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686A - 종이 벽돌 블록 - Google Patents

종이 벽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686A
KR20220069686A KR1020200157072A KR20200157072A KR20220069686A KR 20220069686 A KR20220069686 A KR 20220069686A KR 1020200157072 A KR1020200157072 A KR 1020200157072A KR 20200157072 A KR20200157072 A KR 20200157072A KR 20220069686 A KR20220069686 A KR 20220069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rface portion
extension
assemb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한솔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비에스 filed Critical (주)한솔비에스
Priority to KR102020015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686A/ko
Publication of KR2022006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은 블록 조립 후 블록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1 상부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우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2 상부면부를 포함하는 상부면부, 및 블록 조립 시 블록의 내부에 삽입되는 격자형 지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종이 벽돌 블록{PATER BRICK BLOCK}
본 발명은 종이 벽돌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이 벽돌(또는 종이 블록)은 유아들의 놀이욕구를 충족함과 동시에 학습적인 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종이 재질의 벽돌 형태 블록 교구를 말한다.
종래의 조립식 블록은 여러 가지 형상 문양 및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서로 다른 문양 및 형상을 갖는 블록들을 서로 끼워 맞춰 조립하거나 또는 이를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재미와 지능 개발 효과를 도모하였다.
하지만, 유아들의 경우 다양한 문양 및 형상의 블록들을 서로 끼워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쉽지가 않아서 재미를 느끼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들 종래의 조립식 블록은 각각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단한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을 소재로 제공되었는데, 만일 블록의 파손 시 블록을 만지고 이용하는 유아들에게는 심각한 부상을 입힐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 두꺼운 종이를 소재로 하여 정해진 크기로 제작한 벽돌 형태의 블록(이를 '종이 벽돌' 또는 '종이 벽돌 블록'이라 함)이 몇몇 소개되고 있다.
종이 벽돌 블록은 두꺼운 골판지 등의 종이를 소재로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조립 전의 모습은 전개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접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블록 형태로 조립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종이 벽돌 블록은 국부적으로 외부 하중에 취약한 부위가 존재하였기에, 외부 면, 즉 6개의 면 중 일부 면을 통해 하중이 가해질 경우 벽돌 형상이 찌그러져 변형되거나 훼손 및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 및 측면 방향(즉,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압축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의 종이 벽돌 블록은 조립 방법이 까다로워 초심자의 경우 벽돌 블록의 조립에 숙련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였으며, 조립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2020-00010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벽돌 블록의 외부 면,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라도 외부 하중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지 않도록 전체 면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 면의 변형이나 훼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종이 벽돌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상의 종이 벽돌 블록의 외부 면, 즉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라도 외부 하중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하지 않도록 전체 면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종이 벽돌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은 블록 조립 후 블록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1 상부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우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2 상부면부를 포함하는 상부면부; 및 블록 조립 시 블록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면부,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상부면부 각각을 적어도 일부가 접촉 지지하는 격자형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은 전개 형상에서,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는 전면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제1 연결지지부가 구비되고, 전개 형상에서, 상기 후면부의 후방에는 후면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상기 제1 연결지지부와 체결 및 해제되는 제2 연결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와 상기 제2 연결지지부는, 블록 조립 시 서로 체결되어 일면은 상기 좌, 우측면부 각각의 내부와 마주하여 밀착되고, 타면은 상기 격자형 지지체와 접촉되어 상기 좌, 우측면부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연결지지부와 상기 제2 연결지지부는 체결 시 상기 좌, 우측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의 말단에는 제1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고리의 전단에는 제1 연결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결지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제2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연결 홈과 조립되는 제2 연결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연결지지부의 체결 시 상기 제1, 2 연결고리는 상기 제1, 2 연결 홈 간의 조립 시 서로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서, 상기 전면연장부는 상기 전면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면연장부는 상기 후면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연장부는, 상기 전면부의 외측과 연결되는 전면연장부 일단부; 상기 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와 접철되며,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전면연장부 타단부; 및 상기 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전면연장부 끼움 공;을 포함한다.
