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040B1 -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040B1
KR101769040B1 KR1020150113902A KR20150113902A KR101769040B1 KR 101769040 B1 KR101769040 B1 KR 101769040B1 KR 1020150113902 A KR1020150113902 A KR 1020150113902A KR 20150113902 A KR20150113902 A KR 20150113902A KR 101769040 B1 KR101769040 B1 KR 10176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dividual
vehicl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715A (ko
Inventor
유영욱
Original Assignee
셀로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로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셀로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0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에 접근 주차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각각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일정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영상복합 센서노드들; 및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영상들을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요청 시 사용자 단말로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INDIVIDUAL VEHICLE RECOGNITION AND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COMPOSITE VIDEO SENSOR NODES}
본 발명은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일정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개별주차 영상복합 센서노드들과,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영상들을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요청 시 사용자 단말로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구비함으로,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차량번호 영상들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들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보급대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공항, 대형쇼핑센터, 대형 위락시설, 대형 건물 등에는 대형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 이용이 잦아짐에 따라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곳을 찾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는 차량의 주차 구역 번호를 기억하거나 별도로 메모를 해놓고 자신의 용무를 보게 되지만, 이러한 행위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메모지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 구역 번호를 기억하고 있더라도 해당 주차 구역을 찾아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주차장 이용자에게 안내 및 도움을 주기 위해서 많은 주차요원이 동원되어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주차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인식 거리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차량에 RFID 태그를 부착해야 하므로 특정 차량만이 이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각 주차면 마다 초음파 센서를 설치해야하므로 설치비 및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주차 층에 주차 공간이 남아있는지 정도만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주차구역의 번호는 알 수 없어 운전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7139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일정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개별주차 영상복합 센서노드들과,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영상들을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요청 시 사용자 단말로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구비함으로,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차량번호 영상들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들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에 접근 주차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각각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일정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영상복합 센서노드들; 및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영상들을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요청 시 사용자 단말로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차량번호 영상들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들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의 공용 앱(APP)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차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의 공용 앱(APP)과 길거리 주차장, 거주자 우선 주차장, 공용주차장 등에 설치된 개별차량용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장 근처를 방문하는 운전자가 손쉽게 빈 주차위치를 찾아서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가 길거리 주차장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주차관리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로, 특정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각각의 주차현황을 16분할 화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로, 특정 주차장에 주차된 1대의 차량의 주차현황을 관리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요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은 개별주차 영상복합 센서노드(10), 사용자 단말(20) 및 주차관리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복수개의 제1 영상복합 센서노드(10-1) ~ 제n 영상복합 센서노드(10-n)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도 1b에 도시된 바대로, 일정한 주차구역들(A01~A08, B01~B08, C01~C08)에 각각 배치되며(이를테면, 24개의 주차구역이 존재하면, 각각의 주차구역마다 영상복합 센서노드가 배치되어 총 24개가 배치됨), 각각의 주차구역들(A01~A08, B01~B08, C01~C08)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정면에서 촬영한다.
이 경우 제1 영상복합 센서노드(10-1) ~ 제n 영상복합 센서노드(10-n)는 각각의 주차구역 위치정보(A01~A08, B01~B08, C01~C08)를 갖고 있으며, 이들 각각이 촬영한 각각의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들의 차량번호 영상들은 주차관리서버(100) 및 각각의 차량들에 대한 운전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1 ~20-m)로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주차면수(n)와 사용자 단말수(m)는 용도에 따라서 같거나 다를 수가 있는데, 이를테면 한 개의 주차 면을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도 있고, 사무용 및 영업용 건물에서는 여러 고객이 각 주차 면을 다른 시간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도 1b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주차구역(A06)에 주차된 제1 차량(C1)의 차량번호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영상복합 센서노드(10-1)가 제1 주차구역(A06)의 후면 일정영역에 설치되고, 제1 영상복합 센서노드(10-1)에서 촬영된 제1 차량(C1)의 차량번호 영상 및 주차위치 정보(A06)가 주차관리서버(100) 및 제1 차량(C1)의 제1 사용자 단말(20-1)로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제1 주차구역(A06)과 서로 대향하는 제2 주차구역(B06)에 주차된 제2 차량(C2)의 차량번호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영상복합 센서노드(10-2)가 제2 주차구역(B06)의 후면 일정영역에 설치되고, 제2 영상복합 센서노드(10-2)에서 촬영된 제2 차량(C2)의 차량번호 영상 및 주차위치 정보(B06)가 주차관리서버(100) 및 제2 차량(C2)의 제2 사용자 단말(20-2)로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된다.
