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501B1 -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501B1
KR102614501B1 KR1020210106235A KR20210106235A KR102614501B1 KR 102614501 B1 KR102614501 B1 KR 102614501B1 KR 1020210106235 A KR1020210106235 A KR 1020210106235A KR 20210106235 A KR20210106235 A KR 20210106235A KR 102614501 B1 KR102614501 B1 KR 10261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s
display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v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111A (ko
Inventor
반슈 칸투부크타
에스 크리스나쿠마르
헤마 벤카타 라마 크리스나 부다티
비시누 발단 레디 마두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비디오 월(video wall),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에 적용 가능하다.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예를 들어, 비디오 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등)은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각 타일에 해당 비디오를 표시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스크린에 상기 컨텐츠가 풀(full)로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월 솔루션이 고유 ID(예: 1,2,3,4 등)를 설정하여 각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타일을 구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레이아웃(예를 들어, 2x2 매트릭스)을 고정 설정하기 위해 전문가, 사용자 등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레이아웃이 전체적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새 타일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마다 전문가, 사용자는 셋팅을 다시 해야 하는 바, 불필요한 시간 소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멀티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 타일에는 상대적 위치를 이해하기 위한 기준점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별도의 중앙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특수 하드웨어(HW)를 사용하여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를 자동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각 타일(하나의 TV, 모니터 등)에 설치된 근접 통신 모듈(예: NFC, BLE, IR, RFID, 초음파 등)을 사용하여 감지한 인접 정보를 공유하여 런타임 시 레이아웃 및 치수를 자동으로 계산한 다음 전체 비디오 월의 구성을 자동으로 재조정 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일부 타일에 전원 오프 상태, 네트워크 오프 상태,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등과 같은 예외 시나리오에서 런타임 시 연결된 매트릭스 형성을 기반으로 가장 잘 보이는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복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과,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구성된 비디오 월/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매트릭스(예컨대, 전체 디바이스의 개수 및 레이아웃등)에 대한 정보를 전문가/사용자 등이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월/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중앙 컨트롤러(Central coordinator/controller)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일부에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power off, display off, network off 등)가 발생하여도, 최적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실시간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위에서 예시한 다양한 발명의 효과들 이외에도, 당해 명세서의 전체 취지를 통해 예측 가능한 기술적 효과도 존재하는 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비디오 월을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4개의 NFC 모듈들이 결합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블록 모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비디오 월이 전체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월에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은 제1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과 제2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다른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디오 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축하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Set ID1, Set ID2, Set ID3, Set ID4)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은, 비디오 월,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디스플레이에 장착되어 있는 입/출력 단자를 서로 번갈아 연결해 하나의 입력 영상을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에 뿌려 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2x2 비디오 월에도 하나의 입력 소스만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데이지 체인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격자 방식의 그리드 비디오 월(grid video wall)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도 1의 (d) 참조).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이와 같은 비디오 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기 위해 전문가 등의 사용자가 부가 정보들을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첫째,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셋트(TV, 사이니지)별로 전문가가 고유의 ID(identification, 식별정보)를 부여해야 한다.
나아가, 둘째,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매트릭스(예를 들어, 2x2, 3x3, 4x4, 5x5 등)를 전문가가 재입력해야만 한다.
나아가,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 기술의 다른 문제로서 전체 비디오 월(사이니지)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만 문제가 있는 경우, 컨텐츠가 분할 표시되는 디바이스를 재조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디오 월, 사이니지 주변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체 컨텐츠 중 일부가 생략된 비정상적인 화면만을 시청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비디오 월(디스플레이 월)은 여러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대형 시각화 표면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도 비디오 월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월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결합관계에 대응할 수 있고, 전문가/사용자 등이 디바이스들의 개수, ID, 결합 관계 등에 대한 정보들을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에서 언급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가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4개(상하좌우) 측면에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들을 각각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설계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a)에 도시된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주변에 결합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 없이 1x1의 비디오 월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2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평 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1x2의 비디오 월에 나누어 표시한다.
나아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3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우측에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하측에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음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비디오 월로 ID1 및 ID2에만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한다. 종래 기술은 이와 같이 직사각형이 아닌 비디오월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4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우측에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하측에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ID4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음(이 정보는, ID2 또는 ID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가능한 정보임)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 하여 2x2의 비디오 월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비디오 월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비디오 월을 구성하기 위하여,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본 발명은 2x2, 4x4, 5x5 등의 형태가 아닌 비정형 비디오 월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가운에 위치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351, 352, 353, 354)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초근접 거리에서만 인식이 가능한 NFC 태그(모듈)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주변인 상하좌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가 있다.
