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897B1 -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897B1
KR102616897B1 KR1020220060598A KR20220060598A KR102616897B1 KR 102616897 B1 KR102616897 B1 KR 102616897B1 KR 1020220060598 A KR1020220060598 A KR 1020220060598A KR 20220060598 A KR20220060598 A KR 20220060598A KR 102616897 B1 KR102616897 B1 KR 10261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grill
coil
dispos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1054A (ko
Inventor
고주헌
최상수
원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22006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97B1/ko
Publication of KR2023016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랙시블 기판;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외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코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는 제1 음향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그릴은, 상기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그릴 홀을 포함하는 그릴 본체; 및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터리와 스피커 유닛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하는 누설 억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for earphone}
실시예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하우징 내부에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스피커 유닛은 진동판과 마그넷과 코일과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이 자성을 띠고, 코일과 플레이트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코일이 움직이면서 진동판이 움직인다.
이러한 스피커 유닛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투웨이(2way) 형태)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투웨이 형태의 스피커 유닛에서 저역대 소리인 우퍼 음향의 출구 쪽에 스피커 유닛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배치되어 있다. .
그런데, 스피커 유닛의 구동 시에, 배터리의 외부로 유출되는 미세 누설 전류 또는 표면 누설 전류가 스피커 유닛에 포함된 자석의 자기력선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피커 유닛의 코일이 구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 노이즈는 2웨이 스피커의 우퍼 쪽 그릴에 형성된 홀 부위에 가장 많은 자기력선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2웨이 스피커의 우퍼 쪽 그릴에 불필요하게 형성된 누설 자기력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랙시블 기판;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외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코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는 제1 음향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그릴은, 상기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그릴 홀을 포함하는 그릴 본체; 및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터리와 스피커 유닛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하는 누설 억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설 억제부재는,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가 상기 그릴 홀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그릴 홀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그릴 홀의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코일;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코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는 제2 음향 그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마그넷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3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되, 원판 중공형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원판 중공형 코일의 주면이 상기 제2 진동판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웨이 스피커의 우퍼 쪽 그릴(제1 음향 그릴)의 그릴 홀 상부에 누설 억제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배터리와 스피커 유닛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함으로써, 음향 노이즈나 이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2웨이 스피커의 트위터 쪽 음향을 위한 마그넷 구조를 기둥형 자성체로 하고, 자계 형성을 위한 코일의 형상을 원판 중공형 코일로 구비함으로써, 원통형 마그넷에 비해서 자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진동판을 통해 출력되는 음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판 중공형 코일이 넓은 접촉면에 의해 진동판에 고정됨으로 인해, 진동판의 편진동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편진동에 따른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음향 그릴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제1 음향 그릴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은 제2 코일에 따라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코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제2 코일에 따른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와 종래 코일의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는 참조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0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제1 음향 그릴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어폰은 프론트 케이스(10), 리어 케이스(20), 배터리 하우징(30), 배터리(40),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을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10)와 리어 케이스(20)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10)와 리어 케이스(20)는 내부 공간에 배터리 하우징(30) 및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을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내부에 배터리(40)를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30)은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으로 구분되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는다. 배터리 하우징(30)은 프론트 케이스(10)의 내측과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은 리어 케이스(20)의 내측과 배터리 하우징(3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1 실시예(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상하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반경방향을 나타낸다. 상방향은 제1 진동판(114)을 통해 소리가 방출되는 방향이며, 하방향은 제2 진동판(126)을 통해 소리가 방출되는 방향이다. 이러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투웨이(2way) 형태)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은 프레임(102), 제1 마그넷(104), 제2 마그넷(106), 제1 플레이트(108), 제2 플레이트(110), 제1 코일(112), 제1 진동판(114), 플랙시블 기판(116), 제1 음향 그릴(118), 제3 마그넷(120), 제3 플레이트(122), 제2 코일(124), 제2 진동판(126) 및 제2 음향 그릴(128)을 포함한다.
프레임(102)은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하우징 부재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102)은 중앙이 개방된 통형 구조체일 수 있다.
