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077B1 -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077B1
KR102615077B1 KR1020200158949A KR20200158949A KR102615077B1 KR 102615077 B1 KR102615077 B1 KR 102615077B1 KR 1020200158949 A KR1020200158949 A KR 1020200158949A KR 20200158949 A KR20200158949 A KR 20200158949A KR 102615077 B1 KR102615077 B1 KR 10261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isplay panel
base
tray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617A (ko
Inventor
이이원
황정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5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공정간 이송 과정이나 검사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용, 지지 또는 취급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용되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시트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안착부와 쌍을 이루어 교대로 구비되어 캐리어의 분리 작업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작업을 위한 영역으로 제공되는 분리검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를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안착된 상태의 어셈블리가 일체로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TRAY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공정간 이송 과정이나 검사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용, 지지 또는 취급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각종 IT 기기에는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방식의 사용을 가능케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분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에는 통상 해당 패널을 트레이에 안착시켜 각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검사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 지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글라스 등과 같이 인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소형의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의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취급하는데 적합한 전용의 공정 트레이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는 에어러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소형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용으로 제공되어 운반 또는 검사 과정에서 패널을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수용 지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패널 규격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의 경우, 항상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시 수용 지지하는 것을 예정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단수 단위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취급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이 제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처리 또는 검사 공정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시에 취급시 인접 패널 간 전기적 신호의 간섭 노이즈에 수반된 문제점이 있으며, 처리 또는 검사 공정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 패널만 추출하여 별도 공정서 취급하기가 곤란하기도 하거니와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작업자 인체 등과의의 직접적인 접촉이 수반되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의 트레이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면 소정 범위에서 변경된 패널 규격에 적용이 가능하기는 하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델이나 형상이 대폭적으로 변경된 경우 그 전용(轉用)이 어려워 전체 트레이에 대한 설계를 완전히 새롭게 해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 제조 및 운용에 있어서도 한계를 갖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935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가 갖는 한계 내지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취급하여 처리 또는 검사 공정의 작업 단위로 하는 것을 가능케 하면서도, 필요시 단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작업 단위로 하거나 또는 하나의 작업 단위로 예정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오염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독립된 작업 단위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요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용되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시트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안착부와 쌍을 이루어 교대로 구비되어 캐리어의 분리 작업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작업을 위한 영역으로 제공되는 분리검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를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안착된 상태의 어셈블리가 일체로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자력 방식으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안착부와 상기 캐리어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구비되는 자성편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성편 쌍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시트부 주연에 형성되는 핀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홀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베이스로 분리하는 동작시 외부 픽커 또는 슬라이딩 장치의 핀이 삽입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시트부 주연에 형성되는 파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홈은 캐리어 취급시 작업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시트부 외연으로부터 외측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캐리어 취급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분리검사부의 가운데는 중공 형상이며, 상기 중공 형상 내부로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PCB 단자가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분리검사부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레그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형성된 반대쪽 하면에 형성된 적층홈;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베이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쪽 베이스의 스페이서가 윗쪽 베이스의 적층홈에 수용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는 캐리어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용되는 캐리어와 이러한 캐리어가 복수로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가 자성부재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탈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상기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안착된 