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10B1 -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10B1
KR102612610B1 KR1020200015083A KR20200015083A KR102612610B1 KR 102612610 B1 KR102612610 B1 KR 102612610B1 KR 1020200015083 A KR1020200015083 A KR 1020200015083A KR 20200015083 A KR20200015083 A KR 20200015083A KR 102612610 B1 KR102612610 B1 KR 10261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neural stem
culture medium
cell culture
agon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001A (ko
Inventor
윤지현
홍상준
김지현
원윤선
이나은
이정태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파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파마
Priority to KR102020001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0Nerves; Brain; Eyes; Corneal cells; Cerebrospinal fluid; Neuronal stem cells; Neuronal precursor cells; Glial cell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Astroglia; Astrocytes; Choroid plexus; Spinal cor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유도 및 배양함으로써 성체줄기세포를 보다 우수한 효율로 신경줄기세포로 증식 및 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화장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METHOD OF PREPARING NEURAL STEM CELL AND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COMPRISING NEURAL STEM CELL CULTURE MEDIA PREPAR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이용하여 성체줄기세포에서 신경줄기세포를 유도 및 배양하는 방법,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인체 내에서 혈관생성 촉진, 항염증 작용, 면역조절 작용 등 손상조직의 미세환경 조절을 통한 생체작용에 관여한다. 이러한 생체작용은 손상조직의 보호 및 재생을 촉진하는 다양한 항염증 사이토카인들과 세포사 억제 물질들, 세포 생존 촉진 물질들의 유리로 일어난다. 이를 파라크라인 효과(paracrine effect)라고 일컫는다.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된 성분들은 줄기세포 배양액에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러한 줄기세포 배양액에 함유된 인자들을 응용하여 피부 재생, 노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 중, 외배엽 유래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 NSC)가 노화 속도를 조절하고, 피부는 신경 내분비면역기관으로 신경계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졌다. 특히 감각 신경계의 네트워크는 피부에서 염증,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Dirk Roosterman et al., 2005), 신경줄기세포가 피부 노화 방지와 관련한 피부 개선에 밀접하게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일례로, 유명 학술지에 신경줄기세포가 노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Yalin Zhang, et al., 2017). 또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주름 개선 및 미백에 효과가 있는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에 대한 기술도 알려졌다(한국 공개특허 제2016-0022119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22119호
Dirk Roosterman et al., 「 Neuronal Control of Skin Function: The Skin as a Neuroimmunoendocrine Organ 」, Physiol Rev. 2006;86:1309-1379. doi: 10.1152/physrev.00026.2005. Yalin Zhang, et al., 「Hypothalamic stem cells control ageing speed partly through exosomal miRNAs」, Nature 2017; 548, 52-57. doi:10.1038/nature23282.
그러나, 신경줄기세포를 상업적으로 지속가능한 생산 및 공급하는데 무리가 있어 코스메슈티컬 제품으로 상용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체줄기세포의 증식 및 분화효율을 높여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되는 신경줄기세포 배양액,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유도 및 배양함으로써 성체줄기세포를 보다 우수한 효율로 신경줄기세포로 증식 및 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화장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에서 배양된 성체줄기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a 내지 2e는 제조예 1에서 배양된 성체줄기세포 표면에 발현된 항원에 따른 유세포 분석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1의 성체줄기세포(a) 및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각각 지방세포(b), 연골세포(c), 골세포(d)로 각각 분화시킨 후, 각 세포에 특이적으로 염색되는 용액으로 이용하여 염색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성체줄기세포의 증식 및 이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는 과정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서 성체줄기세포의 증식 및 이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는 과정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의 농도에 따라 유도된 신경줄기세포의 분화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및 8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의 농도에 따라 유도된 신경줄기세포의 세포수 및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신경줄기세포 각각의 분자표지를 RT-PCR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a 및 10b는 인간 표피 각질세포(HaCaT)를 배양한 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배양한 후, 임의의 상처를 내고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상처회복률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12 및 13a 내지 13d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배양한 후, 지질다당질(LPS)을 처리해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한 결과이다. 