제1 마그넷(104)은 중앙 부분이 중공된 링형 자성체이다. 제1 마그넷(104)의 외측은 프레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그넷(104)은 제1 코일(112)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한다.
제2 마그넷(106)의 경우에도 중앙 부분이 중공된 링형 자성체이다. 제2 마그넷(106)은 제1 마그넷(10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링형 자성체인 제2 마그넷(106)의 외측면은 링형 자성체인 제1 마그넷(104)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마그넷(104)과 제2 마그넷(106) 사이에 제1 코일(1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넷(106)도 제1 코일(112)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한다.
제1 플레이트(108)는 제1 마그넷(104)의 일면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1 플레이트(108)는 제1 마그넷(104)의 링형 자성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링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8)는 x축을 기준으로 제1 마그넷(104)의 상면과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110)는 제2 마그넷(106)의 일면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110)는 제2 마그넷(106)의 링형 자성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판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0)는 x축을 기준으로 제2 마그넷(106)의 상면과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108)와 제2 플레이트(110)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이 이동한다.
제1 코일(112)은 제1 마그넷(104) 및 제2 마그넷(106)과의 사이에서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코일이다. 이를 위해, 제1 코일(112)은 원통형 코일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원통형 코일의 일측 끝단은 제1 진동판(114)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코일(112)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코일(112)은 y축(반경방향)으로 제1 마그넷(104)과 제2 마그넷(1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112)의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제1 마그넷(104)과 제2 마그넷(106)에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코일(112)은 반경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108)와 제2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112)의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108)와 제2 플레이트(110)에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코일(112)이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진동판(114)도 움직인다. 제1 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1 코일(112)이 자성을 띠게 되면, 제1 코일(112)의 자력 극성에 따라 제1 코일(112)이 움직이고, 제1 코일(112)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진동판(114)이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코일(112)의 극성이 제1 플레이트(108)와 극성이 같으면, 제1 코일(112)이 척력에 의해 x축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제1 코일(112)의 극성이 제1 플레이트(108)의 극성과 상이하면, 제1 코일(112)이 인력에 의해 x축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진동판(114)은 제1 코일(112)의 움직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킨다. 제1 진동판(114)은 고정링(114-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114-1)은 프레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진동판(114)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진동판(114)은 x축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한다.
플랙시블 기판(116)은 제1 코일(112)과 제2 코일(126)에 전기신호를 공급한다. 플랙시블 기판(116)은 제1 마그넷(10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랙시블 기판(116)의 중심 부분은 중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중공된 부분에는 제2 마그넷(106)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랙시블 기판(116)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음향 그릴(118)은 제1 진동판(114)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1 진동판(114)에서 발생되는 음향(소리)을 외부로 방출한다. 제1 음향 그릴(118)은 배터리(40)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118)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제1 음향 그릴(118)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음향 그릴(118)은 그릴 본체(118-1) 및 누설 억제부재(118-2)를 포함한다.
그릴 본체(118-1)는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판형 덮개이다. 판형 덮개는 원판형 구조체 또는 다각판형 구조체 등일 수 있다. 판형 덮개의 끝단 부분은 절곡되어 있는 엣지부(118-11)를 포함하며, 엣지부(118-11)는 프레임(102) 및/또는 고정링(114-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릴 본체(118-1)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그릴 홀(118-1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릴 홀(118-12)은 제1 진동판(114)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그릴 홀(118-12)의 형상은 y축을 기준으로 그릴 본체(118-1)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원호 형태로 복수개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릴 홀(118-12)은 음향 성능 튜닝을 위한 홀이지만, 이러한 홀을 통해 누설 자기력선이 방출되고, 이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누설 억제부재(118-2)가 필요하다.
누설 억제부재(118-2)는 그릴 본체(118-1)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 누설 억제부재(118-2)는 덮개부(118-21) 및 지지부(118-22)를 포함한다.