상태의 어셈블리가 일체로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함과 동시에, 이와 별도로 상기 캐리어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취급하여 처리 또는 검사 공정의 작업 단위로 하는 것을 가능케 하면서도, 필요시 단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작업 단위로 하거나 또는 하나의 작업 단위로 예정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오염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독립된 작업 단위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된 캐리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단 적층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의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20)(이하, '트레이(20)'로 약칭 한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도시된 캐리어(21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21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2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210)를 베이스(22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단 적층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20)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트레이(20)는 캐리어(210); 베이스(220); 및 고정수단(2130, 223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캐리어(210)는 고정수단(2130, 2230)에 의해 베이스(220)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베이스(220)에는 복수의 캐리어(21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캐리어(210) 개수에 대응되어 고정수단(2130, 2230)도 복수로 구비된다.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베이스(220)에 5개 세트의 캐리어(210)가 안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2130, 2230)은 상기 캐리어(210)와 베이스(220) 간 착탈과정에서 관련된 부품 요소의 손상을 수반하지 않도록 자력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캐리어(210)와 베이스(220)는 트레이(20)의 경량화 및 강성 목적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캐리어(210)와 베이스(220) 간 자력방식의 결합을 위해서는 캐리어(210) 및 베이스(220)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구비되는 자성편(2132a, 2232a; 2132b, 2232b)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편(2132a, 2232a; 2132b, 2232b) 쌍은 캐리어(210) 및 베이스(220) 단위에서 복수가 한 세트를 이루어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세트의 자성편(2132a, 2232a; 2132b, 2232b) 쌍이 해당 캐리어(210) 및 베이스(220)에 대응하는 하나의 고정수단(2130, 2230)으로 기능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한 세트 자성편(2132a, 2232a; 2132b, 2232b) 쌍이 캐리어(210) 및 베이스(220) 각각에서 3개로 예시되어 있으며(2개의 원형 자성편, 1개의 장방형 자성편), 자성편(2132a, 2232a; 2132b, 2232b) 쌍이 캐리어(210) 및 베이스(220)에 장착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캐리어(210)는 처리 또는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수용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그 자체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캐리어(210)는 프레임 형태의 몸체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수용되는 시트부(2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기 시트부(2110)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120; 2120a, 2120b);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2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수용되는 곳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시트부(2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으로 테두리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가운데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다. 시트부(2110)의 일측에는 디스플레패널(10)의 PCB(11)가 검사 등의 목적으로 시트부(211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그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부(21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110) 주연에는 상술한 고정수단(2130)으로 제공되는 한 세트의 자성편(2130; 2132a, 2132b)이 설치되는 복수의 장착홈(2116; 2116a, 2116b)이 기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210)의 저면에는 자성편(2130; 2132a, 2132b)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장착홈(2116; 2116a, 2116b)이 제공되며, 이 중 시트부(2110)의 주연의 인접한 양쪽 변에 형성된 원형 장착홈(2116; 2116a)에는 원형 자성편(2130; 2132a)이 삽입 설치되며, 양쪽 변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 나머지 장방형 장착홈(2116; 2116b)에는 장방형 자성편(2130; 2132b)이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3점에서 고정 지지되는 자성편(2130; 2132a, 2132b)의 배치 및 설치에 의해 캐리어(210)는 베이스(220)의 안착부(2211)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보다 확실히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2116; 2116a, 2116b)에 대응되는 익스트랙션홀(2117)이 장착홈(2116; 2116a, 2116b)이 형성된 캐리어(210)의 반대쪽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장착홈(2116; 2116a, 2116b)의 바닥면으로 연통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익스트랙션홀(2117)은 자성편(2130; 2132a, 2132b) 분리용 핀 등의 도구가 삽입되는데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20)에서 캐리어(210)는 베이스(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220)로부터 분리된 캐리어(210)는 그 자체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210)를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22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베이스(220)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분리 또는 슬라이딩 이동 작업과 관련되거나 또는 분리된 캐리어(210)의 취급을 위한 다양한 형상 요소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캐리어(210)는 상기 시트부(2110) 주연에 형성되는 핀홀(2114)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핀홀(2114)은 장치 또는 도구를 이용해 캐리어(210)를 베이스(22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베이스(220)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10)를 베이스(220)로 분리 또는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시 외부 픽커 또는 슬라이딩 장치의 핀이 삽입되는 부위로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핀홀(2114)이 캐리어(210) 전방 코너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210)는 상기 시트부(2110) 주연에 형성되는 파지홈(2115)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홈(2115)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캐리어(210)를 