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055B1 -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055B1
KR102613055B1 KR1020200166092A KR20200166092A KR102613055B1 KR 102613055 B1 KR102613055 B1 KR 102613055B1 KR 1020200166092 A KR1020200166092 A KR 1020200166092A KR 20200166092 A KR20200166092 A KR 20200166092A KR 102613055 B1 KR102613055 B1 KR 10261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can information
card
authentication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012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0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는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스캔정보 저장부와, 상기 스캔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2차 인증 요청부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2차 인증결과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SYSTEM FOR SCANNING, METHOD FOR USER AUTHERTICATION U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실시예는 사용자 본인의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거래 및 통신사 등에서는 본인을 인증하는 수단으로써 실물 신분증 또는 운전 먼허증을 스캐닝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물 카드를 가지고 다니다 보면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신분증(전자 신분증)의 보급을 진행 및 예정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신분증의 위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 변조된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921353, 등록일자 2009년 10월 06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실물 신분증 및 전자 신분증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는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스캔정보 저장부와, 상기 스캔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2차 인증 요청부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2차 인증결과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인증부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숫자,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OCR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QR 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1차 인증부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인증 요청부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숫자,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OCR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QR 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인증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시스템은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 및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와, 상기 스캐너 장치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실물 신분증과 모바일 신분증을 동시에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2중으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가 구비된 스캐너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가 구비된 스캐너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시스템(1000)은 스캐너 장치(100)와 인증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00)은 사용자로부터 실물 신분증(200) 및 모바일 신분증(300)을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서버(400)로 2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서버(400)는 스캐너 장치(100)로부터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제공받아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스캐너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실물 신분증(200)을 스캐닝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컬러 양면 자동스캔, 컬러, 그레이, 흑백 이미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물 신분증(200)을 스캐닝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적외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이용한 위, 변조 검출을 지워하는 기능(IR CIS 방식)을 탑재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위, 변조 이미지를 생성 및 검출하는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모바일 신분증(300)을 스캐닝할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300)은 QR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신분증(300)을 스캐닝하기 위해 1D, 2D 및 바코드 스캔을 지원하는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와, 스캔정보 저장부(130)와, 1차 인증부(150)와, 2차 인증 요청부(170)와, 2차 인증결과 수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200)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는 컬러, 그레이, 흑백 이미지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QR 스캔 기능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300)의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QR 코드는 OCR 데이터, 시간 및 카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300)은 사용자가 신분증 스캐너를 이용하여 통신사, 보험사, 은행, 공공기간 등에 신분증을 등록하고, 개인정보 처리서버에 인증을 요청하면, 개인정보 처리서버는 신분증 검증 시스템에 이용자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신분증 검정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검증이 이루어지면, 개인정보 처리서버는 사용자 모바일에 모바일 신분증(300)을 발행할 수 있다.
스캔정보 저장부(130)는 실물 신분증(200)의 스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캔정보 저장부(130)는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캔정보 저장부(130)는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차 인증부(150)는 실물 신분증(200)의 스캔 정보와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50)는 실물 신분증(200)의 스캔 정보와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50)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실물 신분증(200)의 스캔 정보를 OCR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OCR 데이터는 실물 신분증(200)의 숫자, 문자 및 이미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50)는 실물 신분증(200)의 OCR 데이터와 모바일 신분증(300)의 OCR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차 인증부(150)는 실물 신분증(200)의 OCR 데이터와 모바일 신분증(300)의 OCR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실물 신분증(200)의 OCR 데이터와 모바일 신분증(300)의 OCR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2차 인증 요청부(170)는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서버(400)에 2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2차 인증 요청부(170)는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를 인증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2차 인증 요청부(170)는 모바일 신분증(300)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개키를 인증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인증 서버(400)로 전송되는 중 공개키가 해킹되더라도 사용자의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차 인증결과 수신부(190)는 인증 서버(4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받을 수 있다. 2차 인증결과 수신부(190)는 인증 서버(400)로부터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및 통신사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공공 기관 및 사업체를 방문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10)는 실물 신분증 및 모바일 신분증을 제공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사용자(10)로부터 제공된 실물 신분증을 스캔하여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0).
스캐너 장치(100)는 사용자(10)로부터 제공된 모바일 신분증을 스캔하여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0).
스캐너 장치(100)는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0).
스캐너 장치(100)는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40). 스캐너 장치(100)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OCR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인증 서버(400)에 모바일 신분증 스캔 정보로부터 변환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S50).
인증 서버(40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가 미리 저장된 신분증과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서버(400)는 2차 인증 결과 여부를 스캐너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0)는 인증 서버(400)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인증을 마칠 수 있다(S60).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은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0)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S400)와,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컬러, 그레이, 흑백 이미지의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신분증으로부터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QR 스캔 기능 이용하여 모바일 신분증의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는 OCR 데이터, 시간 및 카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0)는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00)는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00)는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모바일 신분증의 OCR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S310). 이어서,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OCR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320). 이어서,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S330). 이어서,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모바일 신분증의 OCR 데이터를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40).
도 4로 돌아가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S400)는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개키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500)는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메모리(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어부가 직접, 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캐너 장치
200: 실물 신분증
300: 모바일 신분증
400: 인증 서버

