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45B1 -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45B1
KR102615245B1 KR1020160117613A KR20160117613A KR102615245B1 KR 102615245 B1 KR102615245 B1 KR 102615245B1 KR 1020160117613 A KR1020160117613 A KR 1020160117613A KR 20160117613 A KR20160117613 A KR 20160117613A KR 102615245 B1 KR102615245 B1 KR 10261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housing
plates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539A (ko
Inventor
백수진
계용찬
김성순
이건학
조승선
윤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우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1 발열 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2 발열 장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장치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 받는 방열 장치;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ING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 중 하나인 프로젝터는 영상 정보가 투사되는 부분으로부터 화면이 구현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등 다양한 전자 부품과, 다양한 전자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다양한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출력, 음향출력 등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다수의 발열 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 열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의 수명 단축,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과도하게 과열된 전자 장치를 터치하는 경우,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프로젝터 및 무선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프로젝터는 광원부에 의해 광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과정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과도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프로젝터는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열판과 무선 충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방열판을 구성하여, 각각의 방열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팬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터가 복수의 방열팬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젝터 자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더불어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열팬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발열 장치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방출시키면서도 전자 장치 자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방열팬 대신 하나의 방열팬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방열팬 대신 하나의 방열팬을 이용함에 따라, 소음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방열팬 대신 하나의 방열팬을 이용함에 따라,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1 발열 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2 발열 장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장치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 받는 방열 장치;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발열 장치와 제2 발열 장치에서 발생된 방열 장치에서 전달받아, 복수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열 장치와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단열 장치가 구비되어, 제1 방열 장치에서 발생된 제1 열과 제2 방열 장치에서 발생된 제2 열 각각을 제1 방열 장치와 제2 방열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열 장치에 의해 제1 발열 장치와 제2 발열 장치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함에 따라, 제1, 제2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어 냉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의 방열팬을 이용함에 따라, 복수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팬을 구비한 종래의 전자 장치에 비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방열팬을 구비한 전자 장치는, 복수의 방열팬을 구비한 종래의 전자 장치에 비해, 전자 장치의 내부의 크기를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와 제1, 제2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 제1, 제2 방열 장치와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 제1, 제2 발열 장치와 제1, 제2 방열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열의 흐름과 외부 공기의 유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 제1, 제2 방열 장치와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01), 광원부(102), 화상변환부(103), 투사부(104), 회로 기판(105), 방열 장치(106, 108), 단열 장치(169), 무선 충전 장치(107) 및 방열팬(10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광원부(102), 화상변환부(103), 투사부(104), 회로 기판(105), 무선 충전 장치(107), 방열 장치(106, 108), 단열 장치(169) 및 방열팬(109)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기본적으로 정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1)은 제1 면(111a), 상기 제1 면(111a)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 면(111f), 상기 제1 면(111a)으로부터 상기 제2 면(111f)까지 연장되는 측면(111b, 111c, 111d, 111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111f)은 책상, 지면 등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자 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이 정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측면(111b, 111c, 111d, 111e)들은 4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101)의 형태는 정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10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glass)와 같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원부(102)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면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2)는 램프(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광을 필터(미도시), 렌즈(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레드(red), 블루(blue), 그린(green)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원부(102)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레드, 블루, 그린에 한정되지 않고, 백색광일 수도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103)는 상기 광원부(102)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103)는 실리콘 상층 액정(liquid crystal on silicon),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미세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러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광학적인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103)는 실리콘 상층 액정,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 미세전자기계 시스템 미러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광학적인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103)는 상기 광원부(102)로부터 출력된 광을 제공받아 투영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사부(104)는 상기 하우징(101)에 수용되고, 상기 투사부(104)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하나(111e)에 형성된 관통홀(111g)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투사부(104)는 복수의 렌즈(미도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부(104)는 상기 화상변환부(103)로부터 제공받은 투영 화상을 외부로 확대하여 투사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111b, 111e)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10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제1 회로 기판(151)과 제2 회로 기판(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151)과 상기 제2 회로 기판(153)은 상기 광원부(102)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111b, 111e)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111b, 111e)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151)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광원부(102)로부터 