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356B1 -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356B1
KR102617356B1 KR1020220176965A KR20220176965A KR102617356B1 KR 102617356 B1 KR102617356 B1 KR 102617356B1 KR 1020220176965 A KR1020220176965 A KR 1020220176965A KR 20220176965 A KR20220176965 A KR 20220176965A KR 102617356 B1 KR102617356 B1 KR 10261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power
lighting
waterproof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바디텍
Priority to KR102022017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being distinct from the light sourc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overloaded, e.g. thermal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가 실장된 기판모듈을 비롯하여 배터리와 스위치, 퓨즈 등의 구성을 패럴린 코팅하여 방수 및 절연, 내화학성을 크게 증가시켜 침수시에도 손상 없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며, 가시성 패럴린 코팅을 통해 LED의 밝기와 확산성을 향상시킨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Emergency lighting with Parylene waterproof coating}
본 발명은 비상조명에 관한 것으로, LED가 실장된 기판모듈을 비롯하여 배터리와 스위치, 퓨즈 등의 구성을 패럴린 코팅하여 방수 및 절연, 내화학성을 크게 증가시켜 침수시에도 손상 없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며, 가시성 패럴린 코팅을 통해 LED의 밝기와 확산성을 향상시킨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등의 다양한 비상, 재난상황에서 시설물에 설치되는 비상 유도등과 조명은 인명보호를 위한 중요장비로, 소방이나 방재 목적의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현장에서 사용중에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항시 점등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비상용 유도등과 정전시 점등되어야 하는 비상용 조명등은 비상용 상시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부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자체 내장된 배터리를 활용하여 통상 60분 정도의 기준시간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중의 비상조명장치는 테스트를 거쳐 정전이나 화재 등 비상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들어지고 있으나 최근에 호우로 인한 침수발생 등과 같은 상황에서 방수 기능이 없는 기존제품들이 합선으로 그 기능을 상실하는 사례가 확인되고고 있다.
조명제품의 경우 침수가 발생해도 정상적으로 작동 위해서는 IPX7 등급 이상의 방수 성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IPX7 등급 이상의 방수성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침수시 방수기능 유지를 비롯하여 합선방지가 요구되며, 조명을 방수 케이스에 넣어 제작하거나, 이음부의 실링 처리를 하여 물이 침투할 수 없도록 해야 하나 제품 제작상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방수처리를 위한 비용 또한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존의 비상조명은 소모품인 배터리 성능을 체크하기 위한 장치가 내장되어 한 달에 한 번 주기적인 체크를 통해 배터리 성능을 유지해야만 하는데 이런 테스트 구성 등도 조명 본체의 방수처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634호(2009.07.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가 실장된 기판모듈을 비롯하여 배터리와 스위치, 퓨즈 등의 구성을 패럴린 코팅하여 방수 및 절연, 내화학성을 크게 증가시켜 침수시에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방수구조를 최소화하여 제작 가능하며, 가시성 패럴린 코팅을 통해 LED의 밝기와 확산성을 향상된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LED가 실장된 조명기판과,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주전원케이블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상기 조명기판 및 배터리로 공급하며 주전원 차단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조명기판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이 내장되되, 한쪽이 개방되고 상기 주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투광성 커버를 구비하는 비상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과전류 발생에 따라 단락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폴리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방수용 고무캡이 설치된 푸쉬스위치 및 점등부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조명기판의 결합과, 외부의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케이블의 결합과,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보조전원케이블의 결합이 각각 방수커넥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기판과 배터리와 제어모듈이 패럴린 방수코팅 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수커넥터는, 제1단자와 한쪽으로 상기 제1단자가 노출되도록 둘러싸되 외측으로 링형태의 제1홈이 형성된 제1하우징으로 구성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제1단자와 결합되는 제2단자와 다른 쪽으로 상기 제1하우징을 일부 덮도록 상기 제2단자를 둘러싸되 상기 제1홈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이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구성된 