후면연장부는, 상기 후면부의 외측과 연결되는 후면연장부 일단부; 상기 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와 접철되며,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후면연장부 타단부; 및 상기 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전면연장부 끼움 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서, 제1, 2 상부면부 각각은, 상기 제1, 2 상부면부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2 상부면부 각각이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힐 때, 블록 내부에 삽입된 상기 격자형 지지체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상부면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부면연장부는, 상기 상부면연장부의 길이를 설정길이로 균일하게 분할한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복수의 상부면연장부 끼움 홈과, 상기 상부면연장부의 길이 양단에 위치하는 호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서, 상기 격자형 지지체는, 상기 블록의 단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각각이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블록의 단변 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변지지몸체; 및 상기 블록의 장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각각이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블록의 장변 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장변지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변지지몸체 각각은, 상기 블록의 장변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장변지지몸체 각각은, 상기 블록의 단변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단변지지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립되고, 조립 후 상기 단변지지몸체와 상기 장변지지몸체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정방형 격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에 의하면 종이 벽돌 블록의 외부 면,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라도 외부 하중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지 않도록 전체 면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 면의 변형이나 훼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하 방향 및 측면 방향(예: 전후 및 좌우 방향 등)으로의 압축 강도가 구조적으로 강화될 수 있어 면 내측 부위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반복 사용시에도 종이 벽돌 블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훼손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종이 벽돌 블록은 조립 방법이 까다로워 초심자의 경우 벽돌 블록의 조립에 숙련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였고, 나이 어린 사용자들이 쉽게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구조를 간단화시키고, 누구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벽돌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벽돌 블록을 조립하는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벽돌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2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종이 벽돌 블록을 조립하는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인 종이 블록 벽돌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의 외부 면, 즉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라도 외부 하중 취약하지 않도록 전체 면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하여 목표하는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이하 간략히 '블록'이라 함)(1000)은 하부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좌측면부(400), 우측면부(500), 상부면부(600), 격자형 지지체(900)를 구성하는 단변지지몸체(700) 및 장변지지몸체(800)를 포함한다.
하부면부(100)는 블록 조립 후 블록의 하부면을 형성한다.
전면부(200)는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상기 하부면부(100)의 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200)의 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한다.
후면부(300)는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상기 하부면부(100)의 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100)의 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후면을 형성한다.
좌측면부(400)는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상기 하부면부(100)의 좌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100)의 좌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우측면부(500)는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상기 하부면부(100)의 우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100)의 우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우측면을 형성한다.
상부면부(600)는 제1 상부면부(610)와 제2 상부면부(620)를 포함한다.
제1 상부면부(610)는 상기 좌측면부(4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좌측면부(400)의 말단에서 90도로 굽혀져 상기 하부면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부위를 말한다.
제2 상부면부(620)는 상기 우측면부(5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우측면부(500)의 말단에서 90도로 굽혀져 상기 하부면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부위를 말한다.
제1 상부면부(610)와 제2 상부면부(620)는 상부면부(600)를 각각 1/2씩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제1 상부면부(610)와 제2 상부면부(620)의 연결에 의해 전체적으로 평탄한 하나의 상부면부(600)가 제공된다.