광을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변환부(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상변환부(103)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153)는 외부기기(예: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등)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153)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을 통해 상기 제1 회로 기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제1 회로 기판(151)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로 기판(153)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1 면(11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1 면(111a)과 상기 광원부(10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면(111a)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는 지지부(171) 및 코일(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1)는 상기 코일(17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173)은 평판형 코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일(173)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173)은 상기 회로 기판(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 기판(105)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코일(173)은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 유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173)로부터 발생된 전자기 유도는 외부의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은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17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투영 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고, 외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102)는 광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하는 제1 발열 장치(102)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는 상기 코일(173)에 의해 전자기 유도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하는 제2 발열 장치(107)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제2 발열 장치가 상기 광원부(102),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자 장치(100)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방열 장치(106, 108)는 상기 제1 발열 장치(102)와 접촉되는 제1 방열 장치(106) 및 상기 제2 발열 장치(107)와 접촉되는 제2 방열 장치(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방열 장치(106)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또는 합금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발열 장치(102)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63)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발열 장치(102)의 측면(12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63)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발열 장치(102)의 측면(12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 장치(108)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부(171)가 안착되어, 상기 제2 방열 장치(108)과 상기 제2 발열 장치(107)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열 장치(169)는 상기 제1 방열 장치(106)과 상기 제2 방열 장치(1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장치(169)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열 장치(106), 상기 단열 장치(169) 및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109)은 상기 방열 장치(106, 108)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열팬(109)은 상기 제1 방열 장치(106)의 끝 부분(165)과 상기 제2 방열 장치(108)의 끝 부분(18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109)는 상기 회로 기판(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방열팬(109)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통로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온도 센서(125) 및 제2 온도 센서(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125)는 상기 광원부(102)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102)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125)는 상기 회로 기판(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온도 신호를 상기 회로 기판(105)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센서(175)는 상기 지지부(171)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171)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센서(175)는 상기 회로 기판(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온도 신호를 상기 회로 기판(105)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와 제1, 제2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 제1, 제2 방열 장치와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발열 장치(예: 상기 광원부(102))는 상기 접촉부(163)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열(①)이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발열 장치(예: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는 상기 제2 방열 장치(108)의 일면(181)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열(②)이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①)은 상기 단열 장치(169)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를 통해 상기 제2 발열 장치(107)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②)도 상기 단열 장치(169)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열(①)과 상기 제2 열(②) 각각은 상기 단열 장치(169)에 의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열 장치(106)와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로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는 복수의 플레이트(106a, 106b, 106c, 106d, 106e, 106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06a, 106b, 106c, 106d, 106e, 106f)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통로(168)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열 장치(102, 도 3)의 제1 열(①)은 상기 접촉부(163)를 통해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으로 전달된 제1 열(①)은 상기 제1 통로(168)들에 존재하는 공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106a, 106b)는 분절되어 공간(168a, 168b, 168c)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168a, 168b, 168c)들은 상기 제1 통로(168)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공간(168a, 168b, 168c)들은 상기 제1 발열 장치(102, 도 3)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복수의 플레이트(108a, 108b, 108c, 108d, 108e, 108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08a, 108b, 108c, 108d, 108e, 108f)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통로(188)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 장치(108)으로 전달된 제2 열(②)은 상기 제2 통로(188)들에 존재하는 공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109)은 상기 제1 통로(168)와 상기 제2 통로(188)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켜, 상기 제1, 제2 열(①, ②)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열(①)의 온도가 상기 제2 열(②)의 온도보다 과도하게 높은 경우,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를 통해 상기 제2 발열 장치(107, 도 3)에 전달되어 상기 제2 발열 장치(107)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열 부재(169)는 상기 제1 방열 장치(106)과 상기 제2 방열 장치(108)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열(①)이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를 통해 상기 제1 발열 장치(107, 도 3)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열(①, ②) 각각은 상기 단열 장치(169)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투사부(104)에 의해 투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에 의해 외부 전자 