제2커넥터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는 씰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씰링은 신축성오링과, 수팽창재질의 패킹링이 조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하측면으로 경사부 및 경사부 최하부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 및 외부와 연통되되 내부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판이 승하강되며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및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삽입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주전원케이블을 둘러싸며 밀착삽입되는 신축성 마개로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외부와 연통되는 냉각부가 상기 조명기판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회로기판을 비롯한 전기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페럴린을 이용하여 방수코팅하고, 커넥터와 스위치 등 일부만 방수구조를 갖춤으로 하우징을 비롯한 전반적인 방수기능을 완비하지 않더라도 침수에 따른 제품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잡한 방수구조에 따른 구조 및 조립의 복잡성, 고비용 등의 문제 없이 다양한 형태의 비상조명을 구성할 수 있으며, 2차측 전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합선발생이 억제되고 침수 후 물빠짐을 통해 다시 정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철이나 지하상가, 지하 공동구 및 지하도로, 터널 등 지하시설, 지하주차장 등 건물의 지하, 반지하 등 침수에 취약한 시설 및 공간을 비롯하여 선박, 잠수함 등 군용 함선과 같이 사고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운송장치, 혐오 시설로 지하에 설치되는 하수처리장 등 기타 침수에 취약한 모든 시설에 설치되어 비상조명으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LED에 가시성 페럴린 코팅을 함으로 확산성과 밝기의 향상, 눈부심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비상용 유도등이나 조명 외에도 비에 노출되는 야외 조명 시설, 레저용 조명장치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구조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비상 유도등으로 대표되는 조명장치와 같이 한쪽이 개방되고 상기 주전원케이블(61)이 관통하는 관통부(14)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투광성 커버(1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버(11)는 용도에 따라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표면에 비상안내 표식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주전원케이블(61)은 시설물로부터 소방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상시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조명기판(2)과 배터리(3) 및 제어모듈(4)이 설치된다. 커버(11)와 케이스(1)는 결합 돌기 형태 등의 잠금수단(13)을 통해 결합 중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며 필요시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명기판(2)은 기본적으로 조명용 LED가 실장되어 빛을 방출하는 기판이다. 이는 후술되는 제어모듈(4)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시 동작하는 비상조명의 특성상 별도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페럴린 코팅을 통한 방수처리와 함께 가시성 패럴린의 특성으로 인해 확산성과 밝기가 개선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배터리(3)는 상기 주전원케이블(61)로부터의 상용 전원차단시 상기 조명기판(2)으로 일정시간 전원을 공급하며 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용도의 충전지이다. 통상 기존제품과 같이 60분 이상 작동 가능한 용량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용량 증설을 통해 사용시간 연장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3) 또한 장기간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소모품으로 별도로 교체 가능할 수 있도록 보조전원케이블(62) 및 방수커넥터(5)가 결합된 상태에서 페럴린 코팅을 통한 전반적인 방수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모듈(4)은 통상 교류전원인 외부전원을 회로특성에 맞게 변환하고 상기 조명기판(2) 및 배터리(3)로 공급하여 조명작동과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외부전원 차단시 배터리(3)를 통한 조명기판(2)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의 구성으로, 전원변환부(41) 및 제어부(42)와 함께 회로보호와 배터리(3) 상태 체크를 위한 폴리스위치(43)와, 테스트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변환부(41)는 주전원케이블(61)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전원을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주전원이 교류전원인 경우 이를 설정된 전압으로 낮추는 변압기를 비롯하여 교류전원을 상기 조명기판(2)의 구동과 배터리(3)의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으로 전환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게 된다. 만약 주전원이 직류전원인 경우 이를 상기 조명기판(2)의 구동과 배터리(3)의 충전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주전원이 원활히 공급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원변환부(41)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조명기판(2) 및 배터리(3)로 공급하며 조명동작과 배터리(3)의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전원 차단시 이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상기 배터리(3)의 전원을 상기 조명기판(2)으로 공급하여 배터리의 용량에 대응한 시간 조명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위칭회로를 구비한다. 