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063B1 -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063B1
KR102613063B1 KR1020220173959A KR20220173959A KR102613063B1 KR 102613063 B1 KR102613063 B1 KR 102613063B1 KR 1020220173959 A KR1020220173959 A KR 1020220173959A KR 20220173959 A KR20220173959 A KR 20220173959A KR 102613063 B1 KR102613063 B1 KR 10261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information
us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김영철
장관일
이시영
이운순
안대령
서유하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으로서, 안전사고 및 범죄 예방의 목적으로 주차장을 감시하는 방재시스템에 과금형충전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접목시켜, 1)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고, 2) 과금형콘센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구비하지 않고,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전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전기차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Charging System bas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Power Socket}
본 발명은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으로서, 안전사고 및 범죄 예방의 목적으로 주차장을 감시하는 방재시스템에 과금형충전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접목시켜, 1)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고, 2) 과금형콘센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구비하지 않고,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전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전기차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인프라 또한 함께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과금형콘센트는 완속충전기에 충전속도가 비교적 낮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주차장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를 사용하여 전기차를 쉽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아파트, 빌라, 빌딩 등 다양한 곳에서 과금형콘센트를 통해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 과금형콘센트는 사용자에게 충전과 관련된 정보(충전율, 충전시간, 충전요금 등)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 신용카드, 스마트폰, 회원카드 등을 태그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RF카드태그, 데이터송수신 및 원격관리를 위해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재시스템이란 건물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 범죄 등의 사고를 감지하고 경보하여 각종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주차장의 경우에는 CCTV와 비상벨을 설치하고, 위급상황 시에 사용자는 비상벨을 눌러 방재실의 방재요원과 통화할 수 있고, 방재요원은 주차장을 촬영하고 있는 CCTV를 통해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행법상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차로와 통로 및 출입구의 기둥 또는 벽에, 25미터 이내의 간격마다 경비실 또는 관리사무소와 연결되는 비상벨을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차장에 적용되는 방재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출력장치, 통신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과 방재시스템을 연동하여, 비용효율적으로 두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대해서는 제시된 바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 1은 “주차장 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주차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법행위를 사전(事前)에 예측하여 경고함으로써, 위법행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선행문헌 2는 “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 공간을 안내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로서 주차장 내 충전공간들 중 차량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추천공간을 선택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 및 2에는 주차장에 구축된 방재시스템에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연동하여, 비용효율적으로 전기차충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하는 바가 없다.
(선행문헌 1) 국내등록특허 KR 10-1309121 B1 (선행문헌 2) 국내등록특허 KR 10-2110541 B1
본 발명은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으로서, 안전사고 및 범죄 예방의 목적으로 주차장을 감시하는 방재시스템에 과금형충전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접목시켜, 1)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고, 2) 과금형콘센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구비하지 않고, 방재시스템에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전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전기차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으로서, 위급상황에서 사용자가 누른 비상벨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하는 마이크부,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스피커부,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LED부, 주차면 및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및 방재실과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관리모듈; 방재실서버; 및 과금형콘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과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재실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이는 충전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방재실서버는, 상기 비상벨이 눌려졌을 때, 방재요원이 해당 비상벨을 누른 사용자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상통화제공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충전모듈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부;를 포함하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차량번호식별단계; 식별된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는 SSID송신단계;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을 통하여, 상기 충전모듈과 전기차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수집단계; 및 상기 충전정보 혹은 상기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 혹은 월패드로 송신하는 충전정보제공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SSID송신단계는, 식별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이 일반차량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SSID송신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수신한 SSID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모듈에 접속하는 충전모듈접속단계; 상기 충전모듈에 의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기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단계; 상기 충전모듈에 의하여,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정보는,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의 스피커부 및 LED부를 통해서 출력되고, 상기 충전모듈에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LED부는,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경우와 충전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따라 점등되는 LED의 점멸주기, 밝기, 색상 중 1 이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 구축된 방재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차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에 의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식별하여, 해당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충전모듈로부터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 