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708B1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708B1
KR102615708B1 KR1020190005360A KR20190005360A KR102615708B1 KR 102615708 B1 KR102615708 B1 KR 102615708B1 KR 1020190005360 A KR1020190005360 A KR 1020190005360A KR 20190005360 A KR20190005360 A KR 20190005360A KR 102615708 B1 KR102615708 B1 KR 10261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ork function
function metal
ferroelectric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985A (ko
Inventor
김원홍
김완돈
백현준
현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SG10201905708PA priority Critical patent/SG10201905708PA/en
Priority to US16/503,790 priority patent/US10985275B2/en
Priority to CN201910603103.XA priority patent/CN110690199B/zh
Priority to JP2019125748A priority patent/JP2020010036A/ja
Publication of KR2020001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985A/ko
Priority to US17/176,248 priority patent/US11411106B2/en
Priority to US17/862,961 priority patent/US118880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6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t least one ferro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활성 패턴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보다 낮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MOS(Metal Oxide Semiconductor) FET)로 구성된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반도체 소자의 크기 및 디자인 룰(Design rule)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의 크기 축소(scale down)도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의 크기 축소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동작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면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활성 패턴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념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1 활성 패턴 및 제2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패턴 상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상기 제2 활성 패턴 상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과의 높이 차이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활성 패턴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상의 게이트 스페이서; 및 상기 활성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활성 패턴의 상면 상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은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스윙(Sub-threshold swing) 특성이 향상되고 동작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4, 도 6a, 도 8a 및 도 10a는 각각 도 3, 도 5, 도 7 및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b, 도 8b 및 도 10b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c, 도 8c 및 도 10c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d, 도 8d 및 도 10d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강유전체 패턴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도 1의 A-A'선,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각각 도 15의 A-A'선,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을 포함하는 기판(10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0)은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게르마늄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거나 화합물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은 반도체 소자의 로직 회로를 구성하는 로직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되는 로직 셀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의 로직 셀 영역 상에 로직 회로를 구성하는 로직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은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트렌치(TR2)에 의해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이 정의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 사이에 제2 트렌치(TR2)가 위치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은 제2 트렌치(TR2)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 각각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 상에 각각 제1 활성 패턴들(AP1) 및 제2 활성 패턴들(AP2)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은 기판(100)의 일부로써,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들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1 활성 패턴들(AP1)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제2 활성 패턴들(AP2) 사이에 제1 트렌치(TR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TR1)는 제2 트렌치(TR2)보다 얕을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이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을 채울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상부들은 소자 분리막(ST) 위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도 2c 참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상부들 각각은 핀(Fi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상부들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하부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AP1)의 상부들에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제1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사이에 제1 채널 영역(CH1)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활성 패턴들(AP2)의 상부들에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제2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 사이에 제2 채널 영역(CH2)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은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공정으로 형성된 에피택시얼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의 상면들은 제1 및 제2 채널 영역들(CH1, CH2)의 상면들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기판(100)의 반도체 원소의 격자 상수보다 큰 격자 상수를 갖는 반도체 원소(예를 들어, SiG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제1 채널 영역들(CH1)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기판(100)과 동일한 반도체 원소(예를 들어, S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을 가로지르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들(GE)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GE)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GE)은 제1 및 제2 채널 영역들(CH1, CH2)과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 전극들(GE)은, 제1 및 제2 채널 영역들(CH1, CH2) 각각의 상면 및 양 측벽들을 둘러쌀 수 있다 (도 2c 참조).
