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319B1 -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319B1
KR102616319B1 KR1020197035421A KR20197035421A KR102616319B1 KR 102616319 B1 KR102616319 B1 KR 102616319B1 KR 1020197035421 A KR1020197035421 A KR 1020197035421A KR 20197035421 A KR20197035421 A KR 20197035421A KR 102616319 B1 KR102616319 B1 KR 10261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nut
shaft
extendable shaft
extendable
han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849A (ko
Inventor
다르시 더블유. 그리프
체드 에스. 프람프톤
Original Assignee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596,266 external-priority patent/US11039876B2/en
Application filed by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61B2017/00991Telescop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구가 내부 도관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샤프트가 본체 외부로 원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샤프트를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로킹 메커니즘이 본체 내의 홈 및 로킹 너트를 포함하고, 로킹 너트는 로킹 너트를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홈을 통해 이동하는 핀을 갖는다. 로킹 메커니즘은 또한, 로킹 너트가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를 향해 휘어지고 샤프트에 압력/마찰을 인가하고, 로킹 너트가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로부터 압력/마찰을 해제/감소시키는 압축 플랜지를 포함한다. 압축 플랜지는 압축 플랜지가 샤프트를 향해 휘어지고 샤프트에 압력을 인가할 때 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7년 5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연장가능 샤프트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한 핸드-헬드 기구(Hand-held Instrument With Extendable Shaft Locking Mechanism)인 미국 특허 출원 제15/596,26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개시는 연장가능 샤프트(extendable shaft)를 구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하게는, 본 개시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기구에 그리고 그러한 기구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현대의 수술 기법은 전형적으로 조직을 절개하고 수술 시술의 수행 시에 직면하는 출혈을 응고시키기 위해 고주파(radio frequency, RF) 전력을 채용한다. 전기수술은 널리 사용되며, 절개 및 응고 둘 모두를 위한 단일 수술 기구의 사용을 포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단극 전기수술 시스템(monopolar electrosurgical system)은 핸드 피스(hand piece) 및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 외과 의사에 의해 수술 부위에서 환자에게 적용되는 전도성 전극 또는 팁(tip)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형태의 것과 같은 활성 전극(active electrode), 및 환자를 다시 발생기(generator)에 연결하는 복귀 전극(return electrode)을 갖는다.
전기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은, 조직을 절개 또는 응고시키는 수술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높은 전류 밀도를 가진 RF 전류를 생성하도록 환자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소형이다. 복귀 전극은 전기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에 제공된 동일한 RF 전류를 전달하며, 따라서 전기수술용 발생기로의 회귀 경로(path back)를 제공한다.
전기수술 기구가 절개 또는 응고에 사용될 때, 통상적으로 연기(smoke)가 생성된다. 외과 의사 또는 보조자는 흔히 수술 현장으로부터 연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개의 연기 배출 장치(smoke evacuation device)를 사용한다. 연기 배출 장치는 통상적으로 튜빙(tubing)을 통해 진공 장치에 연결되는 흡입봉(suction wand)을 포함한다. 외과 의사 또는 보조자는 흡입봉을 수술 부위에 가깝게 유지시키고, 연기는 흡입봉 내로 그리고 튜빙을 통해 흡인된다. 그러나, 전기수술 기구와 별개로 연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이상적이지 않다. 별개의 연기 배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수술 부위 부근에서 추가의 손 및 기구를 필요로 하며, 이는 수술 부위에 대한 외과 의사의 시야를 가리고 외과 의사가 이동하는 수술 부위 주위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합형 전기수술 기구 및 연기 배출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들 조합형 장치는 흔히 전기수술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그의 원위 단부 내에 전극 또는 팁을 수용할 수 있는 핸드 피스를 포함한다. 핸드 피스는 RF 전류를 전극 또는 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통해 발생기에 연결된다. 또한, 연기 배출 호스(smoke evacuation hose)가 연기를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흡인하기 위해 핸드 피스와 진공 사이에 연결된다.
일부 조합형 전기수술 기구 및 연기 배출 장치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포함한다. 전극 또는 팁은 샤프트의 원위 단부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샤프트는 장치의 도달 범위(reach)를 증가시키기 위해 핸드 피스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가능 샤프트는 또한 샤프트 및 핸드 피스를 통한 연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방 원위 단부 및 관통하는 도관(conduit)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능 샤프트를 구비한 일부 이전의 조합형 장치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다양한 연장된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특징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 및 특징부는 다양한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로킹 특징부가 느슨해지거나 로킹해제된 구성에 있을 때, 연장가능 샤프트는 핸드 피스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는 장치가 적절하게 기능하게 하기 위해 재조립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예컨대 수술 시술 중에, 장치를 재조립하여야 하는 것은 지연을 생성하고 환자에게 안전 위험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수술실 직원은 장치를 적절하게 재조립하는 방법을 알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재조립하려는 시도는 장치를 작동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청구되는 발명 요지는 전술된 것과 같은 환경에서만 작동하거나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배경은 단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분야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위의 그리고 다른 이점 및 특징을 추가로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설명이 첨부 도면에 예시된 그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이 본 발명의 단지 예시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따라서 그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추가로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전기수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연장가능 샤프트가 후퇴된 구성에 있는 도 1의 시스템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연장가능 샤프트가 연장된 구성에 있는 도 2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후퇴된 구성에 있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도시한, 도 2 및 도 3의 전기수술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연장된 구성에 있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의 전기수술 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로킹된 구성에 있는 로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 2 내지 도 5의 전기수술 기구의 원위 단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로킹해제된 구성에 있는 로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 2 내지 도 5의 전기수술 기구의 원위 단부를 예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로킹 너트(locking nut)가 분리된, 도 6 및 도 7의 로킹 메커니즘의 사시도.
도 10a는 로킹 너트의 내부를 도시한 로킹 메커니즘의 부분 단면도.
도 10b는 로킹 너트의 내부를 도시한 로킹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7 내지 도 10a의 로킹 메커니즘의 단면도.
도 12는 로킹된 위치에 있는 도 7 내지 도 10a의 로킹 메커니즘의 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메커니즘의 일부분의 부분 분해도.
도 14 및 도 1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너트의 사시도.
도 1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너트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로킹 너트의 단면도.
도 18은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는 도 16 및 도 17의 로킹 너트를 통합한 로킹 메커니즘의 단면도.
도 19는 로킹된 위치에 있는 도 16 및 도 17의 로킹 너트를 통합한 로킹 메커니즘의 단면도.
