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687B1 -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687B1
KR102617687B1 KR1020217037111A KR20217037111A KR102617687B1 KR 102617687 B1 KR102617687 B1 KR 102617687B1 KR 1020217037111 A KR1020217037111 A KR 1020217037111A KR 20217037111 A KR20217037111 A KR 20217037111A KR 102617687 B1 KR102617687 B1 KR 10261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nit
heating
aerosol
combu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208A (ko
Inventor
단 리
빙 리우
이쿤 첸
화첸 리우
레이 리우
챠오 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토바코 후베이 인더스트리얼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토바코 후베이 인더스트리얼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이나 토바코 후베이 인더스트리얼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하우징(300)을 포함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300)에는,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A);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A);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400-A)이 설치되고,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그것은 전자 담배의 연기 양을 증가시키고 맛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연초 제품 가열 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배경이나 문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 언급된 내용은 배경 기술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만으로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종래의 비연소-가열식 궐련은 전기 가열 장치를 통해 전용 담배를 300℃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종래의 궐련과 유사한 연무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제품에는 (1) 담배에서 생성되는 연무의 양이 비교적 적고, (2) 담배의 맛이 비교적 단일하고, (3) 담배에 필요한 가열 온도가 비교적 높고, 생성되는 유해 물질이 비교적 많은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체 기재 유닛(전자 담배액)과 고체 기재 유닛(비연소-가열식 담배)의 동작 원리를 결합시킴으로써, 연무의 양을 현저히 상승시키고, 맛을 풍부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방안을 제공한다.
하우징을 포함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액체 기재 유닛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 및
액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설치되고,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은,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액체 기재 무화기; 및
제2 수용 공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체 팁을 포함하고, 발열체 팁에 고체 기재 유닛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고체 기재 무화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액체 기재 무화기와 고체 기재 무화기는 분리되어 설치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일단이 제1 수용 공간의 상단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이 제2 수용 공간의 하단과 연통되어,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시키는 제1 가스 통로가 더 설치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은 제2 수용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가스 통로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은,
제1 단부가 제1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어 액체 기재 유닛과 접촉하며, 제2 단부가 제2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어 고체 기재 유닛이 삽입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제2 단부의 측벽에 소결 방식으로 고정되어, 적어도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는 제1 가열 소자를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되고, 액체 기재 유닛이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기둥으로부터 제1 가열 소자(405)로 흐르도록 가열함으로써,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되도록 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은,
기둥에 고정 연결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가열 무화 유닛을 하우징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 및
고정 베이스 상에 소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1 가열 소자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기둥의 제1 단부와 고정 베이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되고, 액체 기재 유닛이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제1 단부로부터 고정 베이스의 제2 가열 소자로 흐르도록 가열함으로써,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2 가열 소자와 제2 수용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제2 가열 소자에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제2 가스 통로를 통해 고체 기재 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되도록 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의 제2 단부는 조밀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고체 기재 유닛에 삽입 설치가 용이한 뾰족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열 소자 및/또는 제2 가열 소자는 저항 페이스트, 금속 저항 시트 또는 금속 저항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체 기재 유닛은 저온 담배이며, 연초 과립, 각연초, 수직 기둥 형상 얇은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기재 유닛은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전자 담배액이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과 적어도 일부의 가열 무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 담배 장치를 더 포함한다.
