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488B1 -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488B1
KR102613488B1 KR1020180073419A KR20180073419A KR102613488B1 KR 102613488 B1 KR102613488 B1 KR 102613488B1 KR 1020180073419 A KR1020180073419 A KR 1020180073419A KR 20180073419 A KR20180073419 A KR 20180073419A KR 102613488 B1 KR102613488 B1 KR 10261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member
distance
light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017A (ko
Inventor
김나리
김세훈
정호영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488B1/ko
Priority to PCT/KR2019/007742 priority patent/WO2020004941A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렌즈부,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대면하여 디스플레이와 제1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대면하여 디스플레이와 제2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제2 반사부재와, 제1 반투명 반사부재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제1 영역에서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렌즈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 되도록, 제1 영역과 제1 반사부재 사이에 디스플레이에 대해 제1 기울기로 배치되고, 제2 반투명 반사부재는, 제2 영역에서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렌즈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 되도록, 제2 영역과 제2 반사부재 사이에 디스플레이에 대해 제2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DEPTH OF CONTENT}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콘텐트의 뎁스를 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프 미러(Half Mirror)나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와 같이,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나머지를 투과시키는 반투명 반사부재들을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함으로써, 다중 레이어(Multi Layer) 또는 다중 초점 평면(Multi Focal Plane)을 공간분할 방식으로 구현한 제품들이 전자 장치의 액세서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 반사부재들은 상기 반투명 반사부재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상과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다름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뎁스(depth)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뎁스(depth)를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콘텐트의 뎁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들은, 렌즈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서로 간의 간격(gap)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뎁스를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렌즈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상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전달된 제2 광을 반사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1 광의 경로 및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전달되는 상기 제2 광의 경로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과 상기 제2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상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전달된 제2 광을 반사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1 광의 경로 및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전달되는 상기 제2 광의 경로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과 상기 제2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상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위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2 광을 상기 렌즈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상에 배치되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 1광을 반사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반투명 반사부재 및 렌즈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 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을 상기 렌즈부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곡률을 가지는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반투명 반사부재 및 반사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들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렌즈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들이 확대되어도 렌즈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상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렌즈를 통해 투과되는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형성되는 상이 시각에 인식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광경로 조절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반사부재에 의해 상이 형성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형성되는 상이 시각에 인식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반사부재에 의해 상이 형성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야기되는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21, 322), 디스플레이 패널(330), 반투명 반사부재(340), 반사부재(350), 및 렌즈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1, 322)은 안경테(311, 312)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우징(321, 322)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330), 반투명 반사부재(340), 반사부재(350) 및 렌즈부(360)가 설치될 수 있는 속이 빈 공간(38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하우징(310)의 내부 속이 빈 공간(380)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복수의 영역들(331, 332, 333, 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들(331, 332, 333)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영역들(331, 332, 333) 각각은 개별적인 영상이나 이미지를 포함한 콘텐트가 표시될 수도 있고, 하나의 영상이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콘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복수의 영역들(331, 332, 333) 각각에서 재생되는 콘텐트는 각각이 하나의 레이어로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광전달부재들(34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복수의 영역들(331, 332, 333, 도 7참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은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1, 342) 및 제1 반사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콘텐트가 제공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복수의 영역(331, 332, 333)에서 방출된 광을 렌즈부(360),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시킨다.
복수의 제1 반사부재(345)는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켜, 렌즈부(360)로 광을 전달시킨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제1반사부재(345)의 기울기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서 방출된 광을 렌즈부(36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중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제2 영역(332) 및 제3 영역(333)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2 반사부재(351), 제3 반사부재(352)에 광을 전달시킨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방향을 유지하여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에 광을 전달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는, 제2 영역(332) 및 제3 영역(333)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와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방출된 광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는 제1 반사부재(345)로부터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로 전달시키고, 제2 반사부재(351)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온 광을 반사시켜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로 전달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에서 전달된 광을 투과시켜 렌즈부(360)로 전달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및 제1 반사부재(345)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위에 지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각각 지정된 기울기로 배치되고, 복수의 반사부재들(35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대면하여,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330),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제1 반사부재(345), 및 복수의 반사부재들(350)은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져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광이 렌즈부(360)로 향하도록, 하우징(310) 내부의 빈 공간(38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및 복수의 반사부재들(350)은 각각 하우징(310)의 빈 공간(380)에서 지정된 설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제1 반사부재(345) 및 복수의 반사부재들(350)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광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하우징(310)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추가적인 반사부재(미도시) 또는 반투명 반사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고,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 및 제1 반사부재(345)로부터 전달되는 광은 렌즈부(360)로 전달될 수 있다.