주차구역 위치정보(A01~A08, B01~B08, C01~C08)는 사전에 주차장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평면 좌표 형태로 구획되며, 서로 대향하는 주차구역 경계선 각각에 주차된 차량의 후면 차량번호를 촬영하기 위한 각각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가 설치된다.
여기서 네트워크(50)는 영상복합 센서노드(10), 사용자 단말(20), 주차관리서버(100) 상호 간에 통신이 구현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주차 면과 주차관리서버(100) 사이에는 Ethernet, WiFi, ZigBee를 사용하고, 주차관리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 사이에는 WiFi, 3G, LTE 등의 기간 통신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가 길거리 주차장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영상복합 센서노드(10)가 길거리 주차장(이를테면, 주거자 우선주차, 지자체 운영 공공주차장 등)에 응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가옥의 담장이나 건물의 측면, 가로등, 전신주 등에 영상복합 센서노드들 (SN1, SN2, SN3)을 개별 주차면 마다 설치하여 공공 길거리 주차장을 관리하는 방법을 예시하였으며, 기타 관리 시스템, 서버, 단말기 동작 등은 도 1b의 경우와 같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CIS 영상촬영기(1), 거리 감지기(2), PIR 센서(3), 조도 센서(4), IR LED 등(5), LED 등(6) 및 마이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CIS 영상 촬영기(1)에 여러 센서들(2, 3, 4)이 장착되어서 각 센서의 감지된 값에 따라 영상 촬영을 하고, 조도에 따라서 해당 LED 등(5, 6)을 켜서 촬영한다.
거리 감지기(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10)의 전면에 1~4m 위치에 물체가 접근을 하면, 이를 인지하고 영상복합 센서노드(10)에 알린다.
PIR 센서(3)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복합 센서노드(10)의 전면 4~5m 위치 안에 열을 복사하는 물체가 접근하면, 이를 영상복합 센서노드(10)에 알리며, 조도 센서(4)는 현 위치의 밝기에 따른 조도 값을 영상복합 센서노드(10)에 알린다.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이들 센서 값의 일정 치에 따라서 영상을 촬영하고 네트워크(50)를 통해서 주차관리서버(100)나 사용자 단말(20)에 그 영상을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의 기술적 특징을 요약 정리한다.
첫째, 본 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각각의 주차구역에 1 : 1로 대응하여 설치됨으로, 영상복합 센서노드(10)의 위치정보는 각각의 주차구역의 주차위치 좌표정보와 동일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일정한 주차구역에 최종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근접한 위치에서 1 : 1로 촬영함으로 인해 차량번호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촬영된 차량번호 영상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 및 주차관리서버(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음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중간 제어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중앙제어 관리 장치인 주차관리서버(100)에 연결되며, 저가, 소형 및 저 전력 기능(이를테면, 전용 반도체 SOC 이용, 연동하는 센서 및 영상 센서 이용, 유무선 전송기능, 차량번호 촬영 및 전송 후 자체적으로 슬립모드로 전환시킴)을 구현하여 국소적인 설치공간에서도 원하는 위치에 적재적소 설치될 수 있음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각각의 설치위치에서 촬영된 차량번호 정보 및 개별차량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주차관리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로 직접 전송함으로, 주차관리서버(100)가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입출차 관리를 제어하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은 각각의 주차구역들(A01~A08, B01~B08, C01~C08)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운전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로, 이를테면 스마트 폰, PDA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관리자 또는 관계자 등이 소지한 이동단말로, 관리자 또는 관계자 등은 이를테면, 건물 입주자, 상점주인, 개인 주차장일 때는 차량 소유자 또는 친지 관계자 등이 될 수 있다.
주차관리서버(100)는 개별주차 센서노드(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차량번호 영상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 원격 모니터링, 관리 및 필요한 주차정보를 사용자 단말(20) 등으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주차관리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로, 특정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각각의 주차현황을 16분할 화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차량인식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로, 특정 주차장에 주차된 1대의 차량의 주차현황을 관리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버(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버(100)는 주차정보 수집부(110), 개별차량번호 인식부(120),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130), 주차차량 검색부(140), 주차장상태 표시부(150), 고객주차 정보알림부(160), 센서모드 전환부(170), 통신부(180) 및 주차관리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주차정보 수집부(110)는 개별주차 센서노드(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 영상들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들을 수집하고, 각각의 주차장별 주차구역별로 개별차량들의 주차정보들을 분류 및 저장한다.