이외 상기 제어부(42)는 배터리(3)를 충전함에 있어서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위치(43)는 제어모듈(4)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소자로서, 기본적으로 과전류 발생에 따라 단락되어 회로를 보호한다. 즉 침수 등이 발생할 경우 회로의 보호를 위한 수단은 일반적으로 퓨즈와 누전차단기가 활용되나, 누전차단기의 경우 침수시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침수 후에는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방수 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격문제로 비상조명장치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유리관 형태의 일회용 퓨즈의 경우 합선 등으로 단락시 교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과 같이 패럴린 코팅을 통해 방수 및 절연 기능을 구현하고자 할 때 퓨즈 교체후 다시 패럴린 코팅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합성 등으로 인한 회로보호를 위해 1차 측 주전원의 이상시 릴레이가 작동하며 1차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2차측 직류전원의 이상시 상기 폴리스위치(43)가 작용하여 회로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폴리스위치(43)는 과전류가 유입되면 과열로 인해 단락되고 과전류 해소로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붙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교체가 불필요한 소자로 페럴린 코팅상태를 유지하여 방수 및 절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부(44)는 상기 배터리(3)의 성능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푸쉬스위치(441) 및 점등부(443)를 구비한다. 즉 장기간에 걸쳐 상기 배터리(3)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그 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스위치(441)를 누를 경우 주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배터리(3)를 통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 및 동작 상태는 상기 점등부(443)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푸쉬스위치(441) 및 점등부(443)는 상기 커버(11)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에서 접촉 및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규정상 한 달에 한 번씩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등부(443) 또한 제어모듈(4)을 구성하는 회로판과 함께 패럴린 코팅이 이루어져 방수 및 절연성능을 갖게 되며, 푸쉬스위치(441)의 경우 기계적인 동작으로 패럴린 코팅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방수용 고무캡(442)을 씌워 초음파 융착 등으로 밀봉이 된 상태에서 패럴린 코팅 작업이 이루어져 스위치 동작에도 원활히 방수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판(2) 및 배터리(3)의 교체를 비롯하여 설치과정에서 주전원케이블(61)의 연결 등 패럴린 코팅만으로 방수,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 기본적으로 상기 조명기판(2)과 배터리(3)와 제어모듈(4)을 전반적으로 패럴린 방수코팅 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4)은, 상기 조명기판(2)의 결합부분, 외부의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케이블(61)의 결합부분, 상기 배터리(3)와 연결되는 보조전원케이블(62)이 결합되는 부분을 각각 방수커넥터(5)를 통해 결합, 분리할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구조도이다.
상기 방수커넥터(5)는 방수성능을 유지한 상태로 상호 결합 가능한 방수구조의 제1커넥터(51)와 제2커넥터(52)가 상호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동일한 구조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어모듈(4) 및 이에 연결되는 조명기판(2), 주전원케이블(61), 보조전원케이블(62)이 각각 제1커넥터(51)와 제2커넥터(52)를 한 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4) 측에 제1커넥터(51)가 구성되는 경우 이에 연결되는 조명기판(2), 주전원케이블(61), 보조전원케이블(62)에는 제2커넥터(52)가 구성되며, 반대로 제어모듈(4) 측에 제2커넥터(52)가 구성되는 경우 이에 연결되는 조명기판(2), 주전원케이블(61), 보조전원케이블(62)에는 제1커넥터(51)가 구성되어 방수성능을 유지하며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넥터는 도전성을 갖도록 노출되는 제1단자(511)와, 한쪽으로 상기 제1단자(511)가 노출되도록 둘러싸되 외측으로 링형태의 제1홈(513)이 형성된 제1하우징(512)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커넥터(52)는 상기 제1하우징(512)의 한쪽을 감싸는 형태로 덮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결합시 상기 제1단자(511)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제2단자(521)와, 다른 쪽으로 상기 제1하우징(512)을 일부 덮도록 상기 제2단자(521)를 둘러싸되 상기 제1홈(513)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523)이 형성된 제2하우징(522)으로 구성된다. 