조절다이얼들(315a, 315b)은 하우징(3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절다이얼들(315a, 315b)은 복수의 반사부재들(350)과 물리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절다이얼들(315a, 315b)은 광경로조절부(370, 도 9 참조)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여 광경로조절부(37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조절다이얼들(315a, 315b)을 돌려서 물리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조절다이얼들(315a, 315b)을 조작하여 광경로조절부(370)는 복수의 반사부재들(350)을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들(350)이 이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부터 렌즈부(360)까지의 광경로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제공되는 콘텐트의 광이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0)을 통하여 형성되는 상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렌즈부(360)로부터 상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부(360)를 투과한 광은 적어도 하나의 광전달부재(327, 329)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된다. 광전달부재(327, 329)는 렌즈부를 투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광전달부재 중 안경렌즈가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광전달부재(326, 327)들은 렌즈부(360)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광을 반사시키고, 전자기기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실 이미지에 복수의 뎁스를 가지는 이미지들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복수의 반반사 부재(341, 342), 복수의 반사부재(345, 351, 352), 및 렌즈부(360)는 안경테(311, 312)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322)에 배치될 수 있다. 안경테(311, 312)와 광전달부재(326, 327)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테(311, 312)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광전달부재(329)는 평면거울일 수 있다. 평면거울은 렌즈부(360)를 투과한 광을 안경렌즈 삽입부(317a, 317b)에 위치하는 광전달부재(326, 327)로 전달 할 수 있다. 안경렌즈 삽입부(317a, 317b)에 위치하는 광전달부재(326, 327)은 평면거울에서 반사된 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전달하여,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 복수의 반반사 부재(341, 342), 복수의 반사부재(345, 351, 352), 및 렌즈부(360)는 안경렌즈 삽입부(317a, 317b)의 상부에 구비된 하우징(321, 322)에 배치될 수 있다. 안경렌즈 삽입부(317a, 317b)에 배치된 광전달부재(326, 327)는 렌즈부(360)를 투과한 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안경렌즈 삽입부(317a, 317b)에 배치된 광전달부재(326, 327)에 반사된 광을 통하여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광전달부재(326, 327)는 렌즈부(360)로부터 전달된 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시키고, 현실세계에서 입사되는 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투과시키도록, 적절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렌즈를 통해 투과되는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렌즈부(360)는 볼록렌즈일 수 있으며, 초점(f1, f2)을 가진다.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a1, a2)이 초점(f1)보다 멀리 형성되면,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상(b1, b2)은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a1, a2)의 반대쪽에 뒤집어진 상으로 형성되어, 접안렌즈로 활용되는 렌즈부(360)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은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상(b1, b2)에 초점을 맞추기 어려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a1, a2)은 초점(f1)보다 렌즈에 근접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렌즈와 거울에 적용 가능한 아래의 렌즈공식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a 는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는 렌즈나 거울에 전달되는 상에서 렌즈나 거울까지의 거리로 적용할 수 있다. b는 렌즈나 거울에 의해 생성되는 상에서 렌즈나 거울까지의 거리이고, f는 렌즈나 거울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
이므로,
,
로 계산된다.
디스플레이의 길이(dd)는 3cm, 디스플레이와 렌즈간 거리(dl)는 1.5cm, 초점 거리(f)는 5cm,로 가정하면, 렌즈부(360)를 통과하기 전 생성되는 상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길이의 절반(dd/2)인 1.5cm이다.
렌즈부(360)를 통과하여 생성된 상(b1, b2)의 거리는 아래와 같다.
로 구해진다.
렌즈부(360)를 통과하여 생성된 상(b1, b2)간의 거리는 37.5cm로 계산된다. 초점에 가까운 a2와 초점에서 먼 a1의 상은 더욱 멀어지게 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만약 물체(a1, a2)에서 초점(f1)까지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면, 렌즈부(360)를 통과하여 생성된 상(b1, b2)간의 거리는 더 멀어지게 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 장치(101)는 컴팩트하게 제조하려면, 렌즈의 초점거리는 짧아지고, 콘텐츠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디스플레이와 초점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므로, 상간의 거리는 더욱 멀어질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1 영역(331), 제2 영역(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45)는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렌즈부(360)에 전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영역(331)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은 제2 영역(332)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방향을 유지시키면서 투과시키기 위해서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제2 영역 (332)위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된 제2 광은 제2 반사부재(351)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은 제1 반사부재(345)에서 반사된 제1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2 기울기를 가진다. 투과된 제1 광은 렌즈부(36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2 영역(332)와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는 투과된 제2 광을 전달받기 위해서, 제2 광의 진행방향에 배치되고, 전달받은 제2 광을 반사시켜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는 전달받은 제2 광을 반사시켜, 렌즈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서 산출하였던 거리와 비교하기 위하여, 도5에서 사용한 변수 값을 바탕으로 하되, dm을 0.05cm로 설정한다. 렌즈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상간의 거리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제1 반사부재(345)에서 반사되는 제1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에서 렌즈부(360)까지의 거리는 4.5cm이고,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를 투과하여 제2 반사부재(351)에서 반사되는 제2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의 렌즈부(360)까지의 거리는 4.5cm일 수 있다.