개별차량번호 인식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판 인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된 차량번호 영상을 보정하거나, 포맷을 변환하는 등의 편집 작업을 통해 차량번호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판 인식프로그램은 촬영된 차량번호 영상의 해상도가 낮거나 촬영된 이미지가 틸팅(tilting) 된 경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도에 따른 영상보정, 차량 번호판의 왜곡 조정, 차량번호 포맷 비교 등을 하거나, 차량 번호판 글씨의 크기 조정 등의 작업이 실행되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처리를 위한 지원 포맷으로 이를테면 JPG, TIFF, BMP, GIF, J2K, IMG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개별 차량 번호판을 0.3초 내에서 최적의 크기로 인식(이를테면, 큰 글씨 기준으로 20pixel 이상, 최적 인식 가능한 35 pixel) 가능하여 주차구역 내 뿐 아니라, 주차장 출입구, 길거리주차 인식, 주행 중인 차량 인식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게 된다.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주차정보 수집부(110)에서 처리된 주차장별 주차구역별 개별차량들에 대한 주차정보들을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이를테면,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프로그램 메뉴로 개별주차관리 현황표, 주차장 평면도, 특별관리, 실시간 보기(Live View)로 구성하고, 개별차량에 대한 차량번호를 토대로 입출시간, 고객번호, 차량 운전자에 대한 고객정보(이를테면, 고객이름, 전화번호, 차량번호 등) 입력 등을 통해, 개별차량에 대한 주차위치,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 주차관련 제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가입자는 주차관리시스템의 APP이나 별도 제공하는 APP을 이용하여 본인의 차에 대한 영상정보를 직접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영상복합 센서노드 위치에 따른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주차차량 검색부(140)는 검색 창에 고객 정보가 입력되면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사용자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고객관리 단말의 검색 창에 고객이름, 전화번호, 차량번호 등을 입력하면, 고객관리 단말 화면 또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주차장 평면도에 표시해 주며, 또한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주차장상태 표시부(150)는 일정한 주차구역에 최종 주차된 개별차량의 상태를 화면으로 출력해 주는데, 이를테면, 도 3a 도시된 바대로, 화면 분할 메뉴에서 16분할을 선택한 경우, 16개의 화면으로 균등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개별주차 센서노드(10)에서 촬영된 각각의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 영상 및 입출시각, 차량번호, 고객번호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고객주차 정보알림부(160)는 등록된 고객으로부터 개별차량에 대한 주차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20)로 고객차량의 영상, 해당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정보, 주차시간, 주차요금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해 준다.
또한 고객주차 정보알림부(160)는 영상이나 소리의 이상이 있을 때에 즉 등록된 고객의 주차된 차량에 충격, 훼손, 도난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20)로 경보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경보 수단으로 문자, 음성, 알람, 진동 등 다양한 수단이 응용될 수 있다.
센서모드 전환부(170)는 주차구역의 감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경우 영상복합 센서노드(10)로 센서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시키거나, 반대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도록 명령한다.
이 경우 영상복합 센서노드(10)는 스스로 저 전력 구현을 위해 차량번호 촬영 후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지만, 주차구역에 도난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외부의 센서모드 전환 신호를 통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시켜 주변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촬영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요청된다.
