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153B1 -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153B1
KR102617153B1 KR1020210064901A KR20210064901A KR102617153B1 KR 102617153 B1 KR102617153 B1 KR 102617153B1 KR 1020210064901 A KR1020210064901 A KR 1020210064901A KR 20210064901 A KR20210064901 A KR 20210064901A KR 102617153 B1 KR102617153 B1 KR 10261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image
standard
reflectance standar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677A (ko
Inventor
우도 크뤼거
크리스티안 슈츠바넨겔
탄야 틸
Original Assignee
테크노팀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팀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크노팀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01M11/0214Details of devices holding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66Field-of-view determination; Aiming or pointing of a photometer; Adjusting alignment; Encoding angular position; Size of the measurement area; Position tracking; Photodetection invol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for a singl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8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or optical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3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Scan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88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with spectral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57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analyzing the image formed by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92Testing optical properties of objectives by measuring the optical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42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angle information of sensors or receivers; Goniopho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33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notc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8Array [C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haracter Inpu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Z)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어 유닛(5)에 의해 해제 가능한 카메라(4)는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가 적어도 홀딩 장치(3)에 의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을 커버하도록, 반사율 스탠더드(Z)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홀딩 장치(3)에 대해 배열되고 정렬된다. 번호판 라이트(1)는 제어 유닛(5)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2)에 배열된다. 포지셔닝 장치(2)는 그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가 홀딩 장치(3)에 배열되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P1, P2), 선택적으로 복수의 위치(P1, P2)를 순서대로 가로지르도록 제어 유닛(5)에 의해 제어된다. 각각의 위치(P1, P2)에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의 기록이 트리거링 된다. 전체 이미지(B)는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밀도 분포 이미지(B1, B2)로부터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PHOTOMETRICAL CHARTING OF A LICENSE PLAT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비춰진 번호판의 가시성은 법률과 규범적인 규제, 특히 표준 ECER004,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표준 SAE J578 "전기적 신호 라이팅 장치를 위한 컬러 사양", GB(Chinese Guobiao) 표준 GB 18408-2015 "자동차 및 그 트레일러의 후방 등록판의 빛을 위한 장치의 측광 특성" 등이 적용된다. 이들 규제를 준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방법은 비춰진 번호판의 선택적인 측광 차팅을 포함한다.
차량에서 번호판을 비추기 위해 제공되고 구성된 번호판 라이트의 측광 차팅을 위한 측정 셋업에서, 번호판은 표준화되고 대비 가능한 측정을 이루기 위해 번호판과 기하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배열되는 반사율 스탠더드에 의해 대체된다. 반사율 스탠더드는 반사율 노멀이라고도 불린다.
빛 설정의 규범적인 테스트를 위해, 반사율 스탠더드가 스펙트럼적으로 중립인, 바람직하게는 램버시안, 즉 확산 반사 표면을 가지면 유리하다. 아무튼, 빛 설정의 후속 테스트에서, 차팅되고 고려되는, 예컨대 정정되는 다른 반사 특성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측정 셋업에서, 반사율 스탠더드는 장착된(즉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번호판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해 배열되는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또는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다.
여기서, 측광 특성, 예컨대 휘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측광기는 반사율 스탠더드에, 또는 적어도 반사율 스탠더드의 부분적인 영역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반사율 스탠더드의 특정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해, 시간을 엄수하는 측정 값이 병합되어, 예컨대 적분 값 또는 평균 값을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측광 공칭 값과 비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2에 따른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차량용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에서, 제어 유닛에 의해 해제 가능한 카메라는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가 적어도 홀딩 장치에 의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을 커버하도록, 반사율 스탠더드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홀딩 장치에 대해 배열되고 정렬된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서, 휘도 밀도 이미지(luminance density image)는 표준 DIN 5032-10:2019-09 - Entwurf: Lichtmessung - Teil 10: Leuchtdichtemesskamera, Begriffe, Eigenschaften und deren Kennzeichnung에 대해 공개된 표준 초안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센서의 평평한 이미징 표면, 예컨대 카메라의 포착 평면의 휘도 밀도 분포의 디지털식 표현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는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가 반사율 스탠더드의 판사 표면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열되고 정렬된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가 부분적인 영역에서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을 커버하도록 카메라를 배열하고 정렬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한데, 부분적인 영역은 규범이나 법률 규정에 의해 요구되는 정도로 반사율 스탠더드의 측광 특성의 결정이 이 부분적인 영역을 커버하는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카메라는 측광 특성의 평면적 (2차원적) 분포를 정하는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는 양적인,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드백 된, 측광 특성의 결정을 위한 휘도 밀도 측정 카메라로 구성된다.
차량에 장착된 번호판을 비추기 위해 구성된 번호판 라이트는 제어 유닛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번호판 라이트는 포지셔닝 장치에 체결되거나 고정된다.
반사율 스탠더드는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이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도록 홀딩 장치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임의의 각도로 정렬되며, 특히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에 반드시 직각으로 정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에 직각이 아니게 카메라의 광축을 정렬할 때,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측광 휘도 밀도 이미지의 측광 및/또는 기하 정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정은 반사율 스탠더드의 공지된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휘도 밀도 이미지에 기록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기하가 레지스터링되며, 즉 반사율 스탠더드의 공지된 기하와 맞춰지며, 기하 교정을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측정 거리, 즉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과 카메라의 렌즈의 렌즈 측 메인 평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반사율 스탠더드의 마진을 향해 더 큰 시야의 각도를 야기한다. 각도에 따라 다른 반사 특성은 알려져야 하며, 위치의 함수로서 각자의 웨이팅(weighting)에 의해 정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지셔닝 장치는 그에 배열된, 예컨대 체결된, 또는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가 홀딩 장치에 배열되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가로지르도록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장치는 번호판 라이트가 각자 복수의 위치를 순서대로 가로질러 고정되도록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도달한 위치 각각에서, 번호판 라이트는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칭 온 되거나, 이미 온 되어 있다면 유지된다. 휘도 밀도 이미지의 기록은 번호판 라이트가 미리 정해진 버닝인 시간을 보내면 트리거링된다. 전체 이미지는 도달한 위치 각각에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생성된다.
전체 이미지는 예컨대 픽셀 단위로,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 각각을 합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개별적인 휘도 밀도 이미지를 레지스터링 및/또는 이들을 필터링, 예컨대 스무딩하고, 복수의 레지스터링 및/또는 필터링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서로에 대해 휘도 밀도 이미지를 레지스터링할 때, 픽셀 좌표는 예컨대 레지스터링된 휘도 밀도 이미지 사이의 합동 척도나 유사성 척도, 예컨대 연관성 기반의 유사성 척도가 최대화되도록, 아핀 변환에 의해 또는 원근 왜곡 및/또는 회전 및/또는 스케일링 및/또는 시프팅에 의해 변환된다. 따라서, 전체 이미지에서 포착된 휘도 밀도 이미지의 국부적인 정확도가 개선된다.