기기(1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기기(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외부 전자 기기(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멀티 미디어 재생기 등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106)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예: 상기 광원부(102))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발열 장치(102)로부터 발생된 제1 열(①)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제2 방열 장치(108)는 상기 제2 발열 장치(107)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발열 장치(107)로부터 발생된 제2 열(②)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열(①)과 상기 제2 열(②)은, 상기 제1 방열 장치(106)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방열 장치(108)의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으로 전달되고, 상기 통로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109)는 상기 통로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켜, 상기 제1 열(①)과 상기 제2 열(②) 각각을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제2 열(①, ②)은 상기 제1 방열 장치(106)와 상기 제2 방열 장치(108) 각각을 통해 이동된 후, 하나의 방열팬(109)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를 구성하는 지지부(171)는 차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물질은, 상기 코일(173)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상기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예: 상기 광원부(102, 도 1), 상기 화상변환부(103, 도 1) 또는 상기 회로 기판(105) 등)의 구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물질은 상기 코일(173)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105)은 상기 제1 회로 기판(151)과 상기 제2 회로 기판(153)을 연결하는 제3 회로 기판(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로 기판(155)은 유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어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153)은 외부의 커넥터(C1, C2, C3)들과 접속할 수 있다. 전기적인 영상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외부의 커넥터(C1, C2, C3)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2 회로 기판(15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커넥터(C1, C2, C3)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투사부(104)를 통해 투사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제1 면(111a)에는 외부의 전자 기기(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10)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7, 도 4)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 중 하나(111d)에는 복수의 배출구(1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113)들은 상기 방열팬(109)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열(①, ②)은 상기 방열팬(10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출구(113)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111b, 111c)에는 복수의 유입구(114, 115, 11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입구(114, 115, 116)들은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양 끝 부분(165, 166, 185, 186, 도 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106, 108, 도 1)는 상기 복수의 유입구(114, 115, 116)들을 통해 외부의 공기(③, ④)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 제1, 제2 발열 장치와 제1, 제2 방열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열의 흐름과 외부 공기의 유입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1)의 유입구(114, 115, 도 8)들로부터 공급된 외부의 공기(③)는 상기 통로(168, 188)들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공기(③)는 상기 제1, 제2 열()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공기(③)는, 상기 통로(168, 188)들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제2 열(①, ②)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유입구(116, 도 8)들로부터 공급된 외부의 공기(④)는 상기 방열팬(109)에 인접한 제1, 제2 방열 장치(106, 108)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공기(④)는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106, 108)들을 따라 이동된 제1, 제2 열(①, ②)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공기(③, ④)는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106, 108)의 통로(168, 188)들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제2 열(①, ②)을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201), 광원부(202), 투사부(204), 무선 충전 장치(207), 방열 장치(206, 208) 및 방열팬(2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기로 하고, 단열 장치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열 장치(269)는 제1 단열 장치(269a), 제2 단열 장치(269b) 및 제3 단열 장치(269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장치(269a)는 상기 제1 방열 장치(206)와 상기 제2 방열 장치(2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 장치(269b)는 상기 제1 단열 장치(269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방열 장치(208)의 측면과 상기 제1 발열 장치(202)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열 장치(269c)는 상기 제2 단열 장치(269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202)의 상면과 상기 제2 방열 장치(2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열 장치(269)는 상기 제1 방열 장치(206)와 상기 제2 방열 장치(208)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발열 장치(206)와 상기 제2 방열 장치(208)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제2 발열 장치, 제1, 제2 방열 장치와 단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열(①)은 상기 단열 장치(269a, 269b, 269c)에 의해 상기 제2 방열 장치(208)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202)로부터 상기 제1 방열 장치(206)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②)은 상기 단열 장치(269a, 269b, 269c)에 의해 상기 제1 발열 장치(202) 및 상기 제2 방열 장치(208)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제2 발열 장치(207)로부터 상기 제2 방열 장치(208)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 장치(269a, 269b, 269c)는 상기 제2 열(②)이 상기 제1 발열 장치(208)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제1 발열 장치(208)의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P10)은 제1 열과 제2 열이 발생되는 동작(P11), 제1 열이 제1 방열 장치로 이동되는 동작(P13), 제2 열이 제2 방열 장치로 이동되는 동작(P15), 제1 방열 장치와 제2 방열 장치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 동작(P17) 및 제1, 제2 열 각각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P1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일 수 있다.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이 발생되는 동작(P11)은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열은 상기 제1 발열 장치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제2 발열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1 방열 장치로 이동되는 동작(P13)은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1 방열 장치가 접촉됨에 따라, 열전달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열이 상기 제2 방열 장치로 이동되는 동작(P15)은 상기 제2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가 접촉됨에 따라, 열전달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 동작(P17)은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된 단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열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제2 열이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열 각각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P17)은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방열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하우징(미도시), 광원부(302), 화상변환부(303), 투사부(305), 무선 충전 장치(307), 방열 장치(306, 308) 및 방열팬(30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기로 한다.