격자형 지지체(900)는 블록 조립 시 블록의 내부에 삽입되며, 블록의 각 면을 형성하는 하부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좌측면부(400), 우측면부(500) 및 상부면부(600) 각각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블록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격자형 지지체(900)는 하부면부(100)와, 전면부(200)와, 후면부(300)와, 좌측면부(400)와, 우측면부(500)와, 상부면부(600)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격자형 지지체(900)는 하부면부(100)와, 전면부(200)와, 후면부(300)와, 좌측면부(400)와, 우측면부(500)와, 상부면부(600) 중 어디를 통해서라도 하중이 가해질 때 각 면을 구조적으로 지지하여 블록의 변형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격자형 지지체(900)의 격자 형상은 하부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좌측면부(400), 우측면부(500) 및 상부면부(600) 각각이 외부 하중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표한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한 면, 예를 들어 상부면부(600) 중에서도 위치에 따라 하중에 취약한 부위를 방지하도록 격자형 지지체(900)의 격자 형상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부면부(600)의 어느 한 지점에서 하중이 집중될 경우에도, 격자형 지지체(900)는 블록의 내부에서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면부(600)의 전체 면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국부적인 변형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 지지체(900)는 후술할 단변지지몸체(700)와 장변지지몸체(800)를 서로 교차시켜 손쉽게 끼워 격자 형태로 조립한 다음, 조립된 격자형 지지체(900)를 블록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간단히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라도 한번만 조립해 보면 이후에는 스스로 혼자서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해체도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필요할 경우 다양한 사이즈의 격자형 지지체(900)를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스로 블록의 압축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 반복 사용함에 따라, 격자형 지지체(900)의 지지력이 약화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경우에는 격자형 지지체(900)만을 신품으로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의 압축 강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은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전면부(200)의 전방에는 전면연장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부(200)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제1 연결지지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개 형상(도 1 참조)에서 후면부(300)의 후방에는 후면연장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부(300)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상기 제1 연결지지부(230)와 체결 및 해제되는 제2 연결지지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에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230)와 상기 제2 연결지지부(330)는, 블록 조립 시 서로 체결되어 일면은 상기 좌, 우측면부(400, 500) 각각의 내부와 마주하여 밀착되고, 타면은 상기 격자형 지지체(900)와 접촉되어 상기 좌, 우측면부(400, 50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지지부(230)와 상기 제2 연결지지부(330)는 체결 시 상기 좌, 우측면부(400, 5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에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230)의 말단에는 제1 연결고리(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고리(231)의 전단에는 제1 연결 홈(23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지지부(330)의 말단에는 상기 제2 연결고리(3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331)의 전단에는 제2 연결 홈(3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2 연결지지부(230, 330)의 체결 시 상기 제1, 2 연결고리(231, 331)는 상기 제1, 2 연결 홈(232, 332) 간의 끼움 조립에 의해 상호 덧대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제1, 2 연결지지부(230, 330)가 좌, 우측면부(400, 500) 각각의 내측에서 서로 견고하게 체결됨에 따라, 전면부(200)와 후면부(300)의 기립 자세가 유지되는데 필요한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연결지지부(230, 330)는 좌, 우측면부(400, 500) 각각의 내부와 격자형 지지체(900) 사이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층 구조를 형성하며, 격자형 지지체(900)와 좌, 우측면부(400, 500) 사이를 두껍게 밀착시켜줌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블록의 측면 방향 압축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에서, 상기 전면연장부(210)는 상기 전면부(200)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연장부(210)는 전면부(200)의 면적보다 2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면연장부(2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의 면적이 전면부(200)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후면연장부(310)는 상기 후면부(300)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연장부(310)는 후면부(300)의 면적보다 2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후면연장부(3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의 면적이 후면부(300)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면연장부(210)는, 전면연장부 일단부(211), 전면연장부 타단부(212), 전면연장부 끼움 공(220)을 포함한다. 전면연장부 일단부(211)는 상기 전면부(200)의 외측과 연결된다. 전면연장부 타단부(212)는 상기 전면연장부(210)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211)와 접철되며,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211)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연장부 끼움 공(220)은 상기 전면연장부(210)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일자 형상의 긴 구멍(즉, 일자 장공)을 말한다.
전면연장부 타단부(212)는 접철 선을 기준으로 전면연장부 일단부(211)에 포개어 지는 형태로 접철 될 수 있다. 이때, 전면연장부 끼움 공(220)은 2겹으로 겹쳐진 전면연장부(210)의 일단에 소정의 끼움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끼움 홈은 전면연장부 끼움 공(220)의 길이에 비해 1/2의 홈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후면연장부(310)는, 후면연장부 일단부(311), 후면연장부 타단부(312), 후면연장부 끼움 공(320)을 포함한다. 후면연장부 일단부(311)는 상기 후면부(300)의 외측과 연결된다. 후면연장부 타단부(312)는 상기 후면연장부(310)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311)와 접철되며,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311)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면연장부 끼움 공(320)은 상기 후면연장부(310)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일자 장공을 말한다.
후면연장부 타단부(312)는 접철 선을 기준으로 후면연장부 일단부(311)에 포개어 지는 형태로 접철 될 수 있다. 이때, 후면연장부 끼움 공(320)은 2겹으로 겹쳐진 후면연장부(310)의 일단에 소정의 끼움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끼움 홈은 후면연장부 끼움 공(320)의 길이에 비해 1/2의 홈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에서, 제1, 2 상부면부(610, 620) 각각은, 상부면연장부(630)를 더 포함한다.
