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049A -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 Google Patents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049A
KR20110113049A KR1020100032372A KR20100032372A KR20110113049A KR 20110113049 A KR20110113049 A KR 20110113049A KR 1020100032372 A KR1020100032372 A KR 1020100032372A KR 20100032372 A KR20100032372 A KR 20100032372A KR 20110113049 A KR20110113049 A KR 2011011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ircuit
commercial
induction
indu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351B1 (ko
Inventor
박영호
최동일
선진식
유일권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10003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3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상용직류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Electric Power Interruption)된 비상시에는 축전지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으로 동작되는 유도등 구동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유도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양파정류하는 양파정류 회로 및, 상기 양파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평활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상용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부; 및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정전시 상기 축전지로부터 비상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충전하는 역류방지회로 및,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피드백하여 정전류 및 정전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축전지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 회로(310)를 포함하는 유도등기구 회로부;를 포함하는 유도등 구동회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Driving Circuit For Guidance-lamp And Guidance-lam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압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유도등 내부가 침수되어도 누설전류에 의한 유도등의 차단기가 작동할 가능성을 최소화한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등(Guidance-lamp)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긴급대피를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으로서,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항시 점등되는 피난 설비 등을 의미한다. 즉, 유도등은 비상시에 피난을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필수적인 시각장치이다.
따라서,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서는 유도등의 설치장소 및 위치를 포함하여 유도등의 색체 및 재질의 제한 등 엄격한 설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도등은 천정면, 벽면 및 바닥면 등에 장착 및 매설되되, 눈에 잘 띄이는 위치 및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며, 주변이 어두운 환경에서도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유도표시판을 조명하는 내부 광원이 구비된다. 특히, 유도등에 상용전원이 정전되더라도 축전지 등을 비상전원으로 이용하여 항상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유도등(1)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도등(1)은,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회로부(21) 및 축전지(22)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0)와,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지지프레임a(25)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안내를 위한 문양 또는 문자가 표시된 유도표시판(11)과, 상기 유도표시판(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표시판(11)을 조명하는 광원부(미도시)와, 상기 유도표시판(11)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에 장착되며 유도표시판(11)을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상부에 장착시키기 위해 커버하는 덮개부(10)와, 설치 장소의 천정면, 벽면 및 바닥면에 매설되되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30)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30)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를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b(31)와, 상기 외부케이스(30)의 내부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홀(32) 및,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을 전달하는 외부 전선(34)이 관통 삽입되는 전선 인입구(33)가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회로부(21)는,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에 내부케이스(20)를 거치시키기 전에,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전선(24)과 외부케이스(30)의 외부 전선(34)을 상기 외부케이스(30)의 내부공간 내에서 서로 결선하여 회로 구성됨으로써 상용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었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10)의 둘레에는 체결공a(14)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0) 및 외부케이스(30)의 지지프레임b(31)의 둘레에는 상기 체결공a(14)와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를 갖는 체결공b(26) 및 체결공c(36)가 각각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덮개부(10)의 일측에는 상기 각 체결공(14,26,36)을 관통삽입하는 체결나사(13)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나사(13)가 상기 각 체결공(14,26,36)에 회전 삽입결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10), 내부케이스(20) 및 외부케이스(30)가 상호 체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유도등(1)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건물의 천정면, 벽면 및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건물 내의 천정 및 벽면이 수도 및 우수가 누수될 경우 천정면, 벽면 및 바닥면을 통해 물이 침투하여 상기 유도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로부(21)에 닿게 되면, 상기 유도표시판(11)의 하부에 배치되는 광원에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구성이 합선되면서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은 지하시설에도 상기 유도등(1)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지하시설은 지하라는 위치적 특징으로 인하여 환경 개선을 위한 청소시에 도 4와 같이 바닥 및 벽면 하부를 물세척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물세척하는 과정에서 바닥 위로 흐르는 세척물은 상기 유도등(1)의 상부를 지나면서, 유도표시판(11)과 덮개부(10)의 접촉면, 덮개부(10)와 외부케이스(30)의 접촉면을 통해 물이 스며듬과 동시에, 덮개부(10)와 내부케이스(20)의 접촉면, 유도표시판(11)과 내부케이스(20)의 접촉면을 따라 스며들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또는 외부케이스(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었다.