상기 방열 장치(306, 308)는 제1 방열 장치(306) 및 제2 방열 장치(30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306)는 상기 제2 방열 장치(308)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1 방열 장치(306)를 통해 상기 제2 방열 장치(308)까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과 함께 상기 제2 방열 장치(308)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이 상기 제2 방열 장치(308)를 통해 상기 제1 방열 장치(306)까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제2 방열 장치(308)과 함께 상기 제2 방열 장치(308)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상기 제1 열 또는 상기 제2 열을 하나로 연결된 방열 장치(306, 308)를 통해, 하우징(301)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이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에서 이동되는 전술한 실시예에 달리, 상기 제1 방열 장치(306)과 함께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장치(306, 308)는 회로 기판과 장착된 전자 부품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프로세서 등 접적회로 칩일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과정에서 제3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 장치(306, 308)는 상기 전자 부품과 접촉하여 상기 제3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363)는 상기 광원부(302)의 상면(예: 상기 하우징의 제1 면과 평행한 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363)가 상기 광원부(302)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1 방열 장치(306)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363)는 상기 광원부(302)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원부(302)의 다른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3 발열 장치(303) 및 상기 제3 발열 장치(303)의 측면에 배치된 제3 방열 장치(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열 장치(303)는 예를 들면, 화상변환부(303)일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는 상기 화상변환부(303)의 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의 방열 장치(333)는 상기 화상변환부(303)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방열 장치(333)는 상기 제1 방열 장치(306)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308)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308)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3 방열 장치(333)는 제1 방열 장치(306)의 플레이트들과 평행한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플레이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3 통로(336)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의 플레이트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로(336)는 상기 제1 방열 장치(306)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제1 통로(36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는 상기 화상변환부(303)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화상변환부(303)로부터 제3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3 열은 상기 제3 통로(336)를 통해 상기 제1 통로(368)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368)로 이동된 제3 열은 방열팬(309, 도 14a)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방열 장치(333)는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방열 장치(333)는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306, 308)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제3 열은 상기 제2 방열 장치(308)로 이동된 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1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제3 방열 장치(333a)는 제1 방열 장치(306a)의 플레이트들과 평행한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플레이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3 통로(336a)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a)는 방열팬(309)과 상기 제1 방열 장치(306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로(336a)는 상기 제1 방열 장치(306a)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제1 통로(368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306)의 열은 상기 제1 통로(368a)와 상기 제3 통로(336a)를 경유하여 상기 방열팬(309)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a)의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의 열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d를 참조하면, 제3 방열 장치(333b)는 제1 방열 장치(306b)의 플레이트들 중 일부와 평행한 복수의 플레이트들 및, 제2 방열 장치(308)의 플레이트들 중 일부와 평행한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의 플레이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3 통로(336b)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로(336b)는 상기 제1 방열 장치(306b)의 제1 통로(368b)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로(336b)는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제2 통로(308b)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 장치(306b)의 열은 상기 제1 통로(368b) 및 상기 제3 통로(336b)의 일부를 경유하여 방열팬(309)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b)의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b)의 열과 함께 상기 제3 통로(336b)의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열은 상기 제2 통로(308b) 및 상기 제3 통로(336b)의 다른 일부를 통해 방열팬(309)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열 장치(333b)의 다른 열은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열과 함께 상기 제3 통로(336b)의 다른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방열 장치(336b)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1 방열 장치(306b)의 플레이트들 중 일부와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플레이트들 중 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방열 장치(336b)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의 플레이트들 전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열 장치(336b)는 상기 제1 방열 장치(306b)와 상기 방열팬(309) 사이에 배치되면서 더불어 상기 제2 방열 장치(308)와 상기 방열팬(30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 도 1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01), 광원부(402), 화상변환부(403), 무선 충전 장치(407), 방열팬(409), 제1 온도 센서(411) 및 제2 온도 센서(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예: 광원부(402), 화상변환부(403), 무선 충전 장치(407), 방열팬(409), 제1 온도 센서(411) 및 제2 온도 센서(413))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2)는 상기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402)의 제1 열의 온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02)는 상기 광원부(402)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광원부(40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상기 광원부(402)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최대의 온도값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상변환부(403)는 상기 프로세서(401)로부터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광원부(402)로부터 광을 투사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407)는, 상기 프로세서(401)에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전자 장치(예: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01)는 인접센서 또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407)에 인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407)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407)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팬(409)은 상기 프로세서(401)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402)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407)의 구동시,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방열팬(409)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방열팬(409)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411)는 상기 광원부(402)의 제1 열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프로세서(40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402)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센서(413)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407) 