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818B1 -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 Google Patents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818B1
KR102438818B1 KR1020187036353A KR20187036353A KR102438818B1 KR 102438818 B1 KR102438818 B1 KR 102438818B1 KR 1020187036353 A KR1020187036353 A KR 1020187036353A KR 20187036353 A KR20187036353 A KR 20187036353A KR 102438818 B1 KR102438818 B1 KR 10243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roximal
distal
piece
attachme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075A (ko
Inventor
다르시 더블유. 그립
챠드 에스. 프람프톤
Original Assignee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599,269 external-priority patent/US20180333195A1/en
Application filed by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e.g. for neurosurgery or arth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61B2017/00991Telescop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핸드헬드 기구는 부착 피스에 의해 결합되는 원위 섹션 및 근위 섹션을 갖는다. 부착 피스는 원위 섹션이 근위 섹션과는 독립적으로 회전/선회될 수 있게 한다. 전극 팁과 같은 팁이 원위 섹션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어 원위 섹션과 함께 회전하여, 사용 동안에 사용자가 팁의 회전 배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6년 6월 17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HAND-HELD INSTRUMENT WITH BODY-SWIVEL)"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351,80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핸드헬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핸드헬드 기구의 회전 구성요소(swivel component)와 기능성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현대의 수술 기법은 전형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전력을 채용하여 조직을 절개하고 외과 시술 수행시 직면하는 출혈을 응고시킨다. 그러한 기법의 역사적 관점 및 상세 사항에 대해, 그 개시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전기프로브 장치(Electroprobe Apparatus)"인, 다멜리오(D'Ameli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36,842호가 참조된다.
의료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기수술은 널리 사용되며, 절개 및 응고 둘 모두를 위한 단일 수술 기구의 사용을 포함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단극 전기수술용 발생기 시스템(monopolar electrosurgical generator system)은 핸드 피스(hand piece) 및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 수술 부위에서 환자에게 의사에 의해 적용되는 전도성 전극 또는 팁(tip)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형태의 것과 같은 활성 전극(active electrode), 및 환자를 다시 발생기에 연결하는 복귀 전극(return electrode)을 갖는다.
전기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은, 조직을 절개 또는 응고시키는 수술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고 전류 밀도를 갖는 RF 전류를 생성하도록 환자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소형이다. 복귀 전극은, RF 신호가 환자를 통과한 후에, 전기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에 제공된 동일한 RF 신호를 전달하며, 따라서 전기수술용 발생기로의 회귀 경로(path back)를 제공한다. 전기수술용 발생기와 전기수술 기구 사이의 RF 전류를 위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해, 전기 전도성 코어를 갖는 케이블이 전형적으로 전기수술용 발생기로부터 전기수술 기구까지 연장된다.
전기수술 시술은 표적 조직을 전기수술 기구로 적절히 처치하기 위해 흔히 전기수술 기구의 정밀한 이동과 제어를 필요로 한다. 특히, 전극 팁이 표적 조직에 대해 배향되고 위치되는 방식이 조직이 전달된 전기 에너지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조작자는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전기수술 기구를 표적 조직에 대해 재조정하거나 재배향시키기를 원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전기수술 기구를 사용하면, 그러한 조절은 시술 시간을 증가시키고 전형적으로 조작자가 기구에 대한 그의/그녀의 파지를 재조정하도록 요구함으로써, 기구와 비-표적 환자 조직 사이의 우발적인 접촉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시술 동안에 전기수술 기구를 이동시키고 재배향시키는 것은 전형적으로 또한 부착된 전력 케이블 및/또는 다른 호스/연결부를 이동시킬 것을 요구한다. 이는 전기수술 기구에서의 항력, 토크, 및 비틀림 모멘트 힘 분포의 변화로 이어짐으로써, 기구가 사용자의 손 안에 안착되는 방식을 변화시켜서, 기구를 일정하게 조작하고 제어하기 더욱 어렵게 만들고, 우발적인 또는 시술상의 실수의 위험을 더욱 증가시킨다.
또한, 기구가 유지되거나 파지될 필요가 있는 방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에 대한 기구의 힘 분포에 대한 변화가 기구의 사용 동안에 사용자 편안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빠른 손의 피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청구되는 발명 요지는 전술된 것과 같은 환경에서만 작동하거나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배경은 단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분야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이점 및 특징을 추가로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설명이 첨부 도면에 예시된 그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이 본 발명의 단지 예시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따라서 그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추가로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전기수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조작자에 의해 파지된 바와 같은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후퇴 위치에 위치된 연장가능 섹션을 도시한, 도 3의 전기수술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연장 위치에 위치된 연장가능 섹션을 도시한, 도 3과 도 4의 전기수술 기구의 단면도.