특히, 종래의 유도등(1)에는 220V의 상용교류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유도등(1)의 회로부(21)에 회로구성된 변압기 등을 통해 인가된 220V의 상용교류전원을 12V의 크기로 감압한 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에 장착된 발광램프를 점등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의 복도 등과 같은 통로(4)에 유도등(1a,1b,1c...)이 다수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하나 이상의 유도등(1a,1b,1c...) 내부의 회로에 물이 침투하게 되면, 합선(Short Circuit)에 의한 상기 220V의 상용교류전원의 누설전류에 의해 상기 유도등(1a,1b,1c)을 중앙 제어하는 제어부(3)에 구비된 차단기(2)가 동작하여 전체의 유도등(1a,1b,1c)에 상기 상용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소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저전압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유도등 내부가 침수되어도 누설전류에 의한 유도등의 차단기가 작동할 가능성을 최소화한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는, 평상시에는 상용직류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Electric Power Interruption)된 비상시에는 축전지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으로 동작되는 유도등 구동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유도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양파정류 회로와, 상기 양파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평활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상용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부; 및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정전시 상기 축전기로부터 비상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충전하는 역류방지회로 및,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피드백하여 정전류 및 정전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축전지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되어 상기 축전지에 의해 광원램프가 구동될 때 상기 축전지로부터 방전되는 전류가 전원 입력단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3)와, 상기 축적지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축전지를 완속 충전시키는 충전저항(R1) 및, 과전류로부터 상기 축전지(281)를 보호하는 보호용 퓨즈(F2)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충전방지 회로는, 상기 역류방지회로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는 제1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저항(R2,R5)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파정류 회로는, 상기 전압변환부의 2차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양파정류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2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는,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여, 안내를 위한 문양 또는 문자가 표시된 유도표시판을 조명하는 광원부; 내부에는 상기 유도표시판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b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내부케이스를 커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케이스와 덮개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유도표시판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a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와 덮개부의 체결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벽면의 테두리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지지판a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a의 둘레, 패킹부의 둘레 및 덮개부의 상부면 둘레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갖는 체결공a, 체결공b 및 체결공c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서 내부케이스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c, 체결공b 및 체결공a를 관통 삽입하는 체결나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 삽입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와 덮개부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와 체결나사 사이에는, 상기 체결나사의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오링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오링패킹은, 상기 체결나사가 상기 각 체결공에 회전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상부면과 체결나사의 머리부 사이에서 압박되어 상기 체결공c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 및 오링패킹은,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형성된 외측커넥터 및,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는 전선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커넥터에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형성된 내측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넥터와 내측커넥터는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매설되되,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외부에 위치한 정류회로부로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관통 삽입되는 전선 인입구가 통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에서 결선됨이 없이 상기 커넥터부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과 덮개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표시판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투과되어 나타나며, 상기 유도표시판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각 구성을 외부의 압력 및 오염으로부터 커버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발산되는 빛을 굴절 또는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되,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의 중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램프와, 상기 광원램프를 둘러싸는 형태로 커버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램프의 빛을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커버 및,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의 하부 방향으로 발산하는 빛을 상기 유도표시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램프는, LED 발광소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시스템은,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이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등; 및 상기 유도등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유도등을 중앙 제어하며, 상기 정류회로부가 구비되어 상기 유도등에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에 의하면,
