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02B1 -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02B1
KR102611402B1 KR1020200176553A KR20200176553A KR102611402B1 KR 102611402 B1 KR102611402 B1 KR 102611402B1 KR 1020200176553 A KR1020200176553 A KR 1020200176553A KR 20200176553 A KR20200176553 A KR 20200176553A KR 102611402 B1 KR102611402 B1 KR 10261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x
filler
poly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261A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글로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글로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글로벌테크
Priority to KR102020017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은 파라핀왁스 30 내지 40중량부, 몬탄왁스 10 내지 20중량부, 액상 로진 에스테르 3 내지 5중량부,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 내지 25중량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 내지 15중량부, 카나우바왁스 5중량부, 산화방지제 0.2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부가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밀납 40 내지 50 중량부와 글리세린 20 내지 3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일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왁스에 안료, 밀납 및 글리세린을 부가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질의 흠집을 메움 작업함에 있어서 고체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작업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색상을 용이하게 제공하면서도 메움제의 부착성, 경도, 혼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림성을 개선하여 버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흠집 메움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Scratch fille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목재, 플라스틱, 철재로 이루어진 가구류나 마루바닥, 몰딩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사물의 표면에 우발적 사고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긁힘이나 찍힘 등으로 흠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긁힘이나 찍힘 등에 의해 발생한 스크래치 등과 같은 흠집을 메움 보수할 수 있는 메움제와 이러한 메움제의 용이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플라스틱, 철재로 이루어진 가구류나 마루바닥, 몰딩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사물의 표면에 우발적 사고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긁힘이나 찍힘 등으로 흠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긁힘이나 찍힘 등에 의해 발생한 스크래치 등과 같은 흠집은 흠집을 메움할 수 있는 충진제, 퍼티, 메움제 등을 이용하여 보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흠집을 메움하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에 pH조정제, 미립자 세라믹, 유리를 포함하고, 색상발현을 위한 조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US 9068058 B2, 미립자 세라믹과 폴리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US 2012-0041107 A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핫멜트 접착제와 탄산칼슘, 세라믹, 목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충진제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US 9074100 B2, 및 점토 또는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필러 목재 퍼티의 약 50% 이상을 포함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열 개시제, 광택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US 2009-0155485 A1의 발명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미온에 대한 열변형이 적어 부착시 점착력에 문제가 있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특히, 기재의 흠집 부분에 메움제를 채워 넣은 후 기재 표면에 묻은 잔여량의 메움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흠집 내부로 삽입된 일부의 메움제가 탈락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를 다시 메움작업을 하여야만 함으로써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1788146호(특허문헌 1)의 흠집 메움제에서 "파라핀왁스 35 ∼ 40중량%,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 ∼ 26중량%,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 ∼ 16중량%, 카나우바왁스 4 ∼ 6중량%, 몬탄왁스 15 ∼ 25중량%, 액상 로진 에스테르 24 ∼ 33중량%, 밀링베이스 12 ∼ 17중량%, 산화방지제 02 ∼ 08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라핀왁스의 용융점은 588℃이고,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은 80.9℃, 제2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의 용융점은 83.7℃이며,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보다 점도가 더 낮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링베이스는 밀링베이스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산화티타늄 55 ∼ 65중량%, 가소제 35 ∼ 45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흠집 메움제"를 개시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이전에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제공하지만 색상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색상을 제어하는 흠집 메움, 즉 흠집 제거와 관련된 종래 제안된 기술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0417965호(특허문헌 2)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1822983호(특허문헌 3)가 있을 뿐인데,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자동차 흠집제거제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페인트 59중량%, 탄산칼슘(CaCO₃) 35중량%, 투명페인트 6중량%의 배합비율로 검정색의 자동차 흠집제거제를 제조하는 것으로, CaCO₃를 건조기에서 50℃ 상태로 30분간 건조시키고 상기 페인트와 건조된 CaCO₃를 원통교반기로 700rpm 상태에서 40분간 교반시킨 다음, 이를 상기 투명페인트와 혼합하여 원통교반기 충분히 교반시키고, 교반된 페인트를 좌우회전하여 사각교반기로 옮겨담아 에어히터 20℃에서 교반작업을 rpm 수를 조절하면서 점도가 cP41,000이 되는 시점에서 작업을 마쳐 검정색의 흠집제거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흠집제거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스투코 