덮개부(118-21)는 그릴 홀(1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킨다. 덮개부(118-21)는 그릴 홀(118-12)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덮개부(118-21)는 그릴 홀(118-12)의 개구가 원호 형태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원호 형태의 덮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원호 형태인 그릴 홀(118-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118-21)는 그릴 홀(118-12)의 개구 경계면에서 연장된 수직 가상면이 덮개부(118-21)의 측부 끝단면과 일치하도록 그릴 홀(1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118-22)는 덮개부(118-21)가 그릴 홀(118-12)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킨다. 지지부(118-22)는 기둥형 지지부재일 수 있다. 하나의 덮개부(118-21)에 1개 이상의 기둥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기둥형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3개 이상의 기둥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릴 홀(118-12)를 통해 누설 자기력선이 방출된다고 하더라도 누설 억제부재(118-2)의 덮개부(118-21)에 의해 누설 자기력선이 분산 및 감쇄됨으로써, 음향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1 음향 그릴(118)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의 (a)는 종래 음향 그릴에 의한 누설 자기력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고, 도 7의 (b)는 본원 발명인 제1 음향 그릴(118)에 의한 누설 자기력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그릴 홀(118-12)의 중심 부분에서 측정되는 누설 자속값이 종래의 경우에는 19.86[mT]의 값을 가지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도 7 (b)에서 동일한 조건의 동일 지점에서 13.15[mT]에 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누설 억제부재(118-2)가 구비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이 누설 자기력선의 방출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누설 자기력선에 의한 음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마그넷(120)은 기둥형 자성체이다. 여기서, 기둥 형태는 원기둥일 수도 있고, 다각 기둥일 수도 있다. 제3 마그넷(120)은 제2 마그넷(10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폰의 반경방향(y)을 기준으로, 제3 마그넷(120)이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마그넷(104)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마그넷(106)이 제1 마그넷(104)과 제3 마그넷(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마그넷(120)의 외주면은 제2 마그넷(106)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104)은 제2 마그넷(106)과 함께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인데 비해, 제3 마그넷(120)은 제2 마그넷(106)과 함께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제3 마그넷(120)의 구조는 기둥형 자성체에 해당하므로, 원통형 구조에 비해서 자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므로, 제2 진동판(126)을 통해 출력되는 음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120)의 구조는 스피커 유닛에서 요구되는 요크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신속한 제조 및 제조 단가의 절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2)는 제2 마그넷(106)의 타면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3 플레이트(122)는 제2 마그넷(106)의 링형 자성체의 크기보다 큰 링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2)는 x축을 기준으로 제2 마그넷(106)의 하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124)은 제2 마그넷(106) 및 제3 마그넷(120)과의 사이에서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코일이다. 제2 코일(124)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124)은 반경방향(y)으로 제3 플레이트(1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124)은 원판 중공형 코일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원판 중공형 코일의 일면은 제2 진동판(126)에 고정된다. 제2 코일(124)은 원판 중공형 코일의 주면이 제2 진동판(126)과 넓은 접촉면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제2 코일(124)이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제2 진동판(126)도 움직인다. 즉, 제2 코일(124)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2 코일(124)이 자성을 띠게 되면, 제2 코일(124)의 자력 극성에 따라 제2 코일(124)이 움직이고, 제2 코일(124)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진동판(126)이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코일(124)의 극성이 제2 플레이트(110) 및 제3 플레이트(122)와 극성이 같으면, 척력에 의해 제2 코일(124)이 밀려 이동한다. 반면에, 제2 코일(124)의 극성이 제2 플레이트(110) 및 제3 플레이트(122)의 극성과 상이하면, 인력에 의해 제2 코일(124)이 당겨져 이동한다.
도 8은 제2 코일(124)에 따라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코일(124)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제2 코일(124)에 따른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와 종래 코일의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는 참조도이다.