필터링 과정에서, 선형 필터, 예컨대 스무딩을 위한 로 패스 또는 에지 개선을 위한 하이 패스가 휘도 밀도 이미지에 적용될 수 있다. 휘도 밀도 이미지에 비선형 필터, 예컨대 메디안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형태적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방법이 바이너리 이미지를 얻기 위해 휘도 밀도 이미지를 먼저 바이너라이징함으로써, 예컨대 임계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바이너리 이미지에 형태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그리고 휘도 밀도 이미지에 예컨대 마스킹으로서 처리된 바이너리 이미지를 리트랜스퍼링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노이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간섭과 아티팩트가 필터링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휘도 밀도 이미지는 처리가 위치의 함수인 것, 즉 픽셀의 위치와 관련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휘도 밀도 이미지에서 국부적인 분포가 알려져 있는 반사율 스탠더드 및/또는 카메라에서 결함을 보상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카메라 렌즈에 의해 야기된 카메라의 센서의 예기치 않은 빛의 약간의 축소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과 카메라 렌즈의 메인 평면 사이의 작은 거리를 갖는 각도 의존적인, 즉 비완전 확산, 반사도로부터 야기되는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그리고 반사율 스탠더드에 의해 반사된 빛의 픽셀 단위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한다. 이는 반사율 스탠더드와 카메라의 광학 퀄리티에 대해 낮은 요건을 갖는 측정 셋업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휘도 밀도 이미지를 트랜스퍼링하고 필터링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조합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달한 위치 각각에서 복수의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하고, 이에 기초하여 증가한 다이내믹 레인지(High Dynamic Range, HDR)를 갖는 휘도 밀도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자 동일한 노출 시간으로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노이즈 영향을 줄이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전체 이미지는 포지셔닝 장치가 이동하는 위치에 각자 분포된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가 동시에 비춰지면 야기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휘도 밀도 이미지에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측광 특성의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에 의해, 차량에 배열된, 그리고 또한 그 차량에 배열된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이들 측광 특성의 분포가 정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측광 측정 방법에 사용된 단일 번호판 라이트는 차량에 배열된 (마찬가지로 차량에 배열된 번호판에 대한)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는 (홀딩 장치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해야 한다.
본 방법의 이점은 측광 특성의 평면적 차팅이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각자 한 단계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의 시간을 소모하는 지점별 측정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방법의 다른 이점은 제어 유닛에 의해 이동 가능한 (즉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로 인해, 측광 특성의 분포에 대한 번호판 라이트의 다양하게 변하는 배열의 영향이 차팅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반사율 스탠더드의 다른 기하적 치수에 대한, 그리고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번호판 라이트의 다른 배열에 대한 빛 설정이 매우 쉽게, 그리고 빠르게 차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해,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의 배열에 차이가 있는 다른 타입의 차량 및/또는 다른 시리즈의 타입의 차량에서 일어나는 측광 특성의 분포가 정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측정의 순서는 새로운 번호판 라이트나 반사율 스탠더드를 장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에서 번호판 라이트나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의 다양하게 변하는 기하적 배열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표준에 순응하는 번호판 라이트의 빛에 대한 적절성과 관련하여 매우 쉽게, 그리고 매우 빠르게 체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루어진 빛 퀄리티와 관련하여 번호판 라이트의 새로운 또는 변경된 배열을 평가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특히, 체크될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의 기하적 배열을 변경할 때, 물리적인 분해 및 조립이 요구되지 않으며, 그 대신, 이 변경은 제어 유닛을 리프로그래밍 또는 파라미터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사율 스탠더드는 반사 표면에서 각각의 지점이 카메라의 광축에 대해 최대 40°의 각도 아래에,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의 각도 아래에 나타나도록 카메라에 대해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휘도 밀도 이미지는 사영 교정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의 기하에 맞춰진다.
예를 들어, 휘도 밀도 이미지는 그에 포함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이미지의 윤곽이 반사율 스탠더드의 윤곽과 맞도록 사영 교정된다. 예를 들어, 반사율 스탠더드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반사 표면의 경우, 이 표면의 전형적으로 사영 왜곡된 이미지의 네 코너 지점이 휘도 밀도 이미지에서 인식되며, 이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리프로덕션 스케일을 고려하여, 반사율 표면과 사이즈가 동일한, 또는 반사 표면과 동일한 양상 비율을 갖는 사각형이 스패닝되도록 이들 코너 지점의 좌표를 변형하는 사영 교정이 정해진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반사율 스탠더드에 법선인 표면으로부터 카메라의 광축의 편차가 사영 교정에 의해 매우 쉽게 정정될 수 있음에 따라,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그리고 따라서 또한 홀딩 장치에 대한) 카메라의 조절이 상당히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는 번호판 라이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다.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이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에 기초하여, 번호판 라이트의 적어도 제2 또는 다른 위치에 대해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가 계산된다. 다시 말해, 반사율 스탠더드가 제1 위치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로 비춰질 때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에 대해, 반사율 스탠더드가 제2 또는 다른 위치에 있는 번호판 라이트로 비춰졌으면 관측되는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가 계산된다.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는 예컨대 번호판 라이트의 제1 위치와 제2 또는 다른 위치 사이의 대칭 관계를 활용함으로써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판 라이트의 제1 및 제2 위치가 반사율 스탠더드에 직각인 대칭 평면에 대칭이면,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는 대칭 평면이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을 교차하는 대칭축에 대해 제1 위치에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를 미러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는 번호판 라이트의 제1 및 제2 또는 다른 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시프팅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를 시프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전체 이미지는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를 겹침으로써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번호판 라이트의 제2 또는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거기서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측정 시간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도달한 위치에서 휘도 밀도 이미지의 기록은 번호판 라이트가 미리 정해진 버닝인 시간을 보낸 후 해제된다. 번호판 라이트는 적어도 버닝인 시간 동안 그 위치에 도달한 후에 스위칭 온 되고, 이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의 후속 기록 후에 다시 스위칭 오프 될 수 있다. 다만, 유리한 방식에서, 도달한 첫 번째 위치에서 첫 번째 휘도 밀도 이미지의 기록을 해제하기에 앞서 한번 번호판 라이트를 스위칭 온 하고, 도달한 마지막 위치에서 마지막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할 때까지 이를 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번호판 라이트의 버닝인 시간 동안, 반사율 스탠더드의 범위에서 측광 특성의 분포는 예컨대 스펙트럼적 특성이 및/또는 기하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해, 측정 결과에 대해 이러한 변경의 영향이 배제되거나 현저하게 줄어든다.
휘도 밀도 이미지, 그리고 따라서 또한 이들로부터 형성된 전체 이미지가 또한 반사율 스탠더드 외측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을 커버하는 전체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서, 이미지 영역이 정의된다. 이미지 영역 평균 값은 각각의 이미지 영역에 대해 정해진다. 이미지 영역 평균은 각자의 이미지 영역의 모든 픽셀 값의 가중합(weighted sum)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영역 평균은 각자의 부분적인 영역의 평면(즉 픽셀의 개수)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부분적인 영역에서 픽셀 값의 합을 관련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미지 영역은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을 커버하는 전체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서 겹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미지 영역이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측광 특성의 평면적 특성 대신에, 규정이나 표준에 순응하도록 요구된 반사율 스탠더드를 위한 빛 설정의 체크를 용이하게 하고 이를 위해 충분한 측광 파라미터의 감소한 세트(이미지 영역에 할당된 이미지 영역 평균의 세트)가 정해진다는 것이다. 특히, 규정이나 표준을 순응하는 요건에 대한 준수 여부가 카메라의 셋업과 해상도와 무관하게, 특히 리프로덕션 스케일 및 칩 사이즈와 무관하게 이 방식으로 체크될 수 있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홀딩 장치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는 자동으로 식별된다.