액체 기재 유닛, 고체 기재 유닛 및 상술한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포함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에 있어서,
액체 기재 유닛은,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은,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2 수용 공간의 개구에 의해 제2 수용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체 기재 유닛은 저온 담배이며, 연초 과립, 각연초, 수직 기둥 형상 얇은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기재 유닛은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전자 담배액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사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자 담배액의 무화 온도는 200℃ 정도이기 때문에 담배의 가열 무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300℃ 이상에 도달하여야 하며, 전자 담배액을 무화하여 형성된 에어로졸 입자는 담배를 경유하고 고체 기재 유닛 내부의 향기 물질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어 고체 기재 유닛의 가열 무화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연무의 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전자 담배액의 맛이 다양하며, 맛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한 개요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고,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점뿐만 아니라 다른 이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재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록 도면에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면,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들은 충돌하지 않는 경우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예시도가 도시되어있고,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00)에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A), 하우징(300)의 측변에 열려져서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담배인 고체 기재 유닛(200)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A),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400-A)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전자 담배액의 무화 온도는 200℃ 정도이기 때문에 담배의 가열 무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300℃ 이상에 도달하여야 하며,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의 향기 물질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어 고체 기재 유닛(200)의 가열 무화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연무의 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전자 담배액의 맛을 다양하게 하며, 맛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400-A)은 분리되어 설치된 액체 기재 무화기(401-A) 및 고체 기재 무화기(402-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체 기재 무화기(401-A)는 액체 기재 유닛(1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윤되어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상기 고체 기재 무화기(402-A)는 제2 수용 공간(302-A)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체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302-A) 내부의 발열체 팁에 고체 기재 유닛(200)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301-A)과 제2 수용 공간(302-A)은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고, 제1 수용 공간(301-A)과 제2 수용 공간(302-A) 사이에 제1 가스 통로(500-A)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스 통로(500-A)의 일단은 제1 수용 공간(301-A)의 상단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용 공간의 하단과 연통되어, 제1 에어로졸이 고체 기재 유닛(200)을 더욱 충분히 경유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스 통로 구조를 통해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연결하여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설계에 대한 변경이 비교적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은 제1 가스 통로(500-A)를 통해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고, 외부의 흡연 작용에서 제1 에어로졸은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의 향기 물질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고,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 형성된 제2 에어로졸과 혼합된 후 상기 제2 수용 공간(302-A)의 개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1 에어로졸은 제2 에어로졸과 함께 소비자의 구강으로 진입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는, 액체 기재 유닛(100)은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전자 담배액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고체 기재 유닛(200)은 담배 과립, 각연초, 수직 기둥 형상의 얇은 시트 또는 기타 연초 제품으로 형성되는 저온 담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치는 액체 기재 무화기(401-A)와 고체 기재 무화기(402-A)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 장치(600-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전원 장치를 통해 액체 기재 무화기(401-A)와 고체 기재 무화기(402-A)에 공통으로 에너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전원 장치를 통해 액체 기재 무화기(401-A)와 고체 기재 무화기(402-A) 각각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제공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였고,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00)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B), 하우징(300)의 측변에 열려져서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담배인 고체 기재 유닛(200)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B),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가열 무화 유닛은 분리되어 설치된 액체 기재 무화기(401-B)와 고체 기재 무화기(402-B)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열 무화 유닛(400-A)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장치는 액체 기재 무화기(401-B)와 고체 기재 무화기(402-B)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 장치(600-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301-B)은 제2 수용 공간(302-B)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수용 공간(301-B)과 제2 수용 공간(302-B) 사이에 제1 가스 통로(500-B)가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은 제1 가스 통로(500-B)를 통해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고, 외부의 흡연 작용에서 제1 에어로졸은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의 향기 물질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고,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 형성된 제2 에어로졸과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1 에어로졸은 제2 에어로졸과 함께 소비자의 구강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이 고체 기재 유닛(200)을 더욱 충분히 경유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가스 통로(500-B)의 일단은 통상적으로 제1 수용 공간(301-B)의 상단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용 공간(302-B)의 하단과 연통되며, 제1 수용 공간(301-B)이 제2 수용 공간(302-B)의 하부에 설치되면, 가스 통로의 설치를 간소화하며, 제1 가스 통로(500-B)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되는 제1 에어로졸의 가스 통로에서의 응축을 감소시키고, 응축액을 감소시킨다.