제1 광이 렌즈를 투과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에서 렌즈부(360)까지의 거리는 45cm이고(b2, 도 5 참조), 제2 광이 렌즈를 투과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에서부터 렌즈부(360)까지의 거리는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렌즈를 투과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들(b1, b2)간의 거리는 5.6cm이다. 제2 반사부재가 없었을 경우에 상들 간의 거리인37.5cm와 비교하면 상들 간의 거리는 상당히 축소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반사부재(35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로부터 렌즈부(360)까지의 광 경로의 거리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들(a1, a2) 간의 거리가 좁아지므로, 제2 반사부재(352)는 렌즈부(360)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들(b1, b2)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부(360)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들(b1, b2)간의 거리가 조절되면, 전자 장치(101)는 적절한 뎁스(depth)를 가지는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사부재(350)는 다이얼조절부(315a)와 같은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얼이나 버튼이 포함된 컨트롤패널을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면, 프로세스는 적절한 위치로 제2 반사부재(3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제2 반사부재(35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meta data)에 포함된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세스가 제2 반사부재(35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형성되는 상이 시각에 인식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도 6의 구성에서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제3 반사부재(3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1 영역(331), 제2 영역(332)에 더하여 제3 영역(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가지 상이 형성되는 레이어를 가지기 위하여,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1 영역(331), 제2 영역(332) 및 제3 영역(333)위에 반사부재(331)나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341, 342)을 배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투명 반사부재(340)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복수의 영역들의 개수는 제작하고자 하는 멀티 레이어의 개수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제3 영역(333)에서 출력된 제3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투과된 제3 광을 제3 반사부재(352)로 전달시키도록 제 3 기울기를 가지고 배치된다.
제3 반사부재(35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3 영역(333)을 대면하여 배치되고,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반사부재(352)는 전달된 제3 광을 반사시켜 제3 반투명 반사부재(342)로 전달하고,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전달된 제3 광을 렌즈부(3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제3 영역(333)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제3 반사부재(352)에서 반사된 광을 렌즈부(360)로 전달시키기 위한 기울기를 가지고, 제3 영역(333)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제1 반사부재(345)에 반사되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를 투과한 제1 광과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2)에 반사된 제2 광이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3)를 투과할 수 있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45)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대칭되게 제1 영역(331)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평행하게 제2 영역(332)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45도 기울기를 가지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전달되는 광의 경로를 유지시켜 투과시키거나 전달되는 광의 경로를 90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측면에 배치되는 렌즈부(360)로 광을 전달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렌즈부(360)의 초점거리(f)내에 배치를 시킬 수 있다. 초점거리(f)내에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배치되면, 정립상이 형성되고, 렌즈부(360)의 좌측방향(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위치하는 방향)에 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반사부재(345)에 의해 전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P1+P2로 산출된다. P1은 dd/6이고, P2는 dd*2/3+dd/6+dl이므로, a3는 P1+P2=dd+dl임을 알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제2 반사부재(351)에 의해 전달되는 광으로 형성되는 상(a2)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P1'+P2'+P3'로 산출된다. P1'는 dd/3+dm1, P2'는 dd/6+dm1이고, P3'는 dd/2+dl이므로, a2는 P1'+P2'+P3'=dd+dl+2*dm1임을 알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제3 반사부재(352)에 의해 전달되는 광으로 형성되는 상(a3)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P1''+P2''+P3''로 산출된다. P1''는 dd/3+dm1+dm2이고, P2''는 dd/6+dm1+dm2이고, P3''는 dd/6+dl이므로, a3는 P1''+P2''+P3''=dd*2/3+dl+2*dm1+2*dm2임을 알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와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간의 거리(dm1)는 거의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제1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과 제2 영역(332)에서 방출되는 제2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2)는 서로 2*dm1의 거리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으로 형성되는 상(a1)과 제2 광으로 형성되는 상(a2)의 거리를 고려하여, 제2 반사부재(351)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제1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과 제3 영역(333)에서 방출되는 제3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3)는 dd/3-2*dm1-2*dm2의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제3 반사부재(352)간의 거리(dm2)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1 광으로 형성되는 상(a1)과 제3 광으로 형성되는 상(a3)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을 기준으로, 제2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2)와 제3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3)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렌즈부(360)를 통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들(b1, b2, b3)도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렌즈부(360)를 통하여 제2 광 및 제3 광에 의해 시각에 인식되는 상들(b2, b3)은 렌즈부(360)를 통하여 제1 광에 의해 시각에 인식되는 상(b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360)를 통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b1, b2, b3)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광경로 조절부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로 조절부(370)는 랙(rack, 375)과 피니언 기어(pinion gear, 373)를 포함할 수 있다.