각각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처리하여 IL-6, COX-2 및 IL-1β의 발현여부를 나타낸 전기영동 사진 및 COX-2 및 IL-1β의 IL-6 발현량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제대혈, 혈액, 피부, 지방, 잇몸, 태반 또는 탯줄에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골수, 제대혈, 혈액, 피부, 지방, 잇몸, 태반 또는 탯줄로부터 성체줄기세포를 단리, 배양하고 분리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수로부터 추출한 줄기세포를 계대배양하는 과정에서 수득한 다음,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한 후 성체줄기세포를 떼어내 균질화(homogenzization)하는 공정을 통해서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성체줄기세포는 골세포, 지방세포, 연골세포 등의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된 뒤, 신경줄기세포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킨 후,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의 작용제를 사용하여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 및 배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손상되는 경우 아데노신의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LoS ONE, 2017, 3(5): e2107). 아데노신은 4가지의 수용체를 갖는데, 피부 손상시 아데노신의 수용체 중 하나인 A2b에 아데노신이 결합하면 항염증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Br. J. Pharmacol, 2008, 155(4): 463-74). 또한, 아데노신은 스트레스나 부상으로 인한 저산소증, 허혈, 경련 등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아데노신 외용제의 경우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조직을 재건 및/또는 회복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Clin Exp Rheumatol, 2010, 28: S21-23).
본 발명은 이러한 아데노신 수용체 중 A2b의 작용제를 사용하여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 및 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를 활성화시켜 아데노신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10 시클로알킬이고, R2 또는 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R1은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10 시클로알킬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로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는 sigma 사의 bay 60-6583, LUF5834 등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경줄기세포 유도시 상기 배양액은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10 내지 1,000 nM, 50 내지 500 nM, 80 내지 450 nM, 80 내지 400 nM, 80 내지 350 nM, 80 내지 300 nM, 80 내지 250 nM, 80 내지 200 nM 또는 100 내지 200 n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신경줄기세포로의 유도 효율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성체줄기세포 및 신경줄기세포는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키토산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서 배양 및 유도될 수 있다. 이때, 폴리에틸렌이민의 농도는 0.05 내지 5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폴리에틸렌이민이나 키토산으로 코팅된 세포 배양 접시에 5,000 내지 20,000 cells/cm2으로 시딩한 후 5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체줄기세포의 배양액은 Serum-fre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 B-27 Supplement(혹은 N2 suppelement), L-Glutamine, EGF, bFGF, LIF 및 β-메르캅토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는 라미닌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서 배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폴리에틸렌이민이나 키토산으로 코팅된 세포 배양 접시에 5,000 내지 20,000 세포/cm2으로 시딩한 후 5 내지 7 일 동안 배양하여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은 Serum-fre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 B-27 Supplement(혹은 N2 suppelement), L-Glutamine, EGF, bFGF 및 LIF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신경줄기세포를 보다 많이 수득하기 위하여, 상기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기 전,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증식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체줄기세포를 bFGF를 포함하는 low glucose 배지에서 배양하여 성체줄기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다. 상기 low glucose 배지의 농도가 5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상기 배지는 DMEM 배지일 수 있다. 상기 배지 내 bFGF의 농도는 10 내지 50 ng/ml, 10 내지 30 ng/ml, 15 내지 30 ng/ml 또는 약 20 ng/m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성체줄기세포의 증식효율이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신경줄기세포를 제조함으로써, 다량의 신경줄기세포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1)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3) 배양된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성체줄기세포에서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고,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이후, 원심분리 및 여과에 의해 배양된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 및 상기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또는 상처 치료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세포나 면역 세포에 염증 반응이 일어난 경우,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COX-2, IL-1β 등의 발현량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상처가 생긴 경우 피부 세포를 