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156B1 -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156B1
KR101734156B1 KR1020140173989A KR20140173989A KR101734156B1 KR 101734156 B1 KR101734156 B1 KR 101734156B1 KR 1020140173989 A KR1020140173989 A KR 1020140173989A KR 20140173989 A KR20140173989 A KR 20140173989A KR 101734156 B1 KR101734156 B1 KR 10173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nic document
unit
management serv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358A (ko
Inventor
김건영
최명규
김창권
최혜랑
이준협
이창용
공용준
곽당종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14017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전자 서식을 작성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복잡한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상기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ELECTRONIC DOCUMENT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ONTRO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전자 창구에서 작성하던 전자 서식을 이동 통신 단말에서도 작성가능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제생활 구조가 다양화되고,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과 동시에 각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출시하면서, 은행 지점(또는 영업점)에 구비된 창구를 통한 창구거래 업무량이 폭주하고 있다.
이에, 각 은행들은 창구거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금입출금과 같은 단순 금융 거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 현금 자동 지급기(Cash Dispenser; CD)를 통해 거래하도록 유도하고, 공과금 납부와 같이 대면 거래를 반드시 요구하지 않는 창구 거래는 공과금 자동화기기를 통해 납부하도록 유도하며, 계좌 조회 또는 계좌 이체(타행환 포함)와 같이 대면 확인이 불필요한 금융거래는 인터넷뱅킹, 무선뱅킹, 텔레뱅킹과 같은 비대면 채널을 통해 거래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대면 확인 및 직원 상담을 필요로 하는 거래만을 창구를 통해 거래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창구 거래 업무량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일정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창구 거래는 입금 전표, 출금 전표, 외화 예금(금적립) 거래표, 환전/송금/금매매 거래표와 같은 다양한 종이 전표에 거래 요청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에 각 은행들은 창구업무가 종료된 후, 각 창구에서 발생한 종이 전표들을 일괄 수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 보관함과 동시에, 상기 종이 전표들을 스캐닝하여 종이 전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를 법률이 정하는 기간 동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창구 거래에 따른 종이 전표 관리 업무는 종이 전표의 수거와 보관 업무, 및 대량의 스캐닝 작업과 종이 전표 이미지 관리 업무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 종이 전표 관리 업무는 종이 전표의 수거와 보관, 및 대량의 스캐닝 작업과 종이 전표 이미지 관리를 위한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종이 전표 이미지를 사후 검토 및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 파일명에 종이 전표 관련 정보를 모두 포함하도록 저장한 후, 상기 파일 이름을 통해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를 관리(또는 검색)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종이 전표 이미지 방식을 통해 은행별로 하루에도 수십만 건씩 쌓이는 종이 전표 이미지를 관리한다는 것은 매우 난해하고 복잡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전자 서식을 작성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복잡한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상기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고객 정보가 입력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상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는 대기 번호 발행부와, 상기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는 신분증 스캔부와, 스캔된 상기 고객의 신분증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숫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부가,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문자 데이터 인식부와, 상기 문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상기 문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문자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문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와, 상기 문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문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는 상기 문자 데이터가 자동 기입되고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숫자 데이터 추출부가, 추출된 상기 숫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숫자 데이터 인식부와, 상기 숫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상기 숫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숫자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숫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와, 상기 숫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숫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는 상기 숫자 데이터가 자동 기입되고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부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추출된 상기 숫자 데이터와, 생성된 상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결합한 진위 확인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데이터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가, 수신된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비교부,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문자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숫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숫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숫자 데이터 비교부를 가지는 인증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데이터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시스템에 의해 인증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이미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데이터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상기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전자 서식을 작성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복잡한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문자 데이터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숫자 데이터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제어부 및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처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신분증 스캔부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의 추출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은 운영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대기 번호와 함께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100)과,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200)와,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여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은행원 단말기(300)와,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동 통신 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그 대기 번호와 함께 고객으로부터 입력 생성된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10)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 등과 같은 무선의 전자 기기로 필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펜을 포함하며,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을 앱 등으로 인스톨한 후 실행하면, 금융 거래를 위하여 운영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필수 입력 항목(예를 들면, 고객 정보)이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은 입금 전표, 출금 전표, 외화 예금(금적립) 거래표, 환전/송금/금매매 거래 전표, 신용 카드 거래 신청서와 같은 종이 서식과 디자인을 동일시하여 고객의 혼란과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관리 서버(200)는 은행원 단말기(300)로부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되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은 창구 DID 단말기(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창구 DID 단말기는 은행원 단말기(300)로부터 호출되는 대기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창구 DID 단말기에는 호출한 은행원 단말기(300)의 창구 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창구 DID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이 해당 창구 DID 단말기 쪽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은행원 단말기(200)는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여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400)는 다양한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객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은행원 단말기(300)는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필수 항목에 대해, 입력창을 강제로 노출시켜 고객이 입력해야 할 항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은 제 2 단말기(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별 고객 필수 입력 항목을 정리하고, 이 중 고객이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작성할 항목과 은행 창구의 제 2 단말기(30)에서 작성할 항목을 분리함으로써, 고객 편리성과 업무 효율성을 도모한다.