50~70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5~10중량%, 카나우바왁스 5~10중량%, 유화제 1~5중량%, 잔탄검 5~10중량%, 마이크로 바인더 5~10중량%, 비즈왁스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단지 일정한 색상으로 흠집을 수선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 정도이며 자유롭게 색상을 제어하는데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제안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부가하여 종래의 흠집 메움제는 사용시 제품의 경도, 발림성, 부착성 등의 복합적인 관계에서 흡집 제거 작업 후 작업 표면에 작업된 제제 간의 밀림 현상으로 작업된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못하고 거칠게 되는 일명 버(burr)의 발생이 빈번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다양한 색상을 용이하게 제공하면서도 부착성, 경도, 혼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림성을 개선하여 버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흠집 메움제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1788146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0417965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18229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재질의 흠집을 메움 작업함에 있어서 열 가열 후 연화 또는 액상화된 상태에서 고체화가 빠르게 진행하는 개질된 왁스, 특정 계면활성제 및 밀납 등을 주성분으로 이용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색상을 용이하게 제공하면서도 메움제의 부착성, 경도, 혼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림성을 개선하여 버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흠집 메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흠집 메움제의 융점을 낮게 형성하여 미온에 의해서도 연화가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흠집 메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효능을 제공하는 흠집 메움제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흠집 메움제를 이용하여 흠집을 메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은;
파라핀왁스 30 내지 40중량부, 몬탄왁스 10 내지 20중량부, 액상 로진 에스테르 3 내지 5중량부,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 내지 25중량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 내지 15중량부, 카나우바왁스 5중량부, 산화방지제 0.2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부가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밀납 40 내지 50 중량부와 글리세린 20 내지 3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TiO2)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일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파라핀왁스는 용융점 58.8℃의 것을 사용하고,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0.9℃의 것, 제2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3.7℃의 것을 사용하며,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보다 점도가 더 낮도록 형성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옥시에틸렌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소르비탄의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또는 폴리알킬-글리코사이드 또는 폴리글리코사이드, 글리세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수크로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글리세롤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실리콘 계면활성제,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왁스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고 여기에 안료, 밀납 및 글리세린을 일정한 비율로 부가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질의 흠집을 메움 작업함에 있어서 고체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작업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색상을 용이하게 제공하면서도 메움제의 부착성, 경도, 혼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림성을 개선하여 버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흠집 메움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용어 또는 기호가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그것의 일반적인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는 당업계의 기술 내에 있는 일반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및 재료학 등의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기술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요소를 설명하는 맥락에서, 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및 유사한 지시대상은 본 명세서에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분명히 반대로 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값의 범위의 언급은 단지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여,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속기 방법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게 반대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흠집 메움제"는 나무나 철재, 플라스틱 등의 기재에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의 발생시 이를 메워줄 수 있는 것을 지칭하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질을 대상으로 상황에 맞게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안료"는 백색 또는 유색, 무기 또는 유기 입자인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안료는 본 발명에 따른 흠집 메움제를 착색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을 일 실시형태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가장 잘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은; 파라핀왁스 30 내지 40중량부, 몬탄왁스 10 내지 20중량부, 액상 로진 에스테르 3 내지 5중량부,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 내지 25중량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 내지 15중량부, 카나우바왁스 5중량부, 산화방지제 0.2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부가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밀납 40 내지 50 중량부와 글리세린 20 내지 3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TiO2)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일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알킬기를 갖는 유기물로 각각의 기능성을 갖는 여러 종류의 왁스를 상기한 비율로 배합하여 점도 및 경도를 개질시킨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일부를 구성하는 파라핀왁스는 함랍유에서 얻어지는 상온에서 결정성 고체의 탄화수소 혼합물로서 고형파라핀이라고도 지칭되고, 주로 곧은 사슬 파라핀으로 구성되며, 녹는점에 따라 분류되어 양초, 파라핀지 등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왁스이다. 