재생시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에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0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1)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3) 배양된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또는 상처 치료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세포나 면역 세포에 염증 반응이 일어난 경우,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COX-2, IL-1β 등의 발현량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상처가 생긴 경우 피부 세포를 재생시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에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연고제, 액제, 크림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등과 같은 피부 외용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 및/또는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또는 상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용 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도포량 및 하루 사용 횟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당량을 하루 1 내지 6회의 빈도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은 성체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유도 및 배양함으로써 성체줄기세포를 보다 우수한 효율로 신경줄기세포로 증식 및 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은 피부 재생,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화장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성체줄기세포의 배양
Lonza에서 구입한 골수 유래 줄기세포를 해동한 후 원심분리한 다음,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Low Glucose 배지에 37℃ 및 5% CO2의 가습 배양기(humidified chamber)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1. 신경줄기세포의 배양
실시예 1.1. 신경줄기세포로의 유도(단계 1)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성체줄기세포를 5 ㎍/cm2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코팅된 배양접시에 12,000~14,000 cells/cm2으로 시딩한 후, 20 ng/ml의 bFGF, 10% FBS, 1% P/S가 첨가된 DMEM Low Glucose 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증식시켰다. 그 다음, DMEM Low Glucose 배지에 0.1 mM β-메르캅토에탄올(β-ME), 1% Non Essential Amino Acid, 10% FBS 및 1% PS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4일 동안 배양하여 세포들이 로제트(rosset) 모양으로 응집한 부유체를 형성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지에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BAY 60-6583, sigma)를 첨가하고 3일 동안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였다.
실시예 1.2. 신경줄기세포 배양(단계 2)
상기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를 라미닌으로 코팅된 배양 접시에 5,000 cells/cm2 양으로 시딩한 후 4일간 계속 배양하여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신경줄기세포를 유도 및 배양하여 신경줄기세포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성체줄기세포 평가
실험예 1.1. 성체줄기세포 확인-유세포 분석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성체줄기세포의 성상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40 배율(X40)로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수득한 성체줄기세포의 표면 항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세포 분석(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배양중인 성체줄기세포를 Passage 5(P5)에서 TrypLE Express Enzyme으로 세포를 떼어낸 다음, 4℃의 2% FBS/PBS 완충액에서 60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완충액은 마우스 IgG(Isotype Control), FITC 및/또는 PE(phycoerythrin)이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FACS Aria (Becton & Dickinson)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도 2에 그래프(2a: CD73, 2b: CD90, 2c: CD105, 2d: CD34, 2e: CD45)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CD73, CD90, CD105에 대해서는 양성, CD34, CD45에 대해서는 음성을 나타내어,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성체줄기세포의 분화능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성체줄기세포에 대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분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중인 세포를 Passage 4(P4)에서 떼어낸 다음, 0.1 mM β-메르캅토에탄올(β-ME), 1% Non-Essential Amino Acid 및 성장인자가 포함된 각각의 배양액에서 인자가 포함된 각각의 배양액에서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지방세포, 연골세포 및 골세포로 각각 유도하였다.
그 다음, 세포특이적인 염색용액(지방세포: Oil red-O, 연골세포: Alcian Blue, 골세포: Alizarin Red S)로 염색하여 분화능을 평가하였다. 도 3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중간엽세포로 분화시킨 후 염색한 사진을 40배율로 확대한 사진으로, a는 분화전의 성체줄기세포(대조군)이고, b는 지방세포, c는 연골세포 및 d는 골세포를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로부터, 성체줄기세포는 지방세포, 연골세포 및 골세포로 분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신경줄기세포 평가
실험예 2.1. 신경줄기세포 성상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성체줄기세포 배양 후 1~10일, 또는 1~9일 경과 후의 성상을 광학현미경을 촬영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각각 도 4 및 5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4의 a~h는 각각 1일, 2일, 3일, 5일, 7일, 8일, 9일 및 10일 경과한 후의 성상이고, 도 5의 a~d는 각각 1일, 5일, 7일 및 9일 경과한 후의 성상이다.