또한, 은행원 단말기(300)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은행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 의하면 은행 창구 거래시 사용되던 종이 서식을 전자 문서로 대체함과 동시에 창구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빠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업점 창구업무(신규, 입금, 지급 등)를 전자 문서 기반으로 전환하여 업무 처리가 완료된 전자 문서의 보관 및 검색이 용이하며, 유지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혁신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고객 정보가 입력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110)와,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20)와,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는 대기 번호 발행부(130)와,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는 신분증 스캔부(140)와, 스캔된 고객의 신분증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50)와,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60)와,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100)의 구성은 앱 등의 다운로드 및 실행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운영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제공받게 된다. 고객은 우선, 이러한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의 기본 정보(예를 들면,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고객은 이동 통신 단말(100)의 고객 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고객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고객 정보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100)의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20)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의 기본 정보가 입력된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대기 번호 발행부(130)로부터 대기 번호를 발행하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100)은 해당 대기 번호와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물론, 고객의 기본 정보만을 포함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만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은행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은행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이미지 정보도 요구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100)의 신분증 스캔부(140)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스캔하게 된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150)는 신분증 스캔부(140)에 의해 스캔된 고객의 신분증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고객의 신분증을 신분증 스캔부(140)에 의해 스캔하게 되는데,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기 위한 별도의 앱이 설치될 수도 있고, 무선 전자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60)에 의해 상술한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결합하여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은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은행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170)는 후술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가 확인된 이후 고객의 나머지 추가 정보가 포함되는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에서, 관리 서버(200)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210)와,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220)와,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부(230)와,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숫자 데이터 추출부(240)와,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25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관리 서버(200)의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210)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거나, 또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가 결합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들 중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220)가 판독하게 된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220)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 이미지는 문자 데이터와, 순자 데이터와, 사신 데이터를 가진다. 이때, 문자 데이터 추출부(230)는 이미지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고객의 신분증에 기재된 고객의 성명과, 주소 등을 추출하게 된다. 또한, 숫자 데이터 추출부(240)는 이미지 데이터 중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고객의 신분증에 기재된 고객의 주민등록번호 등을 추출하게 된다. 한편, 사진 데이터 추출부(250)는 이미지 데이터 중 사진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고객의 신분증에 표시되는 고객의 사진 등을 추출하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어부(260)는 도 6을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문자 데이터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의 문자 데이터 추출부(230)는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문자 데이터 인식부(231)와, 문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상기 문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문자 데이터 입력부(232)와, 입력된 문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33)와, 문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문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34)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문자 데이터 추출부(230)의 문자 데이터 인식부(231)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 입력부(232)가 문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한다. 즉, 고객은 고객의 기본 정보(예를 들면, 이름, 주소 등)를 전자 문서 서식에 기입을 해야 하는데, 고객이 직접 기입하지 않고, 문자 데이터 입력부(232)가 문자 데이터 인식부(231)에 의해 인식되어 있는 문자와 관련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된다.
또한,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33)는 고객의 정보 보호를 위해, 문자와 관련된 고객의 기본 정보 중 일부를 마킹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고객의 성명 중 일부를 마킹처리하고, 고객의 주소 중 일부를 마킹처리하게 된다. 이때,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33)는 자동 기입된 문자 데이터에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는 마킹 처리하기 전에, 자동 기입된 문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고객이 직접 확인하도록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마킹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33)는 문자 데이터가 잘못 인식되어 잘못된 고객의 정보가 자동 기입될 경우, 고객이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 흐른 후에 마킹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문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34)는 문자 데이터의 기입이 오류 없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독하게 된다. 예컨데, 고객이 문자 데이터의 기입이 완료되었음을 완료 버튼을 통해 행할 수 있다. 또는 문자 데이터의 기입이 이루어진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기입이 없을 경우, 문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34)가 문자 데이터의 기입이 오류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숫자 데이터 추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의 숫자 데이터 추출부(240)는 추출된 숫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숫자 데이터 인식부(241)와, 숫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숫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숫자 데이터 입력부(242)와, 입력된 숫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43)와, 숫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숫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44)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숫자 데이터 추출부(240)의 숫자 데이터 인식부(241)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숫자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식된 숫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 입력부(242)가 숫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한다. 즉, 고객은 고객의 기본 정보(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등)를 전자 문서 서식에 기입을 해야 하는데, 고객이 직접 기입하지 않고, 숫자 데이터 입력부(242)가 숫자 데이터 인식부(241)에 의해 인식되어 있는 숫자와 관련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된다.
