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86B1 -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86B1
KR102617286B1 KR1020180164942A KR20180164942A KR102617286B1 KR 102617286 B1 KR102617286 B1 KR 102617286B1 KR 1020180164942 A KR1020180164942 A KR 1020180164942A KR 20180164942 A KR20180164942 A KR 20180164942A KR 102617286 B1 KR102617286 B1 KR 10261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main body
mooring
mooring pol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6146A (en
Inventor
서윤석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7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6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계선주는, 안벽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와 로프로 연결 가능하도록 선체 데크에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는 이동식 계선주로서, 일단부는 데크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타단부는 데크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프를 묶어 고정하는 확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데크 내부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e movable moor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able mooring pol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hull deck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ith a rope to a fixed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quay wall, The portion protrudes above the deck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deck, an extens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 extension portion for tying and fixing the rope,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ncludes a deck fixing part that secures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inside of the deck.

Description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Portable mooring pole and ship including the same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 중량과 정박 위치 및 바람, 파도 등의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at can be properly installed and used before anchoring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ship, anchoring posi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such as wind and waves. It's about.

선박에는 항구의 안벽에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가 구비된다.The ship is equipped with a mooring device for mooring the ship on the quay wall of the port.

예를 들어,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해서는 안벽에 설치된 계선주와 선박에 설치된 계선주 사이를 계류 로프로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선박을 계류시킨다. For example, in order to anchor a ship, the ship is moored by connecting a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quay wall and a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ship with a mooring rope.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에 설치된 계선주는 선박의 건조 시 선체 데크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이용되었다. In this way, mooring poles installed on conventional ships were installed and used in a fixed form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hull deck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hip.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를 경우, 선박들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계선주만을 계류에 이용할 수 밖에 없었기에 태풍, 해일 등의 기상 환경적인 조건에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 루트의 변경이나 선박 운항 목적의 변경 시 해당 항구 상황에 따라 선박의 계선주를 증설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following this conventional method, ships had no choice but to use only mooring poles that were already installed,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to weath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yphoons and tsunamis.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ship's navigation route or the purpose of the ship's operation changed, the ship's mooring poles had to be increased depending on the port situation.

또한, 종래의 선박의 경우 계류 시에만 사용되는 계선주를 항시 설치된 상태로 항해해야 하였기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hips, there was an inefficiency problem because the mooring poles that were used only when mooring had to be sailed at all tim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442호(2015.06.15. 공개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5442 (published on June 15,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배 중량과 정박 위치 및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at can be properly installed and used before berthing in consideration of the ship's weight, anchorage loca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선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과도한 선체 보강이 불필요한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in which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mooring pol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no excessive hull reinforc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선박의 특성과 경로, 행선지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계선주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space utilization and use the mooring pole in various ways considering the ship's characteristics, route, destination environment, etc.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의 안벽 계류 시, 필요한 수의 계선주를 효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mooring pole that can efficiently position the required number of mooring poles when mooring a ship at the quay wall,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벽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와 로프로 연결 가능하도록 선체 데크에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는 이동식 계선주로서, 일단부는 데크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타단부는 데크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프를 묶어 고정하는 확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데크 내부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선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ovable mooring pol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hull deck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xed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quay wall with a rope, one end of which protrudes above the deck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deck. wealth; an extens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rope by tying it; And a deck fix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inside of the deck. It provides a movable mooring pole including a.

상기 본체의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타단부의 설치 높이를 제한하며 데크에 덮여 결합되는 높이 제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 height limiting cover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limit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deck.

또한, 상기 높이 제한 커버는, 상기 확장부와 상기 데크 고정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eight limitation cov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deck fixing part.

또한, 상기 데크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부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 고정부는 본체부의 타단부 둘레 면으로부터 직삼각형 단면 형상의 걸림 쇠 형태로 제공되어, 본체부의 타단부가 데크 내부에 삽입 설치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을 경우 설치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ck fixing part may have a right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protrudes further outward toward the top. For example, the deck fixing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atch with a right triangle cross-sectional shape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after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deck, the installation state is released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ny additional opera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happening.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 고정부의 돌출 및 해제 동작을 조작하는 누름 조작부; 상기 누름 조작부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누름 조작부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연결 부재; 및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데크 고정부의 돌출 및 해제를 조절하는 경사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pressing operation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manipulate the protruding and releasing operations of the deck fixing part;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and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And an incline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protrusion and release of the deck fixing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또한,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경사 연결 부재 사이에는 연결 힌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수직 연결 부재가 아래로 이동하면 경사 연결 부재는 데크 고정부를 돌출 해제시키고, 반대로 수직 연결 부재가 위로 이동하면 경사 연결 부재는 데크 고정부를 돌출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 connection hing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As a result, when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moves downward, the inclined connecting member can protrude and release the deck fixing part, and conversely, when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moves upward, the inclined connecting member can protrude the deck fixing par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이동식 계선주; 및 상기 이동식 계선주를 착탈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선체 데크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 홈을 구비하는 계선주 설치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mobile mooring pole; and a mooring pole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hull deck to fix the movable mooring pole in a detachable manner,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inserted.