도 4 및 5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모두 성체줄기세포가 증식하여 로제트 모양으로 응집 및 부유하였으나, 이후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첨가한 실시예 1의 성체줄기세포가 신경줄기세포로 보다 많이 증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2. 아데노신 수용체 A2 b 작용제 함량에 따른 신경줄기세포 분화능 평가
신경줄기세포 유도 시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의 함량에 따라, 신경줄기세포로의 분화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의 함량을 50 nM, 100 nM, 200 nM, 500 nM 및 1 uM으로 각각 첨가한 후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를 광학현미경(X40)으로 촬영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a는 대조군(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 처리 X)에서의 신경줄기세포 성상이고, b~f는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각각 50 nM, 100 nM, 200 nM, 500 nM 및 1 uM으로 첨가하였을 때 신경줄기세포의 성상이다.
또한, 유도된 신경줄기세포에 대하여 전체 세포수 및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 및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때,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결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100 nM 및 200 nM으로 첨가한 경우 신경줄기세포로의 분화능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3. 신경줄기세포 관련 단백질 발현 확인
성체줄기세포가 신경줄기세포로 유도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수득한 신경줄기세포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각각에 대한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수행하여 신경줄기세포의 표지 인자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a 및 b는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이고, Ctrl.은 대조군, iNSC는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에서 얻은 신경줄기세포이고, NSC는 일반신경줄기세포이다.
도 9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신경줄기세포 모두 신경줄기세포의 특징적인 표지 인자인 SOX1, SOX2, NESTIN, PAX6 및 NeuroD1의 mRNA를 발현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신경줄기세포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신경줄기세포에 비해 Nestin, PAX6, SOX2 및 Neuro D1의 발현량이 현저히 저조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4.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의 세포 증식률 평가
인간 표피 각질세포(HaCaT)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96-well plate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신경줄기세포를 well 당 1Х103 cells/100 ㎕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음성대조군 및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0.1 ㎎/㎖, 0.5 ㎎/㎖ 및 1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액 처리후, 1일, 2일, 3일 경과후 CCK8 assay를 통하여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여 세포 증식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a(실시예 1) 및 10b(비교예 1)에 나타내었다. 도 10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모두 배양액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였고,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보다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실험예 2.5.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의 상처 치료 효과
24-well plate에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well당 1Х103 cells씩 분주하여 밀집도 100%가 되도록 배양하였다. 1000 P white tip를 이용해 well의 정가운데를 긁어서 상처를 낸 뒤, 음성대조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신경줄기세포 배양액 1 ㎎/㎖를 처리하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배양액 처리 직후 및 24시간 경과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C.V)으로 염색하여 상처의 면적을 측정, 회복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배양액을 처리한 경우(c)가 대조군(a) 및 비교예 1(b)의 배양약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상처가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6.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의 항염증 효과
6-well plate에 well 당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S68)를 2.5Х105 cells, Raw264.7을 2Х105 cells씩 분주하여 밀집도가 80%가 되도록 배양한 다음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환하였다. 24시간 경과후 지질다당체(LPS)를 2 ㎍/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염증이 유도된 세포에 대하여 실시예 1의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1 ㎎/㎖의 농도로 처리하고, IL-6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COX-2와 IL-1β의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COX-2의 발현량을 나타낸 전기영동 사진 및 그래프이고, 도 13c 및 13d는 각각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전기영동 사진 및 그래프이다. 그 결과,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IL-6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도 12). 또한, RAW264.7세포에서는 COX-2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도 13a~13d).