본 개시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기구에 그리고 기구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는 전기수술 기구와 같은 핸드-헬드(hand-held) 기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핸드 피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달리 핸드-헬드 기구로서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오히려, 기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 연장가능 샤프트, 및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기구에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팁이 연장가능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전류가 연장가능 샤프트를 통해 또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거쳐 전극 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는 그것을 통한 유체의 배출 또는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가능 샤프트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도관을 가질 수 있고, 도관을 통해 연기 또는 다른 유체가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배출될 수 있다. 도관은 또한 유체를 수술 부위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기의 배출 및 그러한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연기"에 대한 언급이 단지 간단함 및 편의성을 위한 것이며, 개시되고 청구된 실시예를 연기만의 배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오히려, 개시되고 청구된 실시예는 액체, 기체, 증기, 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유체를 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유체를 배출하기보다는,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가 유체를 원하는 위치, 예컨대 수술 부위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추가로, 예시된 실시예가 연기 배출 특징부 및 능력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가 연기 배출 특징부 또는 능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전기수술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신호 발생기(102), 전기수술 기구(104), 및 복귀 전극(106)을 포함한다. 발생기(102)는 일 실시예에서 RF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RF 파 발생기이다. 다용도 도관(utility conduit)(108)이 전기수술 기구(104)에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108)은 전기 에너지를 발생기(102)로부터 전기수술 기구(104)로 전달하는 케이블(110)을 포함한다. 예시된 다용도 도관(108)은 또한 포획된/수집된 연기 및/또는 유체를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전달하는 진공 호스(vacuum hose)(112)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110)은 진공 호스(112)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수술 기구(104)는 핸드 피스(114) 및 전극 팁(116)을 포함한다. 전기수술 기구(104)는 전기 에너지를 환자의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여 조직을 절개하고/하거나 표적 조직 내의 그리고/또는 표적 조직 부근의 혈관을 소작한다. 구체적으로, 전극 팁(116)과 밀착 접촉하거나 전극 팁에 근접한 환자의 세포 물질의 가열을 유발하기 위해, 전기 방전이 전극 팁(116)으로부터 환자로 전달된다. 가열은 전기수술 기구(104)가 전기수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복귀 전극(106)은, 회로를 완성하고 환자의 신체 내로 통과하는 에너지에 대한 파 발생기(102)로의 복귀 전기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118)에 의해 발생기(102)에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은 시스템(10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전기수술 기구(104)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전기수술 기구(104)의 핸드 피스(114)는 근위 단부(120) 및 원위 단부(122)를 갖는다. 연장가능 샤프트(124)가 선택적으로 원위 단부(122)로부터 연장가능하고 원위 단부 내로 후퇴가능하다(예컨대, 근위/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병진가능함). 도 2는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상당한 부분이 핸드 피스(114) 내에 배치되는 후퇴된 위치에 있는 연장가능 샤프트(124)를 예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일부분이 핸드 피스(114)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3은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상당한 부분이 핸드 피스(114)로부터 연장되거나 핸드 피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장된 위치에 있는 연장가능 샤프트(124)를 예시한다. 샤프트(124)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샤프트(124)와 핸드 피스(104)가 서로 연결되어 유지되도록, 샤프트(124)의 일부분이 핸드 피스(114) 내에 배치되어 유지된다.
예시되지 않지만,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의 다양한 중간 연장된 위치로 핸드 피스(11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중간 연장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124) 및 핸드 피스(114)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중간 연장된 위치로의 연장가능 샤프트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협동 특징부(예컨대, 리세스(recess), 돌출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는 별개의 위치가 아닐 수 있다. 오히려,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또한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채널 또는 도관(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도관(126)은 기구(104)를 통해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부위에서의 연기 또는 다른 유체가 도관(12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예컨대, 물, 식염수 등)가 도관(126)을 통해 표적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극 팁(116)은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전극 팁(116)의 일부분이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기수술 시술 중에 환자 조직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팁(116)은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전극 팁(116)이 샤프트(124)와 함께 이동하도록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 내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노즐(12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보다 많은 부분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적어도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를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하는 것은 외과 의사에게 기구(104)를 사용할 때의 증가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24)의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은 외과 의사가 기구(104)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외과 의사가 샤프트(124)의 반대측 상의 수술 영역의 부분을 보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드 피스(114)는 근위 단부(120)에 리셉터클(receptacle)(130)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핸드 피스의 상부 및/또는 측부 섹션 상에 그리고/또는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즉, 그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상이한 위치에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30)은 그것에 다용도 도관(108)(또는 그의 진공 호스(112))(도 1)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130)은 또한 그것을 통해 케이블(110)(도 1)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0)은 경사진 구성(angled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0)은 직선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0)은 고정된 방식으로 핸드 피스(114)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0)은 핸드 피스(114)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피봇식으로(pivotally)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핸드 피스(114)는 리셉터클(130) 및 다용도 도관(108)에 대해 회전하거나 피봇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리셉터클(130)의 특정 구성에 상관없이, 다용도 도관(108)(또는 그의 케이블(110) 또는 진공 호스(112))은 기구(104)에 소정의 능력 또는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구(104)에 연결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케이블(110)은 전기 에너지를 발생기(102)로부터 기구(104)로 전달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는 전기수술 시술 중에 기구(104)를 통해 전극 팁(1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공 호스(112)가 기구(104)에 연결될 때, 기구(104)는 연기/유체를 도관(126), 핸드 피스(114), 및 진공 호스(112)를 통해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구(104)의 작동은 핸드 피스(114) 상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13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기구를 통한 전력 전달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기구를 켜고 끄는 것, 상이한 작동 모드(절개, 응고, 절개-응고 조합)를 위해 기구를 조절하는 것, 진공을 활성화시키는 것 등과 같은 기구(104)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2)는 제어 신호를 기구(104)로부터 발생기(102) 및/또는 진공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기구(104)는 또한 로킹 메커니즘(134)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로킹 메커니즘(134)은 샤프트(124)를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메커니즘(134)은 또한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재위치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느슨해질 수 있다. 