랙(375)의 일단에는 제1 반사부재(351)와 결합할 수 있다. 랙(375)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반사부재(351)는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랙(375)의 양 끝단에는 피니언 기어(373)의 회전을 막는 스토퍼들(376a, 376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들(376a, 376b)피니언 기어(373)가 회전을 하지 못하므로 제2 반사부재(351)의 이동가능 거리범위를 정할 수 있다.
랙(375)과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73)는 축(377)에 연결된 높이 조절부(371)와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71)는 하우징(310)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면, 조절다이얼(315a)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부(371)는 조절다이얼(315a)이 회전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377)을 통하여 회전력을 피니언 기어(373)로 전달할 수 있다. 조절다이얼(315a)와 높이 조절부(371)는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조절다이얼(315a)은 구동풀리를 구비하고, 높이 조절부(371)는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종동풀리로 사용될 수도 있다.
랙(375)의 톱니간 거리(dt)는 제2 반사부재(351)가 이동할 수 있는 최소거리를 의미하고, 톱니간 거리(dt)를 작은 랙(375)과 피너언 기어(373)는 제2 반사부재(351)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120)는 조절다이얼(315a)의 조작을 감지하여 서보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동작시켜 축(37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377)의 회전으로 제2 반사부재(351)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로 조절부(370)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리니어모터는 제2 반사부재(351)와 결합하고, 리니어모터는 제2 반사부재(3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광경로 조절부(370)를 사용하여, 제2 반사부재(351)의 이동을 설명하였지만, 광경로 조절부(370)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3 반사부재(352)에 연결되어 제3 반사부재(35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광경로 조절부(370)는 반사부재(350)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반사부재에 의해 상이 형성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영상(a)는 반사부재(350)의 전면에 위치한다. 반사부재(350)는 구면거울이고, 곡률에 따라 형성되는 상의 위치를 설명한다.
거울공식을 적용하면,
이다. 영상(a)가 반사부재(350)로부터 초점(f)사이에 위치하면, b는 음수로 계산된다. 형성되는 상은 허상이므로, 거울의 후면에 상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영상(a)가 반사부재(350)로부터 초점(f)보다 멀리 위치하면, 형성되는 상은 실상이므로, 거울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은 뒤집어 지게 된다.
제2 반사부재(351)와 제3 반사부재(352)는 제2 영역(332)및 제3 영역(333)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켜 형성되는 상을 실제 영상보다 멀리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제1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에 인접하게 배치시키기 위해서, 제2 영역(332) 및 제3 영역(333)은 제2 반사부재(351) 및 제2 반사부재(352)의 초점거리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초점거리는 곡률반경의 절반이므로, 거울의 곡률이 달라지면 초점거리도 달라지게 된다.
도 10에서는 초점이 f1또는 f2에 위치하는 경우로 살펴본다.
,
b1, b2는 a보다 크므로, 반사부재(350)에 의해 형성되는 상(b1, b2)들은 실제 상의 위치보다 뒤에 위치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f2가 f1보다 크고, a는 f1, f2보다 작으므로, 이고, b1의 절대값은 b2의 절대값보다 커진다. 따라서, 반사부재(350)가 짧은 초점거리(f1)를 가지는 경우, 반사부재(350)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상(b1)은 더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술한 설명들은 도 10에 도시된 상이한 초점거리(f1, f2)를 가지는 반사부재(350)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상(b1, b2)를 도시한 것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형성되는 상이 시각에 인식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1 영역(331), 제2 영역(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345)는 제1 영역(331)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렌즈부(360)에 전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영역(331)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은 제2 영역(332)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방향을 유지시키면서 투과시키기 위해서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제2 영역 (332)위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된 제2 광은 제2 반사부재(351)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은 제1 반사부재(345)에서 반사된 제1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2 기울기를 가진다. 투과된 제1 광은 렌즈부(36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2 영역(332)와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는 투과된 제2 광을 전달받기 위해서, 제2 광의 진행방향에 배치되고, 전달받은 제2 광을 반사시켜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는 전달받은 제2 광을 반사시켜, 렌즈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와 제3 반사부재(35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로부터 동일한 거리(dd/3+dm)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부재(350)의 초점거리는 곡률반경의 절반이고, 제2 반사부재(351)와 제3 반사부재(352)는 곡률반경이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2 반사부재(351)에서 제3 반사부재(351)의 초점(fm1)까지의 거리와 제3 반사부재(352)에서 제3 반사부재(352)의 초점(fm2)까지의 거리 중 짧은 초점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초점거리 내에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위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에서 방출되는 광이 반사부재(350)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제1 반사부재(345)에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반사부재(345) 에 의해 전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P1+P2로 산출된다. P1은 dd/6이고, P2는 dd*2/3+dd/6+dl이므로, a3는 P1+P2=dd+dl임을 알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와 제2 반사부재(351)에 의해 전달되는 광으로 형성되는 상(a2)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da2+P2'+P3'로 