게이트 전극들(GE) 각각의 양 측벽들 상에 한 쌍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은 게이트 전극들(GE)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의 상면들은 게이트 전극들(GE)의 상면들보다 높을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의 상면들은 후술할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은 SiCN, SiCON 및 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은 SiCN, SiCON 및 SiN 중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진 다중 막(multi-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 전극들(GE) 상에 게이트 캐핑 패턴(GP)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캐핑 패턴(GP)은 게이트 전극(GE)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캐핑 패턴(GP)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0, 120)에 대하여 식각 선택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캐핑 패턴들(GP)은 SiON, SiCN, SiCON 및 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과 제1 활성 패턴(AP1) 사이 및 게이트 전극(GE)과 제2 활성 패턴(AP2) 사이에 강유전체 패턴(FE)이 개재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그 위의 게이트 전극(GE)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강유전체 패턴(FE)은, 제1 채널 영역(CH1)의 상면 및 양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제2 채널 영역(CH2)의 상면 및 양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게이트 전극(GE) 아래의 소자 분리막(ST)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도 2c 참조).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강유전체 패턴(FE)은, 제1 및 제2 채널 영역들(CH1, CH2) 각각의 상면 상의 제1 부분(P1), 및 제1 부분(P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P2)은 게이트 스페이서(GS)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P2)의 상면(FEt)은 게이트 전극(GE)의 상면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 패턴(FE)은 네가티브 캐패시터(음의 캐패시터)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압이 강유전체 패턴(FE)에 인가될 때, 강유전체 패턴(FE) 내부의 다이폴들(dipoles)의 이동에 의해 초기 극성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위상 변화로 인한 음의 캐패시턴스 효과(negative capacitance effect)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유전체 패턴(FE)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의 전체 캐패시턴스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스윙(Sub-threshold swing) 특성이 향상되고 동작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또는 함유된)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비율로 하프늄 산화물에 도핑됨으로써, 강유전체 패턴(FE)의 적어도 일부는 사방정계 결정 구조(Orthorhombic crystal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의 적어도 일부가 사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질 때, 음의 캐패시턴스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 내에서 사방정계 결정 구조를 갖는 부분의 부피 비율은 10% 내지 50%일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이 지르코늄이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ZrHfO)을 포함할 경우, 전제 Zr 및 Hf 원자들 중 Zr 원자의 비율(Zr/(Hf+Zr))은 45 at% 내지 55 at%일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이 실리콘이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SiHfO)을 포함할 경우, 전제 Si 및 Hf 원자들 중 Si 원자의 비율(Si/(Hf+Si))은 4 at% 내지 6 at%일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이 알루미늄이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AlHfO)을 포함할 경우, 전제 Al 및 Hf 원자들 중 Al 원자의 비율(Al/(Hf+Al))은 5 at% 내지 10 at%일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이 란탄이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LaHfO)을 포함할 경우, 전제 La 및 Hf 원자들 중 La 원자의 비율(La/(Hf+La))은 5 at% 내지 10 at%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게이트 전극들(GE)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강유전체 패턴(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강유전체 패턴(FE)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과 제1 및 제2 채널 영역들(CH1, CH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강유전체 패턴(FE)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강유전체 패턴(FE)의 제1 부분(P1)을 덮으며 제2 부분(P2)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의 상면은 강유전체 패턴(FE)의 제2 부분(P2)의 상면(FEt)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을 덮을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은 강유전체 패턴(FE)의 제2 부분(P2)의 상면(FEt)을 덮을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금속 질화막,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막(TiN) 또는 탄탈 질화막(TaN)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은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이 도핑된(또는 함유된) 금속 카바이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은 TiAlC, TaAlC, TiSiC 또는 TaS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은 그의 상부에 리세스(RS)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이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를 채울 수 있다. 배리어 패턴(BM)은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과 전극 패턴(EL)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간의 금속 원소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 패턴(BM)은 금속 질화막,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막(TiN)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패턴(EL)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및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에 비해 저항이 낮을 수 있다. 일 예로, 전극 패턴(EL)은 알루미늄(Al), 텅스텐(W), 티타늄(Ti), 탄탈륨(Ta) 중 적어도 하나의 저저항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RS)의 바닥(RSb)은 강유전체 패턴(FE)의 제2 부분(P2)의 상면(FEt)보다 높을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의 제2 부분(P2)이 챔퍼링되었기 때문에,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상부는 한 쌍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 사이를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다. 이로써,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상부에 리세스(RS)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PMOSFET 영역(P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PMOSFET 영역(P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제1 패턴(PA1), 및 제1 패턴(PA1) 상의 제2 패턴(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PA2)의 최상부의 레벨은 제1 패턴(PA1)의 최상부의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패턴(PA2)의 두께는 제1 패턴(PA1)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제1 패턴(PA1) 및 제2 패턴(PA2)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패턴(PA1) 및 제2 패턴(PA2)은 모두 티타늄 질화막(TiN)을 포함할 수 있다.
