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11B1 -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 Google Patents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11B1
KR102611211B1 KR1020210078935A KR20210078935A KR102611211B1 KR 102611211 B1 KR102611211 B1 KR 102611211B1 KR 1020210078935 A KR1020210078935 A KR 1020210078935A KR 20210078935 A KR20210078935 A KR 20210078935A KR 102611211 B1 KR102611211 B1 KR 10261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separation prevention
bump
base
jou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891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티앤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이코리아 filed Critical ㈜티앤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7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211B1/ko
Priority to CN202280042926.XA priority patent/CN117501025A/zh
Priority to PCT/KR2022/008567 priority patent/WO2022265438A1/ko
Publication of KR2022016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Abstract

본 발명은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탑 포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 상기 범프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 상기 베이스 포일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중에 상기 범프 포일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고 밀려나온 범프 포일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심각한 2차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Journal Foil Air Bearing to Prevent the Deviation of Bump Foil}
본 발명은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동 중에 범프 포일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 저하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공기 베어링(air bearing)은, 회전축과 베어링과의 사이에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축을 뜨게 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러한 공기 베어링은, 공기와 같이 점성을 가지는 기체가 움직이는 면과 함께 이동을 하다가 정지되어 있는 면을 만나면서 상기 기체가 압축되면, 움직이는 면과 정지되어 있는 면 사이에 갇힌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움직이는 면을 들어올리는 원리를 이용한다.
상기 공기 베어링에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스러스트 공기 베어링(thrust air bearing)과,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공기 베어링(journal air bearing)이 있다.
상기 저널 공기 베어링의 일종으로서, 압력 형성을 좀 더 유리하게 하고 고속에서의 동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얇은 소재의 포일(foil)을 사용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journal foil air bearing)이 있다.
도 17에는 이러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은, 미리 정한 회전 방향(W)으로 회전하는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F)을 둘러 감싸는 탑 포일(2)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물결 형상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2)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범프 포일(3)을 구비하며, 상기 탑 포일(2)과 범프 포일(3)의 일단부는 베어링 하우징(S)의 내면의 용접부(4)에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은, 비교적 부품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베어링 하우징(S)의 치수 관리 측면에서 더 유리하지만, 베어링을 베어링 하우징(S)에 장착하거나 분해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 현장에서 베어링의 부속들(2, 3)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은, 상기 범프 포일(3)이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에 직접 장착이 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은 형상 치수 외에도 일정한 조도(roughness)를 가지도록 가공되어야 하므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에는 연삭 가공이나 코팅 등의 특수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에서는, 상기 탑 포일(2)과 범프 포일(3)을 베어링 하우징(S)의 내면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있으며, 용접 이외에도 키(Key)를 이용한 고정, 볼트와 핀(pin)을 이용한 고정 등 매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기술적인 불확실성과 조립/분해 작업의 곤란, 제품 단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특허등록공보(등록번호 10-1558490, 등록일자 2015년10월01일)에서는, 베이스 포일과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을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뭉치로 먼저 모듈화된 후 장착될 수 있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베어링(1) 및 상기 한국특허등록공보(등록번호 10-1558490)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은, 잦은 시동/정지, 외부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서, 작동 중에 탑 포일 또는 범프 포일의 고정되지 않은 한쪽 끝부분(자유단)이 회전축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어링의 성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밀려나온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마모됨으로써, 심각한 2차 손상을 초래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베어링을 조립한 후에 원형 고리 형상의 이탈 방지용 링(ring)을 베어링의 측면에 조립하여, 탑 포일 또는 범프 포일의 고정되지 않은 한쪽 끝부분(자유단)이 회전축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인 조립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탈 방지용 링(ring)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 링의 내주면과 회전축간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탈 방지용 링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회전축의 표면에 매우 근접 배치된 탑 포일의 이탈은 방지할 수는 없믄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동 중에 범프 포일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 저하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은,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탑 포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 상기 범프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 상기 베이스 포일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말단부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포일은,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미리 정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상기 금속 박판의 돌출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상기 탑 포일의 표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탑 포일의 일단부와 상기 범프 포일의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 포일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 포일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탑 포일과 범프 포일 및 베이스 포일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생산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탑 포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 상기 범프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 상기 베이스 포일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동 중에 상기 범프 포일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고 밀려나온 범프 포일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심각한 2차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I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 탑 포일과 제1 탑 포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 탑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탑 포일과 제1 탑 포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 탑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2 탑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제2 탑 포일과 제1 탑 포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 탑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 탑 포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이 베어링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F)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journal foil air bearing)으로서, 베이스 포일(10)과, 범프 포일(20)과, 탑 포일(30, 40, 50)과, 결합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포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베이스 포일 본체(11)와, 삽입부(12)와, 수용부(13)와, 조립 방향 식별 홈(14)과, 이탈 방지부(15)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포일(10)은,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C)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는, 상기 중심선(C)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는 후술할 상기 범프 포일(2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중공(H)에 상기 범프 포일(20)이 수용된다.
상기 삽입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좌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좌단부가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상기 중심선(C)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4개의 구멍인 결합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수평부(131)와 수직부(132)와 결합공(133)과 수용 공간(13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우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 중, 상단부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직사각형 부분이다.