이때, 상기 계선주 설치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하단이 접촉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둘레 면이 접촉 지지되는 둘레 지지부;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mooring post installation part includes a floor support part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s contacted and supported; and a peripheral support portion tha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이동식 계선주의 미사용 시, 데크 커버에 의해 상기 수용 홈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may be closed by a deck cover when the mobile mooring pole is not in use.

또한, 상기 데크 커버는, 상기 수용 홈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원판 형상의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몸체의 착탈 시 파지되는 핸들;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ck cover includes a disc-shaped cover body that covers and seals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body and gripped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cover body.

본 발명인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의하면 배 중량과 정박 위치 및 바람, 파도 등의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movable mooring po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it can be properly installed and used before anchoring, taking into account the weight of the ship, anchoring posi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such as wind and wav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선주의 설치 시 볼팅 등의 추가적인 잠금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과도한 선체 보강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additional locking devices such as bolting are required when installing a mooring pole, so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excessive hull reinforcement is un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선주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계선주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선박의 특성과 경로, 행선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계선주를 선적 후 이동하거나, 또는 항구에 마련된 계선주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oring pole is not installed,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mooring pole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hip's characteristics, route, destination environment, etc., the mooring pole can be moved after loading, or the mooring pole provided at the port can be us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안벽 계류 시, 좌측 및 우측 접안의 모든 경우에 필요한 수의 계선주를 효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안벽 계류 시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계선 주 중에서 좌측 및 우측 접안에 따라 불필요한 계선주가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좌측 및 우측 접안의 어떤 경우에도 불필요한 계선주 없이 모든 계선주가 효율적인 위치에 설치된 후 접안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ip is moored at the quay wall, the required number of mooring poles can be efficiently positioned in all cases of left and right berthing. In the conventional case, among the mooring poles installed on the ship when mooring at the quay wall, there were unnecessary mooring poles depending on the left and right berths,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mooring poles are installed in efficient positions without unnecessary mooring poles in any case of left and right berths.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dock.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계선주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계선주를 포함한 선박이 좌측 및 우측 접안 시 계선주 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ovable moor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ship including a movable mooring pole uses the mooring pole when berth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선박에는 항구의 안벽에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해서는 안벽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와 선박에 설치된 선박 계선주 사이를 계류 로프로 연결하여 선박을 계류시킨다. The ship is equipped with a mooring device for mooring the ship on the quay wall of the port. For example, in order to anchor a ship, a mooring rope is connected between a fixed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quay wall and a ship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ship to moor the ship.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중량, 정박 위치 및 바람, 파도 등의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relate to a movable mooring pole that can be properly installed and used before berthing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ship, anchoring posi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such as wind and waves,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계선주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ovable moor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계선주(100)는 벽(10, 20, 도 2)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와 로프(C)로 연결 가능하도록 선체 데크(210)에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는 선박의 계선주에 관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hull deck 210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xed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wall (10, 20, Figure 2) with a rope (C). It relates to the mooring pole of a ship that is fixed to.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계선주(100)는 본체부(110), 확장부(130), 및 데크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an extension portion 130, and a deck fixing portion 150.

본체부(110)는 이동식 계선주(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몸체로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main body 110 is a body that forms the overall outline of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즉, 본체부의 상단부)는 데크(210)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본체부(110)의 타단부(즉, 본체부의 하단부는 데크(21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i.e.,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rotrudes above the deck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e.,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inside the deck 210. It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insertion.

확장부(130)는 본체부(1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본체부(110)의 일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The expansion part 130 has a shape that extends outward through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110.

확장부(130)는 본체부(110)에 로프(C)를 묶을 때 묶인 로프(C)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he expansion portion 130 serves to secure the rope C when tying it to the main body 110.

데크 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타단부, 즉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eck fixing part 15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at the lower end.

이에 따라, 데크 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타단부를 데크(210) 내부에 고정시킨다. Accordingly, the deck fixing part 150 fixes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nside the deck 210.