도 6은 전극 팁의 재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섹션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핸드 피스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핸드 피스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그리고 원위 섹션(distal section)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6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원위 섹션이 제2 위치로 회전된 상태의, 도 7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전기수술 기구의 전방 피스를 보여주기 위해 파지 섹션이 제거된 상태의, 도 6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전기수술 기구의 새들(saddle) 섹션을 보여주기 위해 전방 피스가 제거된 상태의, 도 6의 전기수술 기구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시술 동안에, 예를 들어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기구의 정밀한 제어 및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몸체를 갖는 전기수술 기구 및 다른 핸드헬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수술 또는 다른 핸드헬드 기구는 근위 섹션(proximal section)과 원위 섹션을 갖는 핸드 피스를 포함하며, 근위 섹션과 원위 섹션은 원위 섹션이 근위 섹션과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또는 그 반대로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회전적으로 분리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유익하게는 전기수술 기구가 사용자의 손 안에서의 전기수술 기구의 파지 위치를 방해함이 없이 조작되고 재배향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사용자는 핸드 피스의 근위 섹션을 그의/그녀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 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핸드 피스의 원위 섹션을 엄지와 검지 및/또는 중지 사이에서 파지함으로써 핸드 피스를 파지할 수 있다. 전기수술 기구는 사용자가 원위 섹션을 근위 섹션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근위 섹션이 손의 구부러진 부분 내에 안착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 엄지 및/또는 손가락이 원위 섹션의 회전 조작을 제어하게 한다.
그러한 실시예의 구조와 기능은 사용자가 전기수술 기구를 조절하게 하면서 사용자의 손에 대한 힘 분포(예컨대, 토크 및 항력 효과(drag effect))의 변화를 최소화시키거나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이득은 조작자 불편함과 피로를 감소시키거나 없애고, 일관된 파지 역학(grip dynamics)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연관된 환자 및 장비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도 1은 예시적인 전기수술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신호 발생기(102), 전기수술 기구(104), 및 복귀 전극(10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의 발생기(102)는 RF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RF 파 발생기이다. 다용도 도관(utility conduit)(108)이 전기수술 기구(104)에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108)은 발생기(102)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기수술 기구(104)로 전달하는 케이블(110)을 포함한다. 예시된 다용도 도관(108)은 또한 포획된/수집된 연기(smoke) 및/또는 유체를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전달하는 진공 호스(11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수술 기구(104)는 핸드 피스 또는 펜슬(114) 및 전극 팁(116)을 포함한다. 전기수술 기구(104)는 전기 에너지를 환자의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여 조직을 절개하고/하거나 표적 조직 내의 그리고/또는 표적 조직 부근의 혈관을 소작한다. 구체적으로, 전극 팁(116)과 밀착 접촉하는 환자의 세포 물질의 가열을 유발하기 위해, 전극 팁(116)으로부터 환자에게 전기 방전이 전달된다. 조직 가열은 전기수술 기구(104)가 전기수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게 하기에 적합한 고온에서 일어난다. 복귀 전극(106)은, 회로를 완성하고 환자의 신체 내로 통과하는 에너지에 대한 파 발생기(102)로의 복귀 전기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118)에 의해 발생기(102)에 연결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 또는 다른 핸드헬드 기구의 몇몇 실시예는 연기 발생 부위 부근에서(예컨대, 조직/전극 팁 계면에서) 즉시 포획되지 않은 연기가 여전히 포획되어 작동 환경으로부터 멀리 배출될 수 있도록, 시술 동안에 발생된 연기의 효율적인 포획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연기 포획/배출이 필수는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회전 몸체를 갖는 핸드 피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연기 포획/배출 특징부가 설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기 포획/배출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도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수술 시술을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전기수술 기구(120)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전기수술 기구(120)는 근위 단부(124)와 원위 단부(126)를 갖는 핸드 피스(122)를 포함한다. 연장가능 섹션(128)이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하고(예컨대, 근위/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병진이동가능함), 연장가능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채널 또는 도관을 포함한다. 전극 팁(130)이 연장가능 섹션(128)의 원위 단부 내에 수용된다.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 하나 이상의 진공 호스, 및/또는 다른 연결부가 다용도 도관(140)을 통해 핸드 피스(122)로 지향될 수 있고, 다용도 도관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24) 부근에서 핸드 피스(122)의 밑면 상에서 핸드 피스(122)에 결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핸드 피스의 상부 및/또는 측부 섹션 상에,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근위 단부에, 또는 핸드 피스의 다른 위치에 다용도 도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은 전기수술용 발생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기수술 기구(120)로 전달한다.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전기 에너지는 전극 팁(130)을 통해 환자의 조직 내로 통과된다.