상부면연장부(630)는 상기 제1, 2 상부면부(610, 620)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2 상부면부(610, 620) 각각이 상기 하부면부(100)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힐 때, 블록 내부에 삽입된 상기 격자형 지지체(900)의 상단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연장부(630)는 복수의 상부면연장부 끼움 홈(640)과 호형 돌기(6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부면연장부 끼움 홈(640)은 상기 상부면연장부(630)의 길이를 설정길이로 균일하게 분할한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호형 돌기(650)는 상기 상부면연장부(630)의 길이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호형 돌기(650)는 상부면연장부(630)의 전체 연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제1, 2 상부면부(610, 620) 각각에서 돌출될 수 있다. 호형 돌기(650)는 전면연장부 끼움 공(220)과 후면연장부 끼움 공(32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벽돌 블록(1000)에서, 상기 격자형 지지체(900)는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와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는 상기 블록의 단변(즉, 하부면부의 직사각형 형상 중 짧은 변을 의미)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 각각은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로써 블록의 소재인 종이 자체의 강도보다 적어도 2배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는 블록의 단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는 상기 블록의 장변(즉, 하부면부의 직사각형 형상 중 긴 변을 의미)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 각각은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로써, 블록의 소재인 종이 자체의 강도보다 적어도 2배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는 상기 블록의 장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 각각은 상기 블록의 장변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즉, 동일 간격)(L1)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 각각은 상기 블록의 단변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즉, 동일 간격)(L1)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변지지몸체(700)와 복수의 장변지지몸체(80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리 조립되어 격자형 지지체(9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격자형 지지체(900)의 내부에는 단변지지몸체(700)와 장변지지몸체(800) 사이에 마련된 일정한 크기의 정방형의 격자공간(910)이 형성된다.
격자형 지지체(900)의 내부에 형성된 정방형의 격자공간(910)이 모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 격자형 지지체(900)는 하부면부(100), 전면부(200), 후면부(300), 좌측면부(400), 우측면부(500), 상부면부(600) 중 어느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는 구조 강성을 가질 수 있어, 블록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 지지체(900)를 미리 조립한 후 블록 내부 공간에 손쉽게 삽입한 후 제1,2 상부면부(610, 620)를 닫아 상부면연장부(630)를 격자형 지지체(900)의 상부에 끼워 조립을 완성시킬 수 있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라도 손쉽게 블록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격자형 지지체(900) 내의 정방형의 격자공간(910)의 사이즈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블록의 압축 강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으며, 블록의 중량 조절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종이 벽돌 블록(1000)의 장시간 반복 사용 시 외부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블록의 내부에 삽입된 격자형 지지체(900)의 지지력이 약화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간단히 상부면부(600)만을 개방한 후 격자형 지지체(900)를 신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의 압축 강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종이 벽돌 블록의 전면 압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이 벽돌 블록의 외부 면,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어느 하나라도 외부 하중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지 않도록 전체 면을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 면의 변형이나 훼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하 방향 및 측면 방향(예: 전후 및 좌우 방향 등)으로의 압축 강도가 구조적으로 강화될 수 있어 면 내측 부위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반복 사용시에도 종이 벽돌 블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훼손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종이 벽돌 블록은 조립 방법이 까다로워 초심자의 경우 벽돌 블록의 조립에 숙련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였고, 나이 어린 사용자들이 쉽게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구조를 간단화시키고, 누구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하부면부
200: 전면부
210: 전면연장부
211: 전면연장부의 일단부
212: 전면연장부의 타단부
220: 전면연장부의 외부
230: 제1 연결지지부
231: 제1 연결고리
232: 제1 연결 홈
300: 후면부
310: 후면연장부
311: 후면연장부의 일단부
312: 후면연장부의 타단부
320: 후면연장부의 끼움 공
330: 제2 연결지지부
331: 제2 연결고리
332: 제2 연결 홈
400: 좌측면부
500: 우측면부
600: 상부면부
610: 제1 상부면부
620: 제2 상부면부
630: 상부면연장부
640: 상부면연장부의 끼움 홈
650: 호형돌기
700: 단변지지몸체
800: 장변지지몸체
900: 격자형 지지체
910: 격자공간
1000: 종이 벽돌 블록

Claims (7)

  1. 블록 조립 후 블록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후방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좌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전개 형상에서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 연결되며, 블록의 조립 후 상기 하부면부의 우측에서 기립되어 블록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좌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1 상부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블록 조립 후 상기 우측면부에서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히는 제2 상부면부를 포함하는 상부면부; 및