NMOSFET 영역(N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NMOSFET 영역(N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PMOSFET 영역(P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에서 제2 패턴(PA2)이 생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NMOSFET 영역(N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의 두께는 PMOSFET 영역(P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PMOSFET 영역(PR)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의 바닥(RSb)은 NMOSFET 영역(NR)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의 바닥(RSb)보다 높을 수 있다. PMOSFET 영역(PR)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은 NMOSFET 영역(NR)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NMOSFET 영역(N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의 두께가 PMOSFET 영역(PR)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이다.
PMOSFET 영역(PR) 상의 리세스(RS)의 바닥(RSb)과 강유전체 패턴(FE)의 최상부의 상면(FEt)간의 제1 높이 차이(DI1)는, NMOSFET 영역(NR) 상의 리세스(RS)의 바닥(RSb)과 강유전체 패턴(FE)의 최상부의 상면(FEt)간의 제2 높이 차이(DI2)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 높이 차이(DI1)는 제2 높이 차이(DI2)보다 클 수 있다.
기판(10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11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은 게이트 스페이서들(GS) 및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을 덮을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은 게이트 캐핑 패턴들(GP)의 상면들 및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의 상면들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게이트 캐핑 패턴들(GP)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0, 120)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게이트 전극들(GE) 사이에,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0, 120)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콘택(AC)이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콘택(AC)은 금속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몰리브데늄 및 코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과 활성 콘택(AC) 사이에 실리사이드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활성 콘택(AC)은 상기 실리사이드층을 통해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사이드층은 금속-실리사이드(Metal-Silic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티타늄-실리사이드, 탄탈륨-실리사이드, 텅스텐-실리사이드, 니켈-실리사이드, 및 코발트-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자 분리막(ST2)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20) 및 게이트 캐핑 패턴(GP)을 관통하여 게이트 전극(G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콘택(GC)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콘택(GC)은 활성 콘택(AC)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GE)과 채널 영역(CH1, CH2) 사이에 강유전체 패턴(FE)이 제공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사방정계 결정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음의 캐패시턴스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스윙 특성이 향상되고 동작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4, 도 6a, 도 8a 및 도 10a는 각각 도 3, 도 5, 도 7 및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b, 도 8b 및 도 10b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c, 도 8c 및 도 10c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d, 도 8d 및 도 10d는 각각 도 5, 도 7 및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강유전체 패턴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을 포함하는 기판(10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0)을 패터닝하여,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이 형성될 수 있다. PMOSFET 영역(PR) 상에 제1 활성 패턴들(AP1)이 형성될 수 있고, NMOSFET 영역(NR) 상에 제2 활성 패턴들(A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AP1) 사이 및 제2 활성 패턴들(AP2) 사이에 제1 트렌치(TR1)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을 패터닝하여, PMOSFET 영역(PR) 및 NMOSFET 영역(NR) 사이에 제2 트렌치(TR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TR2)는 제1 트렌치(TR1)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 제1 및 제2 트렌치들(TR1, TR2)을 채우는 소자 분리막(ST)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실리콘 산화막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상부들이 노출될 때까지 소자 분리막(ST)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의 상부들은 소자 분리막(ST) 위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을 가로지르는 희생 패턴들(PP)이 형성될 수 있다. 희생 패턴들(PP)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line shape) 또는 바 형태(bar shape)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희생 패턴들(PP)을 형성하는 것은, 기판(100)의 전면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것, 상기 희생막 상에 하드 마스크 패턴들(MA)을 형성하는 것, 및 하드 마스크 패턴들(MA)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희생막을 패터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생막은 폴리 실리콘막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 패턴들(PP) 각각의 양 측벽들 상에 한 쌍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은,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 각각의 양 측벽들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AP1, AP2) 각각의 양 측벽들은, 소자 분리막(ST) 및 희생 패턴들(PP)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을 형성하는 것은, 기판(100)의 전면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막을 콘포멀하게 형성하는 것, 및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막을 이방성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막은 SiCN, SiCON 및 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막은 SiCN, SiCON 및 SiN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다중 막(multi-layer)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제1 활성 패턴들(AP1) 각각의 상부에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희생 패턴들(PP) 각각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드 마스크 패턴들(MA) 및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을 식각 마스크로 제1 활성 패턴들(AP1)의 상부들을 식각하여, 제1 리세스 영역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AP1)의 상부들을 식각하는 동안, 제1 활성 패턴들(AP1) 각각의 양 측벽들 상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AP1)의 상부들을 식각하는 동안, 제1 활성 패턴들(AP1) 사이의 소자 분리막(ST)이 리세스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AP1)의 상기 제1 리세스 영역들의 내측벽들을 씨드층(seed layer)으로 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공정을 수행하여,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이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사이에 제1 채널 영역(CH1)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공정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또는 분자 빔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MBE)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기판(100)의 반도체 원소의 격자 상수보다 큰 격자 상수를 갖는 반도체 원소(예를 들어, SiGe)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다층의 반도체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을 형성하기 위한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공정 동안 불순물이 인-시추(in-situ)로 주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이 형성된 후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에 불순물이 주입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은 제1 도전형(예를 들어, p형)을 갖도록 도핑될 수 있다.