전기수술 기구(120)와 같은 전기수술 기구는 흔히 전기수술 펜슬 또는 펜으로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사용시 이들이 흔히 펜슬 또는 펜이 필기할 때 파지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파지되기 때문이다. 도 2는 조작자가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전기수술 기구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피스(122)가 손의 구부러진 부분을 통해 놓이고, 중지와 엄지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검지는 핸드 피스(122) 상부에 배치되어 핸드 피스(122)를 제위치에 더욱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제어부(136)의 선택적 활성화를 통해 전기수술 장치의 소정 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이중 구역 연기 배출(dual zone smoke evacuation)로 구성된 전기수술 기구(22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근위 단부(224)와 원위 단부(226)를 갖는 핸드 피스(222)를 포함한다. 연장가능 섹션(22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핸드 피스(222)의 내부에 배치되고, 핸드 피스(222) 밖으로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가능 섹션(228)은 전극 팁(2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은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전력 케이블(예컨대, 예시된 다용도 도관(240) 내에 배치된 전력 케이블)로부터 전류를 전극 팁(23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연장가능 섹션(228)은 바람직하게는 도관(예컨대, 관, 또는 중공이거나 부분적으로 중공인 단면을 갖는 다른 형상)으로서 구성된다. 연장가능 섹션(228)의 도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핸드 피스(222)의 내부 챔버 내로 지나가도록 그리고 다용도 도관(240)과 (그리고/또는 다용도 도관(240) 내에 부착/배치된 진공 호스와)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연장가능 섹션(228)은 또한 연장가능 섹션의 내부와 연장가능 섹션(228) 외부에 있는 분위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원위 단부 개구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팁(230)은 연장가능 섹션(228)의 내부로의 연기 포획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 공간을 남기는 방식으로 (예컨대, 접착제, 용접, 기계적 체결, 노치, 슬롯,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또는 단일 피스의 일체형 형성을 통해) 연장가능 섹션(228)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또한 연장가능 섹션(228)이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 전방 피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방 피스(250)는 원위방향으로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된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피스(250)는 테이퍼형 형상 없이(예컨대, 사각형(squared) 또는 직선형 에지(edge) 프로파일), 또는 상이한 테이퍼 또는 만곡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예시된 전방 피스(250)는 연장가능 섹션(228)을 전방 피스(250)에 대해 제위치에 유지시키거나 안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25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부(252)는 전방 피스(250)의 회전이 또한 연장가능 섹션(228)(및 부착된 전극 팁(230))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전방 피스(250)와 연장가능 섹션(228) 사이에 회전 관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장가능 섹션(228)은 다른 연결 수단, 예를 들어 키이(key) 및 키이홈(keyway) 시스템, 마찰 끼워맞춤 시스템, 또는 연장가능 섹션(228)의 병진성(translatability)을 유지시키면서 또한 연장가능 섹션(228)을 전방 피스(2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른 구성을 통해 핸드 피스(222)의 전방 피스(250) 및/또는 다른 회전가능한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부(252)는 전방 피스(250)에 대한 연장가능 섹션(228)의 위치를 마찰식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지부(252)는 요구될 때 사용자가 연장가능 섹션(228)을 조절하게 하면서, 그 외에는 기구의 정상 작동 동안에 연장가능 섹션(228)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예컨대, 중력 또는 다른 비교적 근소한 힘에 의해 유발되는 움직임에 대항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전방 피스(250)는 반경방향 연장부로서 형성된 지지부(252)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레그(leg), 브레이스(brace), 나선형 압출물, 및/또는 다른 지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피스(250)는 핸드 피스(222) 외부에 있는 분위기와 핸드 피스(222)의 내부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256)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사용자가 전기수술 기구(220)를 파지 및/또는 제어하는 촉각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그립(grip)(254)을 포함한다. 그립(254)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안함 및/또는 촉각 파지 향상을 제공하면서 기구를 파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지(ridge), 홈, 및/또는 다른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고무 또는 중합체 재료는, 핸드 피스(222)에 대한 사용자 파지를 개선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편안하여 단기 및 장기 사용 둘 모두에 대한 편안한 파지를 제공하는 두께 및 재료 유연도(softness)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또한 사용자가 기구를 통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전력 전달, 기구의 온 및 오프 조작, 상이한 작동 모드(절개, 응고, 절개-응고 조합)를 위한 기구의 조절 등과 같은, 전기수술 기구(220)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23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8)는 제어 신호를 전기수술 기구(220)로부터 전기수술용 발생기 및/또는 다른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는 전극 팁(23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극 팁(230)은 에지(232), 첨단부(point)(234), 및 측면(236)을 포함하는 블레이드-유사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블레이드-유사 형성은 사용자가 표적 조직에 대한 전극 팁(230)의 작동 영향을 조절하게 한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표면적을 갖는 전극의 에지(232) 및/또는 첨단부(234)를 표적 조직 부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전극 팁(230)으로부터 표적 조직으로 지나가는 전류의 밀도가 (예컨대, 절개 작동 모드 및/또는 핀포인트-유형(pinpoint-type) 응고 모드에서의 사용을 위해) 보다 작은 영역에 걸쳐 분포되고 상대적으로 더 높다.