또한, 로킹 메커니즘(134)은 또한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완전히 제거될 수 없도록 샤프트(124)를 핸드 피스(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제, 기구(104)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 4에 주목한다. 도 4는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많은 부분이 핸드 피스(114)의 내부 챔버 또는 도관(136) 내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후퇴된 위치에 있는 연장가능 샤프트(124)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도관(136)은 연장가능 샤프트(124)가 내부 도관(136) 내에 끼워맞춰지고 내부 도관(136) 내에서 선택적으로 병진가능하도록 연장가능 샤프트(124)(예컨대, 적어도 핸드 피스(114)를 지나 원위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부분)를 둘러싸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관(136)은 샤프트(124) 내의 도관(126)을 통해 핸드 피스(114) 외부의 대기와 유체 연통하여, 도관(126)을 통한 내부 도관(136) 내로의 연기의 포획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04)는 내부 도관(136) 내에서의 연장가능 섹션(124)의 근위방향 병진을 제한하도록 위치되는 후방 정지부(back stop)(13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후방 정지부(138)는 연장가능 샤프트(124)가 완전히 후퇴될 때, 적어도 노즐(128) 및/또는 전극 팁(116)이 핸드 피스(114)의 원위 부분에 또는 그 부근에 있지만 핸드 피스(114)의 내부 내로 후퇴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후방 정지부(138)는 후방 정지부(138)를 지나가는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근위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130)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후방 정지부(138)는 가로대(crossbar), 벽, 리브(rib), 멈춤쇠(detent), 맞닿음부(abutment), 걸림부(catch), 브레이스(brace), 및/또는 샤프트(124)의 근위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다른 메커니즘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124)는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그 내부에 배치되는 콜릿(collet)(140)을 포함한다. 콜릿(140)은 그 내부에 전극 팁(116)의 일부분(예컨대, 샤프트 또는 섕크(shank))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전극 팁(116)이 콜릿(14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극 팁(116)의 일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4)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극 팁(116)이 환자 조직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예시된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콜릿(140) 및/또는 전극 팁(116)은 활주 전기 접속에 의해 핸드 피스(1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 피스(114)는 내부 도관(136)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전도체(14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활주 전도체(144)를 포함한다. 활주 전도체(144)는 전도체(142) 및 콜릿(140) 및/또는 전극 팁(116)과 전기 접촉한다.
전도체(142)는 케이블(110)(도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케이블(110)을 통해 기구(104)로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는 전도체(142)로 전달될 수 있다. 전도체(142)로 전달된 전기 에너지는 이어서 콜릿(140) 및/또는 전극 팁(116)으로 전달된다. 전도체들(142, 144) 사이의 전기 접속은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에도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활주 전도체(144)는 샤프트(124)와 함께 이동하고 전도체(142)를 따라 활주하여 그들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유지한다. 그 결과, 전기 에너지는 전도체들(142, 144) 사이의 연속적인 접속을 통해 케이블(110)로부터 전극 팁(1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활주 전도체(144)는 핸드 피스(114)에 대한 다른 전기 접속부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고, 전류를 전극 팁(116)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는 케이블(110)로부터 전도체(142)로 그리고 이어서 전도체(142)로부터 전기 전도성 샤프트(124)로 그리고 전극 팁(116)으로(직접 또는 콜릿(14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전기수술 시술 중에 연장가능 샤프트(124)로부터 환자 조직으로의 전류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비-전도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핸드 피스(114) 및 샤프트(124)(또는 콜릿(140) 또는 전극 팁(116))는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와 샤프트(124)(또는 콜릿(140) 또는 전극 팁(116)) 사이의 전기 접촉을 유지하면서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가요성 전기 리본(ribbon)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110)이 핸드 피스(114) 내로 연장되고 샤프트(124), 전도체(144), 콜릿(140), 또는 전극 팁(116)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근위-원위 축을 따라 측정되는) 길이가, 연장가능 샤프트가 그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병진할 수 있는 핸드 피스(114)와 거의 동일한(예컨대, 99%, 95%, 90%, 80%, 또는 75% 내의) 길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핸드 피스(114)의 길이의 약 0.75배 또는 0.5배, 또는 핸드 피스(114)의 길이보다 약 1.25, 1.5, 2, 또는 2.5배 더 긴 것과 같이, 보다 짧거나 보다 길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는 도관(126)을 포함한다. 샤프트(124)는 도관(126)이 도관(136) 및 다용도 도관(108)과(그리고/또는 그의 진공 호스(112)와) 유체 연통하도록 핸드 피스(114)의 내부 도관(13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연장가능 샤프트(124)는 또한 도관(126)과 연장가능 샤프트(124) 외부의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원위 단부 개구(14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팁(116)은 연장가능 샤프트(124)의 도관(126) 내로의 연기 포획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 공간을 남기는 방식으로 (예컨대, 콜릿(140) 또는 다른 메커니즘(접착제, 용접, 기계식 체결, 노치(notch), 슬롯(slot),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 또는 단일 피스의 일체형 형성을 통한 것)을 통해) 연장가능 샤프트(12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연장가능 샤프트(124)가 연장된 위치에 있는 기구(104)를 예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활주 전도체(144)는 전기 에너지가 전극 팁(116)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도체(142)와 전기 접촉하여 유지된다. 또한, 연기 또는 다른 유체는 샤프트(124) 및 핸드 피스(114) 내의 도관(126, 136)을 통해 그리고 다용도 도관(108)(또는 진공 호스(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제, 로킹 메커니즘(134)을 더욱 상세히 예시한 도 6 내지 도 10에 주목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로킹 메커니즘(134)은 샤프트(124)를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메커니즘(134)은 샤프트(124)를 후퇴된 위치로(도 2 및 도 4 참조), 연장된 위치로(도 3 및 도 5 참조),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로킹 메커니즘(134)은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선택적으로 로킹해제되거나, 맞물림해제되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도 6은 로킹된, 맞물린, 또는 조여진 구성에 있는 로킹 메커니즘(134)을 예시한다.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된, 맞물린, 또는 조여진 구성에 있을 때, 샤프트(124)는 핸드 피스(114)에 대해 제위치로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로킹 너트(148)가 (예컨대, 샤프트(124)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된, 맞물린, 또는 조여진 구성에 있다.