통신부(180)는 영상복합 센서노드(10) 또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이 구현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또는 인터넷 Web,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차관리 제어부(190)는 주차정보 수집부(110), 개별차량번호 인식부(120),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130), 주차차량 검색부(140), 주차장상태 표시부(150), 고객주차 정보알림부(160), 센서모드 전환부(170) 및 통신부(180)를 제어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의 공용 앱(APP)과 길거리 주차장, 거주자 우선 주차장, 공용주차장 등에 설치된 개별차량용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영상, 번호, 주차시간, 주차여부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주차장 근처를 방문하는 운전자는 손쉽게 빈 주차위치를 찾아서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주차장 운영 관리 측에서도 주차장별 개별주차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영상복합 센서노드
10-1 ~ 10-n : 제1 ~ 제n 영상복합 센서노드
20 : 사용자 단말
20-1 ~ 20-n : 제1 ~ 제n 사용자 단말
50 : 네트워크
100 : 주차관리 서버
110 : 주차정보 수집부
120 : 개별차량번호 인식부
130 :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
140 : 주차차량 검색부
150 : 주차장상태 표시부
160 : 고객주차 정보알림부
170 : 센서모드 전환부
180 : 통신부
190 : 주차관리 제어부

Claims (10)

  1. 복수개의 개별 주차구역들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에 접근 주차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각각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일정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영상복합 센서노드들; 및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판을 포함한 영상들을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요청 시 사용자 단말로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은,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는 CIS 영상촬영기;
    전면 1~4m 위치에 물체가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기;
    전면 4~5m 위치 안에 열을 복사하는 물체가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PIR 센서;
    현 위치의 밝기에 따른 조도 값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가 감지한 조도 값에 따라 빛을 비추기 위한 LED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각각의 차량번호 영상들 및 개별차량 주차위치 정보들을 수집하고, 각각의 주차장별 주차구역별로 개별차량들의 주차정보들을 분류 및 저장하는 주차정보 수집부;
    차량번호판 인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된 차량번호 영상을 보정 및 편집하는 개별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주차정보 수집부에서 분류된 주차장별 주차구역별 개별차량들에 대한 주차정보들을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
    검색 창에 고객 정보가 입력되면 고객의 개별차량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차량 검색부;
    주차장별 개별주차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주차장상태 표시부;
    등록된 고객으로부터 개별차량에 대한 주차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고객차량의 영상, 해당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정보,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주는 고객주차 정보알림부;
    주차구역의 감시 상황에 따라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로 센서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에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시키도록 명령하는 센서모드 전환부;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이 구현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주차정보 수집부, 상기 개별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주차차량 검색부, 상기 주차장상태 표시부, 상기 고객주차 정보알림부, 상기 센서모드 전환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주차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은,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과 1 : 1로 대응되어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별 주차구역들의 주차위치 좌표정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은,
    촬영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 영상을 상기 개별차량들의 사용자 단말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은,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을 촬영 및 전송 후 자체적으로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복합 센서노드들은,
    길거리 주차장, 거주자 우선 주차장 또는 공용 주차장의 개별 주차구역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공용 앱을 이용하여 상기 개별 주차구역의 빈 주차구역이 각각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상태 데이터베이스부는,
    개별주차관리 현황표, 주차장 평면도, 특별관리 및 실시간 보기(Live View)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량 검색부는,
    검색 창에 고객이름, 전화번호 또는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고객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상태 표시부는,
    상기 주차구역들에 주차된 개별차량들의 차량번호판 영상, 입출시각, 차량번호 및 고객번호를 균등 분할된 복수개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150113902A 2015-08-12 2015-08-12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KR10176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02A KR101769040B1 (ko) 2015-08-12 2015-08-12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02A KR101769040B1 (ko) 2015-08-12 2015-08-12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15A KR20170019715A (ko) 2017-02-22
KR101769040B1 true KR101769040B1 (ko) 2017-08-17

Family

ID=5831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02A KR101769040B1 (ko) 2015-08-12 2015-08-12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315A (zh) * 2018-06-13 2018-11-13 安徽蓝鸟智能停车科技产业化有限公司 一种停车场无人值守远程管理系统平台
CN108766023A (zh) * 2018-06-13 2018-11-06 安徽蓝鸟智能停车科技产业化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停车云平台
CN109637149A (zh) * 2018-12-26 2019-04-16 厦门狄耐克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口诀化语音识别技术操控停车场出入口的系统与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3B1 (ko) * 2015-01-23 2015-08-13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398A (ko)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시동키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3B1 (ko) * 2015-01-23 2015-08-13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15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7675B2 (en)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CN205670807U (zh) 监视系统
US20120188100A1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uto-valet parking service
US20130107041A1 (en) Networked Modular Security and Lighting Device Grids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hereof
KR10152536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JP2019117449A (ja) 人物探索システム
KR101016530B1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2197704B1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CN202816153U (zh) 智能公交车站牌及公交车行驶信息指示系统
JP2014535181A (ja) 屋外照明ネットワークを使用する撮像サービス
KR101769040B1 (ko) 영상복합 센서노드를 이용한 개별차량인식 및 주차관리 시스템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KR20190117477A (ko)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475848B (zh) 一种具有多方式通话与开锁功能的楼宇可视对讲系统
KR101562005B1 (ko) 방범시스템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승강장 및 그 방법
CN105702084A (zh) 一种物联网智能停车系统
CN112511610A (zh) 基于城市精细化管理条件的车载巡视智能方法和系统
KR2012003314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100825225B1 (ko) 과속 단속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및 방법
KR101703567B1 (ko) IoT기반 무선 주차관제시스템
JP4052135B2 (ja) 旅行時間計測システム,コーン,車番認識システム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102375778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다기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JP2006172072A (ja) 侵入検知システム
KR101171909B1 (ko)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