첫째, 유도등 내부가 침수되어도 12V와 같은 저전압의 직류전원을 사용하므로, 누설전류량이 작아 유도등의 차단기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도등을 항시 점등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유도등 자체 내에서 전압변경이 필요없으므로 회로구성에 실장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타 부속량이 감소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 생산의 원가 절감 및 슬림한 형태의 바닥유도등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복수의 패킹부재(패킹부 및 오링패킹)의 구성을 통하여, 유도표시판, 보호판, 덮개부,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 등 각 구성이 접촉한 면으로 침투할 수 있는 물이 차단되므로, 침투한 물에 의해 회로부가 손상되거나 차단기가 작동하여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유도등를 조명하는 광원부에는 빛을 전방으로 집중시키는 반사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의 광원으로 LED 발광소자를 이용하므로, 고휘도 저전력 소모 등 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등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도등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유도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지하철 역사 등의 지하시설의 바닥면 및 벽면을 물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5 및 도 6는 종래의 유도등 내부로 침투한 물이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 내에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종래의 유도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에 구비되는 광원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 10c의 B-B'의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이 패킹부 및 오링패킹에 의해 밀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기구 회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에 구비되는 정류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에 구비되는 유도등기구 회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200)는, 내부케이스(210), 광원부(220), 덮개부(260), 패킹부(240), 커넥터부(290) 및 외부케이스(27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내부케이스(210)는,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유도등 구동회로의 유도등기구 회로부(300)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280) 및 상기 축전지(281)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벽면의 테두리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ㄱ' 형태의 지지판(21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280)는, 상기 유도등 구동회로로부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광원부(22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축전지(281)를 충전시키는 회로 구성부로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상용직류전원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축전지(281)로부터 비상직류전원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회로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80)에는, 평상시에는 상용직류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Electric Power Interruption)된 비상시에는 축전지(281)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으로 동작되는 유도등 구동회로가 회로구성되는데, 상기 유도등 구동회로는 크게 나누어 정류회로부(100)와 유도등기구 회로부(300)로 구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회로부(100)는,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유도등(2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110)와, 상기 전압변환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양파정류 회로(120)와,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평활회로(1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변환부(110), 양파정류 회로(120) 및 평활회로(13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상용직류전원으로 정류한 후, 상기 유도등에 인가한다.
즉, 상기 정류회로부(100)는 외부로부터 220V AC의 상용교류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전압변환부(100)에 의해 감압되어 상기 유도등(2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적정 전압인 12V로 감압하며,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 및 평활회로(130)에 의해 직류형태의 전원으로 변경되어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로 12V DC의 상용직류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도등 구동회로는 220V AC의 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유도등(200)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적정 전압인 상용직류전원 12V DC로 변환하여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도등 구동회로가 설치되는 장소 및 입력전원의 크기에 따라 상기 220V AC의 상용교류전원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며, 유도등(200)의 설계범위에 따라 상기 상용직류전원 12V DC의 크기 역시 달라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단, 상기 유도등(200)에 적용되는 상용직류전원은 물에 의해 합선되더라도 누설전류량이 높지 않도록 저전력의 직류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는 상기 전압변환부(110)에 의해 전압이 낮아진 상용교류전원을 +전압만 존재하는 맥류로 걸러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압변환부(110)의 2차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양파정류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2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활회로(130)는,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에 의해 걸러진 맥류를 평활한 직류의 형태로 되도록 맥류에 남아있는 교류 성분을 제거하고 직류 성분만을 출력하여 높은 전압은 낮추어 주고 낮은 전압은 높여서 일정한 전압의 크기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콘덴서(C1), 제2콘덴서(C2) 및 Regulater(IC)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활회로(130)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2다이오드(D2)에서 양파로 정류되어 직류로 변환되었으나, 교류가 포함된 맥류 형태로서 교류분의 맥류를 제거하고 순수한 직류로 평활시키기 위한 회로인 것이다.
또한, 상기 Regulater(IC : 정전압 IC)는 상기 제1콘덴서(C1)에서 인가된 전압이 직류14V~15V 정도로 높아 유도등 구동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Regulater(IC)를 회로 구성하여 정격 12V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와 평활회로(130)를 과전류로부터 제어회로를 보호하는 보호용 퓨즈(F1)가 직류출력단 및 +단자측에 회로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는, 상기 정류회로부(100)로부터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아, 평상시에는 상기 상용직류전원으로 상기 광원램프(222)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전지(281)를 충전하며,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되는 비상시에는 회로구성을 스위칭하여 상기 축전지(281)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으로 상기 광원램프(222)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축전지(281) 충전시에는 바이어스 저항(R2)에 의해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 에미터와 콜렉터가 도통 축전지(281)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제너다이오드(ZD)는 도통이 되어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트랜지스터 에미터와 콜렉터가 차단되어 축전지(28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전시킨다.