실시예 3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제공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였고,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00) 내부에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C), 하우징(300)의 측변에 열려져서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담배인 고체 기재 유닛(200)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C),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가열 무화 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단부(403-C)와 제2 단부(404-C)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제1 단부(403-C)를 제1 수용 공간(301-C)으로 연장시켜 액체 기재 유닛(100)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고, 제2 단부(404-C)를 제2 수용 공간(302-C)으로 연장시켜 제2 단부(404-C)를 고체 기재 유닛(200)에 삽입 설치가 용이한 뾰족한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열 무화 유닛은, 사용자가 고체 기재 유닛(200)(예를 들어, 담배)을 기둥(407-C)의 제2 단부(404-C)에 삽입할 수 있는 기둥(407-C); 및
기둥(407-C)의 제2 단부(404-C)의 측벽에 고정되어, 적어도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는 제1 가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결 방식을 통해 기둥(407-C) 상에 저항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1 가열 소자(405-C)를 형성할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제1 가열 소자(405-C)는 저항 페이스트, 금속 저항 시트 또는 금속 저항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는, 가열 무화 유닛은 고정 베이스(406-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베이스(406-C)는 기둥(407-C)에 고정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제1 단부(403-C)와 제2 단부(404-C)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베이스(406-C)를 하우징(300) 내측에 고정 연결시킴으로써, 가열 무화 유닛을 하우징(300)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전원 장치(600-C)을 설치하여 제1 가열 소자(405-C)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기둥(407-C)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구조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모세관 구조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액체 기재 유닛(100)의 일부 액체는 기둥(407-C) 내의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제1 수용 공간(301-C)으로부터 기둥(407-C) 내로 유입되고, 나아가, 기둥(407-C)을 따라 제1 가열 소자(405-C) 측으로 흐르며, 제1 가열 소자(405-C)에 의해 가열되어 액체 기재 유닛(100)을 무화시킨 후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확산된다. 동시에, 고체 기재 유닛(200)도 제1 가열 소자(405-C)에 의해 가열된 후 무화되어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며,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은 혼합된 후, 담배를 거쳐 소비자의 구강으로 흡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열 소자(405-C)는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최대한 진입할 수 있도록 가열 무화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 고체 기재 유닛(200)에 가까운 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구조의 가열 무화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가열 요소만 설치하면 액체 기재 유닛(100)과 고체 기재 유닛(200)을 동시에 가열 무화할 수 있고, 별도의 액체 기재 유닛 가열 무화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가스 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가 저렴하고, 열효율도 더욱 높다.
실시예 4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가 제공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였고,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00) 내부에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D), 하우징(300)의 측변에 열려져서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담배인 고체 기재 유닛(200)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D),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열 무화 유닛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가열 무화 유닛은 기둥(407-D) 및 제1 가열 소자(405-D)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둥(407-D) 및 제1 가열 소자(405-D)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3에서의 기둥(407-C) 및 제1 가열 소자(405-C)의 설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무화 유닛은,
고정 베이스(406-D)는 기둥(407-D)에 고정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제1 단부(403-D)와 제2 단부(404-D)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베이스(406-D)를 하우징(300) 내측에 고정 연결시킴으로써, 가열 무화 유닛을 하우징(30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가열 소자(408)는 고정 베이스(406-D)에 고정되어,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한다. 구체적으로는, 소결 방식을 통해 고정 베이스(406-D) 상에 저항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2 가열 소자(408)를 형성할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제2 가열 소자(408)는 저항 페이스트, 금속 저항 시트 또는 금속 저항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407-D)의 제1 단부(403-D) 및 고정 베이스(406-D)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공성 구조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모세관 구조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액체 기재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액체는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기둥(407-D)의 제1 단부(403-D)로부터 고정 베이스(406-D)의 제2 가열 소자(408)로 흐르도록 가열함으로써,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제1 에어로졸은 나아가 제2 수용 공간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담배 내부의 부분적인 과습으로 인한 흡연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의 제2 단부(404-D)는 조밀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체 기재 유닛에 삽입 설치가 용이한 뾰족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열 소자(405-D)와 제2 가열 소자(408)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 장치(600-D)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300)은 제2 가열 소자(408)와 제2 수용 공간(302-D)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가스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가스 통로의 일단은 고정 베이스(406-D) 상의 제2 가열 소자(408)의 상단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용 공간(302-D)의 하단과 연통되어, 제2 가열 소자(408)에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제2 가스 통로를 통해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 가열 소자(408)에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이 제2 가스 통로를 통해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이 상기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 도통되도록 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한다. 동시에, 고체 기재 유닛(200)도 제1 가열 소자(405-D)에 의해 가열된 후 무화되어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며,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은 혼합된 후, 담배를 거쳐 소비자의 구강으로 흡입된다. 제2 가스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가스의 유동 과정에서 누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스 통로의 길이 및 설계의 복잡도가 더욱 낮아져 제1 에어로졸의 가스 통로에서의 응축을 더욱 감소시키고, 응축액을 감소시킨다.
