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11B1 -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311B1
KR102611311B1 KR1020220048848A KR20220048848A KR102611311B1 KR 102611311 B1 KR102611311 B1 KR 102611311B1 KR 1020220048848 A KR1020220048848 A KR 1020220048848A KR 20220048848 A KR20220048848 A KR 20220048848A KR 102611311 B1 KR102611311 B1 KR 10261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stroke
wearing
water
swimmer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858A (ko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김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규 filed Critical 김태규
Priority to KR102022004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3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 A63B2031/115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with blade at an angle to the plane of the foot when in use, e.g. to reduce plantar flexion
    • A63B2031/117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with blade at an angle to the plane of the foot when in use, e.g. to reduce plantar flexion with blade lying substantially in the body-symmetrical plane, e.g. for breast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 안측에 지느러미가 구비되어 수영자가 착용 후 발차기 수행시 발 안쪽의 물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어 강사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용이하게 평영을 연습할 수 있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영용 수영보조기구{Swimming aids for breaststroke}
본 발명은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영자가 착용하여 평영 연습을 보조하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영방법 중 평영은 수영자가 수면과 수평을 이루어 개구리처럼 양팔과 두 발을 오므렸다가 펴는 것을 반복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영법으로, 평영시 발차기는 수영자의 족관절 가동범위를 평소보다 넓혀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하지 못한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배우기를 어려워한다.
따라서, 평영을 연습 및 학습할 때에는 전문 강사를 통한 자세교정이 필요한데 이때 수영자가 강사에 대한 물리적 지도 의존율이 높아 다수가 참여하는 수영 강습 특성상 개개인을 직접 잡아가며 지도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영 연습에 진전이 없고 장기간 실력이 고착화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강사가 수영자를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과정에서 지도강사의 손목 부상이 자주 발생하고, 지도를 받지 못하는 경우 수영자가 평영 연습에 흥미를 잃어 이탈할 우려 또한 존재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4918호에는 "생존수영을 위한 평영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물이 아닌 실내에서 수영자가 연습장치상에 안착하여 평영을 연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수영하는 상황에서는 연습한 평영 자세가 나오기 어려워 실질적인 평영 연습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반면, 수영자의 수영실력 보조 및 향상을 위해 존재하는 기존 수영용 오리발은 주로 지느러미가 발가락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발등으로 물을 눌러 차는 자유형, 배영, 접영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나 발 안쪽으로 물을 밀어야 하는 평영을 위하여 지느러미가 발 안쪽에 위치한 오리발은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4918호 "생존수영을 위한 평영 연습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00282호 "발수영보조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 안측에 날개부가 구비되어 수영자가 착용 후 발차기 수행시 발 안쪽의 물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어 강사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용이하게 평영을 연습할 수 있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볍고 신축성이 있어 수영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 후 보행시에 날개부가 거슬리지 않고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있어서,
수영자의 발에 착용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다리 내측에 해당되는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확장면; 및 상기 확장면의 돌출된 말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굴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면은 상기 굴곡면과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을 이격시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평형시 유입된 물을 밀어내며 전진할 수 있다.
또한, 착용부는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정면에는 수영자의 발가락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정면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고, 후측 상단에는 수영자의 발이 인입되어 발목에 걸리는 고리형상의 걸이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이구는, 내측에 수영자의 발이 인입되어 발목을 감싸는 상면개방홀; 및 하측에 수영자의 발꿈치가 끼워지는 후면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굴곡면은 정면측 가장자리에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유선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선경사면의 정면은 상기 착용부의 바닥면의 높이와 대응되고, 후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리발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 안측에 날개부가 구비되어 수영자가 착용 후 발차기 수행시 발 안쪽의 물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어 강사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용이하게 평영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가볍고 신축성이 있어 수영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 후 보행시에 날개부가 거슬리지 않고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구성을 좌측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구성을 우측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좌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우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착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착용한 수영자가 평영을 수행하는 예시를 후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구성을 좌측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구성을 우측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좌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우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상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의 착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착용한 수영자가 평영을 수행하는 예시를 후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을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영자가 착용하여 평영 연습을 보조하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오리발(1)은 수영자의 발에 직접 착용되는 착용부(100) 및 상기 착용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날개부(200)로 구성된다.