반사율 스탠더드의 식별은 예컨대 그에 배열된 RFID 트랜스폰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RFID 트랜스폰더는 판독하기 위해 가볍고 신뢰성 있으며, 광학 측정을 위해 보이지 않는 반사율 스탠더드의 후방 측에 쉽게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식별은 카메라의 공지된 기하적 왜곡 및/또는 공지된 리프로덕션 스케일을 고려하여 반사율 스탠더드의 타입의 공지된 치수와 전체 이미지 또는 휘도 밀도 이미지에서 반사율 스탠더드의 이미지를 매칭함으로써, 그리고 가장 잘 매칭되는 타입을 할당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식별은 따라서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율 스탠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임의로 선택된 또는 규정이나 표준을 순응하도록 요구된 이미지 영역이 정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미지 영역 평균이 각각의 경우에 정해진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율 스탠더드에 표준이나 규정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측광 특성의 분포가 정해진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확인 단계에서, 홀딩 장치에 대해 그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를 갖는 포지셔닝 장치의 궤적이 계획되는데, 궤적은 반사율 스탠더드를 차팅하기 위해 적절하다. 확인 단계에서, 이 궤적은 측정 더미에 대해 수행된다. 다시 말해, 포지셔닝 장치는 그에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가 그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를 갖는 홀딩 장치에 대해 계획된 궤적을 갖는 측정의 경우에 배열되는 것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 더미에 대해 배열되도록 이동한다.
측정 더미는 그에 배열된 반사율 스탠더드를 갖는 홀딩 장치에 대해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되며, 포지셔닝 장치 및/또는 번호판 라이트가 측정 더미와 번호판 라이트 및/또는 포지셔닝 장치의 충돌의 경우에 무사히 유지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측정 더미는 접촉될 때 유연한 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정 더미는 또한 번호판 라이트나 포지셔닝 장치를 손상하기에 아직 충분하지 않은 힘을 받을 때 먼저 파손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측정 더미는 계획된 궤적이 측정 더미에 대해 수행될 때 반사율 스탠더드 및/또는 홀딩 장치와 충돌이 배제되도록 배열된다. 나아가, 궤적이 홀딩 장치에 대해 수행될 때 측정 더미와 충돌이 배제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율 스탠더드의 차팅은 확인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에 가능해진다. 확인 단계는 측정 더미에 대해 계획된 궤적의 실행 동안 포지셔닝 장치와 번호판 라이트가 측정 더미와 충돌하지 않으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포지셔닝 장치의 궤적의 계획이 특히 비용 효율적이고 절약적인 방식으로 차팅 작업에 앞서 감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잘못 계획된 궤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포지셔닝 장치, 번호판 라이트, 홀딩 장치 및/또는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손상이 회피될 수 있다.
차량용 반사율 스탠더드의 측광 차팅을 위한 장치는 제어 유닛, 반사율 스탠더드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홀딩 장치 및 홀딩 장치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해 구성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장치는 번호판 라이트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체결 또는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포지셔닝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임의의 각도로, 특히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에 반드시 직각은 아니게 정렬된다.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에 직각이 아니게 카메라의 광축을 정렬할 때,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측광 휘도 밀도 이미지의 측광 및/또는 기하 정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정정은 반사율 스탠더드의 공지된 특성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휘도 밀도 이미지에 기록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기하가 레지스터링, 즉 반사율 스탠더드의 공지된 기하와 매칭되며, 기하 교정을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측정 거리, 즉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과 카메라의 렌즈의 렌즈 측 메인 평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반사율 스탠더드의 마진을 향해 더 큰 시야의 각도를 야기한다. 각도에 따라 다른 반사 특성은 각자 알려져야 하며, 이에 위치의 함수로서 각자의 웨이팅에 의해 정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카메라 및 포지셔닝 장치와 결합되며, 홀딩 장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선택적으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순서대로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를 가로지르도록, 그리고 번호판 라이트를 스위칭 온 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어 유닛은 카메라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의 기록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제어 유닛 및/또는 카메라는 앞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형성된 전체 이미지는 포지셔닝 장치가 이동하는 위치에 각자 분포된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가 동시에 비춰졌으면 야기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휘도 밀도 이미지에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측광 특성의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안된 장치에 의해, 차량에 배열된, 그리고 또한 그 차량에 배열된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이들 측광 특성의 분포가 정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포지셔닝 장치에 배열된 (즉 체결된 또는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가 차량에 배열된 (차량에 마찬가지로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에 대한) 다수의 반사율 스탠더드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며 제어 유닛에 의해 미리 정해진 (홀딩 장치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해야 한다.
본 장치의 이점은 측광 특성의 평면적 차팅이 휘도 밀도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각자 한 단계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점별로 측정하는 측광기를 사용하는, 반사율 스탠더드의 반사 표면의 시간을 소모하는 스캐닝이 회피될 수 있다.
본 장치의 다른 이점은 제어 유닛에 의해 이동 가능한 (즉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로 인해, 측광 특성의 분포에 대한 번호판 라이트의 다양하게 변하는 배열의 영향이 차팅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반사율 스탠더드의 다른 기하적 치수에 대한, 그리고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번호판 라이트의 다른 배열에 대한 빛 설정이 매우 쉽게, 그리고 빠르게 차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해,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의 배열에 차이가 있는 다른 타입의 차량 및/또는 다른 시리즈의 타입의 차량에서 일어나는 측광 특성의 분포가 정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측정의 순서는 새로운 번호판 라이트나 반사율 스탠더드를 장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에서 번호판 라이트나 다수의 번호판 라이트의 다양하게 변하는 기하적 배열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한 표준에 순응하는 번호판 라이트의 빛에 대한 적절성과 관련하여 매우 쉽게, 그리고 매우 빠르게 체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루어진 빛 퀄리티와 관련하여 번호판 라이트의 새로운 또는 변경된 배열을 평가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특히, 체크될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의 기하적 배열을 변경할 때, 물리적인 분해 및 조립이 요구되지 않으며, 그 대신, 이 변경은 제어 유닛을 리프로그래밍 또는 파라미터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홀딩 장치는 홀딩 베이스와 홀딩 소켓을 포함하는데, 홀딩 베이스는 해제 가능한, 형상 맞춤 및 여유 공간 없는 방식으로 홀딩 소켓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홀딩 소켓은 반사율 스탠더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특히 쉬운 방식으로, 특히 추가적인 조립 단계 없이, 그리고 도구 없이 차팅될 반사율 스탠더드를 교체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특히 다수의 서로 다른 기하적 치수의 반사율 스탠더드의 측광 차팅을 위해 적절하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홀딩 베이스 및/또는 홀딩 소켓은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홀딩 장치에 대한 반사율 스탠더드의 긴밀한, 반복 가능한 고정과 동시에, 반사율 스탠더드의 특히 쉬운 교체를 허용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RFID 트랜스폰더가 홀딩 소켓에 배열되어, 홀딩 장치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본 장치에 의해 차팅되는 반사율 표면, 그리고 따라서 또한 그에 수행된 측정을 위한 표준의 수동적인 식별이 없어질 수 있으며, 측정 작업이 가속화될 수 있다. 더욱이, 측정 결과가 잘못된 반사율 스탠더드, 그리고 따라서 잘못된 표준에 할당되는 위험이 제거되거나 줄어든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홀딩 장치는 제어 유닛과 결합되며, 홀딩 소켓이나 반사율 스탠더드에 배열된 RFID 트랜스폰더의 식별자를 판독하기 위해, 그리고 제어 유닛에 이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RFID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데, 제어 유닛은 전송된 식별자로부터 측정에 적용될 규정이나 표준에 순응하도록 요구된 반사율 표면을 위한 빛 설정을 체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준을 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기록된 반사율 스탠더드와 관련된 기하적 정보를 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휘도 밀도 이미지로부터 그(사이드 길이, 양상 비율)로부터 유도된 특성과 윤곽을 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하적 파라미터의 결정이 예컨대 스마트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에서 일어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서, 스마트 카메라(또는 인텔리전트 카메라)는 이미지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내부 프로세서를 갖는 카메라의 타입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원본 이미지로부터 도출된 (처리된) 정보가 스마트 카메라에 의해 정해지고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와 제어 유닛은 이러한 기하적 파라미터를 트랜스퍼링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카메라에 대한 반사율 스탠더드의 정렬 및/또는 위치는 이 방식으로 정해진 기하적 파라미터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카메라의 광축에 직각으로 정렬된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해 기록되는 교정된 휘도 밀도 이미지로 사영 교정에 의해 실제로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더욱이, 기록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타입은 기하적 파라미터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는 그에 배열된 반사율 스탠더드를 갖는 홀딩 장치에 대해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된 측정 더미를 포함한다.