혹은 월패드로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해 식별된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에는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으로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은 SSID정보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단말기에 인증정보를 요청 및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기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정보는 주차장관리모듈의 스피커부 및 LED부를 통해 출력되고, 충전모듈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하고 해당 차량번호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된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송신되는 정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가 충전되고,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종래의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충전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하는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되는 LED부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파트, 빌라 등의 공동주택 혹은 백화점 등의 공공시설의 주차장에는 안정사고와 범죄예방을 위하여 기둥 또는 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방재실과 연결되는 비상벨(5)을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재시스템은 비상벨(5),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LED 등을 구비하며, 위급상황 시에 사용자는 비상벨(5)을 눌러 위급상황을 전파 및 방재실의 방재요원과 통화할 수 있고, 방재요원은 주차장을 촬영하는 영상을 통해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과금형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주차장이 늘어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과금형콘센트는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터치패널, RF카드태그부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RF카드를 태그하여 서버에 인증을 요청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터치패널 등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충전과 관련된 인터페이스와 정보들을 제공받으면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과정에서 과금형콘센트에서 취급되는 데이터들은 외부 서버로 송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과금형콘세트에서 취급되는 정보들을 서버로 취합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과금형콘센트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별도의 배관/배선을 설치하거나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재시스템과 전기차충전시스템을 함께 구축하는 경우 중복되는 구성요소들(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입출력장치, 통신인프라 등)로 인해, 시스템 구축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은 주차장에 구비되는 방재시스템에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접목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은 위급상황에서 사용자가 누른 비상벨(5)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2),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하는 마이크부(23),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스피커부(25),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LED부(24), 주차면 및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21), 및 방재실과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20)를 포함하는 주차장관리모듈(2); 방재실서버(1); 및 과금형콘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과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주차장관리모듈(2)의 통신부(20)를 통해 상기 방재실서버(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이는 충전모듈(3);를 포함하고, 상기 방재실서버(1)는, 상기 비상벨(5)이 눌려졌을 때, 방재요원이 해당 비상벨(5)을 누른 사용자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상통화제공부(10); 및 상기 카메라부(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충전모듈(3)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실서버(1)는 1) 비상벨(5)이 눌려졌을 때, 방재요원이 해당 비상벨(5)을 누른 사용자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하는 비상통화제공기능과 2) 카메라부(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4) 및 상기 충전모듈(3)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방재실서버(1)에서 제공하는 비상통화제공기능에 대해 상술하면, 방재실서버(1)의 비상통화제공부(10)는 주차장관리모듈(2)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위급상황 시에 비상벨(5)을 누른 사용자와 방재실의 방재요원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에 구비되는 주차장관리모듈(2)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비상통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관리모듈(2)은 통신부(20), 카메라부(21), 신호수신부(22), 마이크부(23), LED부(24), 및 스피커부(25)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와 주차장관리모듈(2)간에는 유선 혹은 무선상으로 연결되는 통신인프라가 구축되고, 통신부(20)에 의해 주차장관리모듈(2)과 방재실서버(1)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20)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하거나, 신호수신부(22) 및 마이크부(23)가 수신하는 정보들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하거나, 방재실서버(1)에서 송신하는 정보들을 스피커부(25) 및 LED부(2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0)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방재실서버(1)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21)는 주차장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부(21)는 주차장을 촬영하고, 위급상황 시에 방재실의 방재요원은 비상벨(5)이 울린 위치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을 통해 현장상황을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장관리모듈(2) 및 카메라부(21)가 구비되고, 복수의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통신부(20)에 의해 방재실서버(1)로 송신되고, 위급상황 시에는 복수의 영상 중 비상벨(5)이 울린 위치 주변을 촬영하고 있는 영상이 방재실서버(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22)는 비상벨(5)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수신부(22)는 비상벨(5)과 유무선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른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호수신부(22)가 비상벨(5)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LED부(24)가 점멸하고, 마이크부(23), 스피커부(25) 등에 의한 통화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마이크부(23), 및 스피커부(25)는 비상벨(5)을 누른 사용자와 방재실의 방재요원과의 통화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라 마이크부(23), 및 스피커부(25)가 동작하여 방재실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LED부(24)는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라 위급상황을 전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라 해당 위치의 LED부(24)가 점멸하여 해당 주차장에 위급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라 방재실서버(1)는 해당 위치 및 해당 위치와 관련된 위치(예를 들어 같은 건물 혹은 같은 층)에 위치한 모든 LED부(24)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재실서버(1)의 비상통화제공부(10) 및 주차장관리모듈(2)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가 비상벨(5)을 누름에 따라 위급상황의 대처를 위하여 사용자와 방재요원과의 통화를 수행하거나, LED를 통해 비상상황을 전파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재실서버(1)는 비상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기능을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충전관리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관리부(11)에 