Claims (13)

  1.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스캔정보 저장부;
    상기 스캔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상기 1차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실물 신분증과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2차 인증 요청부;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2차 인증결과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인증 요청부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스캐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부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숫자,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OCR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캐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QR 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스캐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부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
  5. 삭제
  6.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실물 신분증과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OC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숫자,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OCR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QR 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와 상기 실물 신분증의 OCR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0. 삭제
  11.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실물 신분증과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스캐너 장치; 및
    상기 스캐너 장치의 2차 인증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 장치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스캐너 시스템.
  1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실물 신분증과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의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물 신분증의 스캔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에 대한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실물 신분증과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2차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2차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신분증의 스캔 정보로부터 개인키 및 공개키의 키쌍을 생성하고, 상기 공개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66092A 2020-12-01 2020-12-01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92A KR102613055B1 (ko) 2020-12-01 2020-12-01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92A KR102613055B1 (ko) 2020-12-01 2020-12-01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12A KR20220077012A (ko) 2022-06-08
KR102613055B1 true KR102613055B1 (ko) 2023-12-12

Family

ID=8198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92A KR102613055B1 (ko) 2020-12-01 2020-12-01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0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32A2 (ko) * 2010-10-08 2012-04-12 비씨카드 주식회사 모바일 신분증 관리 시스템 및 이것의 모바일 신분증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53B1 (ko) 2007-07-30 2009-10-13 윤성 모바일 카드 인증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증방법
KR101765466B1 (ko) * 2015-08-24 2017-08-07 우용호 휴대와 이동 가능한 신분확인용 장치
KR101971628B1 (ko) * 2017-05-29 2019-04-23 주식회사 인포바인 온라인을 통해 이미지화된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32A2 (ko) * 2010-10-08 2012-04-12 비씨카드 주식회사 모바일 신분증 관리 시스템 및 이것의 모바일 신분증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12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657B2 (en) Device for digitizing and processing checks in accordance with the Check 21 Act and for reading and decoding optical codes
US10332099B2 (en) Secure paper-free bills in workflow applications
US20100158326A1 (en) Signature system, signature device, signature verification devic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JP2011060107A (ja) 証明書判定装置、証明書判定方法および証明書判定プログラム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9505B2 (ja) 真贋判定装置及び真贋判定方法
KR101841928B1 (ko) 문서를 오프라인으로 발행하며, 발행된 오프라인 문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5338106B2 (ja) 帳票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帳票データ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07024514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uthenticating document
KR102613055B1 (ko) 스캐너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85561B1 (ko) Qr코드 위변조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114542B1 (ko) 유가증권 진위 판단 방법, 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20090001514A (ko) 순번대기표 출력장치를 이용한 신분증 처리 업무 자동화시스템 및 방법
JP6774684B2 (ja) 情報処理装置、在留カード確認方法、および在留カード確認プログラム
EP3012792A1 (en) Desk-to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77820A (ko) 바코드 인증을 이용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금융 거래 서비스 방법
WO2020070870A1 (ja) 会計システム、情報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366750A (ja) 自動契約システム
US20210334349A1 (en) Method for the acquisition and subsequent generation of data for a user of a self-service terminal
JP2007079967A (ja) 登録印影照合システム
KR100908406B1 (ko)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KR101428038B1 (ko) 복제카드 사용방지방법과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및금융시스템
KR1017341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8405B1 (ko) 서식 이미지 품질 검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80074311A (ko)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여권정보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