대조적으로, 도 7은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구성에 있는 로킹 메커니즘(134)을 예시한다.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구성에 있을 때, 샤프트(124)는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핸드 피스(11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로킹 너트(148)가 (예컨대, 샤프트(124)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구성에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로킹 메커니즘(134)의 다양한 도면을 예시한다. 특히, 도 8 및 도 9는 로킹 메커니즘(134)의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기 위해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기구(104)의 원위 단부를 예시한다. 유사하게, 도 10a 및 도 10b는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분리되고 단면으로 도시된 상태로 기구(104)의 원위 단부를 예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해제된(도 11) 그리고 로킹된(도 12) 구성에 있는 상태로 기구(104)의 원위 단부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너트(148)는 (예컨대, 샤프트(124)가 로킹 너트(148)를 통해 연장되도록)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 위로 활주할 수 있고, 핸드 피스(114)에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킹 너트(148)와 핸드 피스(114) 사이의 연결은 정합하는 핀(pin)과 홈(groove)에 의해 달성되고, 그의 양태가 도 8 내지 도 10b에 예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 너트(148)는 그의 내부 원주 둘레에 이격되어 있는, 핀(150)(도 9 및 도 10a)과 같은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핀(150)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핸드 피스(1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핀(150)에 대응하여, 핸드 피스(114)는 하나 이상의 홈(154)이 그의 외측 표면 내에 형성된 칼라(collar)(152)를 포함한다. 홈(154)은 칼라(152)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그리고 칼라(15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예컨대, 근위/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154)의 폭 및 깊이는 핀(150)의 각각 직경 및 길이에 대체로 대응한다. 도 10a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홈(154)은 3개의 연결된 부분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홈(154)은 진입 세그먼트(entry segment)(156), 중간 세그먼트(intermediate segment)(158), 및 말단 세그먼트(terminal segment)(160)를 포함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홈(154)은, 핸드 피스(114)와 별개이지만 핸드 피스에 부착되거나 부착가능한 구조체에 의해 한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진입 세그먼트(156)는 칼라(152)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진입 세그먼트(156)는 기구(104)의 근위/원위 축과 대체로 평행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입 세그먼트(156)는 칼라(152)를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칼라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진입 세그먼트(156)는 또한 보유 특징부(retention feature)(162)를 포함한다. 보유 특징부(162)는 홈(154)으로부터의 핀(150)의 제거를 제한하거나 방지하면서 핀(150)이 홈(154) 내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특징부(162)는 핀(150)이 홈(154) 내로 도입됨에 따라 핀(150)이 보유 특징부(162) 위로 활주하도록 허용하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표면의 반대편에서, 보유 특징부(162)는 핀(150)이 홈(154)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보유 벽(retention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158)는 진입 세그먼트(156)에 연결되고, 진입 세그먼트(156)로부터 근위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중간 세그먼트(158)는 칼라(152)를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칼라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아래에 언급되는 바와 같이, 중간 세그먼트(158)의 경사진 배향은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말단 세그먼트(160)는 중간 세그먼트(158)에 연결된다. 도 10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말단 세그먼트(1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원위방향으로 그리고 기구(104)의 근위/원위 축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말단 세그먼트(160)는 말단 세그먼트(160)와 중간 세그먼트(158)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어느 경우에서도, 보유 리지(retention ridge)(164)가 중간 세그먼트(158)와 말단 세그먼트(160) 사이에 형성된다. 보유 리지(164)는 핀(150)을 말단 세그먼트(160) 내에서 선택적으로 유지하여, 로킹 너트(148)가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로킹 너트(148)와 핸드 피스(114)의 맞물림은 각각의 핀(150)을 대응하는 홈(154) 내에 위치시키고 핀(150)이 홈(154)을 따라 또는 홈을 통해 이동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특정하게는, 로킹 너트(148)와 핸드 피스(114)는 각각의 핀(150)이 핸드 피스(114)의 대응하는 홈(150)의 진입 세그먼트(156) 내에 위치될 때까지 합쳐진다. 로킹 너트(148)는 이어서 핀(150)이 진입 세그먼트(156) 내의 보유 특징부(162) 위로 통과할 때까지 근위방향으로 전진된다. 로킹 너트(148)가 그와 같이 위치될 때(예컨대, 진입 세그먼트(156) 내의 핀(150)이 보유 특징부(162)의 근위에 있음), 로킹 메커니즘(1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구성에 있다.
(예컨대, 샤프트(124) 또는 칼라(152)를 중심으로 하는) 로킹 너트(148)의 회전이 이어서 개시된다. 기구(104)의 길이방향(근위/원위) 축에 대한 중간 세그먼트(158)의 각도를 이룬 배향(angular orientation)의 결과로서, 로킹 너트(148)의 회전은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로킹 너트(148)의 계속되는 회전은 핀(150)이 보유 리지(164)를 지나 말단 세그먼트(160) 내로 이동하게 한다. 핀(150)이 말단 세그먼트(160) 내에 위치되도록 로킹 너트(148)가 회전될 때, 로킹 메커니즘(1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된, 맞물린, 또는 조여진 위치에 있다.
로킹 메커니즘(134)을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위치로 되게 하기 위해, 로킹 너트(148)는 핀(150)이 보유 리지(164) 위로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핸드 피스(114)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된다. 로킹 너트(148)는 이어서 핀(150)이 중간 세그먼트(158)를 통해 진입 세그먼트(156)로 다시 통과하도록 회전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중간 세그먼트(158)의 각도를 이룬 구성은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보유 특징부(162)는 또한 핀(150)이 홈(154)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여, 로킹 너트(148)가 로킹해제된 위치로 이동될 때 로킹 너트(148)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킹 메커니즘(134) 및 그의 특징부의 특정 구성 및 배열이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b는 로킹 메커니즘(134)의 요소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구성 또는 배열의 요소를 포함하는 로킹 메커니즘(134A)을 예시한다. 특히, 맞물림 부재 또는 핀 및 홈의 위치가 서로 바뀐다. 따라서, 맞물림 부재 또는 핀이 로킹 너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대신에, 칼라(152A)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 또는 핀(150A)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홈이 칼라의 외부 표면 내에 형성되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홈(154A)이 로킹 너트(148A)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도 10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너트(148A)는 (예컨대, 샤프트(124)가 로킹 너트(148A)를 통해 연장되도록)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 위로 활주할 수 있고, 핸드 피스(114)에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킹 너트(148A)와 핸드 피스(114) 사이의 연결은 도 10a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즉, 핀(150A)은 홈(154A)을 통해 삽입되고 전진될 수 있다.
