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82B1 -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82B1
KR102612782B1 KR1020230061497A KR20230061497A KR102612782B1 KR 102612782 B1 KR102612782 B1 KR 102612782B1 KR 1020230061497 A KR1020230061497 A KR 1020230061497A KR 20230061497 A KR20230061497 A KR 20230061497A KR 102612782 B1 KR102612782 B1 KR 10261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extract
cypress
mugwort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한성수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올바름디앤비
(주)예그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바름디앤비, (주)예그리나 filed Critical (주)올바름디앤비
Priority to KR102023006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쑥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기능이 증진되도록 한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Deodorant and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mixture}
본 발명은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쑥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기능이 증진되도록 한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이후에 급격히 발전한 과학기술은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인류의 삶을 보다 편하고, 풍요롭게 해주었으며,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도록 하는 한편,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 또한 대량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의 대량 생산 및 대량 소비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연환경이 오염되기 시작하여 20세기 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연과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점차적으로 커져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움직임은 미미한 실정이다.
오염은 주로 재화의 대량 생산시 소요되는 화학제품에 의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량 소비 후 버려지는 재화의 폐기 처리에서도 많은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에의 오염은 오염의 대상에 따라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에 대한 것만 언급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대기, 수질 및 토양의 오염 이외에 인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악취 또한 오염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오염의 종류 중에서 악취는 인간의 감각기관의 하나인 코(nose)를 통해 단순히 불쾌한 냄새부터 인체에 유해하거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후드(Hood), 닥트(Duct) 및/또는 높은 굴뚝에 의해 통제 확산시키는 방법인 통풍 및 희석법, 악취물질을 세정기에 통과시켜 세정액으로 흡수하여 제거하는 흡수법, 냉각기를 사용하여 악취물질을 응축 제거하는 응결법, 악취물질을 고온의 가열을 통해 연소시켜 제거하는 연소산화법, 촉매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산화 처리하는 촉매 산화법, 오존(O3) 및/또는 염소화합물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화학적 산화법 등이 있다. 또한 강한 방향취를 갖는 성분을 살포하고 악취를 위장하는 방법으로 바닐린, 송진유 및 초산벤질 등의 향료를 사용하는 위장법과 각기 다른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을 혼합시켜 악취를 무취화 또는 악취를 감소시키는 중화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분야 속하는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3-0031062호(2023.03.07.공개)에는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이 게시된 바 있는데, 아로마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 내지 250 중량부의 글리콜류 용해제; 및 150 내지 300 중량부의 트리블록공중합체[PEO-PPO-PE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셀형 섬유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은 화학 성분을 사용하는바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였으며, 이에, 천연성분을 이용하면서도 종래 화학적 소취용 및 항균용 조성물에 준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3-0031062호(2023.03.07.공개),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쑥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기능이 증진되도록 한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각각 0.001 ~ 4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나무추출물, 편백나무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각각 잎 부위를 추출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소취제, 탈취제, 항균제,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자외선 차단용 크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쑥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기능이 증진된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에 대한, 세포생존율 측정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의 가스 검지관을 통한 소취 효과 확인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도 3 내지 도 6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을 통한 밀폐 공간에서의 냄새 원인 성분 농도 측정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내지 도 8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나무추출물은 소나무(Pinus Densiflora)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나무추출물은 소나무의 잎 부위를 추출한 소나무잎추출물(Pinus Densiflora Leaf Extract)일 수 있다.
상기 편백추출물은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백나무추출물은 편백의 잎 부위를 추출한 편백잎추출물(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일 수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녹차(Camellia Sinensis)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차추출물은 녹차나무의 잎 부위를 추출한 녹차잎추출물(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일 수 있다.
상기 월계수추출물은 월계수나무(Laurus Nobilis)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월계수추출물은 월계수의 잎 부위를 추출한 월계수잎추출물(Laurus Nobilis Leaf Extract)일 수 있다.
상기 쑥추출물은 쑥(Artemisia Princeps)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쑥추출물은 쑥의 잎 부위를 추출한 쑥잎추출물(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이 적절하다.