측정 더미는 측정 더미와 번호판 라이트 및/또는 포지셔닝 장치의 충돌의 경우, 포지셔닝 장치와 번호판 라이트가 무사히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측정 더미는 접촉될 때 유연한 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정 더미는 또한 번호판 라이트나 포지셔닝 장치를 손상하기에 아직 충분하지 않은 힘을 받을 때 먼저 파손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 더미는 궤적이 반사율 스탠더드를 차팅하기 위해 홀딩 장치에 대해 수행되는 동안, 측정 더미와 충돌이 배제되도록 배열된다.
더욱이, 측정 더미는 궤적이 측정 더미에 대해 수행될 때 반사율 스탠더드 및/또는 홀딩 장치와 충돌이 배제되도록, 아니면 반사율 스탠더드를 차팅할 때 궤적이 그러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포지셔닝 장치의 궤적의 계획이 특히 비용 효율적이고 절약적인 방식으로 차팅 작업에 앞서 감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잘못 계획된 궤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포지셔닝 장치, 번호판 라이트, 홀딩 장치 및/또는 반사율 스탠더드에 대한 손상이 회피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개선된 측광 차팅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그에 배열된 번호판을 갖는 차량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번호판 라이트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측광 차팅을 위한 측정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3a, 3b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번호판 라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포지셔닝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4a, 4b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기록된 반사율 스탠더드의 휘도 밀도 이미지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합쳐진 전체 이미지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의 전체 이미지에서 이미지 영역의 배열의 개요도이다.
도 7은 그에 배열된 홀딩 베이스와 제거 가능한 홀딩 소켓을 갖는 홀딩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8, 9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조도 밀도 이미지의 트랜스퍼의 개요도이다.
도 10은 포지셔닝 장치 주변의 측정 더미와 고정 장치의 배열이다.
모든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져 있다.
도 1은 그에 배열된 번호판(Z')을 갖는 차량(F)을 나타낸다. 번호판(Z')은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분포되어 길이 방향(Z'.L)을 따라 번호판(Z') 위에 배열되는 두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다. 여기서, 위치(P1, P2)는 번호판(Z')에 대한 각자의 번호판 라이트(1)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한다.
번호판(1)은 반사 표면(Z'.1)에 반사된 번호판 라이트(1)로부터 빛이 약 10 m 내지 20 m의 거리에서 어둠 속에서 번호판(Z')을 판독하기 충분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어야 한다.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번호판(Z')에 의해 반사된 휘도 분포는 표준으로 특정된다. 이들 표준이 준수되는지 여부를 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이 종래기술로 공지되어 있는데, 측광기가 패턴 방식으로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Z) 위로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이동하고, 미리 정해진 측정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광 파라미터, 예컨대 휘도 밀도를 포착한다. 반사율 스탠더드(Z)는 번호판(Z')과 기하적으로 동일하지만, 그에 프린트되거나 엠보싱된 특징을 갖지 않는다. 측광 차팅에서 등방성을 개선하기 위해, 반사율 스탠더드(Z)는 번호판 라이트(1)의 반복 가능하고 대비 가능한 측정을 허용하기 위해 확산 및 스펙트럼적으로 중립적인 반사 표면(Z.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Z)의 측광 차팅을 위한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측정 장치는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2), 홀딩 장치(3), 카메라(4) 및 도 2에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제어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반사율 스탠더드(Z)는 홀딩 장치(3)에 배열되는데,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은 카메라(4)를 마주한다. 카메라(4)는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미리 정해진 측정 거리(L)에 배열되는데, 카메라(4)의 광축은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에 대략 직각으로, 그리고 대략 중앙을 가리킨다.
실시예에서, 카메라(4)는 광축이 85° 내지 95°의 각도로 반사 표면(Z.1)의 영역의 중앙을 중심으로 5 mm의 반경을 갖는 원 안에서 반사 표면(Z.1)에 이르도록 배열되고 정렬된다.
측정 거리(L)는 전체 반사 표면(Z.1)이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각으로 차팅되도록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측정 거리(L)는 반사율 스탠더드(Z)가 카메라(4)의 광축을 중심으로 최대 ±5°의 각도 내에 놓이도록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카메라(4)의 광축을 중심으로 더 큰 각도가 가능하다. 더욱이, 각도 의존적이며, 따라서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에서 위치로부터 의존적인 반사도를 컴퓨터 연산으로 정정함으로써 그 광축으로부터 카메라(4)에 의해 포착된 광선의 빔의 국부적으로 변하는 편차, 특히 이미지 마진을 향해 증가하는 것을 정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카메라(4)는 아래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공간에서 측광 측정의 분포를 특정하는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기록함으로써 측광 측정을 위해 구성되고 배열된다.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2)는 그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1)가 도 1에서 차량(F)의 두 번호판 라이트(1)의 배열로 나타난 바와 같이, 각자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고 거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2)는 로봇(2), 바람직하게는 5축 로봇이나 6축 로봇으로 구성된다.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다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로봇 암의 종단에서, 로봇(2)은 번호판 라이트(1)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2.1)는 그래버(2.1)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4), 로봇(2) 및 번호판 라이트(1)는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5)과 결합된다. 제어 유닛(5)은 예컨대 카메라(4), 로봇(2) 및 번호판 라이트(1)와 호환 가능한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인터페이스 및/또는 유니버설 인터페이스,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플러그인 카드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PC)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5)은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되고 선택적으로 처리된 데이터가 제어 유닛(5)으로 전송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Z)를 측광 차팅하는 방법이 도 3a, 3b, 4a, 4b를 참조하여 아래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어 유닛(5)은 로봇(2)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1)가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F)에 장착된 번호판 라이트(1)의 제1 위치(P1)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위치(즉 번호판 라이트(1)의 중앙의 3차원적 거리)와 정렬(즉 반사 표면(Z.1)에 대한 번호판 라이트(1)의 표면 법선의 각도 위치)을 만족하는 제1 위치(P1)로 이동하도록 로봇(2)을 제어한다.