도 10a의 홈(154)과 대조적으로, 홈(154A)은 (i) 로킹 너트(148A)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입 세그먼트(156A), (ii) 진입 세그먼트(156A)에 연결되고 진입 세그먼트(156A)로부터 원위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세그먼트(158A), 및 (iii) 중간 세그먼트(158A)에 연결되는 말단 세그먼트(160A)를 포함한다. 도 10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말단 세그먼트(160A)의 적어도 일부분은 보유 리지(164A)가 중간 세그먼트(158A)와 말단 세그먼트(160A) 사이에 형성되도록 근위방향으로 그리고 기구(104)의 근위/원위 축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로킹 너트(148A)와 핸드 피스(114)의 맞물림은 각각의 핀(150A)을 대응하는 홈(154A) 내에 위치시키고 핀(150A)이 홈(154A)을 따라 또는 홈을 통해 이동하게 하거나 홈(154A)이 핀(150A) 위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특정하게는, 로킹 너트(148A)와 핸드 피스(114)는 각각의 핀(150A)이 로킹 너트(148A) 내의 대응하는 홈(150A)의 진입 세그먼트(156A) 내에 위치될 때까지 합쳐진다. 로킹 너트(148)는 이어서 핀(150)이 진입 세그먼트(156A) 내의 보유 특징부(162A) 위로 통과할 때까지 근위방향으로 전진된다. 로킹 너트(148A)가 그와 같이 위치될 때(예컨대, 진입 세그먼트(156A) 내의 핀(150A)이 보유 특징부(162A)의 원위에 있음), 로킹 메커니즘(134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구성에 있다.
(예컨대, 샤프트(124) 또는 칼라(152)를 중심으로 하는) 로킹 너트(148A)의 회전이 이어서 개시된다. 기구(104)의 길이방향(근위/원위) 축에 대한 중간 세그먼트(158A)의 각도를 이룬 배향의 결과로서, 로킹 너트(148A)의 회전은 로킹 너트(148A)가 핸드 피스(114)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로킹 너트(148A)의 계속되는 회전은 핀(150A)이 보유 리지(164A)를 지나 말단 세그먼트(160A) 내로 이동하게 한다. 핀(150A)이 말단 세그먼트(160A) 내에 위치되도록 로킹 너트(148A)가 회전될 때, 로킹 메커니즘(134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된, 맞물린, 또는 조여진 위치에 있다.
로킹 메커니즘(134A)을 로킹해제된, 맞물림해제된, 또는 느슨해진 위치로 되게 하기 위해, 로킹 너트(148A)는 핀(150A)이 보유 리지(164A) 위로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핸드 피스(114)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된다. 로킹 너트(148A)는 이어서 핀(150A)이 중간 세그먼트(158A)를 통해 진입 세그먼트(156A)로 다시 통과하도록 회전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중간 세그먼트(158A)의 각도를 이룬 구성은 로킹 너트(148A)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보유 특징부(162A)는 또한 핀(150A)이 홈(154A)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여, 로킹 너트(148A)가 로킹해제된 위치로 이동될 때 로킹 너트(148A)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로킹 너트가 로킹된 위치(도 6 및 도 12)와 로킹해제된 위치(도 7 및 도 11)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로킹 너트는 압축 플랜지(compression flange)(166)와 상호작용하여 샤프트(124)를 제위치로 고정시키거나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도 8 내지 도 10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플랜지(166)는 칼라(15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고, 샤프트(12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압축 플랜지(166)는 간극(gap)(168)이 인접한 플랜지들(166)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압축 플랜지들(166) 사이의 간극(168)은 로킹 너트가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로킹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압축 플랜지(166)가 샤프트(124)를 향해 내향으로 압축되거나 휘어지도록 허용한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킹 너트(148, 148A)는 테이퍼 형성된(tapered) 내부 표면(170)을 포함한다. 표면(170)은 표면(170)이 원위 단부에서보다 근위 단부에서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원위 방향으로 테이퍼 형성된다. 테이퍼 형성된 표면(170)은 압축 플랜지(166)와 상호작용하여 샤프트(124)를 제위치로 고정시키거나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킹 너트(148)가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예컨대, 핀(150)이 진입 세그먼트(156) 내에 또는 그 부근에 있도록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됨), 테이퍼 형성된 표면(170)의 경사진 구성은 압축 플랜지(166)가 샤프트(124)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도록 허용한다. 그 결과, 압축 플랜지(166)와 샤프트(124)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거나 제거되어, 샤프트(124)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대조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너트(148)가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때(예컨대, 핀(150)이 말단 세그먼트(160) 내에 또는 그 부근에 있도록 핸드 피스(114)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됨), 테이퍼 형성된 표면(170)은 압축 플랜지(166)와 상호작용하여 압축 플랜지(166)를 샤프트(124)를 향해 휘어지게 하거나 압축시킨다. 테이퍼 형성된 표면(170)은 샤프트(124)를 제위치로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압축 플랜지(166)를 샤프트(124)에 대항하여 휘어지게 하거나 압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124)는 원하는 위치(예컨대, 후퇴된, 중간 연장된, 또는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로킹 메커니즘(134)은 또한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24) 및 로킹 메커니즘(134)은 핸드 피스(114)에 대한 샤프트(124)의 원위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협동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124)는 샤프트(124)의 근위 단부에 인접한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정지부(172)(도 4 및 도 5)를 포함한다. 정지부(172)는 로킹 너트(148) 상의 견부(shoulder)(174)(도 8 내지 도 12)와 상호작용하여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로킹 메커니즘(134)이 로킹해제된 구성으로 이동되고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되면, 정지부(172)는 샤프트(124)가 핸드 피스(114)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기 전에 견부(174)와 맞물릴 것이다. 따라서, 정지부(172)와 견부(174) 사이의 상호작용은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직원이 핸드 피스(114)로부터의 샤프트(124)의 연장을 조절하려고 시도할 때 핸드 피스(114)로부터 샤프트(124)를 의도하지 않게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로킹 메커니즘(134b)을 예시한 도 13에 주목한다. 로킹 메커니즘(134b)은 많은 점에서 로킹 메커니즘(134)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고, 위에서 논의된 기구(106)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전기수술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메커니즘(134b)은 핸드 피스(114b)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칼라(152b)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로킹 너트(예컨대, 로킹 너트(148))를 칼라(152b)에 고정하기 위해, 홈(154)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하나 이상의 홈(154b)이 칼라(152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134b)과 로킹 메커니즘(134) 사이의 한 가지 차이는 압축 플랜지(166b)가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극(168b)에 의해 분리된) 압축 플랜지(166b)가 링(ring)(180)에 연결되거나 링과 일체로 형성된다. 링(180)은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의 원위 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연결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링(180)은 스냅-끼워맞춤(snap-fit) 연결을 통해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환형 홈(annular groove)(182)이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의 원위 단부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링(180)은 근위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멈춤쇠(184)를 포함한다. 