실시예 5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가 제공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였고,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300) 내부에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 기재 유닛(100)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301-E), 하우징(300)의 측변에 열려져서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담배인 고체 기재 유닛(200)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200)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302-E), 및, 액체 기재 유닛(100)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200)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100)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200)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301-E)과 적어도 일부의 가열 무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 담배 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상기 전자 담배 장치(700)는 독립적인 액상 전자 담배일 수 있으며, 전자 담배액을 무화시켜 사용자가 단독으로 상기 전자 담배 장치(700)를 사용하도록 하고; 나아가, 전자 담배 장치(700)를 비연소-가열식 장치에 조립한 후, 전자 담배액을 무화한 후 비연소-가열식 담배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00)에 제3 수용 공간(303)을 설치할 수 있고, 전자 담배 장치는 상기 제3 수용 공간(30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자 담배 장치(700)에는 액체 기재 유닛을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301-E)이 설치되고, 전자 담배 장치(700)에는 연도에 연결하기 위한 통공이 제1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열려져서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의 가열 무화 유닛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열 무화 유닛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담배 전원 장치(601)가 별도로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전자 담배 장치(700)는 액체 매질 유닛(100)을 수용하는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중 액체 기재 유닛(100)을 교체 또는 보충할 때, 장치 내부에 탈찰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만을 교체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담배 장치를 비연소-가열식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담배 장치가 독립적인 액상 전자 담배라면,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할 때 맛의 효과가 비교적 좋고, 전자 담배 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휴대성이 향상된다. 전자 담배 장치가 카트리지라면, 액체 기재 유닛(전자 담배액)을 보다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종래의 전자 담배 장치를 기반으로 개선될 수 있고, 즉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중 상기 전자 담배 장치 이외의 기타 내용에 대해서만 설계 생산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중복 구매를 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이 제공한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은,
액체 기재 유닛, 고체 기재 유닛 및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의 작업 원리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기재 유닛 및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는 것이다.
액체 기재 유닛은,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고체 기재 유닛은,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2 수용 공간의 개구에 의해 제2 수용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여기서,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제1 에어로졸을 고체 기재 유닛에 도통시킴으로써, 제1 에어로졸과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고체 기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체 기재 유닛은 저온 담배이며, 연초 과립, 각연초, 수직 기둥 형상 얇은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기재 유닛은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전자 담배액이다.
비록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방면에 대한 구분은 이러한 방면에서의 특징들을 조합하여 이익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구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수정 및 동등한 배치를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16)

  1. 하우징을 포함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액체 기재 유닛을 배치시키는 제1 수용 공간;
    일측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고체 기재 유닛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 무화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에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에어로졸과 상기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는,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적어도 일부의 가열 무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 담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무화 유닛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상기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액체 기재 무화기;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체 팁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팁에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고체 기재 무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기재 무화기와 상기 고체 기재 무화기는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단과 연통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하단과 연통되어, 상기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시키는 제1 가스 통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은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스 통로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무화 유닛은,
    제1 단부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액체 기재 유닛과 접촉하며, 제2 단부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이 삽입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제2 단부의 측벽에 소결 방식으로 고정되어, 적어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을 가열하는 제1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이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둥으로부터 상기 제1 가열 소자로 흐르도록 가열함으로써, 상기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이 상기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무화 유닛은,
    상기 기둥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무화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 베이스; 및
    상기 고정 베이스 상에 소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2 가열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의 제1 단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이 다공성 갭의 모세관 작용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베이스의 제2 가열 소자로 흐르도록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가열 소자와 상기 제2 수용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가스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소자에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이 상기 제2 가스 통로를 통해 상기 고체 기재 유닛 내부로 유입하여, 상기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이 상기 고체 기재 유닛으로 도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제2 단부는 조밀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체 기재 유닛에 삽입 설치가 용이한 뾰족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소자 및 상기 제2 가열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페이스트, 금속 저항 시트 및 금속 저항 와이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은 저온 담배로서, 연초 과립, 각연초 및 수직 기둥 형상의 얇은 시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은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전자 담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13. 액체 기재 유닛, 고체 기재 유닛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를 포함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은,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1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은,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제2 수용 공간의 개구에 의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의 가열 무화 유닛에 의해 가열되어 제2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상기 액체 기재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에어로졸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에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에어로졸과 상기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된 후 상기 고체 기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기재 유닛은 저온 담배로서, 담배 과립, 각연초, 수직 기둥 형상의 얇은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기재 유닛은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전자 담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시스템.