도 3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나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10, 320, 330, 340, 360, 370, 380, 390) 역시 각각의 디바이스별로 상하좌우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좌측에 설치된 제1 NFC 태그(352)는, #4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40)의 우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왼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나아가,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우측에 설치된 제2 NFC 태그(354)는, #6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60)의 좌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오른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상측에 설치된 제3 NFC 태그(351)는, #2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20)의 하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위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그리고,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하측에 설치된 제4 NFC 태그(353)는, #8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80)의 상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아래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는 주변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4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20, 340, 360, 380)의 위치만 인식 가능한 것이 아니고, 전체적인 비디오 월의 구조를 자동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2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20)는, 자신과 직접 컨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10, 330)에 대한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에 NFC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각각에 NFC 태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FC 태그 위치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4개의 NFC 모듈들이 결합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블록 모듈들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 도 4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411, 412, 413, 414), 컨트롤러(420) 및 디스플레이 모듈(430) 등을 포함하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삭제, 변경,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411, 412, 413, 414)은, 예컨대 NFC 통신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 한다.
컨트롤러(420)는,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및 주변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30)은,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임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13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당해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 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이는 NFC 통신을 통해 이루어 지고,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통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전체 레이아웃(매트릭스)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 인식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NFC 태그와 통신 간섭이 이루어 지면, 특정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측에서 결합되었는지, 하측에서 결합되었는지, 좌측에서 결합되었는지 또는 우측에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디텍트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NFC 태그(41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2 NFC 태그(4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3 NFC 태그(4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4 NFC 태그(4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좌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각각의 NFC 태그들간 거리가 최대값을 유지할 수 있고,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사이즈를 고려할 때, 인접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어느 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오류 없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비디오 월이 전체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결합하여 비디오 월을 구현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직/간접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음)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우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좌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상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하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를 수신한다(S510). 나아가, 정확한 매트릭스 계산을 위하여 스크린 사이즈(가로/세로) 정보도 함께 수신한다.
도 5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결합 관계를 표시하는 매트릭스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S520).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오프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등으로로 스윗칭)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530).
상기 판단 결과(S530)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S520 단계로 리턴하여, 전체 결합 관계를 표시하는 매트릭스를 업데잇 한다. 이 때, 통신 오프/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외하고 비디오 월을 구성한다. 즉,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롭게 ID/매트릭스 등을 재입력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상기 판단 결과(S530)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S520 단계에서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540).
한편, S540 단계에서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한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데, 특정 그룹을 자동 셋팅하는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월에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간의 결합 관계를 확정 후, 또는 특정 이벤트 감지로 인하여 비디오를 표시할 수 없는 일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rectangular)을 구성하는 경우, 이를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5의 S540 단계)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가장 자연스럽게 하나의 컨텐츠를 비디오 월내 최대 면적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S541 단계에서 판단한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경우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542).
상기 판단 결과(S542)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특정 그룹에 동일한 컨텐츠를 각각 풀(full)로 디스플레이 한다(S544).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542)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2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1개의 특정 그룹에 임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S543).