이러한 파라핀왁스는 방수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액체 상태일 때에 침투력이 빠르고 강하면서 접착성이 뛰어나고, 액상화된 후에 양생이 빠르고 고체상태에서는 경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것이다.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라핀왁스는 47 내지 64℃의 녹는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58.8℃의 녹는점을 가지고, 밀도가 09 g/㎤인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파라핀왁스는 베이스 부재로서 이용하여 내수성,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율로 사용하지만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파라핀왁스는 결정이 크기 때문에 메움 작업에서 경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탄화수소의 고형혼합물로 주로 이소파라핀으로 되어 있으며 경성왁스 성분인, 제1 및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사용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마이크로왁스 또는 미정랍이라고도 부르며 고분자량의 포화지방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파라핀왁스의 큰 결정과는 반대로 미세한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파라핀왁스 결정과 결정 사이의 기공에 침투하여 결정을 네트워크 또는 가교 형식에 의해 연결시켜 파라핀왁스의 경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상온에서 굳어졌을 때에 결정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파라핀왁스보다 점성 및 탄성이 뛰어나 파라핀왁스의 결정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파라핀왁스는 자체의 결정에 의한 네트워크보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에 의해 네트워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을 이용해 기재 부분의 흠집 보수시 흠집에 내로 삽입되지 못한 찌꺼기 부분을 제거할 때에 흠집 내로 삽입된 부분이 함께 딸려 나와 흠집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여 흠집의 메움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 따르면, 상기 파라핀왁스는 용융점 58.8℃의 것을 사용하고,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0.9℃의 것을 사용하고 제2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3.7℃의 것을 사용하며,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보다 점도가 더 낮도록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높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경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흠집이 발생한 기재에 적용시 높은 온도를 인가하여야만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의 연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경도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서로 다른 융점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융점도 하향조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융점이 낮기 때문에 점도 또한 낮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 흐름성이 너무 높아 파라핀왁스의 결정 내로 삽입하여 네트워크의 형성시 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융점 및 점도가 서로 다른 2가지 타입의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적용함으로써 파라핀왁스의 결정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통한 경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점성 및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성성분인 몬탄왁스는 용액 추출을 통하여 갈탄으로부터 얻어지는 긴 사슬로 이루어진 화석 에스테트로서 유리 고급알코올, 고체산, 수지, 유화화합물 등을 포함하며, 이 중 유리 및 결합산이 50%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 산지에 따라 산, 알코올의 탄소수의 분포가 다르며 그에 따라 성상에도 일부 차이는 있으나 단단하고 점착성과 용제보유성이 우수하고 광택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단단함에 의한 가소성을 부여하고, 내슬립성 개선 및 광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한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구성성분인 카나우바왁스는 야자과 브라질왁스 야자수의 잎과 싹으로부터 얻어 정제한 왁스로서, 이러한 카나우바왁스는 자연 왁스 중에서는 경도가 매우 높고, 광택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도를 높이면서 광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카나우바왁스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카나우바왁스는 가열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면 형상이 유지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온도가 낮아지면서 카나우바왁스의 부피가 축소하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사용되는 카나우바왁스의 조성 비율을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 형상 변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가 조성물에서 약 7 중량부로 사용될 때 형상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나우바왁스의 사용량을 5중량부로 한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카나우바왁스를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성형성과 부착성 등에서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성성분인 액상 로진 에스테르는 생송진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테레빈유를 없앤 천연 수지의 하나인 로진의 주성분인 아비에트산을 에스테르화한 것으로서, 이 중 로진의 글리세롤에스테르를 에스테르검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흠집 메움제의 점착력을 증진하기 위해 바이에트산메틸 성분의 액상 로진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로진 에스테르의 혼합량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력이 낮아지게 되어 부착력이 약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력이 너무 높아지게 되어 흠집 메움이 된 기재와 흠집 메움제 간의 부착력이 너무 강하게 되어 추후 필요시 제거하기가 힘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옥시에틸렌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소르비탄의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또는 폴리알킬-글리코사이드 또는 폴리글리코사이드, 