5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저온에서 형상 기억 효과가 사라지면서 초기 형태에서의 스프링 상수보다 낮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상태(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스프링(533)의 스프링 상수는 SMA 스프링(531)이 제1 상태일 때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고, SMA 스프링(531)이 제2 상태일 때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 작동 장치(53)는, 실린더(539)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539)는 SMA 스프링(531)과 일반 스프링(533)을 수용할 수 있다.
실린더(539)의 내부 공간의 폭 방향 길이는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의 길이와 외력 작용이 없는 상태인 일반 스프링(533)의 길이의 합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 및 일반 스프링(533)은 실린더(539) 내에 소정 이상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539)의 내부 공간에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 및 일반 스프링(533)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도 5의 고온 상태(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이 냉각되어 SMA 스프링(531)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저온 상태(제1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압축된 상태였던 일반 스프링(533)이 압축되었던 압축량 및 일반 스프링(533)의 스프링 상수에 따른 외력을 SMA 스프링(531)에 하측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 제1 상태의 SMA 스프링(531)은 일반 스프링(531)이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축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돌출 작동 장치(53)는 장착 유닛(4221)의 내측(폭 방향 타측) 방향으로 선형 구동될 수 있다.
즉, 도 5의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이 제1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상태인 SMA 스프링(531)은 일반 스프링(533)의 복원력에 의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일반 스프링(533)의 복원력이 제1 상태의 SMA 스프링(531)에 작용됨으로써, 제1 상태의 SMA 스프링(531)이 즉각적으로 형상 변형(압축 변형)될 수 있다. 즉, 일반 스프링(533)을 SMA 스프링(531)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돌출된 위치 고정 유닛(51)이 미돌출된 상태로 복원되는 구동(도 5에서 도 4로의 구동)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제1 상태인 SMA 스프링(531)이 도 5의 제2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제2 상태인 SMA 스프링(531)은 원래의 형상(초기 형상)으로 형상 복원되면서 일반 스프링(533)을 압축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의 저온 상태(제1 상태)인 SMA 스프링(531)에 열이 가해져 SMA 스프링(531)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고온 상태(제2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변형되기 이전의 형태(초기 형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에 따라 제2 상태의 SMA 스프링(531)은 제1 상태의 SMA 스프링(5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장되는 방향으로 형상 복원되는데, 제2 상태의 SMA 스프링(531)이 신장되는 과정에서, 일반 스프링(533)에 상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되어 일반 스프링(533)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MA 스프링(531) 일측의 이동블록(535)의 이동과 연동되는 위치 고정 유닛(51)은 일측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539)의 내부 공간의 폭방향 길이, SMA 스프링(531)의 길이와 스프링 상수, 및 일반 스프링(533)의 길이와 스프링 상수는, 제1 상태에서 위치 고정 유닛(51)의 일부가 장착 유닛(4221)의 표면의 일측으로 미돌출되고, 제2 상태에서 위치 고정 유닛(51)의 일부가 장착 유닛(4221)의 표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구동 관계가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위치 고정 유닛(5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실린더(539)의 내부 공간의 폭방향 길이, SMA 스프링(531)의 길이와 스프링 상수, 및 일반 스프링(533)의 길이와 스프링 상수가 설정됨으로써, 이러한 변수들의 상호 관계에 기인하여 돌출 작동 장치(1)의 작동 변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 작동 장치(53)는 이동블록(535) 및 연결 로드(5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블록(535)은 SMA 스프링(531)과 일반 스프링(5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로드(537)는 이동블록(535)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위치 고정 유닛(51)이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제1 상태인 SMA 스프링(531)이 도 5의 제2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상태일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장되는 방향으로 형상 복원되고 일반 스프링(533)은 상대적으로 압축 변형되므로, 이동블록(535) 및 연결 로드(537)가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고정 유닛(51)이 블레이드 표면(3)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의 제2 상태인SMA 스프링(531)이 도 4의 제1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SMA 스프링(531)의 원래 형상(초기 형상)에 대응하여 압축되어 있던 일반 스프링(533)의 복원력에 의해 SMA 스프링(531)이 타측으로 압축 변형되므로, 이동블록(535) 및 연결 로드(537)가 이와 연동하여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고정 유닛(51)이 장착 유닛의 표면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 로드(537)는 일반 스프링(533)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스프링(533)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연결 로드(537)가 배치됨으로써, 돌출 작동 장치(53)가 보다 컴팩트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539)의 상면에는 연결 로드(537)가 통과 가능한 홀(539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 작동 장치(53)는 히터 유닛(532)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유닛(532)은 SMA 스프링(531)을 선택적으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히터 유닛(532)은 SMA 스프링(531)이 고온 상태인 제2 상태에 놓이도록 발열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유닛(532)은 SMA 스프링(531)이 저온 상태인 제1 상태에 놓이도록, 발열 기능을 오프(off)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 유닛(532)에 의해, 추가적인 장치의 필요 없이 본 와류 발생기(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터 유닛(532)은 스틱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터 유닛(532)은 SMA 스프링(531)에 의해 스틱 형상의 둘레가 감싸지도록 SMA 스프링(531)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유닛(532)의 온도 변화가 SMA 스프링(531)에 용이하게 전달되게 하면서, 돌출 작동 장치(53)가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터 유닛(532)은 제1 상태에서 SMA 스프링(531)이 타측 수축되었을 때의 길이 이하의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히터 유닛(532)이 제1 상태에서 SMA 스프링(531)이 타측으로 수축되었을 때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구비되면, SMA 스프링(531)이 타측으로 수축되었을 때, 이동블록(535)과 히터 유닛(532)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유닛(532)과 이동블록(535)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히터 유닛(532)은 제1 상태에서 SMA 스프링(531)이 타측 수축되었을 때의 길이 이하의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조명(41)은 필요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3)는 조명(41)이 장착된 장착부(422)가 레일부(42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여 조명(4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히터 유닛(532)을 제어하여, SMA 스프링(531)이 선택적으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놓이게 하여, 조명(4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광판 어플
2: 영상 송출부
3: 제어부
4: 조명 장치
41: 조명
42: 레일 구조체
421: 레일부
4211: 중공부
422: 장착부
4222: 바퀴
51: 위치 고정 유닛
53: 돌출 작동 장치
531: SMA 스프링
532: 히터 유닛
533: 일반 스프링
535: 이동블록
537: 연결 로드
539: 실린더
5391: 홀
91: 모바일
92: 무대