산출된다. da2는 (dd/3+dm)*fm1/(dd/3+dm-fm1)이고, fm1이 dd/3+dm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da2는 dd/3+dm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즉 a2'은 a1보다 뒤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2 반투명 반사부재(342)와 제3 반사부재(352)에 의해 전달되는 광으로 형성되는 상(a3)에서 렌즈부(360)까지 거리는 da3+P2''+P3''으로 산출된다. da3는 (dd/3+dm)*fm2/(dd/3+dm-fm2)이고, fm2가 dd/3+dm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da3는 dd/3+dm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fm2값을 조절하여, 상 a3'이 형성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부재(350)와 제1 반투명 반사부재(341)간의 거리(dm)이 없이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반사부재(350)에 형성되는 상의 위치는 반사부재(350)의 곡률반경이나 초점거리에 의해서 반사부재(350)에 반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에 의해 형성되는 상의 위치는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의 곡률을 조절하여, 제1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을 기준으로, 제2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2)와 제3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3)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렌즈부(360)를 통하여 시각에 인식되는 상들(b1, b2, b3)도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재(351)와 제3 반사부재(352)의 곡률반경을 다르게 설정하고, 렌즈부(360)를 통하여 제2 광 및 제3 광에 의해 시각에 인식되는 상들(b2, b3)은 렌즈부(360)를 통하여 제1 광에 의해 시각에 인식되는 상(b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352) 및 제3 반사부재는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들(a1, a2, a3)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부(360)로 전달되는 상들(a1, a2, a3) 간의 거리가 좁아진다면, 렌즈부(360)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들(b1, b2, b3)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부(360)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들(b1, b2, b3)간의 거리가 조절되면, 전자 장치(101)는 적절한 뎁스(depth)를 가지는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는 도 9의 광경로 조절부(370)을 이용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재(351) 및 제3 반사부재(352)는 MEMS 거울(MEMS mirror: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irror)이나 전기자극으로 곡률이 변화할 수 있는 반사부재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MEMS 거울과 같이 곡률이 변화할 수 있는 반사부재(350)는 다이얼조절부(315a)와 같은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얼이나 버튼이 포함된 컨트롤패널을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면, 프로세스는 MEMS 거울의 곡률을 제어하여 적절한 곡률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반사부재(350)의 곡률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meta data)에 포함된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세스가 반사부재(350)의 곡률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330),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1341, 1342, 1345)을 포함하고, 반사부재(1350) 및 렌즈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30)은 광을 방출하는 제1 영역(1331), 제2 영역(1332) 및 제3 영역(133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30)의 일면에는, 기울기를 가지고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1331), 제2 반투명 반사부재(1332) 및 제3 반투명 반사부재(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투명 반사부재(1345)는 디스플레이 패널(1330)의 제1 영역(1331)에서 출력되는 제1 광을 반사부재(1350)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330)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제1 영역(1331)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투명 반사부재(1342)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1332)에서 출력되는 제2 광을 렌즈부(1360)로 전달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330)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제2 영역(1332)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반투명 반사부재(1343)는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1333)에서 출력되는 제3 광을 렌즈부(1360)로 전달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330)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제3 영역(1333)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350)는 렌즈부(1360)를 마주보고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330)은 반사부재(1350)와 렌즈부(1360)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재(1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330)의 제1 영역(1331)을 대면하여 제1 반투명 반사부재(1345)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350)는 곡률을 가지는 구면거울 일 수 있다.
반사부재(1350)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1345)에 의해 전달된 제1 광을 반사시키고, 반사된 제1 광을 제1 반투명 반사부재, 제2 반투명 반사부재 및 제3 반투명 반사부재 (1331, 1332, 1333) 및 렌즈부(1360)로 투과시킨다. 도 13과 같이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330)은 렌즈의 초점(fl)과 렌즈부(1360)사이에 위치하고, 반사부재(1350)로부터 반사부재(1350)의 초점거리(fm)보다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350)는 반사부재(1350)에 반사되는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상(a3')을 렌즈부(1360)에 접근시킬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반사부재에 의해 상이 형성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반사부재(1350)는 곡률을 가지는 구면 거울이고, 제1 반투명 반사부재(1341)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a1)은 반사부재(1350)의 초점(f)과 곡률중심(R)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공식을 바탕으로 반사부재(1350)에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상(a1')의 위치를 산출하면 아래와 같다.
이므로, da1'는 양수이고, da1'는 da1보다 크다.