또한,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43)는 고객의 정보 보호를 위해, 숫자와 관련된 고객의 기본 정보 중 일부를 마킹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고객의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를 마킹처리하게 된다. 이때,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43)는 자동 기입된 숫자 데이터에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는 마킹 처리하기 전에, 자동 기입된 숫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고객이 직접 확인하도록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마킹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243)는 숫자 데이터가 잘못 인식되어 잘못된 고객의 정보가 자동 기입될 경우, 고객이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 흐른 후에 마킹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숫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44)는 숫자 데이터의 기입이 오류 없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독하게 된다. 예컨데, 고객이 숫자 데이터의 기입이 완료되었음을 완료 버튼을 통해 행할 수 있다. 또는 숫자 데이터의 기입이 이루어진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기입이 없을 경우, 숫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2444)가 숫자 데이터의 기입이 오류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제어부 및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어부(260)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240)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부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생성부(26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260)는 추출된 문자 데이터와, 추출된 숫자 데이터와, 생성된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결합한 진위 확인 데이터를 후술하는 모니터링 시스템(600)을 통해 인증 시스템(700)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60)의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261)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240)로부터 추출된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얼굴의 복수의 영역에 점 또는 기미가 있다면, 이러한 점이나 기미를 좌표 평면을 이용하여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좌표 평면은 예를 들면, 무선 전자 기기의 스크린 해상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1280 × 1024 픽셀의 해상도를 좌표 평면으로 이용한다면, 예컨데 560 × 520 지점과, 380 × 472 지점과, 860 × 570 지점에 점이 있다면, 이러한 좌표값을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 판독하여 추출하게 된다. 물론, 점이나 기미뿐만 아니라 얼굴 형체와, 눈, 코 입의 위치 좌표값을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 판독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고객 각각의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판독하여 추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징 부위들을 좌표 평면(예를 들면, 카르테시안 좌표계)의 값을 이용하여 판독 및 추출을 행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생성부(262)에 의해 생성되고, 제어부(260)의 진위 확인 데이터 송신부(263)가 모니터링 시스템(700)을 통해 인증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이때, 생성된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는 진위 확인 데이터 송신부(263)에 의해 진위 확인 데이터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이러한 진위 확인 데이터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와, 숫자 데이터가 결합하여 고객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도록 요청하는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의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진위 확인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600)과, 인증 시스템(700)을 더 포함한다.
인증 시스템(700)은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부터 수신된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비교부(710)와, 진위 확인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문자 데이터 비교부(720), 및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숫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숫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숫자 데이터 비교부(730)을 포함한다.
인증 시스템(700)은 예를 들면, 고객의 얼굴 이미지 특징과, 고객의 이름 및 주소지와, 주민등록번호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데, 국가 안전 행정부 등의 인증 시스템이 이러한 인증 시스템(700)이 될 수 있다. 국가 안전 행정부는 출생 신고서나, 신분증의 발급 등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인증 시스템(700)은 제어부(260)의 진위 확인 데이터 송신부(263)로부터 모니터링 시스템(600)을 통해 진위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얼굴 이미지 특징 비교부(710)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문자 데이터 비교부(72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위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숫자 데이터 비교부(7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숫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위 데이터 중 숫자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인증 시스템(700)에 의해 진위 여부가 판별된 결과 데이터는 모니터링 시스템(600)을 통해 제어부(260)의 진위 확인 데이터 수신부(264)로 송신된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600)은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60)가 인증 시스템(700)에 진위 확인 데이터를 송신하여 진위 확인을 요청하고, 인증 시스템(700)에서 진위 확인이 완료된 결과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의 제어부(260)가 수신하는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면, 금융 감독원의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인증 시스템(700)에 의해 인증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500)를 더 포함하여 인증이 이루어진 고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해킹 등으로부터 고객 정보를 예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이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이후, 관리 서버(200)는 인증 기관(700)을 통해 진위 여부가 확인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여 고객의 추가 정보(예를 들면, 카드 발급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처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운영자 단말기(400)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제공하는 제 1 단계와, 운영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대기 번호와 함께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관리 서버(200)로부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은행원 단말기(300)로부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관리 서버(200)를 통해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여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방식에 의해, 고객은 이동 통신 단말(100)을 이용하여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신분증 스캔부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의 추출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컨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신분증 스캔부(140)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추출부(230)에 의해 문자 데이터 영역(a)의 문자 데이터가 추출되고, 숫자 데이터 추출부(240)에 의해 숫자 데이터 영역(b)의 숫자 데이터가 추출되며, 사진 데이터 추출부(250)에 의해 사진 데이터 영역(c)의 사진 데이터가 추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00, 100-1, 100-2, …, 100-N : 이동 통신 단말
110 : 고객 정보 입력부
120 :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
130 : 대기 번호 발행부
140 :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
150 : 신분증 스캔부
160 :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
170 :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
200 : 관리 서버
210 :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
220 :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
230 : 문자 데이터 추출부
231 : 문자 데이터 인식부
232 : 문자 데이터 입력부
233 :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
240 : 숫자 데이터 추출부
241 : 숫자 데이터 인식부
242 : 숫자 데이터 입력부
243 :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
250 : 사진 데이터 추출부
260 : 제어부
300 : 은행원 단말기
400 : 운영자 단말기