제1 위치(P1)에 도달한 후, 번호판 라이트(1)는 제어 유닛(5)에 의해 스위칭 온 된다. 특정한, 미리 정해진 버닝인 시간 후, 카메라(4)에 의한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의 기록이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버닝인 시간은 버닝인 시간이 경과한 후, 번호판 라이트(1)의 빛이 연속적인 작동의 거동에 대응되는 안정적인 휘도 밀도 분포를 내도록 선택된다.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는 전체 반사율 스탠더드(Z)를 커버하는 측광 파라미터의 2차원적 분포, 예컨대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가로지르는 휘도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는 제1 위치(P1)에서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Z)를 비추는 것으로부터 야기된다.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를 기록한 후, 제어 유닛(5)은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F)에 장착된 번호판 라이트(1)의 제2 위치(P2)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위치와 정렬을 만족하는 제 2 위치(P2)로 번호판 라이트(1)의 이동을 트리거링한다.
이동 동안, 번호판 라이트(1)는 선택적으로 스위칭 오프 될 수 있으며, 이후 제2 위치(P2)에 도달한 후 적어도 미리 정해진 버닝인 시간 동안 다시 스위칭 온 된다.
다음으로, 카메라(4)에 의한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의 기록이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는 전체 반사율 스탠더드(Z)를 커버하는 측광 파라미터의 2차원적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는 제2 위치(P2)에서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Z)를 비추는 것으로부터 야기된다.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기본적으로 합동인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자의 위치(P1, P2)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반사 표면(Z.1)은 서로 다른 밝기 특성을 갖되 합동인 윤곽을 갖는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로 포착된다. 마찬가지로, 홀딩 장치(3)는 두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에서 합동으로 포착된다. 반면, 홀더(2.1)와 그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1)는 두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포착된다.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와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전체 이미지(B)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픽셀 단위로 합쳐진다.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표면(Z.1)이 기록되는 전체 이미지(B)의 영역만 관련된다. 전체 이미지(B)의 이 영역은 반사율 스탠더드가 제1 위치(P1)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와 제2 위치(P2)에 배열된 다른 것에 의해 동시에 비춰졌으면 야기하는 전체 반사율 스탠더드(Z)를 커버하는 2차원적 측광 분포를 나타낸다.
예컨대 픽셀 단위로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와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를 합치는 것에 의한 전체 이미지(B)의 결정은 스마트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체 이미지(B)의 결정은 개별적인 휘도 밀도 이미지(B1, B2)가 전송된 후 제어 유닛(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로봇(2)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1)는 도 3a, 3b에 더 상세하게 묘사되지 않은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판 라이트(1)는 반사율 스탠더드(Z)으로부터 측 방향 및/또는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위치 각각에 대해, 각자의 다른 휘도 밀도 이미지가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다.
모든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의 합계로부터, 전체 이미지(B)가 카메라(4)나 제어 유닛(5)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픽셀 단위로 합쳐진다. 합칠 때, 서로 다른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다르게 웨이팅(weighted)될 수 있다. 전체 이미(B)로 이들을 겹치기에 앞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레지스터링(즉 이들을 아핀 좌표 변형) 및/또는 필터링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필터링은 선형, 예컨대 로 패스 필터링 또는 스무딩 또는 비선형, 예컨대 메디안 필터링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전체 이미지(B)를 얻기 위해 겹치는 것에 앞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에 적용될 수 있는 많은 다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알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위치(P1), 제2 위치(P2),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다른 위치에 각자 배열되는 복수의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한 반사율 스탠더드(Z)의 빛으로부터 야기되는 측광 분포가 정해지는데, 위치(P1, P2)의 순서는 제어 유닛(5)에 의해 특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따라서 매우 쉬운 방식으로 다수의 배열 변경에 대해 측광 분포를 정하도록 허용하는데, 변하는 숫자의 번호판 라이트(1)가 제어 유닛(5)을 리프로그래밍하거나 파라미터화함으로써, 반사율 스탠더드(Z) 주변에서 본질적으로 임의의 위치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타입의 번호판 라이트(1)가 사용될 때, 전체적으로 다른 타입의 차량에 대해 반사율 스탠더드(Z)의 빛으로 발생하는 측광 분포가 측정 셋업을 변경함 없이 정해질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이미지 영역(T1-T12)이 전체 이미지(B)에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T1-T12)은 겹쳐지지 않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다만, 이미지 영역(T1-T2)이 겹쳐지는 가능한 배열도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이미지 영역(T1-T2)이 각자 중심과 반경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각자 전체 이미지(B)의 모든 픽셀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자의 중심을 중심으로 각자의 반경 내에 있으며, 모든 이미지 영역(T1-T12)의 반경은 같을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영역(T1-T2)의 가능한 배열의 개요도인데, 이들은 반사율 스탠더드(Z)의 서로 다른 기하적 신장에 맞춰지며, 반사율 스탠더드(Z)의 전체 이미지(B)의 그레이 스케일 값 분포가 각자의 이미지 영역(T1-T2)에 의해 대략 등거리로 샘플링되도록 표준이나 규정에 의해 특정될 수 있고, 이미지 영역(T1-T2)은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가로질러 대략 전체적으로 분포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든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합침으로써 정해져 있는 이미지 영역(T1-T12)의 그레이 스케일 값은 하나의 각자의 이미지 영역 평균으로 평균된다. 이들 이미지 영역 평균 각각은 따라서 각자의 이미지 영역(T1-T12)에 대한 평균 휘도 밀도로 할당된다.
이 실시예는 전체 이미지(B) 내에서 평면적, 2차원적 그레이 스케일 값 대신, 이미지 영역(T1-T12)에 각자 할당된 별개의 이미지 영역 평균의 사양이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가로질러 휘도 밀도 분포를 나타내기에 충분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번호판 라이트(1)의 다른 배열로부터 야기된 빛 및/또는 표준의 요건과 번호판 라이트(1)의 배열에 의한 반사율 스탠더드(Z)의 빛의 비교가 특히 쉬운 방식으로 가능하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실시예에서, 홀딩 장치(3)는 홀딩 소켓(3.2)에 형상 맞춤 상보적인 홀딩 베이스(3.1)를 포함한다. 홀딩 소켓(3.2)은 반사율 스탠더드(Z)의 표면(Z.1)에 반대되는 뒷면(Z.2)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홀딩 소켓(3.2)은 홀딩 베이스(3.1)에서 핀(3.4)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리세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 소켓(3.2)과 홀딩 베이스(3.1)는 특히 홀딩 소켓(3.2)이 여유 공간 없이 또는 거의 없이 홀딩 베이스(3.1)에 끼워질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바람직하게는 직각인 장착 위치에 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홀딩 소켓(3.2)이 마그넷(3.5)의 힘의 작용에 의해 홀딩 베이스(3.1)에서 장착 위치로 당겨져 고정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각자의 마그넷(3.5)이 홀딩 소켓(3.2)과 홀딩 베이스(3.1)에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반사율 스탠더드(Z)가 홀딩 장치(3)에서 매우 쉽게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기하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가 홀딩 장치(3)에서 제1 기하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를 당겨 내고 홀딩 장치(3)에 제2 기하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를 끼워 넣음으로써 특히 쉽고 빠르게 교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5)은 번호판 라이트(1)가 제2 기하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의 빛을 위해 제공되는 이들 위치(P1, P2)로 이동하도록, 예컨대 제2 기하에 대해 맞춰진 기존 제어 및 평가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리프로그래밍되거나 파라미터화된다.