의하여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방재실서버(1)에서 제공하는 충전관리기능에 대해 상술하면, 방재실서버(1)의 충전관리부(11)는 주차장관리모듈(2)과 통신을 수행하여, 주차장관리모듈(2)이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전기차의 사용자에게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모듈(3)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3)은 사용자단말기(4) 및 주차장관리모듈(2)과 통신을 수행하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전기차 충전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모듈(3)은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시간, 충전잔량 등)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관리모듈(2)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장관리모듈(2)은 '상기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부(20)를 통하여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재실서버(1)와 충전모듈(3)간의 별도의 통신회선을 설치하지 않고,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방재실서버(1)와 충전모듈(3)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모듈(3)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은 BLE,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모듈(3)은 BLE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과금형콘센트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네트워크를 구현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3)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근거리 통신모듈(바람직하게는 BLE통신모듈)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통신회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기반의 통신모듈에 대비해 비용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관리모듈(2)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재실서버(1)의 충전관리부(11)는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하여 충전모듈(3)과 통신을 수행하여,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충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충전관리부(11)는 해당 충전정보 및 상기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4) 혹은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관리부(11)는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스피커부(25), LED부(24) 등을 통하여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3)은 사용자에게 충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출력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스피커부(25), 및 LED부(24)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들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4)에게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차량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관리모듈(2)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는 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3)에 별도의 카메라 혹은 감지센서 등을 구비하지 않고)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카메라부(21)를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 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3)은 1)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혹은 마이크 등의 출력장치 및 2)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식별을 위하여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해당 기능들은 (비상통화제공기능을 위하여 구비된) 주차장관리모듈(2)의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실서버(1)는 1 이상의 주차장관리모듈(2)과 통신을 수행하여 비상통화제공기능과 충전관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비상벨(5) 및 복수의 각각과 비상벨(5)과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주차장관리모듈(2)이 구비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복수의 주차장관리모듈(2)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주차장관리모듈(2)과 연결된 복수의 충전모듈(3) 각각에 대한 충전관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재실서버(1)는 복수의 주차장관리모듈(2) 및 복수의 주차장관리모듈(2)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충전모듈(3)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되는 충전관리기능을 보다 상세히 상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충전관리기능은 방재실서버(1)의 충전관리부(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하에서 상술하는 방재실서버(1)란 방재실서버(1)의 충전관리부(11)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하고 해당 차량번호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관리부(11)는, 상기 카메라부(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차량번호식별단계; 식별된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는 SSID송신단계; 상기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하여, 상기 충전모듈(3)과 전기차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수집단계; 및 상기 충전정보 혹은 상기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4) 혹은 월패드로 송신하는 충전정보제공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SID송신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4)에 의하여, 상기 충전관리부(11)로부터 수신한 SSID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모듈(3)에 접속하는 충전모듈(3)접속단계; 상기 충전모듈(3)에 의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기(4)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단계; 상기 충전모듈(3)에 의하여,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기(4)로부터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1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식별하고,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카메라부(21)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재실서버(1)는 영상이미지에서 차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번호판영역에서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딥러닝 기반의 기계학습모델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기계학습모델에 상기 카메라부(21)로부터 수신한 영상이 입력되어 상기 카메라부(21)가 촬영하고 있는 영역에 차량에 주차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정의 구현을 위하여 방재실서버(1)는 1 이상의 기계학습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영상이미지에서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객체검출모델, 차량이미지에서 번호판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영역검출모델, 및 번호판영역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차량번호식별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서의 사고 및 범죄예방 등의 목적으로 주차장에 구비되는 카메라부(21)를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모듈(3)에는 별도의 카메라 혹은 감지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주차장에 기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S1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식별된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차량번호별로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를 도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등록된 차량번호별로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전화번호, 이메일 등에 대한 연락처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식별된 차량의 차량번호와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 해당할 수 있다.