의 제2 열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상기 프로세서(40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1)는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407)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태는 전원 공급 상태(S10), 대기 상태(S11), 동작 상태(S13), 경고 상태(S15) 및 전원 차단 상태(S17)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원 공급 상태(S10)는 상기 전자 장치(300, 도 9)의 전원 키를 작동시켜 상기 전자 장치(300, 도 9)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0, 도 9)는 전원 키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의 전자 기기(예: 리모 컨트롤러,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전원 공급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대기 상태(S11)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S10) 이후, 상기 광원부(302, 도 9), 상기 화상변환부(303, 도 9), 상기 무선 충전 장치(307, 도 9)와 상기 방열팬(309, 도 9)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대기 상태(S11)는 상기 프로세서(301), 상기 제1 온도 센서(311, 도 9)와 상기 제2 온도 센서(313, 도 9)가 구동되어 상기 광원부(302, 도 9)와 상기 무선 충전 장치(307)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S13)는, 상기 대기 상태(S11) 이후, 상기 광원부(302, 도 9)와 상기 무선 충전 장치(307)가 동작되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S13)에서는 상기 프로세서(301, 도 9)가 상기 방열팬(309, 도 9)를 구동시켜 상기 전자 장치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자 장치(300, 도 9)는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대기 상태(S11)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300, 도 9)는 외부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설정 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는 경우,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대기 상태(S11)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시간(예: 1 시간)일 수 있다.
상기 경고 상태(S11)는 상기 제1 온도 센서(311, 도 9)와 상기 제2 온도 세선(313, 도 9) 각각이 상기 광원부(302, 도 9)에서 발생되는 제1 열의 제1 온도와 상기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300)의 구동을 중지시켜, 열에 의한 성능 저하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1 발열 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2 발열 장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장치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 받는 방열 장치;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장치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는 제1 방열 장치; 및 상기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는 제2 방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열 장치는 제1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발열 장치는 제2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제2 방열 장치로 이동되고,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2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2 열이 상기 제1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제2 열 각각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 장치; 상기 제1 단열 장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열 장치의 측면과 상기 제1 발열 장치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 장치; 및 상기 제2 단열 장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 단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장치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통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통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발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3 발열 장치; 및 상기 제3 발열 장치에 연결되는 제3 방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열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3 발열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제1 방열 장치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발열 장치 및 상기 방열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연장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프로세서가 장착되는 제1 회로 기판; 복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제2 발열 장치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방열팬과 상기 제1, 제2 발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열 장치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 장치이고, 상기 제2 발열 장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양 끝단에 인접하는 측면에 복수의 유입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팬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열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배출구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발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상기 제1 발열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01: 하우징
102: 제1 발열 장치 103: 화상변환부
104: 투사부 106, 108: 방열 장치
169: 단열 장치 109: 방열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1 발열 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2 발열 장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장치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 받는 방열 장치;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장치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는 제1 방열 장치; 및
    상기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는 제2 방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열 장치는 제1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발열 장치는 제2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열은 상기 제1 방열 장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제2 방열 장치로 이동되고,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1 열이 상기 제2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2 열이 상기 제1 발열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제2 열 각각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 장치;
    상기 제1 단열 장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열 장치의 측면과 상기 제1 발열 장치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 장치; 및
    상기 제2 단열 장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 단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장치 또는 상기 제2 방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통로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통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양 끝단에 인접하는 측면에 복수의 유입구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열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배출구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발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상기 제1 발열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 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열을 전달받는 제1 방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 열을 발생시키는 제2 발열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열을 전달받는 제2 방열 장치;
    상기 제1 방열 장치와 상기 제2 방열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발열 장치와 상기 제2 발열 장치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 장치; 및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방열 장치에 전달된 제1, 제2 열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열 장치는,
    상기 제1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방열 장치의 복수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열 장치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 장치이고,
    상기 제2 발열 장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인 전자 장치.