링(180)은 멈춤쇠(들)(184)를 홈(182) 내로 스냅체결함으로써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180)은 전술된 견부(174)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180)은 (예컨대, 샤프트(124)와 유사한) 연장가능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b)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124)와 관련하여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연장가능 샤프트는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정지부(예컨대, 정지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는 링(180)과 상호작용하여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b)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로킹 메커니즘(134b)이 로킹해제된 구성으로 이동되고 연장가능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b)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되면, 정지부는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b)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기 전에 링(180)과 맞물릴 것이다. 따라서, 정지부와 링(180) 사이의 상호작용은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직원이 핸드 피스(114b)로부터의 샤프트의 연장을 조절하려고 시도할 때 핸드 피스(114b)로부터 샤프트를 의도하지 않게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180)은 핸드 피스(114b)의 내부 상에 형성된 트랙(track)(186)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거나 차단하도록 칼라(152b) 또는 핸드 피스(114b)에 결합될 수 있다. 트랙(186)은 연장가능 샤프트가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연장가능 샤프트 상의 정지부(예컨대, 정지부(172))가 그것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트랙(186)의 개방 단부는 정지부가 트랙(186)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연장가능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 내로 삽입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단 연장가능 샤프트가 핸드 피스(114b) 내로 삽입되고 링(18)이 그것에 연결되면, 링(180)은 연장가능 샤프트 상의 정지부가 트랙(186)의 단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랙(186) 내에 정지부를 보유하는 것은 또한 핸드 피스(114b) 내에서의 연장가능 샤프트의 바람직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로킹 너트(148b)를 예시한 도 14 및 도 15에 주목한다. 로킹 너트(148b)는 많은 점에서 로킹 너트(148)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고, 그것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너트(148b)는 핀(15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그의 내부 표면 상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너트(148b)는 또한 테이퍼 형성된 내부 표면(170)과 유사한 테이퍼 형성된 내부 표면(170A)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너트(148b)는 또한 견부(174)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견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특징부는 로킹 너트(148)에 관하여 위에 언급된 기능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킹 너트(148b)는 또한 그의 원위 단부 내에 복수의 슬롯(17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슬롯(176)은 로킹 너트(148b)의 원위 단부로부터 그의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슬롯(176)은 또한 로킹 너트(148b)의 두께를 통해 그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로킹 너트(148b)가 특정 치수의 3개의 슬롯(176)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로킹 너트는 1개의 슬롯, 2개의 슬롯, 또는 3개 초과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롯(176)의 치수는 슬롯마다 또는 실시예마다 다를 수 있다(예컨대, 상이한 로킹 너트는 상이한 치수를 가진 슬롯을 구비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슬롯은 .025 인치 내지 .75 인치, .05 인치 내지 .2 인치, 또는 약 .15 인치의 (로킹 너트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슬롯은 .02 인치 내지 .08 인치, .031 인치 내지 .062 인치, 또는 약 .045 인치의 (대체로 원주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로킹 너트(148b)의 원위 단부 내에 슬롯(들)(176)을 포함하는 것은 로킹 너트(148b)를 로킹해제된 위치와 로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킹 너트(148b)를 압축 플랜지(166, 166b)에 대해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롯(176)을 포함하는 것은 로킹 너트(148b)의 원위 부근의 내부 테이퍼 형성된 표면(170b)과 압축 플랜지(166, 166b)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로킹 너트(148B)를 압축 플랜지(166, 166b)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로킹 너트(148)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비교하여) 로킹 너트(148b)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평균 약 35%만큼 감소되었다.
슬롯(176)이 로킹 너트(148b)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지만, 슬롯(176)을 포함하는 것은 샤프트(124)를 원하는 위치(예컨대, 후퇴된, 연장된, 또는 중간 위치)로 유지시키는 로킹 메커니즘의 능력에 최소한으로만 영향을 준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로킹 너트가 로킹된 위치로 회전될 때, 로킹 너트는 압축 플랜지(166, 166b)와 상호작용하여 압축 플랜지(166, 166b)를 샤프트(124)와의 (추가의) 맞물림 상태로 휘어지게 하고, 그럼으로써 그들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샤프트(124)를 제위치로 고정시킨다. 로킹 너트에 의해 압축 플랜지에 인가되는 힘은 그것이 샤프트(124)가 제위치로 보유되게 하기 때문에 보유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킹 너트(148b) 내에 슬롯(들)(176)을 포함하는 것은 (로킹 너트(148)의 보유력과 비교하여) 보유력을 약 10%, 7%, 4%, 3.7%, 3%, 2%, 또는 임의의 전술한 값들 사이의 양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보유력의 그러한 감소는 샤프트(124)를 원하는 위치로 유지하는 로킹 메커니즘의 능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로킹 너트(148b)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은 샤프트(124)를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키기에 적절한 것보다 크다.
위에 비추어, 슬롯(들)(176)이 사용자의 경험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특히, 사용자는 샤프트(124)를 원하는 위치로 유지시키는 장치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로킹 너트(148b)를 (로킹 너트(148)와 비교하여) 훨씬 더 용이하게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제, 본 개시에 따른 로킹 메커니즘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 16 내지 도 18에 주목한다. 칼라(예컨대, 152, 152b) 또는 핸드 피스(114, 114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것에 연결되는 압축 플랜지(예컨대, 166, 166b)를 구비하기보다는, 예시된 실시예는 로킹 너트(148c)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로킹 너트에 연결되는 압축 플랜지(166c)를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은 로킹 너트(148c)의 단부 사시도 및 단면도를 예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플랜지(166c)는 로킹 너트(148c)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고 간극(168c)에 의해 분리된다.
로킹 너트(148c)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152c)/핸드 피스(114c)에 연결될 때, 압축 플랜지(166c)는 핸드 피스(114c)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압축 플랜지(116c)의 근위 단부는 연장가능 샤프트(124a)와 칼라(152c)/핸드 피스(114c)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칼라(152c)/핸드 피스(114c)의 원위 단부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로킹 너트(148c)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압축 플랜지는 칼라(152c)/핸드 피스(114c) 내로 보다 깊게 연장된다. 압축 플랜지(166c)가 칼라(152c)/핸드 피스(114c) 내로 보다 깊게 연장됨에 따라, 칼라(152c)/핸드 피스(114c)의 내부 표면은 압축 플랜지(166c)가 샤프트(124a)를 향해 휘어지게 한다. 압축 플랜지(166c)가 샤프트(124a)를 향해 휘어짐에 따라, 압축 플랜지(166c)와 샤프트(124a) 사이의 마찰은 샤프트(124a)를 제위치로 고정시키기에 충분하게 증가한다.