즉 제1커넥터(51)와 제2커넥터(5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단자(511) 및 제2단자(521)가 결합됨과 함께 제1홈(513) 및 제2홈(523)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512) 및 제2하우징(522)은 고무 등과 같이 절연성과 일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서 각각 제어모듈(4)을 비롯하여 조명기판(2), 주전원케이블(61), 보조전원케이블(62)에 결합되는 부분이 융착되어 방수구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513)에는 씰링이 삽입되어 제1커넥터(51)와 제2커넥터(52) 결합시 제2홈(523)과 함께 밀착되며 결합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1홈(513) 및 제2홈(523)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씰링(53)은 신축성오링(531)과, 수팽창재질의 패킹링(532)을 조합함으로 결합부에서의 방수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서는 제1홈(513) 및 제2홈(523)이 각각 3개씩 형성되며 첫 번째와 세번째 홈에는 신축성 오링(531)이 가운데 홈에는 수팽창재질의 패킹링(532)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팽장재질의 패킹링(532)은 수팽창성의 고분자물질을 원료로 하는 패킹으로 물과 접촉하면 체적이 증가하여 수밀성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오링(531)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팽창 재질의 패킹링(532)에 물 접촉시 체적 팽창이 이루어져 2차적으로 수밀성능이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장치의 구조도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부 페럴린 코팅과 방수커넥터(5), 고무캡(442) 등을 통해 침수시에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침수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 및 커버(11) 사이에는 패킹(12)이 삽입되어 케이스(1)와 커버(11)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하며, 이외 물 유입 가능성이 큰 상기 관통부(14)는 상기 주전원케이블(61)을 둘러싸며 밀착삽입되는 신축성 마개(15)로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킹(12)과 마개(15)를 통해 기본적인 밀폐구조가 형성되어 일정 수준 이하의 수압상황에서 누수가 방지되며, 이 경우 LED(21)의 발열에 따른 냉각성능이 저하되어 수명단축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저하된 냉각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케이스(1)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외부와 연통되는 냉각부(16)가 상기 조명기판(2)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각부(16)는 케이스(1)의 외부와의 열교환이 촉진되도록 열교환 면적을 넓일 수 있는 구조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관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조명기판(2)이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조명기판(2)의 LED(21)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하방향으로 케이스(1)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냉각부(16)가 형성되어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만약 외부에 침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냉각부(16) 외측으로는 물이 유입되므로 밀폐된 상황에서 동작시도 외부의 물을 통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침수가 발생한 지하시설 등에 설치시 의도치 않은 수압으로 인해 침수가 발생할 경우 앞서 언급한 패럴린 코팅을 비롯한 방수구조를 통해 제품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입된 물을 빨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을 차단하되 의도치 않게 유입된 물은 쉽게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수구조가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조도로서, 침수가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나 외부의 물이 없어진 상태에서 케이스(1) 내부에 유입되었던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에는 하측면으로 경사부(17) 및 경사부(17) 최하부에 배수공(18)이 마련된다. 즉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유입되었던 물은 하측의 경사부(17)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수공(18)을 통해 모여 중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반대로 외부의 물이 상기 배수공(18)을 통해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공(18) 하측으로는, 배수공(18) 및 외부와 연통되되 내부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판(191)이 승하강되며 상기 배수공(18)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19)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판(191)은 중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로 상기 배수공(18)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개폐부(19)는 개폐판(191) 면적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케이스(1) 내부에 유입된 물은 배수공(18)과 개폐판(191)의 사이를 통해 흘러 개폐부(19)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만약 외부에서 물이 차올라 개폐부(19)로 역류하는 경우 역방향으로 유입된 물을 통해 부력을 갖는 상기 개폐판(191)이 떠오르며 상기 배수공(18)과 접촉되며 폐쇄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럴린 코팅된 제어모듈에 대한 내전압 및 절연저항 특성확인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환경은 22±5℃의 온도 및 상대습도 46±5% R.H이며, 내전압 시험은 페럴린코팅된 기판의 양 면 간에 내전압시험기를 연결하고, 0 V 부터 서서히 전압을 높여 가면서 최대 내전압을 찾아 기록하였고, 절연저항 시험은 시험 전압 DC 500V로 1분간 페럴린 코팅 기판의 양 면 간에 절연저항 시험기를 연결하여 측정하여 절연 저항 값을 기록하였다.