KR1020160117613A 2016-09-12 2016-09-12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613A KR102615245B1 (ko) 2016-09-12 2016-09-12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613A KR102615245B1 (ko) 2016-09-12 2016-09-12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39A KR20180029539A (ko) 2018-03-21
KR102615245B1 true KR102615245B1 (ko) 2023-12-19

Family

ID=6190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613A KR102615245B1 (ko) 2016-09-12 2016-09-12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08B1 (ko) * 2020-02-26 2020-09-16 (주) 일렉트로스미스 프로젝터 하우징
KR102387445B1 (ko) * 2022-02-11 2022-04-18 유영검사 주식회사 절연 피복체의 열 변형 방지 구조가 구비된 비파괴 검사용 자화장치
WO2023181311A1 (ja) * 2022-03-24 2023-09-28 シャープ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375B2 (ja) * 2011-03-23 2013-07-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101423028B1 (ko) * 2013-05-14 2014-07-2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착탈식 무선 충전장치와 이 무선 충전장치를 착탈식으로 내장하는 셋톱박스
JP2016051802A (ja) * 2014-08-29 2016-04-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この光源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375B2 (ko) * 1972-07-04 1977-09-02
KR100531804B1 (ko) * 2002-12-1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 시스템
KR100653535B1 (ko) * 2005-03-30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 구조체 및 그 덕트 구조체를 이용한 프로젝터시스템의 냉각장치
KR20100121973A (ko) * 2009-05-1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투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375B2 (ja) * 2011-03-23 2013-07-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101423028B1 (ko) * 2013-05-14 2014-07-2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착탈식 무선 충전장치와 이 무선 충전장치를 착탈식으로 내장하는 셋톱박스
JP2016051802A (ja) * 2014-08-29 2016-04-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この光源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39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245B1 (ko) 복수의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33411B (zh) 電腦內部架構
CN101398601B (zh) 散热装置
KR101850868B1 (ko) 히트 싱크 요소로서의 노트북 금속 힌지
US8684535B2 (en) Cooling unit including base plates each having a radiating fins that has an extending portion to extend over an adjacent base plate, and projector
US9952487B2 (en) Projector
KR102412039B1 (ko) 음향 장치를 이용한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6276832A (ja) プロジェクタ
TWM447998U (zh) 微型光學影像裝置
JP2008058654A (ja) 投影側光学系及びプロジェクタ
US20090096996A1 (en) Heat radiation structure for portable projector
CN108427239B (zh) 光源装置及投影装置
JP5495026B2 (ja) 半導体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12208205A (ja) 半導体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120021086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냉각방법
JP2011133789A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15052791A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5534306B2 (ja) 半導体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7041414A (ja) 電子機器
JP6321148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TWM451566U (zh) 微型光學影像裝置
JP2008268616A (ja) 冷却装置を備えた投写型表示機器
JP4973913B2 (ja) 排気温低減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2015082582A (ja) 電子機器
JP2016033668A (ja) 半導体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