글리세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수크로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글리세롤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실리콘 계면활성제,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각 성분 간의 혼화성을 증진시키면서 경도와 부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더욱이 추후 부가되는 안료와의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일 단계에서는 밀납과 글리세린을 일정 중량부로 부가하는데, 이러한 밀납과 글리세린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사용되는 밀랍과 글리세린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비율로 사용되어, 제조된 흠집 메움제의 발림성을 현저하게 증진하였고 이에 의해 버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일 단계에서는 특정한 안료를 부가하는데 상기 안료는 백색 또는 유색, 무기 또는 유기 입자인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안료는 본 발명에 따른 흠집 메움제를 착색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해 흠집 메움제가 착색되고 이를 사용하여 메움 작업이 실행된 부위가 주변의 색상과 일치하도록 되는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고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료 중 무기 안료가 사용될 경우 자외선에 강한 특성을 제공하지만 많은 양이 필요하고, 메움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반대로 유기 안료가 사용될 경우, 자외선에는 약하지만 많은 양이 필요하지 않아 메움제의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백색 베이스를 위해 무기 안료로 티타늄 옥사이드(TiO2)을 본 발명에 따라 10 내지 20 중량부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과 응집력이 저하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저하함이 없이 일정한 접착력을 부여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미네랄 안료로서 티타늄 옥사이드 외에, 예를 들어, 지르코늄 옥사이드, 세륨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철 옥사이드, 크롬 옥사이드, 페릭 블루,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 블루 및 크롬 하이드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안료 중에는, 각종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카본 블랙, D&C 유형 안료, 코치닐 카마인(cochineal carmine), 바륨, 스트론튬, 칼슘, 알루미늄 또는 다이케토피롤로피롤(DPP) 기반의 래커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안료는 흰색, 노랑, 빨강, 검정, 오렌지 및 보라색 색상을 것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흰색과 노랑색을 혼합하는 경우 1:99 내지 99:1의 다양한 비율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흠집 메움제는 상기한 다양한 왁스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여 굳기, 경도, 부착성을 개질하였으며,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각 구성성분의 혼합에 따른 변질을 방지하면서 혼화성을 양호하게 하고 더욱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안료와의 혼화성을 증진하였다.
또한, 밀랍과 글리세린을 일정비율로 사용하여 발림성을 현저하게 증진하였고, 따라서 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더욱이, 흠집 메움제의 구성성분들은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여 경시적으로 이들 성분이 공기 중으로 날아감에 따른 부피, 융점, 경화도 등에서의 변화를 가져와 변형을 초래할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밀랍과 글리세린의 일정비율로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밀랍과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제조된 흠집 메움제는 105℃에서 3시간 경과시 중량으로 약 1 내지 2%만 휘발하여 98 내지 99%가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을 초래하지 않아 작업된 표면의 내구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냄새도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아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파라핀왁스 3.5kg, 몬탄왁스 1.5kg, 액상 로진 에스테르 0.4kg,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2kg,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3kg, 카나우바왁스 0.5kg, 산화방지제 0.03kg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수득된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계면활성제 1.5kg을 부가하였다. 그 다음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얻은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밀납 4.5kg과 글리세린 2.5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에 카본 블랙을 안료를 0.5kg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1.5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파라핀왁스 3.0kg, 몬탄왁스 2.0kg, 액상 로진 에스테르 0.3kg,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kg,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5kg, 카나우바왁스 0.5kg, 산화방지제 0.03kg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수득된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계면활성제 1.0kg을 부가하였다. 그 다음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얻은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밀납 4.0kg과 글리세린 3.0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에 카본 블랙을 안료를 0.5kg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1.0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파라핀왁스 4.0kg, 몬탄왁스 2.0kg, 액상 로진 에스테르 0.5kg,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5kg,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5kg, 카나우바왁스 0.5kg, 산화방지제 0.05kg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수득된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계면활성제 2.0kg을 부가하였다. 