제2 활성 패턴들(AP2) 각각의 상부에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희생 패턴들(PP) 각각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드 마스크 패턴들(MA) 및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을 식각 마스크로 제2 활성 패턴들(AP2)의 상부들을 식각하여, 제2 리세스 영역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활성 패턴들(AP2)의 상기 제2 리세스 영역들의 내측벽들을 씨드층으로 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공정을 수행하여,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이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 사이에 제2 채널 영역(CH2)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기판(100)과 동일한 반도체 원소(예를 들어, Si)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제2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을 갖도록 도핑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과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서로 다른 공정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소스/드레인 패턴들(SD1)과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2)은 동시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 하드 마스크 패턴들(MA) 및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 패턴들(PP)의 상면들이 노출될 때까지 제1 층간 절연막(110)이 평탄화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10)의 평탄화는 에치백(Etch Back) 또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 동안, 하드 마스크 패턴들(MA)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은 희생 패턴들(PP)의 상면들 및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의 상면들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희생 패턴들(PP)이 게이트 전극들(GE)로 교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출된 희생 패턴들(PP)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희생 패턴들(PP)이 제거됨으로써 빈 공간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빈 공간들 내에 강유전체 패턴(FE),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캐핑 패턴(GP)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하여 강유전체 패턴(FE) 및 게이트 전극(GE)을 형성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희생 패턴(PP)이 제거된 빈 공간(ET)을 부분적으로 채우는 강유전체막(FEL)이 형성될 수 있다. 강유전체막(FEL)은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또는 함유된) 하프늄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강유전체막(FEL) 상에 빈 공간(ET)의 하부를 채우는 채움 물질(FM, filling material)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채움 물질(FM)을 마스크로 강유전체막(FEL)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강유전체 패턴(FE)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강유전체막(FEL)이 챔퍼링되어 강유전체 패턴(FE)이 형성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의 최상부의 상면(FEt)은 게이트 스페이서(GS)의 상면보다 낮아질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의 최상부의 상면(FEt)은 채움 물질(FM)의 상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채움 물질(FM)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 상에 제1 일함수 금속막을 형성하고, 이를 챔퍼링하여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막을 챔퍼링하는 것은,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강유전체막(FEL)의 챔퍼링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상에 빈 공간(ET)을 부분적으로 채우는 제2 일함수 금속막(WF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막(WFL2)은 빈 공간(ET)을 완전히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제2 일함수 금속막(WFL2)에 리세스(RS)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막(WFL2)의 리세스(RS)를 채우는 채움 물질(FM)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a를 다시 참조하면, 채움 물질(FM)을 마스크로 제2 일함수 금속막(WFL2)을 챔퍼링하여,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이 형성될 수 있다. 채움 물질(FM)은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의 리세스(RS)를 채우는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2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low-k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low-k 산화막은 SiCOH와 같이 탄소로 도핑된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20)은 CVD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20) 및 제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SD1, SD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활성 콘택들(A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자 분리막(ST2)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20) 및 게이트 캐핑 패턴(GP)을 관통하여 게이트 전극(G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콘택(G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도 1의 A-A'선,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강유전체 패턴(FE)과 제1 채널 영역(CH1) 사이 및 강유전체 패턴(FE)과 제2 채널 영역(CH2) 사이에 계면막(IL)이 개재될 수 있다. 계면막(IL)은 소자 분리막(ST)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제1 활성 패턴(AP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막(IL)은, 제1 채널 영역(CH1)의 상면 및 양 측벽들을 직접 덮을 수 있다. 계면막(IL)은 소자 분리막(ST)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제2 활성 패턴(AP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막(IL)은, 제2 채널 영역(CH2)의 상면 및 양 측벽들을 직접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계면막(IL)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각각 도 15의 A-A'선,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일 영역 상에 활성 패턴들(AP)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의 상기 일 영역은 로직 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로직 셀 영역 상에 로직 회로를 구성하는 로직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 소자 분리막(ST)이 제공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기판(100)의 상부에 활성 패턴들(AP)을 정의할 수 있다. 활성 패턴들(AP)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활성 패턴들(AP) 사이의 트렌치(TR)를 채울 수 있다. 소자 분리막(ST)의 상면은 활성 패턴들(AP)의 상면들보다 더 낮을 수 있다.