상기의 수식을 통해서, 반사부재(1350)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상(a1')은 반사부재(1350)로부터 제1 반사부재에 형성된 상(a1)보다 반사부재(1350)로부터 멀리 떨어져 형성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1350)에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상(a1')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1342)에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상(a2)과 제3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상(a3)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 디스플레이 패널(1520), 및 엑츄에어터(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3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520)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엑츄에이터(15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설정될(configured) 수 있다. 예를 들면, 엑츄에이터(1530)는, 물리적으로(physically) 상기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operably) 결합되거나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될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multiple layers)을 구성하는(configure) 상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콘텐트의 특성은, 상기 콘텐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visual object) 각각의 모양(shap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 각각의 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의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 각각의 색상(col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loc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의 표시(representation 또는 display)가 변화하는 속도(speed),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 각각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의 배치(arrangement)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콘텐트의 특성은, 상기 콘텐트를 구성하는 화면(screen)이 전환되는 속도, 상기 화면이 유지되는 시간, 상기 화면의 종횡비(aspect ratio),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 상기 화면의 배치, 또는 상기 화면과 함께 표시되는 다른 화면과 상기 화면 사이의 관계(예: 상기 화면 및 상기 다른 화면의 배치 등)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될 콘텐트에 포함된 헤더 정보(header information) 또는 메타 데이터(meta data)에 포함된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될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상응하는 거리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포맷들로 설정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테이블 내에 포함된 복수의 인덱스(index)들 중 하나의 인덱스에 대한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인덱스들 각각은 전자 장치(101)에서 제공할 수 있는(available to provide)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복수의 거리들 각각과 상기 테이블 내에서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된 거리가 1(cm)인 경우,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테이블 내에서 1(cm)와 연계된 인덱스 X에 대한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된 거리가 1.5(cm)인 경우,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테이블 내에서 1.5(cm)와 연계된 인덱스 Y에 대한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현재 거리로부터의 변화값에 대한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상응하는 거리가 2(cm)이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현재 거리가 1.5(cm)인 경우,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0.5(cm)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상응하는 거리가 1.5(cm)이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현재 거리가 2(cm)인 경우,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는, -0.5(cm)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호 (-)는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호 (-)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이 이동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획득된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엑츄에이터(15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츄에이터(153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상기 획득된 거리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1530)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될 콘텐트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강화된(enhanced) 품질을 가지는 콘텐트(예: 입체감을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매 프레임(frame)마다 프로세서(120)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되는 프레임 데이터(frame data)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엑츄에이터(15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데이터에 다음의(subsequent to)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가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를 통해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은,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relative to) 변경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영역의 면적,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경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배치,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경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색상, 또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로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에 상응하는 지정된 주기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로부터 동기 신호(예: TE(tearing effect)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는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됨을 식별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엑츄에이터(1530)에게 송신함으로써 상기 거리가 조정되도록 엑츄에이터(15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상술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이 상기 조정된 거리만큼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이격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마스킹(masking)함으로써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를 통해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매 프레임마다 프로세서(120)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강화된 품질을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현재 표시 중인 콘텐트와 관련된 프레임 데이터에 다음의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입체적(stereoscopic) 특성의 변화를 실시간으로(in real time) 반영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동작 1610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320)을 통해 표시될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기 위한 상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들은, 상기 콘텐트에서 입체적(stereoscopic)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트의 표시(또는 재생)를 제공하기 위한 파일 내의 헤더 정보 또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트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파일과 구별되고, 상기 파일과 연계되는 다른 파일 내의 헤더 정보 또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콘텐트의 특성은, 도 15의 설명을 통해 정의된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상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하기 전 또는 상기 콘텐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제공하기 전에,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6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엑츄에이터(15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엑츄에이터(15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회전되는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의 변경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거리의 조정을 통해 상기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6는 콘텐트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굴절률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콘텐트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곡률을 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구성 성분(component)들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콘텐트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콘텐트의 종류와 독립적으로(independently from)(또는 관계없이) 강화된(enhanced) 입체감을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엑츄에이터 사이에서 야기되는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서 야기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동작 16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또는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64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획득된 제1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예: TE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65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 다음의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 내에서 화면 전환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 다음의(subsequent to)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면 전환 이벤트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면 전환 이벤트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안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동작 166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동작 1640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 내의 메모리(예: GRAM(graphical RAM)에 기록된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를 스캔함으로써, 상기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16b의 동작 1650 및 동작 166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67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는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됨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은, 도 15에서 정의된 콘텐트의 특성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 내의 객체가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될 콘텐트에서 지정된 거리 이상 