다음으로, 전체 이미지(B)는 합침으로써 각자 각자의 위치(P1, P2) 각각에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로부터 정해지는데, 전체 이미지(B) 내에서 반사율 스탠더드(Z)의 신장과 위치는 반사율 스탠더드(Z)의 선택된 제2 기하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옵션으로, 선택된 제어 및 평가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다면, 전체 이미지(B)는 이미지 영역(T1-T12)의 미리 정해진 배열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 평균을 정함으로써 평가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측정 노력은 홀딩 장치(3)에서 반사율 스탠더드(Z)를 끼우고 빼고 제어 유닛(5)에서 각자 끼워진 반사율 스탠더드(Z)의 기하와 호환 가능한 제어 및 평가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반사율 스탠더드(Z) 및 복수의 번호판 라이트(1)가 홀딩 장치(3)에 대해 결합, 예컨대 스크루 결합되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측정 장치와 달리, 다른 치수를 갖는 다수의 반사율 스탠더드(Z)가 짧은 시간 안에 측광으로 쉽게 차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장치(2)는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보관 위치, 예컨대 선반으로부터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가져와, 홀딩 장치(3)에 끼우고, 측정이 수행된 후 빼서, 저장 위치로 다시 두도록 구성된 로봇(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율 스탠더드(Z)를 쉽게 집어 올리고 내려놓기 위해, 이러한 로봇(2)의 홀더(2.1)에 마그넷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트랜스폰더(3.6)가 홀딩 소켓(3.2)에 배열된다. 홀딩 베이스(3.1)에서, RFID 트랜스폰더(3.6)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RFID 판독 장치(3.7)가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할당 테이블이 제어 유닛(5)에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각자의 RFID 트랜스폰드(3.6)를 구비하는 홀딩 소켓(3.2)에 배열되는 반사율 스탠더드(Z)의 기하(즉 치수)가 각자의 RFID 트랜스폰더(3.6)에 할당된다.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갖는 홀딩 소켓(3.2)에 끼울 때, RFID 트랜스폰더(3.6)가 판독되며, 그 식별자가 제어 유닛(5)으로 전송된다. 할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들 이미지 영역(T1-T12)이 제어 유닛(5)에서 설정되는데, 휘도 밀도 이미지(B1, B2)가 할당된 반사율 스탠더드(Z)와 그 기하에 대해 적용 가능한 표준에 따라 평가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평가 프로그램의 수동 선택이나 파라미터화, 즉 평가될 이미지 영역(T1-T12)의 수동 지시 및/또는 체결된 반사율 스탠더드(Z)의 차팅을 위해 적용 가능한 표준의 수동 입력이 없어질 수 있으며, 측정 과정이 추가적으로 가속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입력의 위험, 즉 끼워진 반사율 스탠더드(Z)의 기하와 맞지 않는 부정확한 표준을 선택하는 위험이 줄어든다.
도 8은 도 4a,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의 확장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이 방법에 따르면, 전체 이미지(B)는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순서대로 측정하고 겹침으로써 정해진다. 전체 이미지(B)는 예로서 위치(P1, P2)에 배열된 두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생성된 휘도 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도 8의 실시예에서,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가 한(예컨대 제1) 위치(P1)에서만 기록된다.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는 제1 위치(P1)와 제 위치(P2)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ΔL)에 의해 길이 방향(Z'.L)을 따라 그레이 스케일 값을 시프팅함으로써 제2 위치(P2)로 컴퓨터 연산으로 트랜스퍼된다.
이 방식으로 시프팅된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는 전체 이미지(B)를 형성하기 위해 원래 측정 위치(제1 위치(P1))에서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와 겹쳐진다.
또한 제2 위치(P2)로 시프팅된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의 길이 방향 신장이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빛날 번호판(Z')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게 하기 위해,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개선되며 연장된 길이 방향 신장을 갖는 증대된 반사율 스탠더드(Z10)가 요구되는데, 증대된 반사율 스탠더드(Z10)는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의 포착 평면으로서 역할을 한다. 증대된 반사율 스탠더드(Z10)의 길이 방향 신장은 제1 위치(P1)에서부터 시작하여 왼쪽으로,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P1, P2)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ΔL)에 의해 연장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제2 위치(P2)에서 제2 휘도 밀도 이미지의 측정이 (그리고 잠재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위치에서 다른 휘도 밀도 이미지의 측정이) 없어질 수 있으며,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의 컴퓨터 연산 트랜스퍼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측정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8에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횡 빙향(Z'.Q)을 따라) 수직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복수의 휘도 밀도 이미지의 측정이 횡 방향(Z'.Q)을 따라 위치 사이의 수직 거리에 대응되게 연장된 증대된 반사율 스탠더드(Z10)로 매핑되는 단일의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를 측정하는 것으로 줄어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 및 수평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측정이 이 방식으로 단일의 위치(P1, P2)에서 측정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확장에 대해 단순화되는 측정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9의 실시예는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생성된 반사율 스탠더드(Z)나 번호판(Z')의 휘도 밀도 분포의 대칭을 활용한다.
제1 위치(P1)에서, 번호판 라이트(1)는 번호판 라이트(1)가 길이 방향(Z'.L)에 직각으로 빛을 내면 제1 대칭축(S1)에 거울 대칭인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를 생성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위치(P2)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는 제2 대칭축(S2)에 거울 대칭인 (도 9에 나타나지 않은)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를 생성한다.
다만, 이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2)는 제1 및 제2 위치(P1, P2) 사이의 연결선에서 직각인 이등분선을 따라 이어지는 제3 대칭축(S3)에서 미러링함으로써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로부터 컴퓨터 연산으로 도출된다.