베이스(22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베이스(220)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10)를 베이스(220)로부터 분리 또는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시 작업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는 부위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이러한 파지홈(2115)은 외부로 돌출된 캐리어(210)의 소정 부위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210)는 상기 시트부(2110) 외연으로부터 외측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2118)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그부(2118)는 캐리어(210)를 분리하는 과정 또는 분리된 캐리어(21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자동화 공정에서 베이스(220)로부터 캐리어(210)에 대한 반출 및 입고 과정은 외부 진공 장비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리어(210) 상면의 소정 부위가 회부 진공 장비의 흡착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20; 2120a, 2120b)는 시트부(2110) 주연 내측에 구비된 슬롯부(2112)에 설치되며, 시트부(211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시트부(2110) 경계 내측으로 밀착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고정한다. 홀더(2120; 2120a, 2120b)는 푸쉬블록(2122), 탄성부재(2124) 및 결속핀(2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2120; 2120a, 2120b)의 설치 및 동작 내용에 대해 상술한다. 푸쉬블록(2122) 양측면에는 가이드홈(21221)이 구비되며, 가이드홈(21221)이 슬롯부(2112) 내측에 마련된 레일부(21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풀쉬블록의 슬라이딩 동작이 안내된다. 푸쉬블록(2122)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가압 밀착하는 동작은 탄성부재(2124)에 의해 수행되며, 탄성부재(2124)는 그 양쪽 단부가 푸쉬블록(2122)의 배면에 마련된 요부(21222)와 슬롯부(2112)의 내측에 마련된 철부(21122)에 각각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슬롯부(2112)의 레일부(21121)에는 장공 구비되며, 결속핀(2126)이 장공에 결합됨으로써 푸쉬블록(2122)이 슬롯부(2112)의 레일부(21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시트부(2110)에 고정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푸쉬블록(2122)을 슬롯부(2112) 안쪽으로 인위적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시트부(2110)에 안착시킨 후 푸쉬블록(2122)을 릴리스함에 따라 탄성부재(2124)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불록이 시트부(2110) 안쪽으로 전진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반대쪽으로 가압 밀착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홀더(2120; 2120a, 2120b)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시트부(2110)에서 보다 완전히 수용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홀더(2120; 2120a, 2120b)가 복수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홀더(2120; 2120a, 2120b)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공됨으로써 시트부(2110)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유동은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0)는 안착부(2211)와 분리검사부(2219)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22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수용된 상태의 또는 빈 상태의 캐리어(210)가 안착되는 곳으로 캐리어(210)의 외형 형상에 대응되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안착부(2211)의 주연은 캐리어(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가운데 부분은 상기 캐리어(210)의 시트부(2110)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안착부(2211)가 베이스(220)의 길이방향(이하, 가로방향을 의미함)을 따라 5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안착부(2211)의 개수가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착부(2211) 또한 캐리어(210)의 시트부(2110)에 대응되어 중공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안착부(2211) 주연에는, 상기 캐리어(210)의 시트부(2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고정수단(2230)으로 제공되는 한 세트의 자성편(2230; 2232a, 2232b)이 설치되는 복수의 장착홈(2216; 2216a, 2216b)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20)의 저면에는 자성편(2230; 2232a, 2232b)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장착홈(2216; 2216a, 2216b)이 제공되며, 이 중 안착부(2211)의 주연의 인접한 양쪽 변에 형성된 원형 장착홈(2216; 2216a, 2216b)에는 원형 자성편(2230; 2232a)이 삽입 설치되며, 양쪽 변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 나머지 장방형 장착홈(2216; 2216a, 2216b)에는 장방형 자성편(2230; 2232b)이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3점에서 고정 지지되는 자성편(2230; 2232a, 2232b)의 배치 및 설치는 앞서 캐리어(210)의 시트부(2110)에서의 3개의 자성편(2230; 2232a, 2232b) 의 배치 및 설치 형태에 그대로 대응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210)의 시트부(2110)에서와 동일하게, 베이스(220)의 안착부(2211) 주연에 마련된 각각의 장착홈(2216; 2216a, 2216b)에도 이에 대응되는 익스트랙션홀(2217)이 베이스(220)의 상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장착홈(2216; 2216a, 2216b)의 바닥면으로 연통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익스트랙션홀(2217)은 자성편(2230; 2232a, 2232b) 분리용 핀 등의 도구가 삽입되는데 이용된다.
상기 분리검사부(2219)는 캐리어(210)의 분리 작업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검사 작업을 위한 영역을 제공된다. 이러한 분리검사부(2219)는 안착부(2211)와 쌍을 이루어 제공되며, 베이스(220) 전체적으로 이러한 안착부(2211)와 분리검사부(2219)가 교대로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분리 검사부는 안착부(2211)의 개수에 대응되어 총 5개가 형성되며, 안착부(2211)의 개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분리검사부(2219)는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부를 구성하는 PCB(11)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도피 공간으로 제공된다. 분리검사부(2219)의 중공 형상 내로 노출된 PCB(11)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해 필요한 처리 또는 검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220)는 상기 분리검사부(2219)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레그홈(2218)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그홈(2218)은 캐리어(210) 분리 과정에서 캐리어(2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210) 분리 과정에서, 캐리어(210)가 안착부(2211)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분리검사부(2219)로 이동되면, 캐리어(210)의 레그부(2118)는 레그홈(2218)에서 그 측면이 외부로 파지에 적합하도록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캐리어(210)의 레그부(2118)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20)는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스페이서(2212); 및 상기 스페이서(2212) 형성된 반대쪽 하면에 형성된 적층홈(2214);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20)에 구비되는 스페이서(2212) 및 적층홈(2214)은 복수의 베이스(22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는 데 이용된다. 