도 9의 (a)는 종래 코일에 따른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에 해당하는 것이고, 도 9의 (b)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2 코일(124)에 따른 자력 시뮬레이션 결과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2 코일(124)는 원판 중공형 코일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일반적인 원통형 코일 구조에 비해서 자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므로, 제2 코일(124)을 통한 자력 시뮬레이션 값이 종래의 코일의 자력(예를 들어, 1.58[mN]) 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자력값(예를 들어, 2.28[mN])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판 중공형 코일에 해당하는 제2 코일(124)은 제2 진동판(126)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면이 제1 코일(112)과 제1 진동판(114) 사이의 접촉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에 의해 접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일(124)은 제2 진동판(126)과 접촉하는 면의 단면 거리가 0.5[mm] 이상일 수 있다.
원판 중공형 코일에 해당하는 제2 코일(124)이 넓은 접촉면에 의해 제2 진동판(126)에 고정됨으로 인해, 제2 진동판(126)의 편진동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즉, 기존 스피커 유닛의 경우에, 코일이 자계 갭 내에서 상하 운동을 하므로 편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음질 수준이 저하된다. 하지만, 본원 발명의 원판 중공형 코일인 제2 코일(124)은 자계 갭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진동판과 부착되는 부분이 넓어 편진동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편진동에 따른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진동판(126)은 제2 코일(124)의 움직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한다. 제2 진동판(126)은 제3 플레이트(12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진동판(126)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진동판(126)은 x축의 하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한다.
제2 음향 그릴(128)은 제2 진동판(126)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2 진동판(126)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한다. 제2 음향 그릴(128)은 제2 진동판(126)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그릴 홀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그릴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 구조일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2 실시예(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200)의 측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200)은 프레임(202), 제1 마그넷(204), 제2 마그넷(206), 제1 플레이트(208), 제2 플레이트(210), 제1 코일(212), 제1 진동판(214), 플랙시블 기판(216), 제1 음향 그릴(218), 제3 마그넷(220), 제3 플레이트(222), 제2 코일(224), 제2 진동판(226) 및 제2 음향 그릴(228)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200)을 구성하는 프레임(202), 제1 마그넷(204), 제2 마그넷(206), 제1 플레이트(208), 제2 플레이트(210), 제1 코일(212), 제1 진동판(214), 플랙시블 기판(216), 제3 마그넷(220), 제3 플레이트(222), 제2 코일(224), 제2 진동판(226) 및 제2 음향 그릴(228)은 각각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을 구성하는 프레임(102), 제1 마그넷(104), 제2 마그넷(106), 제1 플레이트(108), 제2 플레이트(110), 제1 코일(112), 제1 진동판(114), 플랙시블 기판(116), 제3 마그넷(120), 제3 플레이트(122), 제2 코일(124), 제2 진동판(126) 및 제2 음향 그릴(128)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과 차이가 있는 제2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의 제1 음향 그릴(218)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음향 그릴(218)은 제1 진동판(214)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1 진동판(214)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한다. 제1 음향 그릴(218)은 배터리(40)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218)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1 음향 그릴(218)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음향 그릴(218)은 그릴 본체(218-1) 및 누설 억제부재(218-2)를 포함한다.
그릴 본체(218-1)는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판형 덮개이다. 판형 덮개는 원판형 구조체 또는 다각판형 구조체 등일 수 있다. 판형 덮개의 끝단 부분은 절곡되어 있는 엣지부(218-11)를 포함하며, 엣지부(218-11)는 프레임(202) 및/또는 고정링(214-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릴 본체(218-1)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그릴 홀(218-1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릴 홀(218-12)은 제1 진동판(214)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그릴 홀(218-12)은 그릴 본체(218-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 홀(218-12)의 형상은 하나의 원형 홀 또는 각형 홀일 수 있다.
누설 억제부재(218-2)는 그릴 본체(218-1)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 누설 억제부재(218-2)는 덮개부(218-21) 및 지지부(218-22)를 포함한다.