S2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장관리모듈(2)의 카메라부(21)는 복수의 주차면을 촬영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복수의 주차면을 촬영하고 있는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차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방재실서버(1)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이란, 해당 주차면에서 주차된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3)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이란,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혹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충전모듈(3)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재실서버(1)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의 위치정보와 충전모듈의(3)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을 촬영하고 있는 영상에서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의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위치정보와 복수의 충전모듈(3) 각각에 대해 기저장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주차면마다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을 식별하여,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2단계는 주차장관리모듈(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충전모듈(3) 중에서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후술하는 S3단계에서 사용자가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S3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단계에서는 주차된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바람직하게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를 도출하였고, S2단계에서는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바람직하게는 해당 주차면에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3))을 결정하였다.
S3단계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4)로 해당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사용자는 수신한 SSID정보를 통해 해당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SID정보란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네트워크주소로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충전모듈(3) 각각에 대한 SSID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정보가 사용자단말기(4)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S4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4)는 방재실서버(1)로부터 수신한 SSID정보를 통해 해당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주차장관리모듈(2)의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특정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에,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해당 주차면에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가 송신되고, 해당 소유주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4)를 통해 자신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다.
S5 내지 S7단계에서, 충전모듈(3)은 접속한 사용자단말기(4)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수시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정보란 해당 사용자의 ID, PW, 차량정보 등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는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단계에서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더 구체적으로는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영상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경우에, 외부환경(조명, 노이즈 등)의 간섭에 의하여 차량번호가 오탐지되어 충전을 요청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차적으로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를 식별하되, 충전을 수행하기에 앞서 2차적으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차량이 오탐지되어 다른 차량이 오충전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관리모듈(2)의 카메라부(21)는 복수의 주차면(A 내지 H)을 촬영하는 영상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영상은 기본적으로 주차장에서의 사고 및 범죄예방을 위해 촬영되는 영상에 해당하나, 본 발명에서는 해당 영상을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식별하는 데 이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면 'A 내지 D'을 촬영하는 영상과 주차면 'E 내지 H'를 촬영하는 2가지 영상이 방재실서버(1)로 송신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되는 주차면 'A 내지 H ' 전체에 대한 영상이 방재실서버(1)로 송신될 수 있다.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어떤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는 지 여부 및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에서 차량객체를 검출하거나 및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은 딥러닝 기반의 학습모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재실서버(1)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예시로 하면,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관리모듈(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충전모듈(3.1 및 3.2) 중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면 A 내지 D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충전모듈(3.1)에 해당할 수 있고, 주차면 E 내지 H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충전모듈(3.2)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 A에 대한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충전모듈(3.1 및 3.2)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주차면 A와 관련된 충전모듈(3.1)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는 주차면 A 내지 H 각각에 대하여, 해당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면 A 내지 D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충전모듈(3.1)로 기저장되고, 주차면 E 내지 F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충전모듈(3.2)로 기저장될 수 있다.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 A에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해당 주차면 A와 관련된 충전모둘(3.1)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주차면 A 내지 D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주차면 A 내지 D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거나 혹은 주차면 A 내지 D와 가장 가까운 충전모듈(3.1)에 해당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주차면 E 내지 H와 관련된 충전모듈(3)은 충전모듈(3.2)에 해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는 지 여부를 식별하고, 주차된 차량이 식별된 경우에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에서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된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송신되는 정보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SID송신단계는, 식별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이 일반차량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이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식별하고, 해당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방재실서버(1)는 해당 영상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등록된 차량번호 각각에 대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지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식별된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재실서버(1)는 영상에서 차량을 검출하고, 다시 검출된 차량의 번호판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번호판영역의 색상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류(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에 