즉 복수의 베이스(220)가 적층된 상태에서 아래쪽 베이스(220)의 스페이서(2212)가 윗쪽 베이스(220)의 적층홈(2214)에 수용 지지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의 베이스(22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2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고정되는 캐리어(210)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수용되는 캐리어(210)와 이러한 캐리어(210)가 복수로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220)가 자성부재와 같은 고정수단(2130, 2230)에 의해 탈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상기 베이스(220)와 하나 이상의 캐리어(210)가 안착된 상태의 어셈블리가 일체로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함과 동시에, 이와 별도로 상기 캐리어(210)가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취급하여 처리 또는 검사 공정의 작업 단위로 하는 것을 가능케 하면서도, 필요시 단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작업 단위로 하거나 또는 하나의 작업 단위로 예정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 각각을 오염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독립된 작업 단위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 패널
11: PCB
20: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210: 캐리어
2110: 시트부
2112: 슬롯부
21121: 레일부
21122: 철부
2113: 개구부
2114: 핀홀
2115: 파지홈
2116, 2116a, 2116b: 장착홈
2117: 익스트랙션홀
2118: 레그부
2120, 2120a, 2120b: 홀더
2122: 푸쉬블록
21221: 가이드홈
21222: 요부
2124: 탄성부재(스프링)
2126: 결속핀
2130, 2132a, 2132b: 자성편; 고정수단
220: 베이스
2211: 안착부
2212: 스페이서
2214: 적층홈
2216, 2216a, 2216b: 장착홈
2217: 익스트랙션홀
2218: 레그홈
2219: 분리검사부
2230, 2232a, 2232b: 자성편

Claims (6)

  1.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수용되는 시트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시트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안착부와 쌍을 이루어 교대로 구비되어 캐리어의 분리 작업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작업을 위한 영역으로 제공되는 분리검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를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검사부의 가운데는 중공 형상이며, 상기 중공 형상 내부로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PCB 단자가 노출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자력 방식으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되, 상기 베이스의 안착부와 상기 캐리어 각각에 서로 대응되어 구비되는 자성편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성편 쌍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가 베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또는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안착된 상태의 어셈블리가 일체로서 독립된 공정 트레이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시트부 주연에 형성되는 핀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홀은 상기 캐리어를 상기 베이스로 분리하는 동작시 외부 픽커 또는 슬라이딩 장치의 핀이 삽입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시트부 외연으로부터 외측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캐리어 취급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6. 삭제
KR1020200158949A 2020-11-24 2020-11-24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KR10261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49A KR102615077B1 (ko) 2020-11-24 2020-11-24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49A KR102615077B1 (ko) 2020-11-24 2020-11-24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17A KR20220071617A (ko) 2022-05-31
KR102615077B1 true KR102615077B1 (ko) 2023-12-19

Family

ID=8178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949A KR102615077B1 (ko) 2020-11-24 2020-11-24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0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35B1 (ko) 2014-03-19 2015-09-09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584Y1 (ko) * 1997-12-09 2000-02-01 김영환 반도체 패키지 취급용 트레이의 어댑터
KR20040036456A (ko) * 2002-10-26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용 트레이
KR100480936B1 (ko) * 2003-04-24 2005-04-07 원용권 반도체 장치용 트레이
KR20130001069A (ko) * 2011-06-24 2013-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팔레트
KR101915204B1 (ko) * 2013-09-30 2018-11-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폭 조정이 가능한 트레이 홀더 조립체
KR20180090647A (ko) * 2017-02-03 2018-08-13 이이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35B1 (ko) 2014-03-19 2015-09-09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17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555B2 (en) Parallel gripper for handling multiwell plate
JP5003292B2 (ja) 搬送システム
KR101815081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프로브 카드 반송 방법
WO2013021594A1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ならびに下受けピンモジュールの配置変更方法
KR102102484B1 (ko) 카세트 어셈블리
US11247346B2 (en) Gripping mechanism and assembly apparatus
KR10261507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EP2966952A1 (en) Backup pin and automated backup-pin swap system
EP3050825A1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two types of articles on support device
KR20180017468A (ko) 점착식 pcb 절단장치
KR101389047B1 (ko)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커버 조립방법 및 그를 위한 조립장치
KR102129849B1 (ko) 프로브 카드 지지장치
CN214217387U (zh) 工件上料静置结构
JP6718693B2 (ja) バックアップ用治具を備える装置
CN204280581U (zh) 自动送料装置
JP5963661B2 (ja) ウェーハフレーム用カセット
TWI618665B (zh) Feeding method and device
CN109420895B (zh) 磁性件安装设备
CN209822601U (zh) 晶片治具
KR101878906B1 (ko) 프로브핀 패킹용 파레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핀 패킹방법
CN214929893U (zh) 一种用于放置印制电路板的转运车
JP2019087706A (ja) ウエハ容器
TW202030034A (zh) 智慧刀具座
TWI637890B (zh) Feeding method and device
CN217278471U (zh) 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