가장 적절하게 상기 추출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을 혼합한 추출용매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을 40 ~ 150℃의 온도에서 8 ~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하며, 각 추출물의 혼합 과정에서 각 추출물의 핵심 성분 간의 상호 반응에 의해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이 각각 0.001 ~ 4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적절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혼합물은 소나무추출물 20.0중량%, 편백추출물 20.0중량%, 녹차추출물 20.0중량%, 월계수추출물 20.0중량% 및 쑥추출물 20.0중량%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혼합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대비 0.1 ~ 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혼합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대비 0.1 ~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혼합물 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용매, 용제, 담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 등의 성분들을 포함하여, 소취제, 탈취제, 항균제,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자외선 차단용 크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과정은 세척 및 건조 단계(S10), 추출단계(S20), 혼합 단계(S30), 숙성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및 건조 단계(S10)에서는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는 세척 및 건조 단계(S10)에서 세척된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40 ~ 150℃의 온도에서 8 ~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단계(S30)에서는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0.001 ~ 4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숙성 단계(S40)에서는 상기 혼합 단계(S30)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10 ~ 40℃의 온도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 및 건조 단계(S10), 추출단계(S20), 혼합 단계(S30), 숙성단계(S40)에서의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은, 각각 소나무잎추출물(PinusDensiflora Leaf Extract), 편백잎추출물(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녹차잎추출물(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월계수잎추출물(Laurus Nobilis Leaf Extract) 및 쑥잎추출물(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일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소나무추출물 , 편백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20.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실시예 2. 소나무잎추출물 , 편백 잎추출물 , 녹차 추출물 , 월계수잎 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20.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1. 소나무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편백,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2. 편백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 녹차, 월계수 및 쑥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3. 녹차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 편백, 월계수 및 쑥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 편백, 월계수 및 쑥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4. 월계수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 편백, 녹차 및 쑥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 편백, 녹차 및 쑥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5. 쑥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월계수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 편백, 녹차 및 월계수의 전초를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 편백, 녹차 및 월계수의 전초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월계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월계수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6. 소나무잎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편백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편백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7. 편백잎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의 잎, 녹차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8. 녹차잎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월계수의 잎 및 쑥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9. 월계수잎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및 쑥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및 쑥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비교예 10. 쑥잎추출물이 배제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10):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및 월계수의 잎을 준비하여 1 ~ 1cm 크기의 절편으로 절단한 다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S20): 절단하고 세척하고 건조한 소나무의 잎, 편백의 잎, 녹차의 잎 및 월계수의 잎에 각각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이 혼합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6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여,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제조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각각 25.0중량%씩 혼합하여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25℃의 실온에서 3일 동안 숙성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세포독성 실험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의 HaCaT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정도를 측정하여 파악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정제수에 현탁하여 농도별(0.1%, 0.5%, 1%. 3%, 5%)로 조성한 후, 하기의 방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추출혼합물을 농도별(0.1%, 0.5%, 1%. 3%, 5%)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 %로 하고 시료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세포증식률(%)=(추출물처리시의흡광도-대조군의흡광도)/대조군의흡광도×100)).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
시료처리농도(%)
0.1% 0.5% 1% 3% 5%
실시예1 105.7 105.7 105.6 104.6 103.7
비교예1 105.5 105.4 105.3 104.2 103.3
비교예2 105.3 105.2 105.2 104.3 103.5
비교예3 105.4 105.3 105.2 104.4 103.3
비교예4 105.5 105.4 105.3 104.3 103.2
비교예5 105.3 105.3 105.2 104.2 103.3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
시료처리농도(%)
0.1% 0.5% 1% 3% 5%
실시예2 105.8 105.7 105.7 104.7 103.8
비교예6 105.4 105.3 105.2 104.3 103.4
비교예7 105.3 105.3 105.2 104.4 103.5
비교예8 105.4 105.3 105.3 104.3 103.5
비교예9 105.5 105.4 105.3 104.2 103.4
비교예10 105.4 105.3 105.2 104.4 103.3