덮개부(218-21)는 그릴 홀(2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킨다. 덮개부(218-21)는 그릴 홀(218-12)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덮개부(218-21)는 그릴 홀(218-12)의 개구가 원형 홀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원형 덮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원형 홀인 그릴 홀(218-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 덮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218-21)는 그릴 홀(218-12)의 개구 경계면에서 연장된 수직 가상면이 덮개부(218-21)의 측부 끝단면과 일치하도록 그릴 홀(2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218-22)는 덮개부(218-21)가 그릴 홀(218-12)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킨다. 지지부(218-22)는 판형 지지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218-2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판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릴 홀(218-12)를 통해 누설 자기력선이 방출된다고 하더라도 누설 억제부재(218-2)의 덮개부(218-21)에 의해 누설 자기력선이 분산 및 감쇄됨으로써, 음향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4는 제1 음향 그릴(218)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4는 제1 음향 그릴(218)에 의한 누설 자기력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그릴 홀(118-12)의 중심 부분에서 측정되는 누설 자속값은 19.86[mT]의 값을 가지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도 14에서 동일한 조건의 동일 지점에서 3.46[mT]에 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누설 억제부재(218-2)가 구비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200)이 누설 자기력선의 방출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누설 자기력선에 의한 음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3 실시예(3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300)의 측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300)은 프레임(302), 제1 마그넷(304), 제2 마그넷(306), 제1 플레이트(308), 제2 플레이트(310), 제1 코일(312), 제1 진동판(314), 플랙시블 기판(316), 제1 음향 그릴(318), 제3 마그넷(320), 제3 플레이트(322), 제2 코일(324), 제2 진동판(326) 및 제2 음향 그릴(328)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300)을 구성하는 프레임(302), 제1 마그넷(304), 제2 마그넷(306), 제1 플레이트(308), 제2 플레이트(310), 제1 코일(312), 제1 진동판(314), 플랙시블 기판(316), 제3 마그넷(320), 제3 플레이트(322), 제2 코일(324), 제2 진동판(326) 및 제2 음향 그릴(328)은 각각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을 구성하는 프레임(102), 제1 마그넷(104), 제2 마그넷(106), 제1 플레이트(108), 제2 플레이트(110), 제1 코일(112), 제1 진동판(114), 플랙시블 기판(116), 제3 마그넷(120), 제3 플레이트(122), 제2 코일(124), 제2 진동판(126) 및 제2 음향 그릴(128)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과 차이가 있는 제3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300)의 제1 음향 그릴(318)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음향 그릴(318)은 제1 진동판(314)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1 진동판(314)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한다. 제1 음향 그릴(318)은 배터리(40)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318)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1 음향 그릴(318)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음향 그릴(318)은 그릴 본체(318-1) 및 누설 억제부재(318-2)를 포함한다.
그릴 본체(318-1)는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판형 덮개이다. 판형 덮개는 원판형 구조체 또는 다각판형 구조체 등일 수 있다. 판형 덮개의 끝단 부분은 절곡되어 있는 엣지부(318-11)를 포함하며, 엣지부(318-11)는 프레임(302) 및/또는 고정링(314-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릴 본체(318-1)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그릴 홀(318-1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릴 홀(318-12)은 제1 진동판(314)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그릴 홀(318-12)은 그릴 본체(318-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 홀(318-12)의 형상은 하나의 원형 홀 또는 각형 홀일 수 있다.
누설 억제부재(318-2)는 그릴 본체(318-1)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 누설 억제부재(318-2)는 덮개부(318-21) 및 지지부(318-22)를 포함한다.