한편, 전극 팁(230)을 표적 조직에 대해 회전시켜 상대적으로 더 큰 표면적을 갖는 전극 팁(230)의 측면(236)을 표적 조직 부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전극 팁(230)으로부터 표적 조직으로 지나가는 전류의 밀도가 (예컨대, 더욱 분산된 스프레이(spray)-유형 응고 모드에서의 사용을 위해) 보다 큰 영역에 걸쳐 분포되고 상대적으로 더 낮다. 따라서, 전극 팁(230)의 회전은 사용자가 상이한 유형의 시술을 수행하게 하고/하거나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예컨대, 스프레이-유형 작동에 대한 핀포인트-유형 작동의 수준의 조절 및 그 반대의 조절에 의해) 전기수술 기구(220)의 작동을 동적으로 조절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수술 기구(22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연장가능 섹션(228) 중 많은 부분이 핸드 피스(22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후퇴 위치에 있는 연장가능 섹션(228)을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또한 핸드 피스(222)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도관(242)을 포함하며, 내부 도관은 연장가능 섹션(228)이 내부 도관(242) 내에 끼워지고 내부 도관(242) 내에서 선택적으로 병진이동가능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연장가능 섹션(228)(예컨대, 적어도 원위방향으로 핸드 피스(222)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 부분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수술 기구(220)는 내부 도관(242) 내에서의 연장가능 섹션(228)의 근위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위치되는 후방 정지부(back stop)(24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후방 정지부(244)는 연장가능 섹션(228)이 완전히 후퇴될 때, 전극 팁(230)이 핸드 피스(222)의 원위 부분에 또는 그 부근에 있지만 핸드 피스(222)의 내부로 후퇴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후방 정지부(244)는 후방 정지부(244)를 지나가는 연장가능 섹션(228)의 근위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대(crosspiece)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후방 정지부(244)는 벽, 리브, 멈춤쇠(detent), 맞닿음부(abutment), 걸림부(catch), 브레이스, 및/또는 상대 운동을 방지하는 다른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전기수술 기구(220)는 또한 연장가능 섹션(228)의 근위 단부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에 결합되는 커넥터(24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46)는 내부 도관(242)의 벽까지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지지부(252)와 연장가능 섹션(228) 사이의 맞물림을 통한 마찰 고정에 더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내부 도관(242)에 대한 연장가능 섹션(228)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마찰 끼워맞춤 구성요소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246)는 (예컨대, 핸드 피스(222)의 이동에 기인하는 보다 약한 힘에 대항하여 그리고/또는 중력에 대항하여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전기수술 기구(220)의 정상 작동 및 이동 동안에 연장가능 섹션(228)을 제위치에 유지하면서, 여전히 지향된(예컨대, 수동-인가된) 힘 하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의 사용자 조절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246)는 전기 전도성이고, 전류를 연장가능 섹션(228)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섹션(228)도 또한 전기 전도성이고, 전류를 전극 팁(2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이 (예컨대, 다용도 도관을 통해) 핸드 피스(222)의 내부로 연장되어 커넥터(246) 및/또는 연장가능 섹션(228)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넥터(246) 및/또는 연장가능 섹션(228)은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전력 케이블 또는 다른 전도성 부재가 전류를 전극 팁(230)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극 팁(230)까지 또는 다른 중간 구성요소까지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섹션(228) 및/또는 커넥터(246)는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연장가능 섹션(228)으로부터 환자 조직으로의 전류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비-전도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가능 섹션(228)은 연장가능 섹션이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병진이동할 수 있는 핸드 피스(22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인(예컨대, 그의 99%, 95%, 90%, 80%, 또는 75% 내의) 길이(근위-원위 축을 따라 측정됨)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은 보다 짧거나 보다 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핸드 피스(222)의 길이의 약 0.75배 또는 0.5배일 수 있거나 핸드 피스(222)의 길이보다 약 1.25, 1.5, 2, 또는 2.5배 더 길 수 있다.
도 5는 연장가능 섹션이 연장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수술 기구(220)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방 정지부(248)를 포함하며, 전방 정지부는 전방 정지부(248)를 지나가는 연장가능 섹션(228)의 원위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방 정지부(248)는 내부 도관(24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환상 구조체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은 커넥터(246)가 전방 정지부(248)와 접촉될 때 전방 정지부(248)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더 멀리 지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246)의 돌출부들이 내부 도관(242)의 벽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이들은 전방 정지부(248)의 보다 작은 직경을 통과할 수 없고, 이에 의해 연장가능 섹션(228)의 원위방향 연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가능 섹션(228)의 이동은 다른 방식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가능 섹션(228)은 핸드 피스(222) 및/또는 전방 피스(250)의 상응하는 키이홈 또는 키이에 정합되는 키이 또는 키이홈을 포함할 수 있고, 키이/키이홈 시스템은 연장가능 섹션(228)의 병진이동을 원하는 범위로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키이/키이홈 시스템은 또한 연장가능 섹션(228)과 전방 피스(250) 사이의 회전 관계를 로킹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된 핸드 피스(222)가 원위 섹션(260)과 근위 섹션(27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전기수술 기구(220)의 다른 도면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섹션(260)은 근위 섹션(270)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위치와 비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극 팁(230)은 원위 섹션(26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위 섹션(26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극 팁(230)의 각도를 조절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기수술 시술 동안에, 사용자가 원위 섹션(260)을 회전시켜 표적 조직에 대한 전극 팁(230)의 배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유익하게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전극 팁(230)이 조직과 상호작용하는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예컨대, 전극의 어느 부분이 조직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지 조절함으로써) 전기수술 기구의 작동 특성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호 및/또는 환자의 요구에 따라, 전극 에지를 표적 조직에 더 가깝게 또는 그로부터 더 멀리 기울이도록 원위 섹션(26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기수술 기구(220)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절개 또는 처치 경로를 따라 변화하는 조직의 기하학적 구조(예컨대, 만곡부, 범프(bump) 등)를 처리하기 위해 전극 팁(230)의 각도로 조절하도록 원위 섹션(260)을 회전시킴으로써 시술 동안에 동적 조절을 행하게 한다.