실험결과, 표 1 내지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을 0.1% ~ 5%로 증량하면서 처리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에서 세포에 대한 유의미한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예 2. 가스 검지관을 통한 소취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의 소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스 검지관(Gastec GV-110S, 71H, 한국)을 이용하여 소취 내지는 탈취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상 시료 1로 메틸머탑탄, 대상 시료 2로 암모니아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바이알에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 5%와 메틸머캅탄(Wako pure chemicals Co., 일본)의 최종 농도가 100ppm이 되도록 혼합하여 교반한 후, 37℃에서 1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추출혼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바이알에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 5%와 암모니아(대정, 한국)의 최종 농도가 100ppm이 되도록 혼합하여 교반한 후, 37℃에서 1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추출혼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추출혼합물의 악취 제거 활성은 계산식(악취 제거 활성(%) = [(C-S)] * 100, C는 대조군의 측정 농도이고, S는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측정 농도)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메틸머캅탄
(기기측정값)
메틸머캅탄 악취제거활성(%) 암모니아
(기기측정값)
암모니아 악취제거활성(%)
대조군(증류수) 100 0 100 0
실시예1 45 55 25 75
비교예1 80 20 55 45
비교예2 75 25 60 40
비교예3 75 25 65 35
비교예4 80 20 55 45
비교예5 75 25 50 50
메틸머캅탄
(기기측정값)
메틸머캅탄 악취제거활성(%) 암모니아
(기기측정값)
암모니아 악취제거활성(%)
대조군(증류수) 100 0 100 0
실시예2 40 60 20 80
비교예6 75 25 45 55
비교예7 75 25 55 45
비교예8 70 30 55 45
비교예9 75 25 50 50
비교예10 70 30 45 55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추출혼합물의 경우, 메틸머캅탄의 냄새를 55% 제거하고, 암모니아의 냄새를 75%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추출혼합물의 경우, 메틸머캅탄의 냄새를 60% 제거하고, 암모니아의 냄새를 80%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물은 메틸머캅탄의 냄새를 20 ~ 30% 제거하는데 그쳤으며, 암모니아의 냄새를 35 ~ 55% 제거하는데 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로써 소취 효과가 월등히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밀폐공간 소취 효과 확인
가스텍(model 801, Gastec co, 일본)에 의한 탈취능력시험을 통하여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의 소취 내지는 탈취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밀폐된 탈취시험용 용기(40 ㎝ * 40 ㎝ * 40 ㎝)안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을 소형용기에 넣은 후, 탈취시험용 용기를 닫고 악취발생원인이 되는 냄새원인 성분 가스(항화수소(H2S), 포름알데히드(HCHO), 초산(CH3COOH), 트리메틸아민(C3H9N))를 주입하였다. 탈취시험장치에서 균일한 농도로 초기농도가 약 52∼55 ppm이 되도록 조절하여 가스텍으로 농도를 측정하고, 소형용기를 열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 5%와 가스를 접촉시켰다. 이때, 농도를 초기농도로 하고, 이후 30분 경과,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시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있어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내온도 17±5℃, 상대습도 40±5%, 조성물의 형태 - 액체, 탈취 시험용 용기 40 ㎝ * 40 ㎝ * 40 ㎝, 조성물의 량 50 g.
항화수소(H2S) 측정농도(ppm)
초기 측정 30분 경과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실시예1 54 25 18 14
비교예1 53 43 39 35
비교예2 53 42 37 35
비교예3 52 43 38 36
비교예4 53 44 39 34
비교예5 53 43 38 35
실시예2 54 23 16 12
비교예6 53 41 38 34
비교예7 52 40 36 33
비교예8 53 42 36 34
비교예9 53 43 37 33
비교예10 52 42 37 33
포름알데히드(HCHO) 측정농도(ppm)
초기 측정 30분 경과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실시예1 53 28 22 18
비교예1 52 48 46 44
비교예2 52 47 45 45
비교예3 52 48 45 44
비교예4 52 47 44 44
비교예5 52 47 45 45
실시예2 53 25 20 16
비교예6 52 47 45 45
비교예7 52 46 44 44
비교예8 52 46 45 44
비교예9 52 47 44 44
비교예10 52 47 45 45
초산(CH3COOH) 측정농도(ppm)
초기 측정 30분 경과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실시예1 53 27 20 14
비교예1 52 46 44 44
비교예2 52 47 45 44
비교예3 52 46 45 45
비교예4 52 45 43 43
비교예5 52 45 44 44
실시예2 52 25 18 11
비교예6 52 46 44 43
비교예7 52 47 44 43
비교예8 52 46 43 43
비교예9 52 47 42 42
비교예10 52 46 43 42
트리메틸아민(C3H9N) 측정농도(ppm)
초기 측정 30분 경과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실시예1 53 22 17 13
비교예1 52 47 45 42
비교예2 52 46 44 43
비교예3 52 46 45 44
비교예4 52 47 44 43
비교예5 52 45 45 42
실시예2 53 16 13 10
비교예6 52 47 44 42
비교예7 52 46 44 43
비교예8 52 46 45 43
비교예9 52 47 44 42
비교예10 52 46 45 44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혼합물의 경우, 밀폐공간에서 냄새원인 성분의 측정농도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혼합물에 비해 낮은 측정농도 감소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로써 소취 효과가 월등히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균효과 확인
항균효과는 2배 희석법(two fold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피부 상재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시험균주로는 피부 상재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액취 원인균인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을 대상으로 시험하였으며, 그 외에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슈도모나스 이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플라스모디움 오발레(Plasmodium ovale)를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상기 MIC 측정방법에서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추출혼합물 5%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하거나 멸균된 고체 배지 내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첨가하여 고형화시킨 다음, 전배양된 시험균액을 도말한 뒤,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 균체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일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ppm이며, 수치가 낮을수록 균주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24시간 후 시료 균체의 성장 정도(ppm)
S. epidermidis C. xerosis E. coli S. aureus
대조군(증류수) 238 188 154 138
실시예1 16 18 26 28
비교예1 78 118 53 59
비교예2 82 127 46 64
비교예3 88 139 43 58
비교예4 86 126 54 63
비교예5 76 119 52 66
실시예2 14 16 20 19
비교예6 67 104 48 63
비교예7 71 111 42 57
비교예8 73 123 41 64
비교예9 72 111 52 56
비교예10 64 112 47 62
24시간 후 시료 균체의 성장 정도(ppm)
B. subtilis P. acnes P. aeruginosa P. ovale
대조군(증류수) 193 164 142 138
실시예1 28 27 26 26
비교예1 47 61 73 114
비교예2 48 65 82 127
비교예3 49 66 84 123
비교예4 47 63 72 122
비교예5 48 63 74 121
실시예2 26 24 22 21
비교예6 42 55 65 92
비교예7 44 54 67 83
비교예8 43 55 56 84
비교예9 44 57 62 95
비교예10 43 55 63 96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혼합물의 경우,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슈도모나스 이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플라스모디움 오발레(Plasmodium ovale)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혼합물에 비해 낮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로써 항균 효과가 월등히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상기 실험예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에 대한 유의미한 독성은 갖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천연물의 조합을 통해 얻어진 결과이며, 화학성분의 소취용 및 항균용 조성물은 얻을 수 없는 효과이다.