또한,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된 비상시에는 축전지(281)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이 상기 광원램프(222)와 병렬로 연결되어 방전을 하여 광원램프(222)를 점등시키며, 이때 다른 유도등기구로 축전지 전원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3)가 설치되어 해당 유도등기구 내에서만 방전 점등되도록 회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회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정전시 상기 축전지(281)로부터 비상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충전하는 역류방지회로(320) 및,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피드백하여 정전류 및 정전압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축전지(281)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 회로(31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회로(3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되어 상기 축전지(281)에 의해 광원램프(222)가 구동될 때 상기 축전지(281)로부터 방전되는 전류가 전원 입력단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3)와, 상기 축전지(281)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축전지(281)를 완속 충전시키는 충전저항(R1) 및, 과전류로부터 상기 축전지(281)를 보호하는 보호용 퓨즈(F2)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충전방지 회로(310)는, 상기 역류방지회로(320)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는 제1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저항(R2)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과충전방지 회로(310)는, 축전지(281) 충전시에는 바이어스 저항(R2)에 의해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트랜지스터(TR1) 에미터와 콜렉터가 도통 축전지(281)에 전원을 공급 충전을 시작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제너다이오드(ZD)는 도통이 되어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트랜지스터(TR1) 에미터와 콜렉터가 차단되어 축전지(28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전시키도록 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충전방지 회로(310)에 회로구성되는 제1저항(R1)은 축전지(281)가 내부 단락시 제1트랜지스터(TR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저항이고, 제2저항(R2)는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바이어스 저항이며, 상기 제너다이오드(ZD)는 12V용으로 12V미만의 전압에서는 단선되어 있다가 12V 초과시 단락되어 제1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다.
더불어,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의 회로구성에는 두 개의 광원램프(22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등(200)의 광원부(220)의 발광구조가 광원이 측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측면 발광구조 형태이므로 두 개의 광원램프(222)이 구비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200)가 설치되는 장소,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휘도에 따라 상기 광원램프(222)의 수량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내부케이스(210)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는 상기 회로기판(280)에 상용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전선(282)이 관통 삽입되는 전선 인입구(211)가 통공 형태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 벽면에는 상기 광원부(220), 유도표시판(230), 패킹부(240), 보호판(250) 및 덮개부(26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a(2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에는 2개의 지지프레임a(212)가 길이 방향의 측면부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폭 방향의 측면부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a(212)의 수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상기 광원부(220), 유도표시판(230), 패킹부(240), 보호판(250) 및 덮개부(260)을 보다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나 제품 설계가 복잡해지며 제조공정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거치되는 구성의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부(22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회로기판(280)에 회로구성된 상기 유도등 구동회로로부터 상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여, 안내를 위한 문양 또는 문자가 표시된 유도표시판(230)을 조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원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산되는 빛을 굴절 또는 확산시키는 도광판(221)과, 상기 도광판(221)의 테두리부에 장착되어 도광판(221)의 중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램프(222)와, 상기 광원램프(222)를 둘러싸는 형태로 커버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광원램프(222)의 빛을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커버(223)와, 상기 도광판(221)의 하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221)의 하부 방향으로 발산하는 빛을 유도표시판(23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2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램프(222)는, 고휘도 저전력 소모 등 광효율이 우수한 LED 발광소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램프(222)가 측면에 위치하여 발산하는 빛이 도광판(221)에 의해 조명방향(유도표시판(230)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되는 엣지형(Edge Type)의 측면 발광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하부면에서 상기 유도표시판(230) 방향으로 직접 조명할 수 있는 정방향형 정면 발광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2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b(26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60)는 유도등(200)에서 보호판(250)과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외부의 압력 및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스테인리스강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24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의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a(24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의 체결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을 밀봉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24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지지판a(215)의 상부면과 상기 보호판(250) 및 덮개부(260)의 하부면 사이에서 압박된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15)의 상부면과 덮개부(260)의 하부면과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갖되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판(250)은, 상기 패킹부(240)과 덮개부(260)의 사이에 배치되되,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투과되어 나타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도표시판(230) 및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각 구성을 외부의 압력 및 오염으로부터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2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보호판(250)은, 상기 패킹부(240)의 통공a(241)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a(241)에 삽입되는 상판(251)과, 상기 통공a(241)보다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하판(252)이 접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251)의 테두리부가 상기 덮개부(260)의 통공b(261)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덮개부(260)의 장착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251)과 