활성 패턴(AP) 상에, 소스/드레인 패턴들(SD), 및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소스/드레인 패턴들(SD) 사이에 개재된 채널 패턴(CHP)이 제공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기판(100)의 상면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서로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드레인 패턴들(SD)은,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 각각의 일 측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소스/드레인 패턴들(SD)을 연결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패턴(CHP)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다른 최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반도체 패턴(SP1)의 제2 방향(D2)으로의 최대 길이는 제1 길이일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SP2)의 제2 방향(D2)으로의 최대 길이는 제2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및 실리콘-게르마늄(Si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은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도체 패턴들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소스/드레인 패턴들(SD)은, 채널 패턴(CHP)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 및 활성 패턴(AP)을 씨드층으로 하여 형성된 에피택시얼 패턴일 수 있다. 일 예로, 소스/드레인 패턴(SD)은 그의 중간부(middle portion)에서 제2 방향(D2)으로의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6a 참조). 소스/드레인 패턴(SD)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은, 그의 상부에서 상기 중간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 패턴(SD)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은, 상기 중간부에서 그의 하부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 패턴들(SD)은 p형의 불순물 영역들 또는 n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일 예로, 소스/드레인 패턴들(SD)은 SiGe 또는 Si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을 가로지르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들(GE)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GE)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채널 패턴(CHP)과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의 양 측벽들 상에 한 쌍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상에 게이트 캐핑 패턴(GP)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 전극들(GE)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각각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을 둘러쌀 수 있다 (도 16b 참조). 다시 말하면,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 각각의 상면, 바닥면 및 양 측벽들을 둘러쌀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올-어라운드(Gate-All-Around)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과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사이에 강유전체 패턴(FE)이 제공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각각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을 둘러쌀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활성 패턴(AP)의 상부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소자 분리막(ST)과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의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 사이에 제1 공간(SA1)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하게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반도체 패턴들(SP1, SP2, SP3) 사이에 제1 공간(SA1)이 정의될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 및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이 제1 공간(SA1)을 채울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은 제1 공간(SA1)을 콘포멀하게 채울 수 있다.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은, 강유전체 패턴(FE)을 제외한 제1 공간(SA1)의 남은 영역을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배리어 패턴(BM) 및 전극 패턴(EL)은 제1 공간(SA1)을 채우지 못할 수 있다. 제1 공간(SA1) 내의 강유전체 패턴(FE)은 소스/드레인 패턴(SD)과 접할 수 있다 (도 16a 참조). 다시 말하면, 제1 공간(SA1) 내의 강유전체 패턴(FE)은 게이트 전극(GE)과 소스/드레인 패턴(SD)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채널 패턴(CHP)의 최상부의 반도체 패턴, 즉 제3 반도체 패턴(SP3) 상에 제2 공간(SA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공간(SA2)은, 한 쌍의 게이트 스페이서들(GS), 게이트 캐핑 패턴(GP) 및 제3 반도체 패턴(SP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강유전체 패턴(FE),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및 전극 패턴(EL)이 제2 공간(SA2)을 채울 수 있다. 제2 공간(SA2)을 채우는 강유전체 패턴(FE), 제1 일함수 금속 패턴(WF1), 제2 일함수 금속 패턴(WF2) 및 전극 패턴(EL)의 형태는, 앞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제1 층간 절연막(110) 및 제2 층간 절연막(12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110, 120)을 관통하여 소스/드레인 패턴들(SD)에 연결되는 활성 콘택들(AC)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활성 패턴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일함수 금속 패턴;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 및
    상기 리세스를 채우며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보다 낮은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상의 게이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활성 패턴의 상면 상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 내에서 사방정계 결정 구조를 갖는 부분의 부피 비율은 10% 내지 50%인 반도체 소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은 금속 질화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은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이 함유된 금속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활성 패턴을 정의하는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 패턴의 상부는 상기 소자 분리막 위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활성 패턴의 상기 상부의 상면 및 양 측벽들 상에 제공된 반도체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패턴 상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하게 적층된 한 쌍의 반도체 패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강유전체 패턴 및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은, 상기 한 쌍의 반도체 패턴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반도체 소자.