구체적인 예로서, 데크 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타단부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부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쐐기 형태의 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deck fixing part 150 may have a structur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has a wedge-shaped right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at protrudes more outward as it moves upward. You can.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계선주(100)는 높이 제한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eight restriction cover 170.

높이 제한 커버(170)는 본체부(110)의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높이 제한 커버(170)는 본체부(110)의 타단부의 설치 높이를 제한하며 이동식 계선주(100)의 설치 시 데크(210)의 상부에 덮여 결합될 수 있다.The height limit cover 170 protrudes outwar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height limitation cover 170 limit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be covered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ck 210 when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is installed.

구체적인 예로서, 높이 제한 커버(170)는 확장부(130)와 데크 고정부(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height limitation cover 170 may be locat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130 and the deck fixing part 15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계선주(100)는 데크 고정부(150)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 조작부(16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vable mooring po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essing operation unit 160 for manipulating the deck fixing unit 150.

누름 조작부(160)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0)의 상부 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버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ush operation unit 16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Specifically, it may have a button shap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누름 조작부(160)는 데크 고정부(150)의 돌출 및 해제 동작을 조작한다.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60 operates the protruding and releasing operations of the deck fixing unit 150.

이를 위해, 누름 조작부(160)와 데크 고정부(150) 사이에는 수직 연결 부재(161)와 경사 연결부(165)를 포함한다. For this purpose,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161 and an inclined connecting portion 165 are included between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60 and the deck fixing unit 150.

구체적인 예로서, 수직 연결 부재(161)는 누름 조작부(160)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된다. 수직 연결 부재(161)는 누름 조작부(160)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ne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6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60.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61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60.

경사 연결 부재(165)는 수직 연결 부재(16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The inclined connecting member 16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61.

구체적으로는 경사 연결 부재(161)는 일단부가 수직 연결 부재(16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데크 고정부(150)에 연결된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16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6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eck fixing portion 150.

이로써, 경사 연결 부재(161)는 수직 연결 부재(161)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데크 고정부(150)를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밀어 돌출시키거나 또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당겨 돌출을 해제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161 is linked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61, and pushes the deck fixing part 15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o protrude o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t can be operated to release the protrusion by pulling.

이에 더하여, 경사 연결 부재(161)의 일단부와 수직 연결 부재(161)의 타단부 사이에는 연결 힌지(1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결 힌지(163)는 수직 연결 부재(161)와 경사 연결 부재(161)를 연결시켜주는 동시에 이들 각각의 부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해준다.In addition, a connection hinge 163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161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61. The connection hinge 163 connects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61 and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161 and allows each of these members to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계선주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including a movable mooring pol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선박은 전술된 이동식 계선주(110)와 함께 계선주 설치부(230)를 포함한다.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oring pole installation unit 230 along with the movable mooring pole 110 described above.

계선주 설치부(230)는 이동식 계선주(110)를 착탈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선체 데크(210)에 구비되는데, 본체부(110)의 타단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 홈(235)을 구비한다. The mooring pole installation portion 230 is provided on the hull deck 210 to fix the movable mooring pole 110 in a detachable manner,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235 into which the main body portion 110 can be inserted.

예컨대, 계선주 설치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타단부 하단이 접촉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231)와, 본체부(110)의 타단부 둘레 면이 접촉 지지되는 둘레 지지부(233)를 포함한다. For example, as shown, the mooring post installation unit 230 includes a bottom support part 231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s contacted and supported, and a peripheral support part on whic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s contacted and supported ( 233).

이때, 수용 홈(235)은 이동식 계선주(110)의 미사용 시, 데크 커버(220)에 의해 수용 홈(235)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235 may be closed by the deck cover 220 when the movable mooring pole 110 is not in use.

데크 커버(220)는 수용 홈(235)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원판 형상의 커버몸체(221)를 포함한다. The deck cover 220 includes a disc-shaped cover body 221 that covers and seals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235.

이에 더하여, 커버몸체(221)의 상부에 구비에는 핸들(223)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핸들(223)은 데크 커버(220)의 착탈 시 파지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크기에 따라 작업자 또는 별도의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데크 커버(22)를 개방시킬 수 있는데 핸들(223)을 잡아 무거운 커버몸체(221)를 들어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In addition, a handle 22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ver body 221, and the handle 223 is used to hold the deck cover 220 when attaching or detaching it. Depending on the size, the deck cover (22) can be opened by an operator or a separate separation device, and the heavy cover body (221) can be easily lifted by holding the handle (223).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배 중량과 정박 위치 및 바람, 파도 등의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으며, 볼팅 등의 추가적인 잠금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과도한 선체 보강이 필요하지 않아 적용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can be properly installed and used before berthing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ship, anchoring posi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such as wind and waves, and no additional locking devices such as bolting are required, so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work is performed quickly. . Additional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pply as it does not require excessive hull reinforcement.