500 : 고객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600 : 모니터링 시스템
700 : 인증 시스템

Claims (10)

  1.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상기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숫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사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부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추출된 상기 숫자 데이터와, 생성된 상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결합한 진위 확인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는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시, 추출된 상기 사진 데이터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의 특징 부위를 좌표 평면의 값으로 판독 및 추출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고객 정보가 입력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상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는 대기 번호 발행부와,
    상기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는 신분증 스캔부와,
    스캔된 상기 고객의 신분증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부는,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문자 데이터 인식부와,
    상기 문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상기 문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문자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문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와,
    상기 문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문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문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는 상기 문자 데이터가 자동 기입되고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데이터 추출부는,
    추출된 상기 숫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숫자 데이터 인식부와,
    상기 숫자 데이터의 기입을 요하는 영역에, 인식된 상기 숫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는 숫자 데이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숫자 데이터에 대해 원하는 영역을 마킹 처리하는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와,
    상기 숫자 데이터가 올바르게 기입되었는지를 판독하는 숫자 데이터 기입 판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숫자 데이터 마킹 처리부는 상기 숫자 데이터가 자동 기입되고 일정 시간이 흐른 이후에 마킹 처리를 행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된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비교부,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문자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진위 확인 데이터 중 숫자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숫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숫자 데이터 비교부
    를 가지는 인증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시스템에 의해 인증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이미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10.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상기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최초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 후,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이미지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숫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숫자 데이터 추출부와,
    판독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진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사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얼굴 이미지의 특징으로부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와, 추출된 상기 숫자 데이터와, 생성된 상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를 결합한 진위 확인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얼굴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부는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시, 추출된 상기 사진 데이터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의 특징 부위를 좌표 평면의 값으로 판독 및 추출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40173989A 2014-12-05 2014-12-05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73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9A KR101734156B1 (ko) 2014-12-05 2014-12-05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9A KR101734156B1 (ko) 2014-12-05 2014-12-05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58A KR20160068358A (ko) 2016-06-15
KR101734156B1 true KR101734156B1 (ko) 2017-05-24

Family

ID=5613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89A KR101734156B1 (ko) 2014-12-05 2014-12-05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22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전/월세 자금대출의 사후 검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73B1 (ko) * 2010-04-23 2010-10-08 대한민국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소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4194B1 (ko) * 2004-03-03 2012-02-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보조된 서식 채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194B1 (ko) * 2004-03-03 2012-02-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보조된 서식 채우기
KR100984673B1 (ko) * 2010-04-23 2010-10-08 대한민국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소송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22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전/월세 자금대출의 사후 검증 시스템
KR102015905B1 (ko) * 2017-07-20 2019-08-29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전/월세 자금대출의 사후 검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58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224B2 (en) Front counter and back counter workflow integration
US9721236B2 (en) Distributed processing of a check image
JP6889023B2 (ja) 受付システム
JP6779397B1 (ja) 本人確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42647A1 (en) Consumer Bill-Pay
US20190057390A1 (en) Biometric system for authenticating a biometric request
KR20150046941A (ko) 신규 고객의 고객 입력 정보를 자필로 작성가능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7341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EP2947633A1 (en) Automatic teller system for providing a banking service to a user operating th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6839313B1 (ja) 顔認証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顔認証システム
EP3196829A1 (en) Non-facing financial service system using user confirmation apparatus using parallel signature processing, and handwriting signature authentication technique
KR101597307B1 (ko) 모아 쓰기를 이용한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50057825A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KR20180109805A (ko) 비대면 채널 금융 단말기를 통한 금융 상품 가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TWM573866U (zh) Dual verification system for financial counter transactions
KR200343332Y1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TWM573867U (zh) Devaluation system
KR20150046939A (ko) 전자 서식 작성 순서를 제공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P2020113015A (ja) 引落口座登録サーバ及び引落口座の登録方法
JP7316251B2 (ja) 端末管理システム、端末管理方法
KR101109250B1 (ko) 고객 신용 정보 조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669670B (zh) 電子交易系統
KR20090000819A (ko) 금융거래 현장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JP2007047973A (ja) サービス申込受付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申込受付方法
KR100693574B1 (ko) 지문을 이용한 통합 계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