    블록 조립 시 블록의 내부에 삽입되는 격자형 지지체;
    를 포함하는 종이 벽돌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전개 형상에서,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는 전면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제1 연결지지부가 구비되고,
    전개 형상에서, 상기 후면부의 후방에는 후면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좌우 양측 각각에는 상기 제1 연결지지부와 체결 및 해제되는 제2 연결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벽돌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와 상기 제2 연결지지부는 체결 시 상기 좌, 우측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벽돌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의 말단에는 제1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고리의 전단에는 제1 연결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연결지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제2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연결 홈과 조립되는 제2 연결 홈이 구비되는
    종이 벽돌 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연장부는 상기 전면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연장부는, 상기 전면부의 외측과 연결되는 전면연장부 일단부;
    상기 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와 접철되며, 상기 전면연장부 일단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전면연장부 타단부; 및
    상기 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전면연장부 끼움 공;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연장부는 상기 후면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면연장부는, 상기 후면부의 외측과 연결되는 후면연장부 일단부;
    상기 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을 기준으로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와 접철되며, 상기 후면연장부 일단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후면연장부 타단부; 및
    상기 후면연장부의 내부 접철 선 중심에 위치하며, 접철 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전면연장부 끼움 공;을 포함하는
    종이 벽돌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상부면부 각각은,
    상기 제1, 2 상부면부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2 상부면부 각각이 상기 하부면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힐 때, 블록 내부에 삽입된 상기 격자형 지지체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상부면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연장부는, 복수의 상부면연장부 끼움 홈과 호형 돌기를 포함하는
    종이 벽돌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지지체는,
    상기 블록의 단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각각이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블록의 단변 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변지지몸체; 및
    상기 블록의 장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각각이 적어도 2개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블록의 장변 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장변지지몸체;
    를 포함하는 종이 벽돌 블록.
KR1020200157072A 2020-11-20 2020-11-20 종이 벽돌 블록 KR20220069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072A KR20220069686A (ko) 2020-11-20 2020-11-20 종이 벽돌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072A KR20220069686A (ko) 2020-11-20 2020-11-20 종이 벽돌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686A true KR20220069686A (ko) 2022-05-27

Family

ID=8179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072A KR20220069686A (ko) 2020-11-20 2020-11-20 종이 벽돌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6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17A (ko) 2018-06-26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17A (ko) 2018-06-26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광을 렌즈로 전달할 수 있는 반사 부재 및 반투명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JP3205533U (ja) 組み立て玩具
US8715030B2 (en) Toy building block
US20170238712A1 (en) Chair, stool assembly, and system
JP2014001509A (ja) 組立構造物、およびそれらを形成するシートセット
US20050050639A1 (en) Corner piece for mattresses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90344191A1 (en) Structural element
KR20220069686A (ko) 종이 벽돌 블록
JP3204236U (ja) ダンボール製の組立式ベッド
JP6731726B2 (ja) 複合卓上板の構造
RU2370298C2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KR101883287B1 (ko) 큐브 적층 구조의 어린이 놀이 시설물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KR101109206B1 (ko) 삼각종이벽돌
KR102608224B1 (ko) 삼각기둥 종이블록벽돌
KR200489891Y1 (ko) 사다리꼴 종이블럭벽돌
KR20180000422U (ko) 접이식 깔판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110011683U (ko)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102526452B1 (ko) 관절 구조를 포함하는 토이 로봇
JP6303101B2 (ja) 箱型椅子
CN102872584A (zh) 一种拼接式万用棋盘
JP6327678B2 (ja) 折り畳むことが可能なクッキングスタンド
JP3129158U (ja) 多目的組み合わせ構造
JP5774624B2 (ja) 組立構造物
CN207055969U (zh) 一种使用接插方式结合的磁性积木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