Claims (15)

  1. 중간엽 줄기세포를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키토산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 시딩한 후 bFGF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로제트 모양으로 응집한 부유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10 시클로알킬이고,
    R2 또는 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가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화학식 2] [화학식 3]
    .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가 골수, 제대혈, 혈액, 피부, 지방, 잇몸, 태반 또는 탯줄에서 수득된 것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의 농도가 10 내지 10,000 nM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EM 배지의 글루코스 농도가 5 내지 10 mM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줄기세포가 라미닌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서 배양되는 것인,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10.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염증 또는 상처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1) 중간엽 줄기세포를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키토산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 시딩한 후 bFGF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로제트 모양으로 응집한 부유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3)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4)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5) 배양된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이의 염인,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6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10 시클로알킬이고,
    R2 또는 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가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인,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화학식 3]
    .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염증 또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 중간엽 줄기세포를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키토산으로 개질된 세포 배양 접시에 시딩한 후 bFGF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로제트 모양으로 응집한 부유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3)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를 아데노신 수용체 A2b 작용제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단계;
    (4) 상기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5) 배양된 신경줄기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KR1020200015083A 2020-02-07 2020-02-07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61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83A KR102612610B1 (ko) 2020-02-07 2020-02-07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83A KR102612610B1 (ko) 2020-02-07 2020-02-07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01A KR20210101001A (ko) 2021-08-18
KR102612610B1 true KR102612610B1 (ko) 2023-12-12

Family

ID=7746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083A KR102612610B1 (ko) 2020-02-07 2020-02-07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6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6747A2 (ko) * 2008-05-07 2009-11-12 한 쎌 주식회사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817975C (en) * 2010-11-16 2020-03-31 Michael Kahn Cbp/catenin antagonists for enhancing asymmetric division of somatic stem cells
KR101719274B1 (ko) 2014-08-19 2017-05-24 (주)아이셀뱅크 아토피 피부염 개선, 주름 개선 및 미백활성을 갖는 불멸화 세포주 및 이의 용도
KR102111025B1 (ko) * 2018-06-05 2020-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주름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reas, RM.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ume 137, Issue 1, January 2017, Pages 123-131
BRAIN RESEARCH, VOL. 1686 (2018) P. 65-71
COMPUTATIONAL AND STRUCTURAL BIOTECHNOLOGY JOURNAL 13 (2015) P. 75-84
Experimental Biology 2011 Volume25 IssueS1 Meeting Abstracts April 2011 Pages 679.1-679.1
FRONTIERS IN CELLULAR NEUROSCIENCE, JUNE 2015 , VOLUME 9, ARTICLE 211
HUMAN MOLECULAR GENETICS, 2015, VOL. 24, NO. 21, P. 6066-6079
J PHARMACOL EXP THER., VOL. 349, P.427-436, JUNE 2014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ume 287, Issue 19, May 2012, Pages 15718-15727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86:2820-2828 (2008)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7, NO. 19, P. 15718-15727, MAY 4,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01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284528B2 (en) Use of stem cell conditioned medium to inhibit oxidation for anti-aging skin
EP2800552B1 (en) Cosmetic use of dedifferentiated plant cells
JP7222471B2 (ja) 医薬品組成物及び化粧品組成物
CN105722974B (zh) 全能干细胞的诱导方法、及用该方法制备的全能干细胞
WO2020022731A1 (ko)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6115B1 (ko)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이의 용도
JP6185913B2 (ja) ヒトの皮膚真皮由来成体幹細胞
JP2024040280A (ja) クローナル幹細胞を含むアトピー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KR102172344B1 (ko)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2610B1 (ko) 신경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신경줄기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5167A (ko) 양수 내 태아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032271B1 (ko)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피부세포 재생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EP2902022B1 (en) Vegfc production promoter
JP7022864B2 (ja) 医薬品組成物及び化粧品組成物
KR20200071043A (ko) 에피레귤린 또는 이의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7111313B2 (ja) 医薬品組成物及び化粧品組成物
US1141331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clonal stem cells
Schmid et al. Stimulating epidermal regeneration with plant-derived stem cells
KR101627151B1 (ko) miRNA21 형질전환 조절로 인한 인간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주름개선 관련 성장인자의 발현 제어 및 분비를 촉진하는 성장인자 대량 생산방법
KR20160022667A (ko) 인간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40145473A (ko) 인간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의 배양액
KR100892273B1 (ko) 캄페롤-3-o-루티노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20083166A (ko) 피부 탄력유지 또는 노화방지 효과를 가지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이의 용도
KR20170095202A (ko) 금영화 추출물의 화장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