착용부(100)는 수영자의 발의 발볼 및 발등을 감싸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수영자가 오리발(1) 착용시 직접 착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착용부(100)는 수영자의 발을 끼워넣을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정면이 개방되어 수영자의 발가락 등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정면개방홀(101)이 형성되고, 개방된 후면 양측에는 서로 연결되는 걸이구(110)가 형성된다.
걸이구(110)는 수영자의 아킬레스건이나 발목 측에 걸리는 부분으로 수영자가 오리발(1)을 착용한 상태로 수영을 하거나 이동시에 착용부(100)가 발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이구(110)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수영자가 발을 끼워넣고 착용시에는 발목이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면개방홀(102)과, 걸이구(110)를 중심으로 후측 하단에는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끼워지는 후면개방홀(103)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구(110)와 정면개방홀(101), 상면개방홀(102) 및 후면개방홀(103)을 통해 수영자는 착용부(100)에 용이하게 발을 끼워넣어 착용할 수 있고, 걸이구(110)가 발 후측, 즉 아킬레스건이나 발목이 위치한 측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평영 연습시나 이동중에 수영자의 발과 오리발(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00)는 발꿈치와 발가락을 제외한 발등과 발바닥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수영시 착용부(100)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정면개방홀(101) 및 후면개방홀(103)측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가볍고 간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착용부(100)는 수영자가 수영 연습을 마친 후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쉽게 보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는데, 보행시 수영 중에 착용부(100) 내측으로 고인 물로 인해 수영자의 착용감이 떨어지거나 이동과정에서 정면개방홀(101) 또는 후면개방홀(103) 측으로 고인 물이 흘러나와 물웅덩이를 만들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발바닥은 대체로 평평하지 않고 내측에 굴곡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영자 발바닥에 형성된 아치 형상의 굴곡과 착용부(100) 내측 하면간의 틈새로 물이 고인 상태로 이동하기 쉽다.
따라서, 착용부(100)의 하면에는 미처 정면개방홀(101) 또는 후면개방홀(103)측으로 배출되지 못한 착용부(100) 내측에 잔존하는 물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수홀(1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20)은 착용부(100)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착용부(100) 내측에 잔존하는 물이 쉽게 오리발(1) 밖, 지면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수홀(120)은 착용부(100)의 하면 중 특히 수영자가 오리발(1)을 착용한 후 발바닥과 밀착되어 지면을 딛는 측에 형성되도록 하며, 착용부(100) 내측 하면과 수영자의 발바닥 간의 공간에 고이는 물을 빠르게 배출시켜 수영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리발(1)을 착용한 상태로 수영자는 쉽게 지면을 보행할 수 있는데 후술된 바와 같이 오리발(1)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영자 발에는 쉽게 밀착할 수 있으나 지면, 특히 수영장의 바닥 타일의 경우 착용부(100) 하면과 밀착되기 어려워 착용한 수영자가 오리발(1)로 인해 보행 중 미끄러질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착용부(100)의 외측 하면에는 착용부(100) 하면과 지면상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수영자가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면(130)이 형성된다.
마찰면(130)은 수영자가 오리발(1) 착용 후 지면상에 발을 딛을 때 지면과 밀착되는 바닥면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찰면(130)을 따라 다수개의 마찰홈이 빗살 무늬로 형성됨으로써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면이 미끄러운 수영장 타일 등에서도 오리발(1)을 착용한 수영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날개부(200)는 착용부(100)의 일측면, 즉 수영자의 발 내측에 구비되어 오리발(1)을 착용한 수영자가 평영시 발 내측에 저항력을 발생시켜 평영 수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날개부(200)는 지느러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평영 수행시 복숭아 뼈쪽 발 안쪽 피부에 물의 저항을 느끼면서 발차기를 하게 되는데 수영자의 발바닥과 함께 날개부(200)가 물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쉽게 평영을 수행할 수 있고, 평영시 더 많은 물을 밀어 멀리 나아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날개부(200)는 착용부(100)의 일측면에서 발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확장면(210)과 상기 확장면(210)의 돌출된 면에서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면(220)을 포함한다.