Claims (7)

  1.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에 설치되어, 작동시 작동 정보를 송출하는 전광판 어플;
    무대에 설치되는 영상 송출부;
    상기 전광판 어플로부터 작동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대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 복수 개 및 상기 조명 복수 개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정보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광판 어플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송출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 가능하며,
    상기 레일 구조체는,
    조명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조명을 상기 레일부에 연결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트랙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네모 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기 중공부 대비 좁은 폭을 갖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장착 유닛 및 상기 장착 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 유닛의 폭 방향으로의 일측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위치 고정 유닛 및 상기 위치 고정 유닛의 일부를 상기 레일부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 유닛의 상기 폭 방향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돌출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작동 장치는 상기 위치 고정 유닛과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1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 타측으로 수축되고 고온인 제2 상태에서 상기 폭 방향 일측으로 신장되도록 설정되는 SMA 스프링(Shape Memory Alloy Spring)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 유닛의 상기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위치 고정 유닛과 상기 레일부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것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어플이 설치되는 상기 모바일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모바일 중 하나가 송출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부를 통해 송출하는 것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정보는, 상기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모바일의 소유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카메라에 제공하는 것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86877A 2022-12-28 2022-12-28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KR10261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877A KR102617842B1 (ko) 2022-12-28 2022-12-28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877A KR102617842B1 (ko) 2022-12-28 2022-12-28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842B1 true KR102617842B1 (ko) 2023-12-22

Family

ID=8930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877A KR102617842B1 (ko) 2022-12-28 2022-12-28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8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374A (ko) * 2015-08-25 2017-03-07 (주)케이엠정보기술 공연상황 상호작용 및 관객참여형 무대영상 연출장치 및 그 연출방법
KR101997919B1 (ko) * 2017-11-30 2019-07-08 김진혁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374A (ko) * 2015-08-25 2017-03-07 (주)케이엠정보기술 공연상황 상호작용 및 관객참여형 무대영상 연출장치 및 그 연출방법
KR101997919B1 (ko) * 2017-11-30 2019-07-08 김진혁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438B1 (ko) 변위 확대 기구를 갖는 압전 선형 모터
JP5194622B2 (ja) 駆動機構、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
US7665300B2 (en) Thin, flexible actuator array to produce complex shapes and force distributions
US20090185067A1 (en) Compact automatic focusing camera
CN100362382C (zh) 具有压电执行元件的数码相机系统
KR102617842B1 (ko)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WO2009093681A1 (ja) 駆動機構および駆動装置
CN113674642A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11815072B2 (en) Thermal actuator arrangement having improved reset time
JP2002131611A (ja) レンズ駆動機構
JP2005057907A (ja) 駆動装置
JP200911598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に適用するレンズ変位機構
JP2007318861A (ja) 静電アクチュエータ
KR100845333B1 (ko) 소형 광학렌즈의 자동초점조절장치용 판스프링
JP2006154390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TWI786712B (zh) 以單馬達實現多向轉動的轉動裝置及使用其的攝影設備
JP2004007914A (ja) 光学機器
JP2013120375A (ja) 駆動装置
WO2010098340A1 (ja) 駆動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5440213B2 (ja) 駆動機構、駆動装置、および内視鏡
KR101681221B1 (ko) 압전형 스텝 모터
JP2013242426A (ja) 駆動機構およびレンズ移動機構
JP2004156550A (ja) シーソー式作動機構
JP2009025693A (ja) 駆動機構、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
JP2005070716A (ja) 点字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