핸드 피스(222)가 파지되는 전형적인 방식으로(예를 들어, 도 2 참조), 근위 섹션(270)은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 내에 안착되는 반면, 원위 섹션(260)은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또는 검지 사이에 파지된다. 핸드 피스(222)는 근위 단부(270)가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 내에 안착되어 유지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엄지 및/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원위 섹션(260)과 전극 팁(230)의 회전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은 핸드 피스(222)가 손 안에 안착되는 방식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원하는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사용자의 파지 위치가 전극 팁(230)의 회전 조절 동안에 지장이 없게 한다. 파지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관련 없는 조작자 손 동작과 연관된 사고 및 환자 위험(예컨대, 전극을 비-표적 조직 또는 민감한 장비와 우발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회전 조절 전에 또는 그 후에 파지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를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것은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조작자 손 피로를 감소시켜 환자 및 장비에 대한 관련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도관(240)을 근위 섹션(270)에 결합시킴으로써, 원위 섹션(260)의 회전 이동이 다용도 도관(240)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핸드 피스(222)에 대한 힘 분포를 변화시킴이 없이 그리고 다용도 도관(240)의 연결에 기인하는 항력, 토크, 또는 비틀림 모멘트 힘을 변화시킴이 없이 회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또한 사용자의 파지 위치가 유지되게 하고, 항력, 토크, 비틀림 모멘트 힘, 및 시술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사용자의 손에 인가되는 다른 힘을 유지시킴으로써 전기수술 기구(220)의 더욱 일관된 제어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용도 도관(240)은 핸드 피스(222)를 안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 안에 고정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근위 섹션(270)과 다용도 도관(240)으로부터 원위 섹션(260)의 회전을 분리시킴으로써, 이러한 안정된 고정 기능이 회전-유발 변동 또는 변화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핸드 피스(222)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주기 위해 근위 섹션(270)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전기수술 기구(220)의 다른 도면을 예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원위 섹션(260)으로부터 부착 피스(280)를 통해 근위 섹션(270)까지 연장되는 내부 도관(242)과 연장가능 섹션(228)을 볼 수 있다. 부착 피스(280)는 원위 섹션(2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예컨대, 원위 섹션(260)의 회전이 부착 피스(280)의 상응하는 회전을 유발함), 근위 섹션(270)을 원위 섹션(260)에 결합시키면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회전 독립성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부착 피스(280)는 채널형 섹션(channeled section)(282) 및 채널형 섹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림(rim)(284)을 갖는 링으로서 형성된다. 부착 피스(280)의 구조는 기구의 구성요소가 링 구조체의 개구를 통해 원위 섹션(260)으로부터 근위 섹션(270)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지나게 한다. 예를 들어, 이는 연장가능 섹션(228)이 원위 섹션(260) 및 근위 섹션(270) 둘 모두의 내부 내에서 병진이동가능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피스(280)의 채널형 섹션(282)은 전방 피스(250)의 근위 에지(286)와 림(284)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피스(250)의 근위 에지와 림(284)은 채널형 섹션(282)에서의 부착 피스(28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는 근위 섹션(270)이 부착 피스(280)의 채널형 섹션(282) 내로의 내향 반경방향 연장부(272)(근위 섹션(270)의 원위 에지에 배치됨)의 삽입을 통해 원위 섹션(260)에 연결될 수 있게 하여, 연장부(272)를 전방 피스(250)의 근위 에지와 림(284) 사이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근위 섹션(270)으로부터의 원위 섹션(260)의 근위방향 또는 원위방향 분리가 방지되는 반면, 근위 섹션에 대한 원위 섹션의 독립적인 회전 운동이 유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피스(280)는 또한 부착 피스(280)의 나머지 근위 표면에 대해 더욱 근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86)를 포함한다. 근위 섹션(270)은 또한 부착 피스(280)의 근위 표면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는 회전 정지부(274)를 포함한다. 원위 섹션(260)의 회전은 부착 피스(280)가 상응하여 회전하게 한다. 걸림부(286)가 회전 정지부(274)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이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범위는 걸림부(286) 및/또는 회전 정지부(274)의 위치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회전-제한 수단을 생략하여, 근위 섹션(270)에 대한 원위 섹션(260)의 완전한 360도 회전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은 예를 들어 약 45 내지 315도, 또는 약 60 내지 300도, 또는 약 90 내지 270도의 범위로 제한된다.
도 8은 원위 섹션(260)이 도 7의 도면에 비해 회전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핸드 피스의 도면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섹션(260)의 회전은 부착 피스(280)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여, 걸림부(286)를 회전 정지부(274)에 더 가깝게 위치시킨다. 도 8은 또한 전극 팁(230)이 원위 섹션(260)과 함께 상응하게 회전된 것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회전은 상이한 전기수술 효과를 제공하고/하거나 예를 들어 고르지 않거나 만곡된 조직의 기하학적 구조에 걸친 통과 동안에 원하는 배향을 유지시키기 위해, 조작자가 전극 팁(230)의 배향을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7은 블레이드-유사 구조체의 에지가 근위 섹션(270)의 밑면과 정렬된 상태로(예컨대, 에지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위치된 전극 팁(230)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위치로의 원위 섹션(260)의 회전 후에, 전극 팁(230)은 측면이 근위 섹션(270)의 밑면과 정렬되어(예컨대, 측면이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보여진다.