확장면(210)은 굴곡면(220)과 착용부(100)의 일측면을 이격시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확장면(210)은 평영시 굴곡면(220)이 착용부(100)측으로 밀착되어 저항력 발생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평영시 날개부(200)와 충돌한 물이 확장면(210)을 통해 형성된 착용부(100)와 굴곡면(220)간의 틈새로 흘러들어 더 많은 양의 물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확장면(210)의 두께는 굴곡면(2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경질의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굴곡면(220)이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확장면(210)은 착용부(100) 일측면에서 돌출되되 확장면(210)의 상면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굴곡형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착용부(100)와 날개부(20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흘러들어 올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굴곡면(220)은 확장면(210)의 돌출된 말단과 연결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굴곡면(220)은 도 5와 같이 착용부(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착용부(100)와 날개부(200)간의 틈새에 형성되는 내측공간을 최대한 확장시켜 많은 양의 물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굴곡면(220)은 수영자가 평영을 수행하며 발차기를 수행할 때 착용부(100)를 착용한 수영자의 발과 함께 물과 충돌하는 충돌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충돌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향상시켜 용이하게 평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굴곡면(220)은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기 때문에 수영자가 오리발(1) 착용 후 지면을 보행하더라도 날개부(200)가 수영자 보폭 및 보행에 영향을 주지 않아 용이하게 오리발(1) 착용 후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굴곡면(220)의 가장자리 중 정면에는 후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된 너비가 급격하게 향상되어 경사를 가지는 유선경사면(221)이 형성된다.
유선경사면(221)은 정면개방홀(101)이 구비된 굴곡면(220)의 정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확장면(210)의 돌출된 말단과 연결된 굴곡면(220)이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연장된 높이가 증가하여 발생된다.
수영자가 오리발(1) 착용 후 평영시 정면개방홀(101)로 돌출된 발 끝으로 물살을 최초로 가르기 때문에 물과의 마찰력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 수영자가 발을 뻗어 물을 가르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수영자의 발끝과 함께 최초로 물을 가르게 되는 굴곡면(220)의 정면측은 확장면(210)의 정면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유선경사면(221)을 형성하여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고, 착용부(100)와 날개부(20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물이 유입되어 많은 양의 물을 밀어내어 쉽게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선경사면(221)을 포함한 굴곡면(220)은 착용부(100)의 일측면의 측단을 따라 형성되며, 정면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연장된 높이가 증가하되, 유선경사면(221)의 정면은 착용부(10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후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급격하게 변하여 경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오리발(1)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방수기능을 가져 잦은 이용에도 수분으로 인해 변성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가볍고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다양한 발 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고, 착용시 가벼운 착용감으로 인해 수영 및 보행이 편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날개부(200)를 통해 평영에 필요한 발 안쪽 물저항력을 향상시켜 수영자 혼자서도 평영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부(100)와 날개부(20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어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밀어내어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날개부(200)가 펼쳐진 상태가 아닌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됨으로써 보행 및 보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착용부(100) 내측에 고인 물이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며, 착용부(100) 하면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오리발
100: 착용부 101: 정면개방홀
102: 상면개방홀 103: 후면개방홀
110: 걸이구 120: 배수홀
130: 마찰면 200: 날개부
210: 확장면 220: 굴곡면
221: 유선경사면

Claims (1)

  1. 수영자의 발에 착용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다리 내측에 해당되는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확장면; 및