따라 부착되는 번호판의 색상이 상이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차량의 종류마다 상이한 번호판영역의 색상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차용 번호판은 청색, 일반차량용 번호판은 백색 혹은 녹색으로 제작되며, 방재실서버(1)는 번호판영역이 청색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것으로 판단하고, 백색 혹은 녹색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해당 차량이 일반차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재실서버(1)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된 차량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이서, 방재실서버(1)는 해당 차량의 종류(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에 따라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방재실서버(1)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S3단계)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해당 차량이 일반차량인 경우 방재실서버(1)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알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정보란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주차장에는 기설정된 비율의 주차면이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전용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해당 전기차충전 전용구역에 일반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바람직하게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해당 주차구역에서 차량을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정보는 방재실서버(1)가 사용자단말기(4)로 송신할 수 있는 SMS, 이메일, 푸시알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예시로 하면, 주차면 A 내지 H가 전기차충전 전용구역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차량 각각의 종류(전기차 혹은 일반차량)를 판단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송신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면 A에 주차된 차량이 전기차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 A에 주차된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충전모듈(3.1)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에, 주차면 H에 주차된 차량이 일반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방재실서버(1)는 주차면 H에 주차된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 H에서 차량을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가 충전되고,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까지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2에서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하여 방재실서버(1)로부터 충전모듈(3)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모듈(3)에 접속하고, 충전모듈(3)에 의해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대해서, 이하의 전기차가 충전되면서 사용자에게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이 제공되는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S10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4)는 충전모듈(3)에 전기차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모듈(3)은 별도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단말기(4)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기(4)에 설치된 앱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단말기(4)가 접속한 충전모듈(3)에 전기차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모듈(3)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은 BLE,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충전모듈(3)과 주차장관리모듈(2) 상호간에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에 구비되는 복수의 충전모듈(3) 각각에는 해당 충전모듈(3)과 관련된 주차장관리모듈(2)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주소정보가 기저장되고, 충전모듈(3)은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전기차 충전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해당 주차장관리모듈(2)에 접속하여, 충전모듈(3)과 주차장관리모듈(2)이 상호간이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예시로 하면, 충전모듈(3.1 및 3.2) 각각에는 해당 충전모듈(3.1 및 3.2)과 관련된 주차장관리모듈(2)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주소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전기차 충전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통해 해당 주차장관리모듈(2)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모듈(3)에는 해당 충전모듈(3)과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차장관리모듈(2)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주소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모듈(3)과 주차장관리모듈(2)은 BLE,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상호연결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충전모듈(3)은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3)은 사용자단말기(4)가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S13단계에서, 충전모듈(3)은 전기차 충전 중에 기록되는 다양한 형태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주차장관리모듈(2)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란 충전 중인 전기차의 차종, 충전잔량, 잔여충전시간, 충전요금, 충전용량, 충전방식 등 충전모듈(3)에서 측정 및 기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을 의미하고,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모듈(3)은 전기차가 충전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주차장관리모듈(2)로 송신할 수 있다.
S14단계에서, 주차장관리모듈(2)은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관리모듈(2)은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장관리모듈(2)과 방재실서버(1)간에는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통신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고, 주차장관리모듈(2)은 방재실서버(1)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관리모듈(2)은 해당 통신인프라를 통해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3)은 전기차 충전과정에서 측정 및 기록되는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은 방재실서버(1)로 직접 송신하지 않고,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해 방재실서버(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충전모듈(3) 각각과 방재실서버(1)간의 연결되는 통신망을 구축할 필요없이, 기존에 구축된 주차장관리모듈(2)과 방재실서버(1)간의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S15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충전정보 혹은 충전정보에 기반하여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4)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는 충전모듈(3)로부터 수신한 충전정보(예를 들어 충전잔량, 잔여충전시간, 충전요금, 충전용량, 충전방식 등) 혹은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예를 들어 월별 충전요금, 월별 전력사용량, 전체 충전현황 등)를 사용자단말기(4)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정보 및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는 사용자단말기(4) 상의 앱을 통해 시각화되어 표시되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충전현황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정보 및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월패드로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재실서버(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거주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전기차를 충전 중인 사용자의 거주지에 구비된 월패드로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 혹은 거주지에 구비된 월패드를 통해 충전 중인 전기차와 관련된 충전정보 및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S16단계에서, 방재실서버(1)는 주차장관리모듈(2)에 충전정보 혹은 충전정보에 기반하여 가공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S17단계에서 주차장관리모듈(2)은 해당 명령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장관리모듈(2)은 스피커부(25), LED부(24) 등의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출력장치를 통해 충전정보 혹은 충전정보에 기반하여 가공된 정보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일례로, 주차장관리모듈(2)의 스피커부(25)에서는 충전이 시작되었을 때 “예상충전시간은 1시간입니다.”