대조적으로, 로킹 너트(148c)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압축 플랜지는 칼라(152c)/핸드 피스(114c)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된다. 압축 플랜지(166c)가 칼라(152c)/핸드 피스(114c)로부터 후퇴됨에 따라, 칼라(152c)/핸드 피스(114c)의 내부 표면은 로킹 너트(148c)가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정도로 압축 플랜지(166c)가 샤프트(124a)를 향해 휘어지게 한다. 그 결과, 압축 플랜지(166c)와 샤프트(124a) 사이의 마찰은 샤프트(124a)가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감소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가 연기 배출 특징부를 가진 전기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는 그렇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는 넓게는 연장가능 샤프트를 포함하는, 핸드-헬드형이거나 그렇지 않은 임의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연장가능 샤프트는 기구의 도달 범위를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유체 배출 또는 전달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러한 기구는 치과 기구(예컨대, 드릴, 폴리싱 도구, 스케일러(scaler), 압축 공기 도구, 흡입 도구, 관주 도구, 운반체 검출 도구(carries detection tool), 워터 플로싱 도구(water flossing tool)(예컨대, 워터픽(waterpik))), 솔더링 도구(soldering tool)(예컨대, 가열식 도구, 연기 수집 도구, 솔더링-제거 도구(de-soldering tool)), 고속 그라인딩 및 폴리싱 도구(예컨대, 드레멜 도구(Dremel tool), 카빙 도구(carving tool), 매니큐어 도구(manicure tool), 치과용 랩 그라인더/폴리셔(dental lab grinder/polisher)), 레이저 치료 기구, 레이저 수술 기구, 광 프로브, 흡입 핸들(예컨대, 양카우어(Yankauer)), 블라스팅 도구(blasting tool)(예컨대, 샌드블라스트(sandblast), 그릿블라스트(gritblast)), 충격파 치료 도구, 초음파 치료 도구, 초음파 프로브 도구, 초음파 수술 도구, 접착제 도포 기구, 글루 건(glue gun), 공압 피펫(pneumatic pipette), 용접 도구, RF 주름 치료 장치, 파코(phaco) 장치, 전단기, 셰이버(shaver), 또는 면도기(razor) 장치, 마이크로 드릴 장치, 진공 장치, 소형 부품 취급 장치, 문신 바늘 핸들, 소형 토치 장치, 전기분해요법(electrology) 장치, 저속 그라인딩, 폴리싱 및 카빙 도구, 영구 화장 장치, 전기 프로브 장치, 강자성 수술 장치, 수술용 플라즈마 장치, 아르곤 빔(argon beam) 수술 장치, 수술용 레이저 장치, 수술용 흡입 기구(예컨대, 지방 흡입 캐뉼러(liposuction cannula)), 수술용 흡입 캐뉼러, 미세박피술 장치, 광섬유 카메라, 마이크로카메라 장치, pH 프로브 장치, 광섬유 및 LED 광원 장치, 하이드로서저리(hydrosurgery) 장치, 정형외과용 셰이버, 절단기, 버어(burr) 장치, 우드 버닝 도구(wood burning tool), 전기 스크루드라이버, 전자 패드 스타일러스(electronic pad styl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의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된다. 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은 그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기구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도관(interior conduit)을 갖는 본체로서, 상기 내부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내부 표면의 제1 부분의 길이를 따라 제1 단면 치수를 가지고, 상기 내부 표면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본체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까운 제2 단면 치수까지 증가하는 단면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2 단면 치수는 상기 제1 단면 치수보다 더 큰, 상기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도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 외부로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가능 샤프트(extendable shaft)로서,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도관의 내부 표면의 제1 단면 치수에 대응하는 외부 치수를 가지고, 상기 내부 표면의 증가하는 단면 치수는 상기 내부 도관의 부분과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은 상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더 큰 치수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의 제1 부분에 인접한 더 작은 치수까지 감소하는 치수를 가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및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상기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본체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홈(groove);
    하나 이상의 핀(pin) 및 하나 이상의 슬롯(slot)을 갖는 로킹 너트(locking nut)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은 상기 로킹 너트를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홈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로킹 너트의 원위 단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 너트를 상기 로킹된 위치와 상기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로킹 너트; 및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지고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compression flange)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질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본체의 내부 표면과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근위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를 구비하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각각은 진입 세그먼트(entry segment), 중간 세그먼트(intermediate segment), 및 말단 세그먼트(terminal segment)를 구비하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세그먼트는 상기 본체의 상기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세그먼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의 핀이 상기 홈에 진입하여 상기 홈으로부터의 상기 핀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를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특징부(retention feature)를 구비하는,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특징부는 상기 핀이 상기 홈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경사진 표면(angled surface) 및 상기 홈 외부로의 상기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유 벽(retention wall)을 구비하는,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는,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세그먼트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와 상기 말단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되는 보유 리지(retention ridge)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유 리지는 상기 핀을 상기 말단 세그먼트 내에 선택적으로 보유시키도록 구성되는,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로킹 너트 둘레에 배치되는 3개의 슬롯들을 구비하는, 기구.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05 인치 내지 .2 인치의 길이 및 .031 인치 내지 .062 인치의 폭을 갖는,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15 인치의 길이 및 .045 인치의 폭을 갖는, 기구.
  13. 삭제
  14. 삭제
  15. 기구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내부 도관을 갖는 본체로서, 상기 내부 도관은 내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표면은 제1 부분의 길이를 따른 제1 단면 치수를 갖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단면 치수로부터 상기 본체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까운 제2 단면 치수까지 증가하는 단면 치수를 갖는 제2 부분가지며, 상기 제2 단면 치수는 상기 제1 단면 치수보다 더 큰, 상기 본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부 도관 내에서 그리고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연장가능 샤프트로서,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 도관의 내부 표면의 제1 단면 치수에 대응하는 외부 치수를 가지고, 상기 내부 표면의 증가하는 단면 치수는 상기 내부 도관의 부분과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은 상기 본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더 큰 치수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의 제1 부분에 인접한 더 작은 치수까지 감소하는 치수를 가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및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상기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그리고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질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 및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 상에 보유되는 로킹 너트로서, 상기 로킹 너트는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로킹 너트는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를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지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킹 너트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로킹 너트의 원위 단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 너트를 상기 로킹된 위치와 상기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로킹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본체의 내부 표면과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근위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인접한 정지부(stop)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너트는 견부(shoulder)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부와 상기 견부는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완전한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기구.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인접한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부와 상기 링은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완전한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기구.