하판(252)의 크기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에는 패킹부(240)이 압박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상기 보호판(250)과 덮개부(260)의 접촉면으로 침투할 수 있는 물은 패킹부(2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290)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8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형성된 외측커넥터(291) 및, 상기 정류회로부(100)로부터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는 상기 전선(282)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로기판(28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형성된 내측커넥터(29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커넥터(291)와 내측커넥터(292)는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70)는, 설치 장소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매설되되, 일측에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10)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또한, 외부케이스(270)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는 상기 회로기판(280)에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전달하는 전선(282)이 관통 삽입되는 전선 인입구(211)가 통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로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홀(2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270)의 내부 벽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270)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내부케이스(210)가 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215)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b(271)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27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전선(282)이 관통삽입되는 전선 인입구(211)가 통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282)은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외부에서 결선됨이 없이 상기 커넥터부(290)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28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a(215)의 둘레, 패킹부(240)의 둘레 및 덮개부(260)의 상부면 둘레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갖는 체결공a(213), 체결공b(242) 및 체결공c(262)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260)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260)에서 내부케이스(210)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c(262), 체결공b(242) 및 체결공a(213)를 관통 삽입되는 체결나사(263)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나사(263)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방식에 따라, 상기 패킹부(240) 및 제2패킹(243)이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 사이에서 압박된 상태로 체결되므로,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200)에서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 위해, 상기 덮개부(260)와 체결나사(263) 사이에 상기 체결나사(263)의 몸통부(26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오링패킹(26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링패킹(268)은, 상기 체결나사(263)가 상기 각 체결공(213,242,262)에 회전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260)와 체결나사(263)의 머리부(267) 사이에서 압박되어 상기 체결공c(262)를 밀봉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체결나사(263)와 각 체결공(213,242,262)의 접촉면을 통해 스며들 수 있는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의 2차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오링패킹(268)은, 상기 체결나사(263)과 각 체결공(213,242,262)의 내부면과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갖되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 구동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도면부호(200a,200b,200c) 상술한 유도등(200)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시스템은 지하철 역사의 복도와 같은 통로(4)에 복수 개가 설치된 유도등(200a,200b,200c)에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공급하여, 각각의 유도등(200a,200b,200c)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280)이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등(200a,200b,200c) 및 상기 유도등(200a,200b,200c)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유도등(200a,200b,200c)의 구동을 중앙 제어하며, 상기 정류회로부(100)가 구비되어 각각의 유도등(200a,200b,200c)에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정류회로부(10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정류회로부(100)에 외부전원(상용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 상에는 상기 유도등 구동시스템의 전기회로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 및 시스템 구성의 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전류의 흐르을 차단하는 차단기(Circuit Breaker:4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은 상기 차단기(410)를 걸쳐 상기 정류회로부(100)로 인가되는데, 상기 정류회로부(100)는 교류 형태의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전압변환부(110), 양파정류 회로(120) 및 평활회로(130) 등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유도등(2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한 후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선(282)을 통해 상기 유도등 구동시스템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도등(200a,200b,200c)에 상용직류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인가된 상용직류전원은 각각의 유도등(200a,200b,200c)의 회로기판(280)에 회로구성된 유도등기구 회로부(300)로 입력되며, 입력된 상용직류전원은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의 역류방지회로(320)에 의해 축전지(281)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광원램프(222)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의 과충전방지 회로(310)에 의해 상기 상용직류전원은 피드백되어 정전류 및 정전압이 유지되어 상기 축전지(281)가 과충전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에 상용직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정전시에는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의 제1트랜지스터(TR1)가 스위칭되어 상기 축전지(281)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이 상기 광원램프(222)로 인가되어 상기 광원램프(222)가 소등되지 않도록 회로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구동시스템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에 의하면, 저전압의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유도등 내부가 침수되어도 누설전류에 의한 유도등의 차단기가 작동할 가능성을 최소화되므로, 유도등을 항시 점등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도등 자체의 전압변경이 필요없으므로 회로구성에 실장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타 부속량이 감소되어, 제품 생산의 원가 절감 및 슬림한 형태의 바닥유도등을 생산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240) 및 오링패킹(268) 등 복수의 패킹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유도표시판(230), 보호판(250), 덮개부(260), 내부케이스(210) 및 외부케이스(271) 등 각 구성이 접촉한 면으로 침투할 수 있는 물이 차단되므로, 침투한 물에 의해 회로부가 손상되거나 차단기가 작동하여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되며, 상기 유도표시판(230)을 조명하는 광원부(220)에는 빛을 전방으로 집중시키는 반사커버(223)가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220)의 광원으로 LED 발광소자를 이용하므로, 고휘도 저전력 소모 등 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정류회로부 110...전압변환부