이동함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됨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69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엑츄에이터(15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엑츄에이터(15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회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 시점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가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표시하기 이전의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는 상기 상들이 강화된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표시하기 전에, 엑츄에이터(1530)에게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53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95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엑츄에이터(1530)가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제어한 후,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로 구성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는, 상기 제1 프레임 기반하여 표시되었던 콘텐트와 비교하여(relative to), 상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의 위치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었던 콘텐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의 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안 제공되었던 상들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들 사이의 거리의 조정 또는 변경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화면 구성의 빠른 전환에 독립적으로(또는 관계없이) 강화된 입체감을 가지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야기되는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서 야기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동작 171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예: 도 1에 도시된 통신 모듈(19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또는 터치 패널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7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예: TE 신호)가 프로세서(120)에 수신되는 타이밍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3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트(152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로부터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 및 상기 복수의 반투명 반사부재들 각각을 지나감(pass)으로써,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74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 다음의(subsequent to)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화면 전환을 요구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 다음의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화면의 변경이 요구되는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 다음의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7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의 송신 후 획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동작 1740은 동작 172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작 172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75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에게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6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멀티 레이어들을 구성하기 위한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로의 변경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트의 입체적 특성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77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178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120)는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음을 식별(즉, 상기 거리를 유지하는 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179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78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엑츄에이터(15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엑츄에이터(1530)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53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330)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동작 179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거리를 유지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마스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프로세서(120)로부터 엑츄에이터(1530)에게 송신되는 것으로 구성된(configured as)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프로세서(120)로부터 엑츄에이터(1530)에게 송신되는 것으로 구성된(configured as)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널 상태(null state)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동작 1795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상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510)는,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는 동작 1750를 수행한 후, 동작 1760 내지 1780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동작 1750는 동작 1760 내지 178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매 프레임마다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데이터의 변경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트의 입체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매 프레임마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들 각각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상기 콘텐트의 입체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제 1 거리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 위에(over) 상기 제1 영역에 대면하여 제1 이격 거리로 배치되고 ,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1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기 위한 제1 반사부재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상기 제 2 영역 위에(over) 상기 제2 영역에 대면하여 상기 제 1 이격 거리보다 큰 상기 제2 이격 거리로 배치되고,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기 위한 제2 반사부재, 제1 반투명 반사부재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및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반사부재 사이에 제1 지정된 기울기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상기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도록,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반사부재 사이에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제2 지정된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제3 광을 상기 렌즈부를 향해 반사하도록 배치된 제3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이격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와 동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여 형성되는 제1 상의 거리( b1)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디스플레이까지 거리(dl),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사영된 부분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 거리(dh), 및 상기 렌즈부의 초점 거리(f)를 바탕으로 산출된, 이고,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여 형성되는 제2 상의 거리( b2)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상기 제2 반투명반사부재까지 거리(dl+dh),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사영된 부분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 거리(dh), 및 상기 렌즈부의 초점 거리(f)를 바탕으로 산출된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전달된 제2 광을 반사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1 광의 경로 및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전달되는 상기 제2 광의 경로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과 상기 제2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상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상의 위치는 상기 제2 반사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와 대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상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제2 상을 배치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의 경로 거리 및 상기 제2 광의 경로 거리는 상기 렌즈부의 초점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3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3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3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3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3 광을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3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사부재 및 제3 반사부재는 평면거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사부재를 디스플레이의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 광경로 거리조절부, 상기 제3 반사부재를 디스플레이의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 광경로 거리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는 오목거울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사부재의 초점거리는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상기 제2 영역 간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3 반사부재의 초점거리는 상기 제3 반사부재와 상기 제3 영역 간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2 광을 상기 렌즈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1 광을 반사시켜, 상기 제1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 및 렌즈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을 상기 렌즈부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곡률을 가지는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 전자 장치
330 : 디스플레이 패널
340 : 반투명 반사부재
350 : 반사부재
360 : 렌즈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와 제 1 거리 범위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 위에(over) 상기 제1 영역에 대면하여 제1 이격 거리로 배치되고 ,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1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기 위한 제1 반사부재;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 1 거리 범위보다 큰 제 2 거리 범위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 상기 제 2 영역 위에(over) 상기 제2 영역에 대면하여 상기 제 1 이격 거리보다 큰 제2 이격 거리로 배치되고,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기 위한 제2 반사부재;