  20. 전기수술 기구(electrosurgical instrument)로서,
    내부 도관을 갖는 핸드 피스(hand piece);
    상기 핸드 피스에 연결되는 다용도 도관(utility conduit)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기수술 기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및 상기 내부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진공 호스(vacuum hose)를 구비하는, 상기 다용도 도관;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핸드 피스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한 연장가능 샤프트로서, 상기 내부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관통하는 도관을 갖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원위 단부 내에 장착되는 전극 팁(electrode tip)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표적 조직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극 팁; 및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상기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본체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홈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각각은 진입 세그먼트, 중간 세그먼트, 및 말단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홈;
    하나 이상의 핀 및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갖는 로킹 너트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은 상기 로킹 너트를 로킹된 위치와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홈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로킹 너트의 원위 단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 너트를 상기 로킹된 위치와 상기 로킹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로킹 너트;
    상기 하나 이상의 홈으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의 제거를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보유 특징부;
    상기 하나 이상의 핀을 상기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유 리지; 및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지고 상기 로킹 너트가 상기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는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를 향해 휘어질 때 상기 연장가능 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압축 플랜지를 구비하는, 전기수술 기구.
KR1020197035421A 2017-05-16 2018-05-15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KR102616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96,266 US11039876B2 (en) 2017-05-16 2017-05-16 Hand-held instrument with extendable shaft locking mechanism
US15/596,266 2017-05-16
US15/975,552 2018-05-09
US15/975,552 US20180333191A1 (en) 2017-05-16 2018-05-09 Locking mechanism for extendable shaft
PCT/US2018/032645 WO2018213227A1 (en) 2017-05-16 2018-05-15 Locking mechanism for extendable sha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849A KR20200007849A (ko) 2020-01-22
KR102616319B1 true KR102616319B1 (ko) 2023-12-26

Family

ID=6224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421A KR102616319B1 (ko) 2017-05-16 2018-05-15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333191A1 (ko)
EP (1) EP3624716B1 (ko)
JP (1) JP7184807B2 (ko)
KR (1) KR102616319B1 (ko)
CN (1) CN110753525B (ko)
AU (1) AU2018269956A1 (ko)
BR (1) BR112019023814A2 (ko)
CA (1) CA3061926A1 (ko)
TW (1) TW201906584A (ko)
WO (1) WO2018213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876B2 (en) 2017-05-16 2021-06-22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Hand-held instrument with extendable shaft locking mechanism
EP3773294A1 (en) * 2018-03-27 2021-02-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547463B2 (en) * 2018-09-21 2023-01-10 Covidien Lp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with adjustable electrode and vent tube
US20220160419A1 (en) * 2019-01-28 2022-05-26 Apyx Medical Corporation Electrosurgical devices and systems having one or more porous electrodes
KR102530186B1 (ko) * 2020-11-26 2023-05-08 최인상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작동봉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782A (ja) 1996-08-02 2000-11-28 ストライ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手術用ハンドピース
US20040038584A1 (en) * 2001-08-27 2004-02-26 Trompeter Electronics, Inc. BNC connector having visual indication
US20060218752A1 (en) * 2005-03-30 2006-10-05 Potempa Michael M Collet locks and extension pole assemblies comprising same
JP2016512736A (ja) 2013-03-14 2016-05-09 メガダイン・メディ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電気外科器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95271Y (zh) * 2000-07-04 2002-06-19 艾欧恩·考斯米斯库 多功能笔型无烟电子手术刀
US7909365B2 (en) * 2000-07-28 2011-03-22 Hiltap Fittings, Ltd. Fluid system coupling with handle actuating member
KR100975208B1 (ko) * 2008-10-22 2010-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의 결합구조물
US9044273B2 (en) * 2013-10-07 2015-06-02 Intelligent Implant Systems, Llc Polyaxial plate rod system and surgical procedure
DE102013018160B3 (de) * 2013-12-05 2015-02-12 Wieland Electric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CN104473690B (zh) * 2014-12-17 2018-01-19 浙江迈德实达医疗科技有限公司 长度可调的吸烟管以及吸烟电刀
US11141162B2 (en) * 2016-07-08 2021-10-12 Covidien Lp Loading unit locking collar with linearly actuated rele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782A (ja) 1996-08-02 2000-11-28 ストライ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手術用ハンドピース
US20040038584A1 (en) * 2001-08-27 2004-02-26 Trompeter Electronics, Inc. BNC connector having visual indication
US20060218752A1 (en) * 2005-03-30 2006-10-05 Potempa Michael M Collet locks and extension pole assemblies comprising same
JP2016512736A (ja) 2013-03-14 2016-05-09 メガダイン・メディ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電気外科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849A (ko) 2020-01-22
TW201906584A (zh) 2019-02-16
WO2018213227A1 (en) 2018-11-22
JP2020519403A (ja) 2020-07-02
EP3624716A1 (en) 2020-03-25
CN110753525A (zh) 2020-02-04
JP7184807B2 (ja) 2022-12-06
AU2018269956A1 (en) 2019-11-14
US20180333191A1 (en) 2018-11-22
EP3624716B1 (en) 2024-03-06
CA3061926A1 (en) 2018-11-22
BR112019023814A2 (pt) 2020-06-02
CN110753525B (zh)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319B1 (ko)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US11617611B2 (en) Hand-held instrument with dual zone fluid removal
KR102232450B1 (ko) 전자수술 기구
US11039876B2 (en) Hand-held instrument with extendable shaft locking mechanism
EP3628254B1 (en) Fluid system connector
US20180333195A1 (en) Hand-held instrument with body-swivel
US11141577B2 (en) Fluid system connector
KR102438818B1 (ko)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US11992261B2 (en) Locking mechanism and sliding conductor for extendable shaft
US20200155231A1 (en) Locking mechanism and sliding conductor for extendable shaft
NZ757430A (en) Fluid system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