120...양파정류 회로 130...평활회로
200...유도등 210...내부케이스
220...광원부 230...유도표시판
240...제1패킹 243...제2패킹
250...보호판 260...덮개부
268...오링패킹 270...외부케이스
280...회로기판 281...축전지
290...커넥터부 300...유도등기구 회로부
310...과충전방지 회로 320...역류방지 다이오드

Claims (15)

  1. 평상시에는 상용직류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Electric Power Interruption)된 비상시에는 축전지(281)에 충전된 비상직류전원으로 동작되는 유도등 구동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유도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110)와, 상기 전압변환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양파정류 회로(120) 및,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평활회로(130)를 포함하며,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상용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부(100); 및
    상기 정류회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정전시 상기 축전지(281)로부터 비상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충전하는 역류방지회로(320) 및,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피드백하여 정전류 및 정전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축전지(281)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 회로(310)를 포함하는 유도등기구 회로부(300);
    를 포함하는 유도등 구동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회로(320)는,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정전되어 상기 축전지(281)에 의해 광원램프(222)가 구동될 때 상기 축전지(281)로부터 방전되는 전류가 전원 입력단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3)와,
    상기 축적지(281)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축전지(281)를 완속 충전시키는 충전저항(R1) 및,
    과전류로부터 상기 축전지(281)를 보호하는 보호용 퓨즈(F2)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구동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충전방지 회로(310)는,
    상기 역류방지회로(320)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도통 또는 차단되는 제1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에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저항(R2,R5) 및,
    상기 축전지(281) 충전 완료시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구동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정류 회로(120)는,
    상기 전압변환부(110)의 2차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양파정류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2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구동회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280) 및 상기 축전지(281)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10);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여, 안내를 위한 문양 또는 문자가 표시된 유도표시판(230)을 조명하는 광원부(220);
    내부에는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b(26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를 커버하는 덮개부(260); 및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의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a(24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의 체결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240);
    을 포함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벽면의 테두리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지지판a(21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a(215)의 둘레, 패킹부(240)의 둘레 및 덮개부(260)의 상부면 둘레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갖는 체결공a(213), 체결공b(242) 및 체결공c(262)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260)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260)에서 내부케이스(210)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c(262), 체결공b(242) 및 체결공a(213)를 관통 삽입하는 체결나사(263)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나사(263)의 회전 삽입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덮개부(260)가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60)와 체결나사(263) 사이에는, 상기 체결나사(263)의 몸통부(26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오링패킹(268)이 구비되며,
    상기 오링패킹(268)은, 상기 체결나사(263)가 상기 각 체결공(213,242,262)에 회전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260)의 상부면과 체결나사(263)의 머리부(267) 사이에서 압박되어 상기 체결공c(262)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240) 및 오링패킹(268)은,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28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형성된 외측커넥터(291) 및, 상기 정류회로부(100)로부터 상용직류전원을 인가받는 전선(282)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커넥터(291)에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형성된 내측커넥터(292)를 포함하는 커넥터부(2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넥터(291)와 내측커넥터(292)는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0. 제 5항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매설되되,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10)가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스(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70)의 일측면에는, 외부에 위치한 정류회로부로 상기 상용직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선(282)이 관통 삽입되는 전선 인입구(273)가 통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282)은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외부에서 결선됨이 없이 상기 커넥터부(290)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280)에 상기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240)과 덮개부(260)의 사이에 배치되되,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표시판(230)의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로 투과되어 나타나며, 상기 유도표시판(230) 및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각 구성을 외부의 압력 및 오염으로부터 커버하는 보호판(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220)는,
    발산되는 빛을 굴절 또는 확산시키는 도광판(221)과,
    상기 상용직류전원 또는 비상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되, 상기 도광판(221)의 테두리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221)의 중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램프(222)와,
    상기 광원램프(222)를 둘러싸는 형태로 커버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램프(222)의 빛을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반사커버(223) 및,
    상기 도광판(221)의 하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221)의 하부 방향으로 발산하는 빛을 상기 유도표시판(23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24)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222)는, LED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유도등.