  9. 제1 활성 패턴 및 제2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패턴 상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과의 높이 차이는, 상기 제2 활성 패턴 상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과 상기 강유전체 패턴의 최상부의 상면과의 높이 차이와 다른 반도체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상의 게이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제1 활성 패턴의 상면 상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 내에서 사방정계 결정 구조를 갖는 부분의 부피 비율은 10% 내지 50%인 반도체 소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리세스를 채우며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2 활성 패턴 상에 각각 제공된 제1 소스/드레인 패턴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패턴들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소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함수 금속 패턴은,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패턴 상의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2 활성 패턴 상의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의 두께와 다른 반도체 소자.
  16. 활성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활성 패턴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상의 게이트 스페이서; 및
    상기 활성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강유전체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활성 패턴의 상면 상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의 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강유전체 패턴 상의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및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 상의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은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을 덮는 반도체 소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의 상부에 정의된 리세스를 채우는 전극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보다 낮은 반도체 소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지르코늄(Zr), 실리콘(Si), 알루미늄(Al)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함수 금속 패턴은 금속 질화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일함수 금속 패턴은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이 함유된 금속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활성 패턴을 정의하는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 패턴의 상부는 상기 소자 분리막 위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강유전체 패턴은, 상기 활성 패턴의 상기 상부의 상면 및 양 측벽들 상에 제공된 반도체 소자.
KR1020190005360A 2018-07-06 2019-01-15 반도체 소자 KR10261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05708PA SG10201905708PA (en) 2018-07-06 2019-06-20 Semiconductor device
US16/503,790 US10985275B2 (en) 2018-07-06 2019-07-05 Semiconductor device
CN201910603103.XA CN110690199B (zh) 2018-07-06 2019-07-05 半导体器件
JP2019125748A JP2020010036A (ja) 2018-07-06 2019-07-05 半導体素子
US17/176,248 US11411106B2 (en) 2018-07-06 2021-02-16 Semiconductor device
US17/862,961 US11888063B2 (en) 2018-07-06 2022-07-12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66 2018-07-06
KR20180078866 2018-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85A KR20200010985A (ko) 2020-01-31
KR102615708B1 true KR102615708B1 (ko) 2023-12-21

Family

ID=6936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60A KR102615708B1 (ko) 2018-07-06 2019-01-15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5708B1 (ko)
SG (1) SG10201905708P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47B1 (ko) * 2014-06-26 2021-02-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56429B (zh) * 2014-07-10 2016-11-01 台灣積體電路製造股份有限公司 積體電路裝置與其形成方法
KR102416133B1 (ko) * 2016-01-11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85A (ko) 2020-01-31
SG10201905708PA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107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690287B (zh) 半导体器件
US11569350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12289862A (zh) 具有多个阻挡图案的半导体装置
US1188806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194899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78805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4003030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5911044A (zh) 半导体器件
CN108461494B (zh) 包括凹入式栅电极部分的半导体器件
KR102615708B1 (ko) 반도체 소자
KR102554708B1 (ko) 반도체 소자
US2023023104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40088264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40178293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4023454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40074155A1 (en) Semiconductor device
CN116504784A (zh) 半导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