와 같은 음성이 출력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충전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충전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정보는, 상기 주차장관리모듈(2)의 스피커부(25) 및 LED부(24)를 통해서 출력되고, 상기 충전모듈(3)에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의 (a)는 종래의 과금형콘센트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종래의 과금형콘센트는 전기차의 충전을 제어하거나, 전력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정산하는 제어부, 전기차 충전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 사용자단말기(4) 혹은 RF카드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서버로 전기차 충전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과금형콘센트에 RF카드를 태그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과금형콘센트에 구비된 터치패널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를 통해 충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과금형콘센트는 서버와 유무선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중에 과금형콘센트에서 측정 및 기록되는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과금형콘센트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은 LTE, 4G, 5G 등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무선광대역통신망 기반의 통신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주차장에 구비되는 복수의 과금형콘센트 각각이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부하량과 통신비용이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과금형콘센트는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통신모듈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제작비용과 네트워크부하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3) 및 주차장관리모듈(2)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충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출력하는 별도의 출력장치(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를 포함하지 않고, 해당 정보들은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스피커부(25) 및 LED부(2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3)은 충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직접 출력하지 않고,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해 방재실서버(1)로 전송 및 방재실서버(1)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주차장관리모듈(2)의 스피커부(25) 및 LED부(2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사용자인증을 위한 RF카드태그부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단말기(4)와의 인증정보 송수신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패널을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단말기(4)에 직접 해당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터치패널 등의 입출력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종래의 과금형콘센트에 대비해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방재실서버(1)와의 직접적인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충전모듈(3)의 통신모듈은 통상적으로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무선광대역통신망 기반의 통신모듈이 아닌) BLE, 와이파이 등 무선개인지역망(WPAN) 혹은 무선근거리통신망(WLAN) 기반의 근거리통신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LTE, 4G 등 무선광대역통신망 기반의 통신모듈에 대비해 비용과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개인지역망(WPAN) 혹은 무선근거리통신망(WLAN) 기반의 근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저비용 및 저전력으로 운용할 수 있는 충전모듈(3)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하는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되는 LED부(24)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부(24)는,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경우와 충전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따라 점등되는 LED의 점멸주기, 밝기, 색상 중 1 이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과정에서 충전모듈(3)에서 수집되는 충전과 관련된 정보(충전정보)들을 주차장관리모듈(2)을 통해 방재실서버(1)로 수집되고, 방재실서버(1)는 해당 충전정보 혹은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주차장관리모듈(2)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주차장관리모듈(2)은 방재실서버(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스피커부(25)를 통해 음성정보를 출력하거나, LED부(24)의 LED를 점등하는 형태로 충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LED부(24)는 충전시작 및 충전종료시에 소정의 시간동안 LED를 점등하면서 스피커부(25)는 “충전이 시작됩니다“ 혹은 ”충전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충전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않는 경우에 LED부(24)는 소정의 시간동안 LED를 점멸하고 스피커부(25)는 “충전기를 확인하세요”와 같은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4)를 통해 방재실서버(1)에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안내해줄 것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재실서버(1)는 사용자단말기(4)로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피커부(25)를 통해 해당 위치를 안내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LED를 점등하여 해당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모듈(3)은 별도의 입출력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주차장관리모듈(2)에 구비된 스피커부(25) 및 LED부(24)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충전정보 및 충전정보에 기반하여 가공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래 주차장관리모듈(2)의 LED부(24)는 위급상황시에 LED를 점등하여 주차장에 위급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부(24)는 위급상황시에 LED를 점등할 수도 있고, 또는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하여 LED를 점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급상황의 전파를 위해 LED를 점등할 때와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해 LED를 점등할 때, 점멸주기, 밝기, 색상 중 1 이상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위급상황의 전파를 LED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적색 LED가 최대밝기로 빠른 주기로 점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시에 해당 상황에서 스피커부(25)에서는 사이렌과 같은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해 LED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녹색 LED가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로 낮은 주기로 점멸하도록 (또는 점멸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상황에서 스피커부(25)에서는 현재의 충전시퀀스에 적합한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급상황 시에 LED가 점등되는 방식과 충전정보의 출력을 위해 LED가 점등되는 방식이 상이하고, 해당 상황에 적합한 음성정보가 스피커부(25)를 통해 함께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두 상황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지하게 하여, 위급상황 전파상황을 충전정보 출력상황으로 혼동하거나 혹은 그 역으로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 구축된 방재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차충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에 의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식별하여, 해당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가 충전 중인 충전모듈로부터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 혹은 월패드로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해 식별된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에는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으로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모듈은 SSID정보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단말기에 인증정보를 요청 및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기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정보는 주차장관리모듈의 스피커부 및 LED부를 통해 출력되고, 충전모듈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으로서,