  1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도등 구동회로를 구비한 유도등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기구 회로부(300)가 회로구성된 회로기판(280)이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등(200a,200b,200c); 및
    상기 유도등(200a,200b,200c)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유도등(200a,200b,200c)을 중앙 제어하며, 상기 정류회로부(100)가 구비되어 상기 유도등(200a,200b,200c)에 상용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유도등 구동시스템.
KR1020100032372A 2010-04-08 2010-04-08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KR10118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72A KR101188351B1 (ko) 2010-04-08 2010-04-08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72A KR101188351B1 (ko) 2010-04-08 2010-04-08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049A true KR20110113049A (ko) 2011-10-14
KR101188351B1 KR101188351B1 (ko) 2012-10-05

Family

ID=4502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372A KR101188351B1 (ko) 2010-04-08 2010-04-08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3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3900A (zh) * 2013-07-04 2013-10-09 苏州向隆塑胶有限公司 逃生指示照明灯具及其发光模组
KR101327899B1 (ko) * 2011-12-02 2013-11-13 유비링크(주)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KR101657968B1 (ko) * 2016-03-24 2016-09-20 유정윤 방수모듈이 구비된 바닥통로 유도등
CN108167787A (zh) * 2018-01-31 2018-06-15 东莞中工通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应急驱动电源
CN109818387A (zh) * 2017-11-20 2019-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状态提示方法及装置
JP2019160760A (ja) * 2018-03-16 2019-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常用点灯装置
KR102617356B1 (ko) * 2022-12-16 2023-12-27 주식회사 엠바디텍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38B1 (ko) * 2013-01-07 2014-03-06 (주)동진이엔씨 방수모듈이 구비된 거리표시 통로유도장치
KR200495790Y1 (ko) 2020-07-16 2022-08-18 정인 전선연결단자가 결합된 소방용화재유도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19Y1 (ko) * 1999-08-11 2000-02-15 일신전자주식회사 비상구 유도등 점등제어장치
JP5149650B2 (ja) 2008-02-26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99B1 (ko) * 2011-12-02 2013-11-13 유비링크(주)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CN103343900A (zh) * 2013-07-04 2013-10-09 苏州向隆塑胶有限公司 逃生指示照明灯具及其发光模组
KR101657968B1 (ko) * 2016-03-24 2016-09-20 유정윤 방수모듈이 구비된 바닥통로 유도등
CN109818387A (zh) * 2017-11-20 2019-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状态提示方法及装置
CN108167787A (zh) * 2018-01-31 2018-06-15 东莞中工通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应急驱动电源
JP2019160760A (ja) * 2018-03-16 2019-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常用点灯装置
KR102617356B1 (ko) * 2022-12-16 2023-12-27 주식회사 엠바디텍 페럴린 방수코팅이 적용된 비상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351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351B1 (ko) 유도등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도등
US8066391B2 (en) Luminary
KR101296371B1 (ko) 엘이디 모듈 및 컨버터의 과전압, 과전류, 써지 보호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커넥터형 엘이디 조명 장치
US20180073719A1 (en) Slim-lined, solar-powered led lighting system and outdoor patio umbrella having the same
US7470895B1 (en) Submersible power supply with integral photocell
US6174067B1 (en) Light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090200B1 (ko)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유도등 조립체
US20130163270A1 (en) Elevator cabin lighting with integrated emergency lighting
KR101032467B1 (ko) 방수강화 매립형 피난 유도등
KR10091621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조명 제어시스템
KR101648166B1 (ko) Led 조명장치
CN202403149U (zh) 设有备用电源的水晶灯
KR20080029092A (ko) 엘이디 터널 시선유도등
CN208154299U (zh) 一种新型智能应急照明设备
CN201274598Y (zh) 应急灯适配器
KR20130006428U (ko) 휴대it기기 충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가로등
WO2014192324A1 (ja) 携帯電話充電装置
CN216053602U (zh) 一种多安装方式的应急指示牌
JP2016042456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CN204986781U (zh) 一种具有应急功能的防爆led灯
CN204986451U (zh) 一种防爆led灯
CN218295525U (zh) 一种应急照明灯
US20090237919A1 (en) Illuminating device
JP5400990B1 (ja) Led照明装置および点灯制御方法
CN2821752Y (zh) 通道走向及危险指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