내전압 시험을 위해 사용된 장비는 Dielectric Voltage Tester(모델명: TOS5051, 제조사: Kikusui)이고, 절연저항 시험을 위해 사용된 장비는 Insulation Tester(모델명: TOS7100M, 제조사: Kikusui)이다.
다음의 표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럴린 코팅 후 제어모듈의 내전압시험과 절연저항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두 양호한 내전압특성 및 절연저항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침수 등의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제품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내전압시험 절연저항 시험(500V 인가)
110 AV 700V 1000㏁ 이상
DC 1500V 1000㏁ 이상
105 AC 150V N/G
DC 160V N/G
102 AC N/G N/G
DC N/G N/G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케이스 11: 커버 12: 패킹
13: 잠금수단 14: 관통부
15: 마개 16: 냉각부
17: 경사부 18: 배수공
19: 개폐부 191: 개폐판
2: 조명기판 21: LED
3: 배터리
4: 제어모듈 41: 전원변환부 42: 제어부
43: 폴리스위치 44: 테스트부
441: 푸쉬스위치 442: 고무캡
443: 점등부
5: 방수커넥터 51: 제1커넥터 511: 제1단자
512: 제1하우징 513: 제1홈
52: 제2커넥터 521: 제2단자
522: 제2하우징 523: 제2홈
53: 씰링 531: 오링
532: 패킹링
61: 주전원케이블 62: 보조전원케이블

Claims (5)

  1. 비상조명장치에 있어서,
    LED(21)가 실장된 조명기판(2)과,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3)와, 주전원케이블(61)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41)와 상기 직류전원을 상기 조명기판(2) 및 배터리(3)로 공급하며 주전원 차단시 상기 배터리(3)의 전원을 상기 조명기판(2)으로 공급하는 제어부(42)를 구비한 제어모듈(4)이 내장되되, 한쪽이 개방되고 상기 주전원케이블(61)이 관통하는 관통부(14)와, 하측면으로 경사부 및 경사부 최하부에 형성된 배수공(18)과, 상기 배수공(18) 및 외부와 연통되되 내부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판(191)이 승하강되며 상기 배수공(18)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유입된 물은 배수공(18)과 개폐판(191)의 사이를 통해 배출되고 외부에서 역방향으로 유입된 물을 통해 상기 개폐판(191)이 떠오르며 상기 배수공(18)을 폐쇄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개폐부(19)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투광성 커버(11)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1) 및 커버(11)의 사이에는 패킹(12)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외부와 연통되는 냉각부(16)가 상기 조명기판(2)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4)에는 상기 주전원케이블(61)을 둘러싸며 밀착삽입되는 신축성 마개(15)로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모듈(4)은, 과전류 발생에 따라 단락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폴리스위치(43)와, 상기 배터리(3)와 연결되며 방수용 고무캡(442)이 초음파 융착을 통해 설치된 푸쉬스위치(441) 및 점등부(443)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스트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4)과 상기 조명기판(2)의 결합과, 외부의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케이블(61)의 결합과, 상기 배터리(3)와 연결되는 보조전원케이블(62)의 결합이 각각 방수커넥터(5)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기판(2)과 배터리(3)와 제어모듈(4)이 패럴린 방수코팅 처리되며,
    상기 방수커넥터(5)는, 제1단자(511)와 한쪽으로 상기 제1단자(511)가 노출되도록 둘러싸되 외측으로 링형태의 3개의 제1홈(513)이 형성된 제1하우징(512)으로 구성된 제1커넥터(51)와, 상기 제1하우징(512)과 결합시 상기 제1단자(511)와 결합되는 제2단자(521)와 다른 쪽으로 상기 제1하우징(512)을 일부 덮도록 상기 제2단자(521)를 원형으로 둘러싸되 상기 제1홈(513)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는 3개의 제2홈(523)이 형성된 제2하우징(522)으로 구성된 제2커넥터(52)와, 상기 제1홈(513)의 첫 번째와 세번째 홈에는 신축성오링(531)이, 가운데 홈에는 고분자물질을 원료로 물과 접촉하면 체적이 증가하는 수팽창재질의 패킹링(532)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76965A 2022-12-16 2022-12-16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KR10261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965A