    위급상황에서 사용자가 누른 비상벨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하는 마이크부,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스피커부,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LED부, 주차면 및 위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및 방재실과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관리모듈;
    방재실서버; 및
    과금형콘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과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재실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이는 충전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방재실서버는,
    상기 비상벨이 눌려졌을 때, 방재요원이 해당 비상벨을 누른 사용자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상통화제공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충전모듈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과정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식별하는 차량번호식별단계;
    식별된 차량번호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는 SSID송신단계;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을 통하여, 상기 충전모듈과 전기차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수집단계; 및
    상기 충전정보 혹은 상기 충전정보에 기반한 가공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 혹은 월패드로 송신하는 충전정보제공단계;를 수행하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SID송신단계는,
    식별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전기차 혹은 일반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차량이 일반차량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면에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과 관련된 충전모듈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정보를 송신하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SID송신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수신한 SSID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모듈에 접속하는 충전모듈접속단계;
    상기 충전모듈에 의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기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단계;
    상기 충전모듈에 의하여,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충전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단계;가 수행되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정보는,
    상기 주차장관리모듈의 스피커부 및 LED부를 통해서 출력되고, 상기 충전모듈에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LED부는,
    위급상황에서 LED를 점등하는 경우와 충전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따라 점등되는 LED의 점멸주기, 밝기, 색상 중 1 이상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KR1020220173959A 2022-12-13 2022-12-13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KR102613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959A KR102613063B1 (ko) 2022-12-13 2022-12-13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959A KR102613063B1 (ko) 2022-12-13 2022-12-13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063B1 true KR102613063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959A KR102613063B1 (ko) 2022-12-13 2022-12-13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0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64B1 (ko) * 2006-06-28 2006-11-10 이미현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KR101309121B1 (ko) 2012-12-13 2013-09-17 현대통신 주식회사 주차장 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446B1 (ko) * 2017-07-31 2018-04-13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KR101874479B1 (ko) * 2017-09-15 2018-07-04 (주)펌프킨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110541B1 (ko) 2018-04-20 2020-05-13 주식회사 엠투브 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 공간을 안내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363348B1 (ko) * 2021-12-07 2022-02-15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스토퍼형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72192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난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64B1 (ko) * 2006-06-28 2006-11-10 이미현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KR101309121B1 (ko) 2012-12-13 2013-09-17 현대통신 주식회사 주차장 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2446B1 (ko) * 2017-07-31 2018-04-13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KR101874479B1 (ko) * 2017-09-15 2018-07-04 (주)펌프킨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110541B1 (ko) 2018-04-20 2020-05-13 주식회사 엠투브 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 공간을 안내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20072192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난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2363348B1 (ko) * 2021-12-07 2022-02-15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스토퍼형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73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475848B (zh) 一种具有多方式通话与开锁功能的楼宇可视对讲系统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WO2013081340A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3872B1 (ko) 아파트의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60059798A (ko) 텔레메틱스를 이용한 도어폰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8001975A1 (en) Parking position reader having emergency call
KR20220058297A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10130059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KR101676441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613063B1 (ko) 과금형콘센트 기반의 전기차충전시스템
JP201023954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9920255B (zh) 车辆通道的管理方法和管理系统
KR101977263B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KR101769040B1 (ko)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5486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836912B1 (ko) 입체어안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리용 영상제공장치
CN110717605B (zh) 基于区块链的访问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208782965U (zh) 万物融合智能生活共享平台
KR101600401B1 (ko)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701572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