덮개부(318-21)는 그릴 홀(3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킨다. 덮개부(318-21)는 그릴 홀(318-12)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되, 그릴 홀(318-12)의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형 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318-21)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그릴 홀(318-12)의 상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318-21)는 그릴 홀(318-12)의 개구가 원형 홀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원형 덮개 구조를 가지되, 그릴 홀(318-12)의 크기보다 큰 원형 덮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318-21)의 측부 끝단면은 그릴 홀(318-12)의 개구 경계면에서 연장된 수직 가상면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그릴 홀(3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318-22)는 덮개부(318-21)가 그릴 홀(318-12)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킨다. 지지부(318-22)는 판형 지지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318-2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판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릴 홀(318-12)를 통해 누설 자기력선이 방출된다고 하더라도 누설 억제부재(318-2)의 덮개부(318-21)에 의해 누설 자기력선이 분산 및 감쇄됨으로써, 음향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9는 제1 음향 그릴(318)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9는 제1 음향 그릴(318)에 의한 누설 자기력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그릴 홀(118-12)의 중심 부분에서 측정되는 누설 자속값은 19.86[mT]의 값을 가지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도 19에서 동일한 조건의 동일 지점에서 4.52[mT]에 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누설 억제부재(318-2)가 구비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300)이 누설 자기력선의 방출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누설 자기력선에 의한 음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도 1에서 도시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의 제4 실시예(4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D-D를 기준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400)의 측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400)은 프레임(402), 제1 마그넷(404), 제2 마그넷(406), 제1 플레이트(408), 제2 플레이트(410), 제1 코일(412), 제1 진동판(414), 플랙시블 기판(416), 제1 음향 그릴(418), 제3 마그넷(420), 제3 플레이트(422), 제2 코일(424), 제2 진동판(426) 및 제2 음향 그릴(428)을 포함한다.
제4 실시예의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400)을 구성하는 프레임(402), 제1 마그넷(404), 제2 마그넷(406), 제1 플레이트(408), 제2 플레이트(410), 제1 코일(412), 제1 진동판(414), 플랙시블 기판(416), 제3 마그넷(420), 제3 플레이트(422), 제2 코일(424), 제2 진동판(426) 및 제2 음향 그릴(428)은 각각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을 구성하는 프레임(102), 제1 마그넷(104), 제2 마그넷(106), 제1 플레이트(108), 제2 플레이트(110), 제1 코일(112), 제1 진동판(114), 플랙시블 기판(116), 제3 마그넷(120), 제3 플레이트(122), 제2 코일(124), 제2 진동판(126) 및 제2 음향 그릴(128)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100)과 차이가 있는 제4 실시예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400)의 제1 음향 그릴(418)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음향 그릴(418)은 제1 진동판(414)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1 진동판(414)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한다. 제1 음향 그릴(418)은 배터리(40)와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50)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도 22는 도 21에서 도시한 제1 음향 그릴(418)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3은 제1 음향 그릴(418)에 의한 음향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음향 그릴(418)은 그릴 본체(418-1) 및 누설 억제부재(418-2)를 포함한다.
그릴 본체(418-1)는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판형 덮개이다. 판형 덮개는 원판형 구조체 또는 다각판형 구조체 등일 수 있다. 판형 덮개의 끝단 부분은 절곡되어 있는 엣지부(418-11)를 포함하며, 엣지부(418-11)는 프레임(402) 및/또는 고정링(414-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릴 본체(418-1)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그릴 홀(418-1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릴 홀(418-12)은 제1 진동판(414)에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그릴 홀(418-12)은 그릴 본체(418-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 홀(418-12)의 형상은 하나의 원형 홀 또는 각형 홀일 수 있다.
누설 억제부재(418-2)는 그릴 본체(418-1)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 누설 억제부재(418-2)는 덮개부(418-21) 및 지지부(418-22)를 포함한다.