제2 위치(P2)에서 측정은 따라서 (번호판 라이트(1)가 제1 위치(P1)에 배열되어 있을 때 측정되는)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가 제3 대칭축(S3)에서 미러링되고, 추후 제1 휘도 밀도 이미지(B1)와 그 미러링이 전체 이미지(B)를 형성하기 위해 겹쳐진다는 사실에 의해 세이빙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도시된 방법의 확장에 대한 이점은 번호판(Z')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반사율 스탠더드(Z)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방법의 이 실시예는 또한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서 번호판 라이트(1)의 빔의 방향이 길이 방향(Z'.L)에 직각이 아니라, 반사율 스탠더드(Z)에 직각으로 서 있으며 제3 대칭축(S3)을 관통하여 이어지는 대칭 평면(S)에 거울 대칭이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및 제2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각자의 대칭축(S1, S)에 대칭이 아니라, 제3 대칭축(S3)과 관련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임의의 대칭, 예컨대 횡 방향(Z'.Q)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 위치(P1, P2)가 측정을 세이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위치(P1, P2)의 배열에서 대칭의 활용과 도 8에 도시된 다른 위치로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B10)의 시프팅의 실시예를 조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0은 측정 더미(30)가 그 삽입된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갖는 홀딩 장치(3)와 외부 치수가 동일한 홀딩 장치(3)에 대응되게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측정 더미(30)는 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는 포지셔닝 장치(2)의 충돌의 경우, 포지셔닝 장치(2), 특히 그 홀더(2.1)와 그에 가이드된 번호판 라이트(1)가 무사히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측정 더미(30)는 접촉되었을 때 유연한 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정 더미(30)는 또한 번호판 라이트(1)나 포지셔닝 장치(2)를 손상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힘을 받았을 때 먼저 파손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 더미(30)의 동일한 치수로 인해, 홀딩 장치(3)에서 반사율 스탠더드(30)의 차팅을 위해 제공된 궤적은 측정 더미(30)에서 먼저 테스트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측정 더미(30)는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갖는 홀딩 장치(3)가 측정 더미(30)로 트랜스퍼링된 궤적이 지나간 영역 밖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측정 더미(30)는 포지셔닝 장치(2)의 수직 회전축(2.V)을 중심으로 홀딩 장치(3)에 대해 회전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포지셔닝 장치(2)는 홀딩 위치(3)를 마주하는 노멀 측정 위치로부터 확인 위치를 마주하는 확인 위치(validation position)로 수직 회전축(2.V)을 중심으로 각자의 각도 오프셋에 의해 먼저 회전한다. 다음으로, 반사율 스탠더드(Z)의 차팅을 위해 계획된 궤적이 동일하게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딩 장치(3)와 측정 더미(30) 사이의 각도 오프셋은 90° 또는 180°이다. 마찬가지로, 측정 더미(30)의 다른 배열이 가능한데, 확인 위치로부터 가로지르는 궤적이 충돌 없이 홀딩 장치(3)로 이어지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따르면, 측정에 앞서 포지셔닝 장치(2)의 궤적의 계획에서 에러를 감지하고 포지셔닝 장치(2), 번호판 라이트(1), 홀딩 장치(3) 및/또는 반사율 스탠더드(Z)에서 잘못 계획된 궤적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을 회피하는 것이 특히 비용 효율적이고 절약적인 방식으로 가능하다.
1: 번호판 라이트(license plate light)
2: 포지셔닝 장치, 로봇(positioning device, robot)
2.1: 홀더, 그래버(holder, grabber)
3: 홀딩 장치(holding device)
3.1: 홀딩 베이스(holding base)
3.2: 홀딩 소켓(holding socket)
3.3: 리세스(recess)
3.4: 핀(pin)
3.5: 마그넷(magnet)
3.6: RFID 트랜스폰더(RFID transponder)
3.7: RFID 판독 장치(RFID reading device)
4: 카메라(camera)
5: 제어 유닛(control unit)
30: 측정 더미(measurement dummy)
B1, B2:제1, 제2 휘도 밀도 이미지(first, second luminance density image)
B10: 증대된 휘도 밀도 이미지(enhanced luminance density image)
B: 전체 이미지(overall image)
F: 차량(vehicle)
L: 측정 거리(measurement distance)
ΔL: 길이 방향 거리(longitudinal distance)
P1, P2: 제1, 제2 위치(first, second position)
S: 대칭 평면(symmetry plane)
S1, S2, S3: 제1, 제2, 제3 대칭축(first, second, third symmetry axis)
T1-T12: 이미지 영역(image area)
Z': 번호판(license plate)
Z'.1: 표면(surface)
Z'.L: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Z'.Q: 횡 방향(transverse direction)
Z: 반사 스탠더드(reflectance standard)
Z.1: 표면(surface)
Z.2: 뒷먼(reverse)
Z10: 증대된 반사 스탠더드(enhanced reflectance standard)

Claims (15)

  1. 번호판 라이트(1)에 의해 비춰진 반사율 스탠더드(Z)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으로서,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가 적어도 홀딩 장치(3)에 의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을 커버하도록, 제어 유닛(5)에 의해 해제 가능한 카메라(4)가 반사율 스탠더드(Z)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홀딩 장치(3)에 대해 배열되고 정렬되며,
    번호판 라이트(1)는 제어 유닛(5)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포지셔닝 장치(2)에 배열되고,
    반사율 스탠더드(Z)는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이 카메라(4)에 의해 포착되도록 홀딩 장치(3)에 배열되며,
    포지셔닝 장치(2)는 그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가 홀딩 장치(3)에 배열되어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P1, P2), 선택적으로 복수의 위치(P1, P2)를 순서대로 가로지르도록 제어 유닛(5)에 의해 제어되고,
    각각의 위치(P1, P2)에서, 카메라(4)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의 기록은 번호판 라이트(1)가 온 됨과 함께 제어 유닛(5)에 의해 트리거링되며,
    전체 이미지(B)가 적어도 기록된 밀도 분포 이미지(B1, B2)의 겹침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율 스탠더드(Z)는 반사 표면(Z.1)에서 각각의 지점이 카메라(4)의 광축에 대해, 최대 40°의 각도 아래에서 나타나도록 카메라(4)에 대해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사영 교정(projective rectification)에 의해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의 기하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번호판 라이트(1)의 적어도 제2 또는 다른 위치(P2)에 대해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가 번호판 라이트(1)의 제1 위치(P1)에 대해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10)로부터 계산되며, 전체 이미지(B)는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 B10)와 적어도 하나의 계산된 휘도 밀도 이미지를 겹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는 전체 이미지(B)를 형성하기 위해 겹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해 필터링 및/또는 레지스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이미지(B)는 픽셀 단위로,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필터링 및/또는 레지스터링되는 기록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합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의 기록은 번호판 라이트(1)가 미리 정해진 버닝인 시간을 보낸 후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반사율 스탠더드(Z)의 반사 표면(Z.1)을 커버하는 전체 이미지(B)의 부분적인 영역에서, 이미지 영역(T1-T12)이 정의되며, 이미지 영역의 평균 값이 각각의 이미지 영역(T1-T12)에 대해 정해지고, 이미지 영역의 평균 값은 각자의 이미지 영역(T1-T12)의 모든 픽셀 값의 가중합(weighted sum)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3)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가 식별되며, 그에 기초하여, 반사율 스탠더드(Z)에 할당된 이미지 영역(T1-T12)의 배열이 각자 하나의 이미지 영역 평균 값의 결정을 위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반사율 스탠더드(Z)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트랜스폰더(3.6)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반사율 스탠더드(Z)는 전체 이미지(B)에서 및/또는 휘도 밀도 이미지(B1, B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미징된 반사율 스탠더드(Z)의 적어도 하나의 기하적 파라미터를 포착함으로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하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반사율 스탠더드(Z)의 타입을 할당함으로써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반사율 스탠더드(Z)의 차팅에 선행하는 확인 단계에서, 홀딩 장치(3)에 대해 그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를 갖는 포지셔닝 장치(2)의 궤적이 충돌 없이 측정 더미(30)에 대해 계획되고 수행되되, 궤적은 반사율 스탠더드(Z)를 차팅하기 위해 적절하며, 측정 더미(30)는 그에 배열된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갖는 홀딩 장치(3)에 대해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되고 궤적이 측정 더미(30)에 대해 수행될 때 홀딩 장치(3) 및/또는 반사율 스탠더드(Z)와 충돌이 배제되며 궤적이 홀딩 장치(3)에 대해 수행될 때 측정 더미(30)와 충돌이 배제되도록 배열되고,