예시된 실시예는 채널형 섹션(282)과 연장부(272) 사이에 매끄러운 계면을 제공하여, 회전 범위 전체에 걸쳐 원위 섹션(260)의 자유 회전을 허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은 예를 들어 채널형 섹션(282)과 연장부(272) 사이에 홈형성된 또는 절결된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5, 10, 15, 20, 25, 30, 45, 60도의 증분으로) 이산된 위치들로 국한될 수 있다.
도 9는 그립이 없는 전기수술 기구(22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피스(250)는, 이 실시예에서 부착 피스(280)에 일체로 결합되는 새들 피스(28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전방 피스(250)는 새들 피스(288) 및 부착 피스(280)와 함께 전방 피스(250)의 회전을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피스(250)는, 결합된 부착 피스(280)를 포함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새들 피스(288)와 전방 피스(250) 사이의 회전 연관을 가능하게 하는 사각형 섹션(25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그립 또는 전방 피스가 없는 전기수술 기구(22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 피스(288)는 새들 피스(288)의 회전이 부착 피스(280)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도록 부착 피스(28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 피스(280)는 다른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기계적 체결, 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새들 피스(288) 및/또는 전방 피스(250)에 결합될 수 있다. 새들 피스(288)는 예시된 탭(29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통해, 그리고/또는 전방 피스(250)의 사각형 섹션(258)과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형 섹션(292)을 통해 전방 피스(25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새들 피스(288), 부착 피스(280), 및 전방 피스(250)는 하나의 일체형 피스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별개로 형성되고, 다른 수단(기계적 체결, 용접, 접착 접합, 마찰 끼워맞춤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피스(250)와 새들 피스(288)는 별개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가 전기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넓게는 회전 몸체를 갖는 핸드 피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핸드헬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기구는 연기 포획/배출 특징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비-전기수술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핸드헬드 기구는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극 팁과는 다른 기능적 용구(imp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팁 또는 팁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언급은 전기수술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전극 팁 또는 팁에 대한 언급은 핸드 피스와 관련되거나 연관될 수 있는 그리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임의의 기능적 용구를 넓게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기구는 치과 기구(예컨대, 드릴, 폴리싱 도구, 스케일러(scaler), 압축 공기 도구, 흡입 도구, 관주 도구(irrigation tool), 운반체 검출 도구(carries detection tool), 워터 플로싱 도구(water flossing tool)(예컨대, 워터픽(waterpik))), 납땜 도구(예컨대, 가열식 도구, 연기 수집 도구, 납땜제거 도구), 고속 연삭 및 폴리싱 도구(예컨대, 드레멜 도구(Dremel tool), 카빙 도구(carving tool), 매니큐어 도구, 치과용 랩 연삭기/폴리셔(dental lab grinder/polisher)), 레이저 처치 기구, 레이저 수술 기구, 광 프로브, 흡입 핸들(예컨대, 양카우어(Yankauer)), 블라스팅 도구(blasting tool)(예컨대, 샌드블라스트(sandblast), 그릿블라스트(gritblast)), 충격파 치료 도구, 초음파 치료 도구, 초음파 프로브 도구, 초음파 수술 도구, 접착제 도포 기구, 글루 건(glue gun), 공압 피펫(pneumatic pipette), 용접 도구, RF 주름 치료 핸드 피스, 파코(phaco) 핸드 피스, 전단기, 전기 면도기(shaver), 면도기(razor) 핸드 피스, 마이크로 드릴 핸드 피스, 진공 핸드 피스, 소형 부품 취급 핸드 피스, 문신 바늘 핸들, 소형 토치 핸드 피스, 전기분해요법(electrology) 핸드 피스, 저속 연삭, 폴리싱 및 카빙 도구, 영구 화장 핸드 피스, 전기 프로브 핸드 피스, 강자성 수술용 핸드 피스, 수술용 플라즈마 핸드 피스, 아르곤 빔(argon beam) 수술용 핸드 피스, 수술용 레이저 핸드 피스, 수술용 흡입 기구(예컨대, 지방 흡입 캐뉼러), 수술용 흡입 캐뉼러, 미세박피술 핸드 피스, 광섬유 카메라 핸들, 마이크로카메라 핸드 피스, pH 프로브 핸드 피스, 광섬유 및 LED 광원 핸드 피스, 하이드로서저리(hydrosurgery) 핸드 피스, 정형외과용 셰이버, 절단기, 버어(burr) 핸드 피스, 우드 버닝 도구(wood burning tool), 전기 스크루드라이버, 전자 패드 스타일러스(electronic pad styl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의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성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된다. 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은 그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6)

  1. 핸드헬드 기구(hand-held instrument)로서,
    길이, 근위 섹션(proximal section), 및 원위 섹션(distal section)을 갖는 핸드 피스(hand piece);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한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 독립성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원위 섹션을 상기 근위 섹션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피스로서, 상기 근위 섹션, 상기 원위 섹션, 및 상기 부착 피스 간의 결합은 상기 근위 섹션과 상기 원위 섹션 사이에서 근위방향 또는 원위방향 상대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부착 피스;
    상기 원위 섹션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능적 용구(implement)로서, 상기 기능적 용구는 상기 원위 섹션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이 상기 기능적 용구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는, 상기 기능적 용구; 및