덮개부(418-21)는 그릴 홀(4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킨다. 덮개부(418-21)는 그릴 홀(318-12)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되, 그릴 홀(418-12)의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형 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418-21)는 별도의 판형 부재로서 지지부(418-22)와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418-21)는 그릴 홀(418-12)의 개구가 원형 홀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원형 덮개 구조를 가지되, 그릴 홀(418-12)의 크기보다 큰 원형 덮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418-21)의 측부 끝단면은 그릴 홀(418-12)의 개구 경계면에서 연장된 수직 가상면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그릴 홀(418-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418-22)는 덮개부(418-21)가 그릴 홀(418-12)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킨다. 지지부(418-22)는 판형 지지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418-2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판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릴 홀(418-12)를 통해 누설 자기력선이 방출된다고 하더라도 누설 억제부재(418-2)의 덮개부(418-21)에 의해 누설 자기력선이 분산 및 감쇄됨으로써, 음향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4는 제1 음향 그릴(418)에 의해 억제되는 누설 자기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4는 제1 음향 그릴(418)에 의한 누설 자기력선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그릴 홀(118-12)의 중심 부분에서 측정되는 누설 자속값은 19.86[mT]의 값을 가지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도 24에서 동일한 조건의 동일 지점에서 4.51[mT]에 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누설 억제부재(418-2)가 구비된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400)이 누설 자기력선의 방출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누설 자기력선에 의한 음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102, 202, 302, 402: 프레임
104, 204, 304, 404: 제1 마그넷
106, 206, 306, 406: 제2 마그넷
108, 208, 308, 408: 제1 플레이트
110, 210, 310, 410: 제2 플레이트
112, 212, 312, 412: 제1 코일
114, 214, 314, 414: 제1 진동판
116, 216, 316, 416: 플랙시블 기판
118, 218, 318, 418: 제1 음향 그릴
120, 220, 320, 420: 제3 마그넷
122, 222, 322, 422: 제3 플레이트
124, 224, 324, 424: 제2 코일
126, 226, 326, 426: 제2 진동판
128, 228, 328, 428: 제2 음향 그릴

Claims (10)

  1. 내부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랙시블 기판;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외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코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는 제1 음향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그릴은,
    상기 음향의 방출 통로로 기능하는 그릴 홀을 포함하는 그릴 본체; 및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터리와 스피커 유닛 사이의 유도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력선을 억제하는 누설 억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억제부재는,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설 자기력선을 분산 및 감쇄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가 상기 그릴 홀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그릴 홀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그릴 홀의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그릴 홀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코일;
    상기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코일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코일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방출하는 제2 음향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3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되, 원판 중공형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원판 중공형 코일의 주면이 상기 제2 진동판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20220060598A 2022-05-18 2022-05-18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261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98A KR102616897B1 (ko) 2022-05-18 2022-05-18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98A KR102616897B1 (ko) 2022-05-18 2022-05-18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54A KR20230161054A (ko) 2023-11-27
KR102616897B1 true KR102616897B1 (ko) 2023-12-27

Family

ID=8896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98A KR102616897B1 (ko) 2022-05-18 2022-05-18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63B1 (ko) * 2013-02-07 2014-08-14 주식회사 이엠텍 슬림형 인클로져 스피커 모듈
KR102389509B1 (ko) * 2020-11-12 2022-04-26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63B1 (ko) * 2013-02-07 2014-08-14 주식회사 이엠텍 슬림형 인클로져 스피커 모듈
KR102389509B1 (ko) * 2020-11-12 2022-04-26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54A (ko)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4989B (zh) 混合扬声器
JP4181989B2 (ja) 直接放射と最適放射の音響性能を持つスピーカ
JP7161655B2 (ja) エアギャップの精度を向上させた高品質の電磁スピーカー
KR102389509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2432571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JP4690856B2 (ja) スピーカ用グリル、およびスピーカ装置
KR102616897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1863499B1 (ko) 요크와 별도의 프레임을 가지는 스피커
US11653133B2 (en) Speaker unit for earphone
KR102132707B1 (ko) 진동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박형 스피커
US20050115762A1 (en) Speaker Unit
KR102115379B1 (ko) 슬림 스피커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KR102296527B1 (ko) 에어 갭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고품질 전자기 스피커
KR102543007B1 (ko) 평판형 트위터 진동판을 적용한 투웨이 리시버
US20230217176A1 (en) Speaker
JP2023519881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ラウドスピーカー、マイクロフォン及び電気音響変換器を備える電子機器
KR102231884B1 (ko) 스피커
JP3787999B2 (ja) スピーカ
KR101946997B1 (ko) 스피커 시스템
JPH11215585A (ja) スピーカ装置
KR20230114033A (ko) 자계 쌍 구조의 fpcb 진동판 마이크로스피커
JP2005012694A (ja) 平面スピーカ
KR20230063537A (ko) 자기유도 금속 진동판을 구비하는 트위터 스피커
KR20230144194A (ko) 점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