상기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스 검지관법을 통해 냄새원인 성분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 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경우, 일부 성분이 결여된 조성물보다 월등한 소취/탈취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한 성분들 모두의 조합을 통해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실험예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밀폐공간에 따른 소취/탈취 실험을 통해 냄새원인 성분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 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경우, 일부 성분이 결여된 조성물보다 월등한 소취/탈취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한 성분들 모두의 조합을 통해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실험예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추출물, 편백추출물, 녹차추출물, 월계수추출물 및 쑥추출물, 내지는,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경우, 일부 성분이 결여된 조성물보다 월등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한 성분들 모두의 조합을 통해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소나무, 편백, 녹차, 월계수, 쑥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및 항균 기능이 월등히 증진되도록 한 조성물로써,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세척 및 건조 단계
(S20): 추출단계
(S30): 혼합 단계
(S40): 숙성단계

Claims (5)

  1. 소나무잎, 편백잎, 녹차잎, 월계수잎 및 쑥잎을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40 ~ 150℃의 온도에서 8 ~ 24시간 동안 추출한 소나무잎추출물, 편백잎추출물, 녹차잎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및 쑥잎추출물을 각각 0.001 ~ 4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소취제, 탈취제, 항균제,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자외선 차단용 크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61497A 2023-05-12 2023-05-12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497A KR102612782B1 (ko) 2023-05-12 2023-05-12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497A KR102612782B1 (ko) 2023-05-12 2023-05-12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782B1 true KR102612782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497A KR102612782B1 (ko) 2023-05-12 2023-05-12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7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33B1 (ko) * 2013-02-14 2013-07-26 주식회사 더마랩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869269B1 (ko) * 2017-01-13 2018-06-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2380585B1 (ko) * 2020-11-02 2022-03-30 (주)올바름디앤비 천연허브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진정,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72105B1 (ko) * 2022-03-29 2022-11-29 (주)올바름디앤비 천연버섯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1062A (ko) 2021-08-26 2023-03-07 원앤코 주식회사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33B1 (ko) * 2013-02-14 2013-07-26 주식회사 더마랩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869269B1 (ko) * 2017-01-13 2018-06-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2380585B1 (ko) * 2020-11-02 2022-03-30 (주)올바름디앤비 천연허브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진정,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1062A (ko) 2021-08-26 2023-03-07 원앤코 주식회사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2472105B1 (ko) * 2022-03-29 2022-11-29 (주)올바름디앤비 천연버섯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6957A1 (en) Preservative compositions comprising renewably-based, biodegradable 1,3-propanediol
CN111685134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除螨抑菌功效组合物及应用
CN105582805A (zh) 一种高效植物除臭剂
CN1961968A (zh) 一种含天然植物消臭成分的除臭剂
CN109260927A (zh) 一种含桧木精油的除臭除味浓缩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144417A (zh) 多效环保除味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11050B1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CN110813012A (zh) 一种空气净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31137B (zh) 一种具有抑菌功效的除臭剂
CN112640904A (zh) 一种除菌除螨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08077324A (zh) 一种高稳定性的除臭抗菌剂
KR101151753B1 (ko) 실내 유해화학물질 분해 소독제
KR102612782B1 (ko)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용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6687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한 탈취제
KR20160016078A (ko) 고추냉이를 주재로 한 새집증후군 제거용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CN108144097A (zh) 芬芳精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05206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JPS61206449A (ja) 消臭剤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CN110559794A (zh) 一种用于室内空气净化制剂配方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960295B1 (ko)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CN115191447A (zh) 一种多效合一的复合喷雾及其制备方法
JP3757679B2 (ja) 消臭剤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