    측정 더미(30)는 측정 더미(30)와 출돌의 경우 포지셔닝 장치(2) 및/또는 번호판 라이트(1)가 무사히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어 유닛(5),
    반사율 스탠더드(Z)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홀딩 장치(3),
    홀딩 장치(3)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를 기록하기 위해 구성된 카메라(4) 및
    번호판 라이트(1)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포지셔닝 장치(2)를 포함하며,
    제어 유닛(5)은 카메라(4) 및 포지셔닝 장치(2)와 결합되고, 번호판 라이트(1)를 스위칭 온 하며 카메라(4)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의 기록을 해제하기 위해, 홀딩 장치(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위치(P1, P2)로, 선택적으로 복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P1, P2)로 순서대로 포지셔닝 장치(2)에 의해 고정된 번호판 라이트(1)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5) 및/또는 카메라(4)는 카메라(4)에 의해 기록된 복수의 휘도 밀도 이미지(B1, B2)로부터 전체 이미지(B)를 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3)는 홀딩 베이스(3.1)와 홀딩 소켓(3.2)을 포함하며,
    홀딩 베이스(3.1)는 해제 가능한, 형상 맞춤 방식 및 여유 공간 없는 방식으로 홀딩 소켓(3.2)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홀딩 소켓(3.2)은 반사율 스탠더드(Z)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홀딩 장치(3)는 제어 유닛(5)과 결합되고 반사율 스탠더드(Z)나 홀딩 소켓(3.2)에 배열된 RFID 트랜스폰더(3.6)의 식별자를 판독하기 위해 그리고 제어 유닛(5)으로 이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RFID 판독 장치(3.7)를 포함하며,
    제어 유닛(5)은 전송된 식별자로부터 각자 한 이미지 영역 평균 값의 결정을 위해 이미지 영역(T1-T12)의 배열을 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그에 배열된 번호판 라이트(1)를 갖는 포지셔닝 장치(2)의 궤적이 측정 더미(30)와 충돌 없이 반사율 스탠더드(Z)를 차팅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도록, 그리고 궤적이 측정 더미(30)로 트랜스퍼되면, 이 궤적이 홀딩 장치(3) 및 그에 고정된 반사율 스탠더드(Z)와 충돌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그에 배열된 반사율 스탠더드(Z)를 갖는 홀딩 장치(3)에 대해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된 측정 더미(30)가 포지셔닝 장치(2)에 대해 배열되며,
    측정 더미(30)는 측정 더미(30)와 충돌의 경우 포지셔닝 장치(2) 및/또는 번호판 라이트(1)가 무사히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0064901A 2020-05-19 2021-05-20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17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6275.7 2020-05-19
DE102020206275.7A DE102020206275A1 (de) 2020-05-19 2020-05-1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hotometrischen Vermessung eines Kennzeichens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77A KR20210143677A (ko) 2021-11-29
KR102617153B1 true KR102617153B1 (ko) 2023-12-27

Family

ID=7580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901A KR102617153B1 (ko) 2020-05-19 2021-05-20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54439B2 (ko)
EP (1) EP3913337A1 (ko)
KR (1) KR102617153B1 (ko)
CN (1) CN113686430B (ko)
DE (1) DE102020206275A1 (ko)
MX (1) MX2021005752A (ko)
TW (1) TWI80486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895A (ja) * 2005-03-14 2006-09-21 Sharp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
JP2015143649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バンザイ 自動車の番号標等の照度又は光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190128774A1 (en) * 2017-10-27 2019-05-02 Harris Corporation Qtip - quantitative test interferometric pla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85387C (en) * 1995-09-29 2002-04-30 Ronald L. Panter Headlight aim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08025947A1 (de) 2008-05-30 2009-12-03 Hella Kgaa Hueck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Lichtabgabe eines Frontscheinwerfers eines Fahrzeugs
CN101799357B (zh) * 2009-11-19 2013-09-11 杭州远方光电信息股份有限公司 光源试验方法及其装置
CN101726406B (zh) 2009-12-22 2011-08-24 重庆建设摩托车股份有限公司 摩托车牌照灯配光性能测试用辅助装夹装置
CN202221368U (zh) * 2011-09-01 2012-05-16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机动车牌照灯配光性能测试装置
DE102013221415A1 (de) 2013-10-22 2015-04-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s Objekts
CN104249667B (zh) 2014-09-28 2016-08-24 延锋彼欧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汽车牌照组件
CN104502350B (zh) 2014-12-16 2017-01-25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机动车号牌序列标识鉴别装置及鉴定方法
CN117310741A (zh) 2017-01-03 2023-12-29 应诺维思科技有限公司 用于检测和分类物体的激光雷达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895A (ja) * 2005-03-14 2006-09-21 Sharp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
JP2015143649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バンザイ 自動車の番号標等の照度又は光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190128774A1 (en) * 2017-10-27 2019-05-02 Harris Corporation Qtip - quantitative test interferometric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4865B (zh) 2023-06-11
DE102020206275A1 (de) 2021-11-25
TW202144740A (zh) 2021-12-01
MX2021005752A (es) 2021-11-22
CN113686430B (zh) 2023-10-13
KR20210143677A (ko) 2021-11-29
US11754439B2 (en) 2023-09-12
US20210364428A1 (en) 2021-11-25
EP3913337A1 (de) 2021-11-24
CN113686430A (zh)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285B2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05783784B (zh) 检查装置及检查装置的控制方法
TWI440847B (zh) 檢測方法
CA2278332C (en) Optoelectronic system using spatiochromatic triangulation
US20180080755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asuring system for operating a triangulation laser scanner to identify properties of a surface of a workpiece to be measured
EP3109826A2 (en) Using 3d vision for automated industrial inspection
CN107339939B (zh) 光学度量中的测量对象的边缘确定的方法和设备
US11158039B2 (en) Using 3D vision for automated industrial inspection
JP6519265B2 (ja) 画像処理方法
US10957003B2 (en) Imaging apparatus, production system, imag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444162B2 (en) Method of testing an objec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11967110B2 (en) Assembly and measurement of an assembly for calibrating a camera
KR100333238B1 (ko) 반도체기판의제어방법및장치
KR102632930B1 (ko) 방사원 및 광원의 광 방사선 특성의 측광 특성화 방법
KR102617153B1 (ko) 차량용 번호판의 측광 차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02812B1 (ko) 물품의 외관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외관 검사방법
CN110728713B (zh) 测试方法及测试系统
CN112833812A (zh) 用于检验样品的测量仪器和用于确定样品高度图的方法
US11037314B1 (en) Method for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an aeronautical part and system thereof
JP2000018919A (ja) 撮像装置,光学式測定装置および光学式検査装置
JP2016080517A (ja) 表面検査装置
KR20150022359A (ko) 표면 굴곡을 가진 디펙을 검사하는 장치
JP2996063B2 (ja) 塗装面鮮映性自動検査装置
Zollner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geometrical distortion of off-the-shelf wide-angle cameras
JP6648684B2 (ja) ワークの反り量測定装置及び反り量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