KR102617356B1 (ko) 2022-12-16 2022-12-16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965A KR102617356B1 (ko) 2022-12-16 2022-12-16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356B1 true KR102617356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965A KR102617356B1 (ko) 2022-12-16 2022-12-16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3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716A (ja) * 2001-11-26 2003-05-30 Hideyoshi Teramoto 屋外照明器
KR20090038515A (ko) * 2007-10-16 2009-04-21 (주)네스라이트 엘이디 모듈 및 제조방법
KR20090006638U (ko) * 2007-12-28 2009-07-02 문현숙 비상구 유도등
KR100910634B1 (ko) 2008-07-04 2009-08-05 주식회사 엠시드텍 Led 방수 조명등
KR101020063B1 (ko) * 2010-03-08 2011-03-07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20110113049A (ko) * 2010-04-08 2011-10-14 서울메트로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CN212676519U (zh) * 2020-08-19 2021-03-09 惠州市正合电子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的防水连接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716A (ja) * 2001-11-26 2003-05-30 Hideyoshi Teramoto 屋外照明器
KR20090038515A (ko) * 2007-10-16 2009-04-21 (주)네스라이트 엘이디 모듈 및 제조방법
KR20090006638U (ko) * 2007-12-28 2009-07-02 문현숙 비상구 유도등
KR100910634B1 (ko) 2008-07-04 2009-08-05 주식회사 엠시드텍 Led 방수 조명등
KR101020063B1 (ko) * 2010-03-08 2011-03-07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20110113049A (ko) * 2010-04-08 2011-10-14 서울메트로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CN212676519U (zh) * 2020-08-19 2021-03-09 惠州市正合电子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的防水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9126B1 (en) Solar photovoltaic module safety shutdown system
US10121913B2 (en) Solar photovoltaic module safety shutdown system
US4317162A (en) Battery operated luminaire with emergency switching means
KR20050040108A (ko) 전지팩
ES2132291T3 (es) Dispositivo electronico, paquete de bateria y cargador para el paquete de bateria.
WO2012013831A1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módulos de subestaciones de transformadores
US6624990B1 (en) Underwater light junction box having a GFCI
JP2017516254A (ja) サージ保護機能を備えたライトコントローラ
KR100760643B1 (ko)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617356B1 (ko)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KR102665393B1 (ko) 침수 중 통신이 가능한 방수형 통신장치
CA2680095A1 (en) Disconnecting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disconnecting switch device
CN112002850B (zh) 防爆电池
CA2079133C (en) Fault gas seal for a polymer surge arrester
US6867703B2 (en) Safety-protection circuit
CN213459337U (zh) 地埋式变压器
US3792314A (en) Emergency light apparatus
CN203491469U (zh) 一种适应施工现场的带线漏电保护器组合接线板
KR20120008163A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CN208445344U (zh) 发电车接入箱
KR101307364B1 (ko) 무정전 교통신호 제어기
CN219626975U (zh) 防水线盒开关插座
CN219779454U (zh) 一种户外箱式变电站
Hernandez et al. Guidelines to requirements for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in PV generators
US11973336B2 (en) Circuit and plug for timing automatic detection of leakage prot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