그 다음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얻은 혼합물 10kg을 취하여 여기에 밀납 5.0kg과 글리세린 2.0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에 카본 블랙을 안료를 0.5kg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2.0kg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계면활성제를 부가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밀납과 글리세린을 부가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계면활성제를 부가하는 단계 및 밀납과 글리세린을 부가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흠집 메움제에 대해 경도, 발림성, 부착성 및 고형분테스트를 통해 제품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흠집 메움제는 특정 색상을 나타내면서 일정한 경도와 부착성을 유지하고, 버의 발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아 우수한 발림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흠집 메움제는 특정 색상을 나타내지만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흠집 메움제는 특정 색상을 나타내지만 강도와 부착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발림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흠집 메움제는 특정 색상의 균일성도 좋지 않아 일정한 색상을 나타내지 못했으며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발림성이 좋지 않아 버의 발생이 현저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파라핀왁스 30 내지 40중량부, 몬탄왁스 10 내지 20중량부, 액상 로진 에스테르 3 내지 5중량부,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0 내지 25중량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 내지 15중량부, 카나우바왁스 5중량부, 산화방지제 0.2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부가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밀납 40 내지 50 중량부와 글리세린 20 내지 3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부가하고 여기에 티타늄 옥사이드 (TiO2)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붓고 일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크레용 형태의 흠집 메움제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파라핀왁스는 용융점 58.8℃의 것을 사용하고,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0.9℃의 것, 제2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는 용융점 83.7℃의 것을 사용하며, 제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가 제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보다 점도가 더 낮도록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옥시에틸렌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소르비탄의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또는 폴리알킬-글리코사이드 또는 폴리글리코사이드, 글리세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수크로스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또는 비-폴리옥시에틸렌화된 글리세롤의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알킬 에테르, 실리콘 계면활성제,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흠집 메움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6553A 2020-12-16 2020-12-16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1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53A KR102611402B1 (ko) 2020-12-16 2020-12-16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53A KR102611402B1 (ko) 2020-12-16 2020-12-16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61A KR20220086261A (ko) 2022-06-23
KR102611402B1 true KR102611402B1 (ko) 2023-12-07

Family

ID=8222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53A KR102611402B1 (ko) 2020-12-16 2020-12-16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4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1122A (zh) * 2014-09-25 2015-03-25 阜南县永兴工艺品有限公司 一种杞柳防开裂处理方法
KR101788146B1 (ko) * 2016-02-12 2017-11-16 주식회사글로벌테크 흠집 메움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65B1 (ko) 2001-01-11 2004-02-11 박대식 자동차 흠집제거제의 제조방법
KR101822983B1 (ko) 2017-07-28 2018-03-14 윤충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1122A (zh) * 2014-09-25 2015-03-25 阜南县永兴工艺品有限公司 一种杞柳防开裂处理方法
KR101788146B1 (ko) * 2016-02-12 2017-11-16 주식회사글로벌테크 흠집 메움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강화마루셀프보수 찍힘 메꾸기 우드픽스로 감쪽같이"(2020. 10. 17.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61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215B2 (en) Paint binder composition
KR20200095620A (ko)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용 기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1402B1 (ko)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146B1 (ko) 흠집 메움제
JP6382351B2 (ja) コンクリート表面の着色組成物
US20100178519A1 (en) Compound coating for wood
US3717485A (en) Pattern wax compositions
KR101805992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한 속건형 크랙 보수재 도료 조성물
FI84489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rmade produkter fraon haerdbara kompositioner och pigmenterad komposition foer anvaendning vid foerfarandet.
CN101511954A (zh) 蜡笔及其制造方法
US6998430B2 (en) Synthetic stucco compositions
US6036761A (en) Solvent based wood filler
KR102163989B1 (ko) 고무 변성 아크릴 방수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05825B1 (ko) 시인성 확보가 우수한 일액형 차선 도색용 조성물
CA2727511A1 (en) Rapid curing water resistant composition for grouts, fillers and thick coatings
JPH0776123B2 (ja) 意匠性および耐候性に優れる着色骨材
KR101720663B1 (ko) 초속경성 노면표시용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속경성 도료
EP2872566B1 (fr) Membrane d'etanchéité à base d'un liant d'origine végétale
KR102426024B1 (ko) 투명바인더와 컬러안료를 이용한 수경화성 응급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7528B1 (ko) 속경형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아크릴 올리고머와 단량체 및 착색제를 이용한 균열 씰링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시공 방법
TWI730723B (zh) 塗料組合物及塗佈製品
JPH0525459A (ja) ホツトメルト目地材とその充填加工方法
KR101426173B1 (ko) 졸음 및 과속 방지용 낙하 타입 도료 조성물
KR102645330B1 (ko) 실리콘 프라이머가 필요없는 실리콘용 수직 줄눈제 조성물
JPH11246285A (ja) 硬質木片セメン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