한편, 이동식 계선주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계선주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movable mooring pole is not installed, the mooring pole installation space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계선주를 포함한 선박이 좌측 및 우측 접안 시 계선주 이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ship including a movable mooring pole uses the mooring pole when berth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선박(200)이 제1 안벽(10)에 접안 시(즉, 좌측 접안 시)에는 A그룹에 포함되는 제1, 2, 3, 4 이동식 계선주(100-1, 100-2, 100-3, 100-4)만을 설치하여 선박의 계류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B그룹에 포함되는 제5, 6, 7, 8 이동식 계선주(100-5, 100-6, 100-7, 100-8)의 사용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ship 200 berths at the first quay wall 10 (i.e., when berthing on the left sid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vable mooring poles (100-1, 100-) included in group A are used. Only 2, 100-3, and 100-4) can be installed and used for mooring ships. In contrast, the use of the 5th, 6th, 7th, and 8th mobile mooring poles (100-5, 100-6, 100-7, and 100-8) included in Group B may become unnecessary.

반대로, 선박(200)이 제2 안벽(20)에 접안 시(즉, 우측 접안 시)에는 B그룹에 포함되는 제5, 6, 7, 8 이동식 계선주(100-5, 100-6, 100-7, 100-8)만을 설치하여 선박의 계류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A그룹에 포함되는 제1, 2, 3, 4 이동식 계선주(100-1, 100-2, 100-3, 100-4)의 사용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ship 200 berths at the second quay wall 20 (i.e., when berthing on the right side), the 5th, 6th, 7th, and 8th movable mooring poles (100-5, 100-6, 100-) included in Group B are used. 7, 100-8) can be installed and used for mooring ships. In contrast, the us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bile mooring posts (100-1, 100-2, 100-3, and 100-4) included in Group A may become unnecessary.

이와 같이, 불필요한 위치에서는 이동식 계선주의 설치 및 사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 중량과 정박 위치 및 바람, 파도 등의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정박 전에 적절히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In this way, since the installation and use of a mobile mooring pole is not necessary in unnecessary locations, it has the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of being able to properly install and use it before anchoring, taking into account the weight of the ship, the anchoring position, and external force conditions such as wind and wav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선박의 특성과 경로, 행선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계선주를 선적 후 이동하거나, 또는 항구에 마련된 계선주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선박의 안벽 계류 시, 좌측 및 우측 접안의 모든 경우에 필요한 수의 계선주를 효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oring pole can be moved after loading, or the mooring pole provided at the port can be used, taking into account the ship's characteristics, route, destination environment, etc.,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quired number of mooring poles can be efficiently positioned in all cases of left and right berthing when mooring a ship at the quay wall.

종래의 경우, 안벽 계류 시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계선 주 중에서 좌측 및 우측 접안에 따라 불필요한 계선주가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좌측 및 우측 접안의 어떤 경우에도 불필요한 계선주 없이 모든 계선주가 효율적인 위치에 설치된 후 선박의 접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among the mooring poles installed on the ship when mooring at the quay wall, there were unnecessary mooring poles depending on the left and right berths,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mooring poles are installed in efficient positions without unnecessary mooring poles in any case of left and right berths. The vessel can doc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 로프
10: 제1 안벽
20: 제2 안벽
100: 이동식 계선주
110: 본체부
130: 확장부
150: 데크 고정부
160: 누름 조작부
161: 수직 연결 부재
163: 연결 힌지
165: 경사 연결 부재
170: 높이 제한 커버
200: 선박
210: 데크
220: 데크커버
221: 커버몸체
223: 핸들
230: 계선주 설치부
231: 바닥 지지부
233: 둘레 지지부
235: 수용 홈
C: Rope
10: First quay wall
20: Second quay wall
100: Mobile mooring pole
110: main body
130: extension part
150: deck fixture
160: push control panel
161: Vertical connection member
163: connection hinge
165: Inclined connection member
170: Height limit cover
200: ship
210: deck
220: Deck cover
221: Cover body
223: handle
230: Mooring pole installation section
231: floor support
233: Peripheral support
235: Acceptance home

Claims (10)