    상기 원위 섹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핸드헬드 기구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원위 섹션에 배치되어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이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와 상기 기능적 용구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 상기 원위 섹션, 및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중간 지점에서 함께 결합되는, 핸드헬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채널형 섹션(channeled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채널형 섹션 내로 삽입되어 상기 근위 섹션을 상기 부착 피스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내향 반경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채널형 섹션의 근위에 있는 림(rim)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림 위에서 원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채널형 섹션 내로 삽입되는, 핸드헬드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섹션은 상기 채널형 섹션의 원위에 배치된 근위 에지(edge)를 갖는 전방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피스는 상기 근위 에지에서 상기 채널형 섹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원위 섹션에 일체로 결합되는, 핸드헬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링(ring)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링은 상기 링 내의 개구를 통한 하나 이상의 도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관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병진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가능 섹션인, 핸드헬드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부착 피스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catch)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에 맞닿도록 배치된 회전 정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한 상기 원위 섹션의 315도 미만의 회전 범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용구는 전기 에너지를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극 팁(tip)이고, 상기 전극 팁은 에지와 측면을 구비하고, 조직 표면에 대한 상기 에지와 측면의 배향은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에 의해 동적으로 조절가능한, 핸드헬드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섹션은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crook)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 섹션은 상기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들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들에 의해 맞물릴 수 있되,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과 손가락들 사이에 배치되는, 핸드헬드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섹션은 새들(saddle) 피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방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피스는 상기 새들 피스를 상기 전방 피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새들 피스의 사각형 섹션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사각형 섹션(squared section)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피스는 원위방향으로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되는 테이퍼형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새들 피스에 일체로 부착되는, 핸드헬드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기구는 상기 근위 섹션에 부착되는 다용도 도관(utility conduit)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도관은 상기 원위 섹션이 회전될 때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16. 핸드헬드 기구로서,
    길이, 내향 반경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근위 섹션, 및 원위 섹션을 갖는 핸드 피스;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한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 독립성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원위 섹션을 상기 근위 섹션에 결합시키고 상기 근위 섹션과 상기 원위 섹션 사이에서 근위방향 또는 원위방향 상대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부착 피스로서, 상기 부착 피스는 채널형 섹션 및 상기 채널형 섹션의 근위에 배치된 림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림 위에서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향 반경방향 연장부는 상기 채널형 섹션 내로 삽입되어 상기 근위 섹션을 상기 부착 피스에 결합시키는, 상기 부착 피스;
    상기 원위 섹션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능적 용구로서, 상기 기능적 용구는 상기 원위 섹션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이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해 상기 기능적 용구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는, 상기 기능적 용구; 및
    상기 원위 섹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핸드헬드 기구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원위 섹션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이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와 상기 기능적 용구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 상기 원위 섹션, 및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중간 지점에서 함께 결합되어, 상기 핸드헬드 기구가 사용자의 손에 유지될 때에, (ⅰ)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ⅱ) 상기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들은 상기 원위 섹션을 손가락들 사이에 유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및 (ⅲ)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구부러진 부분과 상기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섹션은 상기 채널형 섹션의 원위에 배치된 근위 에지를 갖는 전방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피스는 상기 근위 에지에서 상기 채널형 섹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링은 상기 링 내의 개구를 통한 하나 이상의 도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관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병진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가능 섹션인, 핸드헬드 기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부착 피스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에 맞닿도록 배치된 회전 정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용구는 전기 에너지를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극 팁인, 핸드헬드 기구.