    상기 제1 반사부재, 및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엑츄에이터;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엑츄에이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1 반투명 반사부재;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및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반사부재 사이에 제1 지정된 기울기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픽셀들을 통해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투과되어 상기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도록,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반사부재 사이에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제2 지정된 기울기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성은 상기 콘텐츠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모양, 색상, 표시 변환 속도, 또는 표시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들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반사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상기 제1 이격 거리 또는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상기 제2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기 상들은 멀티 레이어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제3 광을 상기 렌즈부를 향해 반사하도록 배치된 제3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이격 거리와 상이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된 기울기는 상기 제2 지정된 기울기와 동일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여 형성되는 제1 상의 거리는, 에 기반하여 식별되고, 여기서, b1은 상기 제1 상의 거리를 나타내고, dl은 상기 렌즈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dh는,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사영된 부분의 갈이를 나타내고, f는 상기 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여 형성되는 제2 상의 거리는, 에 기반하여 식별되며, 여기서, b2는 상기 제2 상의 거리를 나타내고, dl은 상기 렌즈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dh는,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사영된 부분의 길이를 나타내며, f는 상기 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2 반사부재;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엑츄에이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는, 상기 전달된 제2 광을 반사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1 광의 경로 및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렌즈부에 전달되는 상기 제2 광의 경로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과 상기 제2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상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성은 상기 콘텐츠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모양, 색상, 표시 변환 속도, 또는 표시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들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광의 경로의 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기 상들은 멀티 레이어를 구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의 위치는 상기 제2 반사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와 대칭인 전자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상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제2 상을 배치시키도록 조정되는 전자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의 경로 거리 및 상기 제2 광의 경로 거리는 상기 렌즈부의 초점거리 보다 짧은 전자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3 영역에서 방출되는 제3 광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3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3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 및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를 투과한 상기 제3 광의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3 광을 상기 제2 반투명 반사부재에게 전달하는 제3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 및 제3 반사부재는 평면거울인 전자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의 거리는 서로 상이한 전자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를 디스플레이의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 광경로 거리조절부; 및
    상기 제3 반사부재를 디스플레이의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 광경로 거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는 오목거울로 형성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반사부재의 곡률은 서로 상이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의 초점거리는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상기 제2 영역 간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3 반사부재의 초점거리는 상기 제3 반사부재와 상기 제3 영역 간의 거리보다 긴 전자 장치.
  20. 전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1 광을 상기 렌즈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1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서 출력되는 제2 광을 상기 렌즈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제2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2 반투명 반사부재;
    상기 제1 반투명 반사부재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1 광을 반사시켜, 상기 제1 및 제2 반투명 반사부재 및 렌즈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상을 상기 렌즈부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곡률을 가지는 반사부재;
    상기 곡률을 가지는 반사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엑츄에이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성은 상기 콘텐츠 내의 시각적 객체들의 모양, 색상, 표시 변환 속도, 또는 표시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의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들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식별하고,
    상기 인덱스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곡률을 가지는 반사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 내의 상기 시각적 객체들에 대응되는 상기 상들은 멀티 레이어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73419A 2018-06-26 2018-06-26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19A KR102613488B1 (ko) 2018-06-26 2018-06-26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19/007742 WO2020004941A1 (ko) 2018-06-26 2019-06-26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19A KR102613488B1 (ko) 2018-06-26 2018-06-26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17A KR20200001017A (ko) 2020-01-06
KR102613488B1 true KR102613488B1 (ko) 2023-12-14

Family

ID=6898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419A KR102613488B1 (ko) 2018-06-26 2018-06-26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3488B1 (ko)
WO (1) WO2020004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686A (ko) 2020-11-20 2022-05-27 (주)한솔비에스 종이 벽돌 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2069A (ja) * 2015-08-31 2017-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空中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666B2 (ja) * 1995-05-25 2005-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3051A (ja) * 2002-06-11 2004-01-15 Osaka Gas Co Ltd ステレオ画像表示装置
JP6004706B2 (ja) * 2012-04-04 2016-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1668091B1 (ko) * 2014-10-14 2016-10-1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브 가이드 및 웨이브 가이드를 가지는 스마트 글라스
KR20180043072A (ko) * 2016-10-19 2018-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2069A (ja) * 2015-08-31 2017-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空中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17A (ko) 2020-01-06
WO2020004941A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747B2 (en) Head mounted display for viewing and creating a media file including omnidirectional image data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KR102470853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8956B1 (ko) 전자 장치 및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장치와 그 동작 방법
EP3616030B1 (en) Navigating a holographic image
US20140368537A1 (en) Shared and private holographic objects
US20160077338A1 (en) Compact Projection Light Engine For A Diffractive Waveguide Display
US20150262424A1 (en) Depth and Focus Discrimination for a Head-mountable device using a Light-Field Display System
KR102499354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제 1 콘텐트에 대해 제 2 콘텐트를 외부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3166362A2 (en) Collaboration environment using see through displays
EP4016170A1 (en) Foveated display apparatus
US11574389B2 (en) Reprojection and wobulation at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20220067128A (ko) 증강 현실 환경의 무선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97800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members that change the optical path
CN112106353B (zh) 用于基于环境照度调整在显示器上显示的内容的位置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22035055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system includ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KR102613488B1 (ko)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99328A1 (en) Method of removing interferen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US20220375172A1 (en) Contextual visual and voice search from electronic eyewear device
JP2019053644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220100143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모션 센서를 이용한 입력 구조물
EP4202617A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
KR1022017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4202531A1 (en) Augmented reality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KR20240043029A (ko)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2023000421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