도 7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3 으로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의 NFC 통신을 통해 상대적 위치 정보 및 스크린 사이즈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전체 매트릭스(레이아웃) 구조 및 자신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 측면에 설치된 NFC 통신을 통해 상측 및 좌측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고, 우측 및 하측에만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ID2, ID4)이 직접 컨택되어 있음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D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ID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고, ID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ID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각 측면에 NFC 태그 등 근접거리 센서를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간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전체 시스템의 매트릭스(레이아웃) 및 각자의 상대적 위치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디오 월 시스템에 의하면, 이를 통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컨텐츠를 9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위치에 맞는 비디오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다만, 도 7은 최초 연결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어떤 문제도 없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그러나, 비디오 월을 구현하다 보면, 일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만 네트워크 오프, 디스플레이 오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에 대한 대응이 전혀 없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부 화면(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은 꺼지고, 전체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 내지 도 12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하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ID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통신을 통해 하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만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전체에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다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생겨도 실제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비디오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ID7 및 ID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동일한 비디오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부 비디오 데이터가 누락된 화면만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비디오를 표시할 레이아웃을 자동 변경 업데잇할 수 있는 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ID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통신을 통해 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4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4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만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문제가 없는 ID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ID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아무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완성된 컨텐츠를 최대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직간접적으로 인접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NFC 통신을 통해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1영역 및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2영역이 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1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full)로 표시하고, 동시에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2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제1영역과 동일)를 풀(full)로 표시한다. 따라서, 가급적 많은 영역에서 완벽한 컨텐츠를 복수개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1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3개에 동시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직간접적으로 인접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NFC 통신을 통해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1영역 및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2영역이 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1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full)로 표시하고, 동시에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2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제1영역과 동일)를 풀(full)로 표시한다. 따라서, 가급적 많은 영역에서 완벽한 컨텐츠를 복수개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2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이외에 나머지 8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모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만 완벽한 하나의 컨텐츠를 풀로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도 풀 컨텐츠가 아닌 9분할된 비디오 일부만 ID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대로 된 사이니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 13은 제1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과 제2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다른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제1시점에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가장 오른쪽 최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가장 오른쪽 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좌측의 3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가장 중앙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레이아웃을 셋팅할 수 있는 바(3x2), 가장 오른쪽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제외한 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제1시점 이후 제2시점에, 다른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최상단 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최상단 오른쪽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열의 3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가장 하단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레이아웃을 셋팅할 수 있는 바(2x3), 가장 상단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제외한 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디스플레이 한다.
마지막으로, NFC 통신 등을 통해, 다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3x3, 즉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분할하여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비디오 월을 최초 셋팅 이후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오류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과 달리 레이아웃을 재설정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고 일부 데이터가 누락 표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야외의 대형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비디오 월이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여러 다른 기술 분야에도 확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4는 본 발명이 차량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뒷좌석에서 볼 수 있도록 차량 앞좌석의 뒷면에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410, 1420)이 분리되어 설치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410, 1420)은 하나의 동일한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측면에서 결합시키면, 하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비디오의 일부 영역은 왼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고, 나머지 비디오의 영역은 오른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된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야외의 대형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비디오 월이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여러 다른 기술 분야에도 확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5는 본 발명이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휴대폰들(1510, 1520, 1530)이 하나의 동일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휴대폰들을 측면에서 결합시키면, 하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비디오의 제1영역은 왼쪽 휴대폰에서 표시되고, 비디오의 제2영역은 가운데 휴대폰에서 표시되며, 비디오의 제3영역은 오른쪽 휴대폰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집에서 누구나 소형 비디오 월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11: 제1 NFC 태그
412: 제2 NFC 태그
413: 제3 NFC 태그
414: 제4 NFC 태그
420: 컨트롤러
43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0)

  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넓은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연속하지 않는 경우,
    제1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일한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제1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2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3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4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중앙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가장 넓은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연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제2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일한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제1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2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3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4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중앙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 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06235A 2021-08-11 2021-08-1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ko) 2021-08-11 2021-08-1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ko) 2021-08-11 2021-08-1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11A KR20230024111A (ko) 2023-02-20
KR102614501B1 true KR102614501B1 (ko) 2023-12-19

Family

ID=8532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ko) 2021-08-11 2021-08-1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JP2020013016A (ja) 2018-07-19 2020-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16B1 (ko) * 2007-11-09 2009-10-16 광주과학기술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JP2020013016A (ja) 2018-07-19 2020-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11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5565A1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CN203242247U (zh) 拼接显示装置和拼接屏幕
US20100180055A1 (en) Monitor sharing system
KR101553110B1 (ko)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
JPH10333631A (ja) 拡張型表示装置および拡張型表示装置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US20100211709A1 (en) Keyboard-video-monitor-periphery (kvmp) switch
CN103139517A (zh) 投影系统及信息处理装置
KR201600165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4501B1 (ko)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0716661B (zh) 拼接式智能交互平板
CN201477830U (zh) 分布式大屏控制器级联装置
JPH02146588A (ja) Avtcシステム
JP2014182642A (ja) 設備機器の管理装置、設備機器の管理システム
CN104539872A (zh) 会议终端
JP2000293285A (ja) 画面表示制御システム
JP2002305469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CN114756186A (zh)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系统及显示终端
KR10205245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빌딩 자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8206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settings of a video wall display system
CN113157227A (zh) 显示画面的控制方法及显示系统
JP5665597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7151129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WO2018202589A1 (en) A remote control method for a multiple-screen display system
WO2022003776A1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33871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スイッ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