    상기 확장면의 돌출된 말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굴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면은 상기 굴곡면과 상기 착용부의 일측면을 이격시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평형시 유입된 물을 밀어내며 전진할 수 있으며, 평영시 상기 날개부와 충돌한 물이 상기 확장면을 통해 형성된 상기 착용부와 상기 굴곡면간의 틈새로 흘러들어 물을 밀어낼 수 있고, 상기 확장면의 두께는 상기 굴곡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경질의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상기 굴곡면이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착용부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확장면의 상면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굴곡형성됨으로써 물이 상기 착용부와 상기 날개부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굴곡면은 정면측 가장자리에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유선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선경사면의 정면은 상기 착용부의 바닥면의 높이와 대응되고, 후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확장면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KR1020220048848A 2021-07-14 2022-04-20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KR10261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48A KR102611311B1 (ko) 2021-07-14 2022-04-20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79A KR102390612B1 (ko) 2021-07-14 2021-07-14 평영 교육용 오리발
KR1020220048848A KR102611311B1 (ko) 2021-07-14 2022-04-20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79A Division KR102390612B1 (ko) 2021-07-14 2021-07-14 평영 교육용 오리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858A KR20230011858A (ko) 2023-01-25
KR102611311B1 true KR102611311B1 (ko) 2023-12-07

Family

ID=813901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79A KR102390612B1 (ko) 2021-07-14 2021-07-14 평영 교육용 오리발
KR1020220048848A KR102611311B1 (ko) 2021-07-14 2022-04-20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79A KR102390612B1 (ko) 2021-07-14 2021-07-14 평영 교육용 오리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0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345A1 (en) * 2009-04-23 2010-10-28 Maat Zweminnovaties Breast stroke swimming shoe, and modular system
JP2016036533A (ja) * 2014-08-07 2016-03-22 浩平 中村 水中推進補助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水中用衣服
WO2018218350A1 (en) * 2017-05-30 2018-12-06 TailFins Sporting Goods Incorporated Swim fin adapted for wal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7372A (en) * 1962-07-09 1963-10-22 Brown Harold Swimming shoes
KR970000282A (ko) 1995-06-26 1997-01-21 홍청치 발수영보조기구
KR102124918B1 (ko) 2018-06-26 2020-06-22 김범 생존수영을 위한 평영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345A1 (en) * 2009-04-23 2010-10-28 Maat Zweminnovaties Breast stroke swimming shoe, and modular system
JP2016036533A (ja) * 2014-08-07 2016-03-22 浩平 中村 水中推進補助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水中用衣服
WO2018218350A1 (en) * 2017-05-30 2018-12-06 TailFins Sporting Goods Incorporated Swim fin adapted for wal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612B1 (ko) 2022-04-27
KR20230011858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00319B2 (en) Aquatic shoes provided with a float for walking in water
US20170232303A1 (en) Swimmer hand paddle
JP2005296484A (ja) 足指を甲被から個別に突き出すことを可能とした履物
KR102611311B1 (ko) 평영용 수영보조기구
US7794364B2 (en) Shoe for deep-water-running exercise
JP2004065990A (ja) 改良型水泳用トレーニングフィン
WO2006058849A1 (en) Swimming flipper
WO2010123345A1 (en) Breast stroke swimming shoe, and modular system
JP2023052803A (ja) 歩行訓練器具
US7166004B2 (en) Swimming aid
KR102365344B1 (ko) 평영 발차기연습용 패들
JP5710059B1 (ja) 水中推進補助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水中用衣服
JP7257664B2 (ja) 一本歯下駄
JP2509505B2 (ja) 靴の底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AU2003254391B2 (en) A swimming aid
JP3108642U (ja) シューズ
JP4918401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US6280272B1 (en) Short motion swim fin
TWM595528U (zh) 游泳輔具
JPH0773523B2 (ja) 靴の底
JP2001170211A (ja) 水泳用フィン
CN111296991A (zh) 多用途水鞋
JPH07275399A (ja) 跳躍運動式竹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