안벽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와 로프로 연결 가능하도록 선체 데크에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는 이동식 계선주로서,
일단부는 데크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타단부는 데크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프를 묶어 고정하는 확장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데크 내부에 고정시키는 데크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 고정부의 돌출 및 해제 동작을 조작하는 누름 조작부;
상기 누름 조작부의 하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누름 조작부의 누름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연결 부재; 및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데크 고정부의 돌출 및 해제를 조절하는 경사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선주.
It is a movable mooring pol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hull deck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xed mooring pole installed on the quay wall with a rope,
One end protrud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deck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deck;
an extens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rope by tying it;
A deck fix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inside of the deck;
A pressing operation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manipulate the protruding and releasing operations of the deck fixing unit;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and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and
An inclined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and controlling the protrusion and release of the deck fixture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Portable mooring pole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의 설치 높이를 제한하며 데크에 덮여 결합되는 높이 제한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계선주.
According to paragraph 1,
a height limiting cover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limit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deck;
A mobile mooring pol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 커버는,
상기 확장부와 상기 데크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계선주.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height limit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the expansion part and the deck fixing part.
Mobile mooring 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부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계선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eck fix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s a right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at protrudes more outward toward the top.
Mobile mooring p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경사 연결 부재 사이에는 연결 힌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계선주.
According to paragraph 1,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hing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and the inclined connection member.
Mobile mooring pole.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식 계선주; 및
상기 이동식 계선주를 착탈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선체 데크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 홈을 구비하는 계선주 설치부;
를 포함하는 선박.
A mobile mooring pole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to 4 and paragraph 6; and
A mooring pole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hull deck to fix the movable mooring pole in a detachable manner,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inserted;
Vessels containing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선주 설치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하단이 접촉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둘레 면이 접촉 지지되는 둘레 지지부;
를 포함하는 선박.
In clause 7,
The mooring pole installation part,
a bottom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s contacted and supported; and
a peripheral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a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Vessels containing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이동식 계선주의 미사용 시, 데크 커버에 의해 상기 수용 홈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In clause 7,
The receiving groove is,
When the mobile mooring column is not in use,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is closed by a deck cover.
Shi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커버는,
상기 수용 홈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원판 형상의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 커버의 착탈 시 파지되는 핸들;
을 포함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use 9,
The deck cover is,
A disc-shaped cover body that covers and seals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body and gripped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ck cover;
Vessels containing .
KR1020180164942A 2018-12-19 2018-12-19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617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42A KR102617286B1 (en) 2018-12-19 2018-12-19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42A KR102617286B1 (en) 2018-12-19 2018-12-19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46A KR20200076146A (en) 2020-06-29
KR102617286B1 true KR102617286B1 (en) 2023-12-21

Family

ID=7140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42A KR102617286B1 (en) 2018-12-19 2018-12-19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8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3527A (en) * 2016-07-07 2018-01-11 三井造船鉄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Ship mo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64B1 (en) * 2011-06-08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itt for building vessel
KR102111988B1 (en) 2013-12-05 2020-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ovable mooring system and the ship having it
KR200487430Y1 (en) * 2014-06-12 2018-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ole-cover apparatus for sh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3527A (en) * 2016-07-07 2018-01-11 三井造船鉄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Ship mo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46A (en)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647B2 (en) Method for handling a hydro sound absorber, and device for reducing underwater noise
JP5237155B2 (en) Recovery method of middle-floating floating reef and metal fittings for recovery
KR101380649B1 (en) Docking facility for tower on sea and Tower on sea having the same
KR101382300B1 (en) Up-down type movable fender
US10526062B2 (en) Subse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hub
KR20120125719A (en) Cable Clench Structure Equipped to the Chain Locker of Anchoring System for Ship
JP5565803B2 (en) Installation method of tension mooring floating structure and ship for installation of tension mooring floating structure
KR102617286B1 (en) Portable bollard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762832B1 (en) Mooring apparatus for ship
KR20220045208A (en) How to install a floating body based on a tension leg platform
NL2022947B1 (en) A vessel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pile adapted to support an offshore wind turbine
KR20120002682A (en) Mooring winch arranged in recessed hull side
US20070089656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and controlling the lowering or raising of a structur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ed of the sea
KR8900028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oring a ship in frigid weather conditions
EP1866200B1 (en) Semisubmarine provided with improved mooring units
US4239417A (en) Multi-purpose marine structure
CN112356987B (en) Float for angling
KR100827462B1 (en) Movable floating quay
KR20220144279A (en) Buoy Anchor and Anchor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060236912A1 (en) Device for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personnel between units at sea
KR101694859B1 (en) Mooring buoy
KR101498254B1 (en) Inclined turret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2027153B1 (en) Installing Method for Submersible Housing Structure and Mooring System for Submersible Housing Structure
WO2017099605A1 (en) A platform arrangement for offshore energy exploitation
KR101781205B1 (en) Loading method of the moorig chain on the r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