  16. 삭제
KR1020217037111A 2019-04-15 2019-10-20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KR102617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99956.9A CN111869928A (zh) 2019-04-15 2019-04-15 一种混合式加热不燃烧装置及系统
CN201910299956.9 2019-04-15
PCT/CN2019/112070 WO2020211315A1 (zh) 2019-04-15 2019-10-20 一种混合式加热不燃烧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08A KR20210151208A (ko) 2021-12-13
KR102617687B1 true KR102617687B1 (ko) 2023-12-27

Family

ID=7283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111A KR102617687B1 (ko) 2019-04-15 2019-10-20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57196B1 (ko)
KR (1) KR102617687B1 (ko)
CN (1) CN111869928A (ko)
WO (1) WO2020211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1610A (zh) * 2021-04-19 2022-10-21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口味补偿型气溶胶发生制品及其方法
CN113287787A (zh) * 2021-05-26 2021-08-24 深圳市吉迩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
KR102579425B1 (ko) * 2021-06-10 2023-09-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4128924A (zh) * 2021-11-02 2022-03-04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装置以及电子雾化系统
WO2023243880A1 (en) * 2022-06-17 2023-12-2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vaporiz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69355A1 (en) * 2016-12-19 2018-06-21 Tony Reevell Vapor-generating systems
CN108323815A (zh) * 2017-01-19 2018-07-27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多种口味的电子烟具
WO2019051667A1 (zh) 2017-09-13 2019-03-2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器以及电子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85723U (zh) * 2011-05-16 2011-12-2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固液复合型电子烟
SG11201403623YA (en) *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US20150257447A1 (en) * 2014-03-11 2015-09-17 Voodoo Science Llc Electronic Cigarette Assembly
CN204426697U (zh) * 2015-02-12 2015-07-01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
CN204837995U (zh) * 2015-06-17 2015-12-09 李辉 发热组件及烘焙烟油雾化混合加热烟具
CN204907924U (zh) * 2015-07-29 2015-12-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非燃烧型吸烟器具
CA3012565A1 (en) * 2016-05-31 2017-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side cavity
CN206443202U (zh) * 2016-12-19 2017-08-2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混合烟弹及混合低温烟
CN206403206U (zh) * 2016-12-30 2017-08-15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发生器及烟雾吸取装置
CN206612214U (zh) * 2017-01-26 2017-11-0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雾化器
CN207885661U (zh) * 2017-12-21 2018-09-21 万利龙 混合式电子烟
CN207978953U (zh) * 2017-12-29 2018-10-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加热装置及电子烟
CN108158044B (zh) * 2018-03-12 2023-10-10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具有双腔双气道雾化器的电子烟
CN208676365U (zh) * 2018-04-20 2019-04-02 深圳市艾维普思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及其加热器
CN108887748A (zh) * 2018-08-22 2018-11-2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混合型电磁加热烟具
KR102203852B1 (ko) * 2018-11-16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CN109463803A (zh) * 2018-12-11 2019-03-15 何书杰 一种新型电子加热雾化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69355A1 (en) * 2016-12-19 2018-06-21 Tony Reevell Vapor-generating systems
CN108323815A (zh) * 2017-01-19 2018-07-27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多种口味的电子烟具
WO2019051667A1 (zh) 2017-09-13 2019-03-2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器以及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08A (ko) 2021-12-13
EP3957196A4 (en) 2022-06-15
WO2020211315A1 (zh) 2020-10-22
EP3957196B1 (en) 2023-11-22
CN111869928A (zh) 2020-11-03
EP3957196A1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687B1 (ko) 혼합형 비연소-가열식 장치 및 시스템
CN205161888U (zh) 一种卷烟蒸馏雾化装置
EP3459373B1 (en) Ultrasonic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EP3153037B1 (en) Atomizer of electronic cigarette
CN109105958A (zh) 发热组件、雾化芯、雾化器及电子烟
CN206260851U (zh) 石英管烟弹及使用其的低温烟
CN109452691A (zh) 雾化装置及电子雾化设备
WO2016184247A1 (zh) 锁紧防漏电子烟装置
JP2020528277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ヒータ組立体
CN106376975B (zh) 气雾产生装置及其使用方法
US20220117305A1 (en) Atomizing core, atomizer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CN203597406U (zh) 一种针式碳加热卷烟的装置
CN208972674U (zh) 雾化芯、雾化器及电子烟
CN207626557U (zh) 一种烟油雾化装置以及电子烟
CN206284398U (zh) 烟雾生成器、电子烟及可拆卸安装的雾化装置
CN105707986A (zh) 一种基于热空气流非接触加热的电子烟雾化器
JP2020528279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ヒータ
CN109393569A (zh) 雾化装置及电子烟
US20210068459A1 (en) Inner core element for use with electronic cigarette
EP4005408B1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CN206197014U (zh) 电子烟具
CN210538901U (zh) 一种用于电子烟的雾化器装置
CN209732600U (zh) 气雾产生装置、气雾产生系统及电子烟
CN208875415U (zh) 发热组件、雾化芯、雾化器及电子烟
CN109730364A (zh) 电子烟及其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