  22. 핸드헬드 기구로서,
    길이, 근위 섹션, 및 원위 섹션을 갖는 핸드 피스;
    근위/원위 축을 따라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해 선택적으로 병진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연장가능 섹션;
    상기 연장가능 섹션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가능 섹션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는 팁으로서,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한 상기 연장가능 섹션의 선택적 병진이동은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한 상기 팁의 병진이동을 초래하는, 상기 팁;
    상기 원위 섹션을 상기 근위 섹션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근위 섹션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근위/원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부착 피스로서, 상기 근위 섹션, 상기 원위 섹션, 및 상기 부착 피스 간의 결합은 상기 근위 섹션과 상기 원위 섹션 사이에서 근위방향 또는 원위방향 상대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 섹션은 상기 연장가능 섹션 및 상기 팁을 상기 원위 섹션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회전 동안에 상기 연장가능 섹션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부착 피스; 및
    상기 원위 섹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부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핸드헬드 기구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상기 원위 섹션에 배치되어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이 상기 근위 섹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와 상기 팁의 상응하는 회전을 초래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 상기 원위 섹션, 및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중간 지점에서 함께 결합되는, 핸드헬드 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채널형 섹션 및 상기 채널형 섹션의 근위에 배치된 림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림 위에서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근위 섹션의 내향 반경방향 연장부는 상기 채널형 섹션 내로 삽입되어 상기 근위 섹션을 상기 부착 피스에 결합시키는, 핸드헬드 기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링은 상기 링 내의 개구를 통한 하나 이상의 도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기구.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피스는 상기 부착 피스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섹션은 상기 원위 섹션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에 맞닿도록 배치된 회전 정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섹션은 상기 연장가능 섹션을 상기 원위 섹션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장가능 섹션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
KR1020187036353A 2016-06-17 2017-06-19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KR102438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1809P 2016-06-17 2016-06-17
US62/351,809 2016-06-17
US15/599,269 2017-05-18
US15/599,269 US20180333195A1 (en) 2017-05-18 2017-05-18 Hand-held instrument with body-swivel
PCT/US2017/038088 WO2017219012A1 (en) 2016-06-17 2017-06-19 Hand-held instrument with body-swi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75A KR20190019075A (ko) 2019-02-26
KR102438818B1 true KR102438818B1 (ko) 2022-09-05

Family

ID=5921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53A KR102438818B1 (ko) 2016-06-17 2017-06-19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471640B1 (ko)
JP (1) JP2019520133A (ko)
KR (1) KR102438818B1 (ko)
CN (1) CN109310464B (ko)
AU (1) AU2017286806A1 (ko)
BR (1) BR112018076061A2 (ko)
CA (1) CA3027449A1 (ko)
MX (1) MX2018015333A (ko)
TW (1) TW201803529A (ko)
WO (1) WO2017219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852B1 (ko) * 2021-12-21 2023-07-05 김지훈 피부 착색 시술장치
US20230310057A1 (en) * 2022-03-16 2023-10-05 Aerobiotix, Llc Surgical cautery electrode and handpiece with integral smoke evacuation lum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0768A1 (en) * 2010-02-04 2011-08-04 Medtek Devices, Inc. Electrosurgical device with vacuum port
US20150209100A1 (en) * 2012-08-28 2015-07-30 Instruventional Inc. Adjustable electrosurgical pencil with slidable vent tub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842A (en) 1987-05-08 1990-06-26 Circon Corporation Electrosurgical probe apparatus
US5458375A (en) * 1994-04-25 1995-10-17 The Anspach Effort, Inc. Rotary connector for fluid conduits
US7500974B2 (en) * 2005-06-28 2009-03-10 Covidien Ag Electrode with rotatably deployable sheath
US7875026B1 (en) * 2007-02-23 2011-01-25 Ellman International, Inc. Finger-controllable electrosurgical handpiece
US20090248050A1 (en) * 2008-03-27 2009-10-01 Yuji Hirai Ultrasonic operating apparatus
EP2361042B1 (en) * 2008-09-12 2016-11-30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 device for fingertip control
CN201375560Y (zh) * 2009-04-03 2010-01-06 宝施医疗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吸烟电刀笔
CN101843523A (zh) * 2010-05-28 2010-09-29 浙江舒友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高频手术刀
WO2013096204A1 (en) * 2011-12-20 2013-06-2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systems and methods for resection of tissue
AU2013200917A1 (en) * 2012-03-22 2013-10-10 Ethicon Endo-Surgery, Inc. Activation feature for surgical instrument with pencil grip
US8968311B2 (en) * 2012-05-01 2015-03-03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with stamped double-flag jaws and actuation mechanism
US9375253B2 (en) * 2013-03-14 2016-06-28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Electrosurgical instrument
ES2856186T3 (es) * 2013-03-15 2021-09-27 Alan G Ellman Instrumental de mano electroquirúrgico
US9675374B2 (en) * 2014-03-24 2017-06-13 Ethicon Llc Ultrasonic forceps
DE202015103912U1 (de) * 2015-07-27 2015-08-14 Shining World Health Care Co., Ltd. Drehkonstruktion für Elektrokau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0768A1 (en) * 2010-02-04 2011-08-04 Medtek Devices, Inc. Electrosurgical device with vacuum port
US20150209100A1 (en) * 2012-08-28 2015-07-30 Instruventional Inc. Adjustable electrosurgical pencil with slidable ven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0464B (zh) 2022-04-08
JP2019520133A (ja) 2019-07-18
AU2017286806A1 (en) 2018-12-06
KR20190019075A (ko) 2019-02-26
BR112018076061A2 (pt) 2019-03-26
TW201803529A (zh) 2018-02-01
EP3471640B1 (en) 2020-07-22
MX2018015333A (es) 2019-04-25
CN109310464A (zh) 2019-02-05
EP3471640A1 (en) 2019-04-24
CA3027449A1 (en) 2017-12-21
WO2017219012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8899B2 (ja) 二重ゾーン流体除去を備えたハンドヘルド型器具
US8882767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JP6591575B2 (ja) 流体排出装置
KR102232450B1 (ko) 전자수술 기구
US20180333195A1 (en) Hand-held instrument with body-swivel
US11039876B2 (en) Hand-held instrument with extendable shaft locking mechanism
JP7184807B2 (ja) 伸縮可能シャフト用ロック機構
EP2682066A1 (en) Hand piece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KR102438818B1 (ko) 몸체 회전을 갖는 핸드헬드 기구
KR20200007850A (ko) 플렉스 회로를 구비한 스위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