상기 수직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31)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132)에 각각 4개씩 형성된 구멍으로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상기 중심선(C)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33)은, 상기 삽입부(12)에 형성된 결합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1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우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하측에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중심선(C)을 향하여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134)은, 상기 탑 포일(30, 40, 50)의 삽입부(32, 42, 52)와 상기 범프 포일(20)의 삽입부(22) 및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삽입부(1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1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우징 홈(P)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전단부에 형성된 "ㄴ"자형 홈으로서, 베어링의 조립시 또는 베어링 장착시, 작업자의 조립 및 장착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2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로서,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일단부에 2개,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타단부에 2개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일단부에 있는 2개의 이탈 방지부(15)는,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일단부에 마련된 이탈 방지부(15)와 상기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타단부에 마련된 이탈 방지부(15)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이탈 방지부(15) 사이의 길이 방향(C) 이격 거리는, 상기 범프 포일(20)의 폭과 미리 정한 공차 이내에서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F)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H1)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151)가 상기 회전축(F)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직접 마주하는 상기 제1 탑 포일(50)의 표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15)의 말단부(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상기 베이스 포일 본체(11)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시에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일부 형성한 후, 그 돌출된 일부를 90도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범프 포일(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범프 포일 본체(21)와, 삽입부(22)와, 결합공(23)과, 조립 방향 식별 홈(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는, 상기 중심선(C)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는,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C)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는,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탑 포일(30, 40, 5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는, 상기 중심선(C)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산과 골이 번갈아가면서 연결된 물결(wave)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2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의 우단부가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범프 포일(20)의 삽입부(22)와 후술할 상기 탑 포일(30, 40, 50)의 삽입부(32, 42, 5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뿌리부"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공(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상기 중심선(C)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구멍으로서, 상기 삽입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프 포일(20)의 전단부에 형성된 "ㄴ"자형 홈으로서, 베어링의 조립시 또는 베어링 장착시, 작업자의 조립 및 장착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24)은,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범프 포일 본체(21)의 좌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자유단(free end)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범프 포일(20)은 2개 마련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탑 포일(30, 40, 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포일(30, 40, 50)은 제3 탑 포일(30)과 제2 탑 포일(40)과 제1 탑 포일(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탑 포일(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상기 제2 탑 포일(40)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탑 포일 본체(31)와, 삽입부(32)와, 결합공(33)과, 조립 방향 식별 홈(3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포일(10)과 범프 포일(20)과 탑 포일(30, 40, 50)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박판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탑 포일 본체(31)는, 상기 중심선(C)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포일 본체(31)는,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C)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탑 포일 본체(31)는, 상기 범프 포일(20)의 중공(H)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 탑 포일(4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포일 본체(31)의 좌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포일 본체(31)의 좌단부가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상기 중심선(C)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4개의 구멍으로서, 상기 삽입부(3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탑 포일(30)의 전단부에 형성된 "ㄴ"자형 홈으로서, 베어링의 조립시 또는 베어링 장착시, 작업자의 조립 및 장착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34)은,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14, 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탑 포일 본체(31)의 우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자유단(free end)이다.
상기 제2 탑 포일(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상기 제1 탑 포일(50)과 상기 제3 탑 포일(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2 탑 포일(40)은, 탑 포일 본체(41)와 삽입부(42)와 결합공(43)과 조립 방향 식별 홈(44)과 이탈 방지부 결합공(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탑 포일(40)은, 상술한 상기 제3 탑 포일(30)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탑 포일(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2)가 상기 탑 포일 본체(41)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탑 포일(40)은, 상기 제3 탑 포일(30)과 달리 상기 탑 포일 본체(41)가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자유단(free end)의 위치가 상기 삽입부(42)의 반대편 정도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탑 포일(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 있는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상기 회전축(F)과 상기 제2 탑 포일(40)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직접 마주하고 있다.
상기 제1 탑 포일(50)은, 탑 포일 본체(51)와 삽입부(52)와 결합공(53)과 조립 방향 식별 홈(54)과 이탈 방지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탑 포일(50)은,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표면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하는 코팅재(미도시)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은 소위 테프론(Teflon)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제1 탑 포일(50)은, 상술한 상기 제3 탑 포일(30)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상기 제1 탑 포일(5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로서, 상기 제1 탑 포일(50)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탑 포일 본체(51)의 자유단(free end) 말단부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탑 포일(40)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H2)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탑 포일(40)의 뿌리부 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으로 위치 이동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상기 탑 포일 본체(51)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시에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일부를 형성한 후, 그 돌출된 일부를 90도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외주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10) 및 상기 범프 포일(20)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와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이탈 방지부(55) 사이의 길이 방향(C)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탑 포일(40)의 폭과 미리 정한 공차 이내에서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수용부(13)에 수용된 상기 탑 포일(30, 40, 50)의 삽입부(32, 42, 52)와 상기 범프 포일(20)의 삽입부(22) 및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삽입부(12)를,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수용부(13)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공(121, 133, 23, 33, 43, 53)들과, 결합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121, 133, 23, 33, 43, 53)들은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부재(6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의 박판 부재로서, 상기 결합공(121, 133, 23, 33, 43, 53)들에 삽입되어 상기 탑 포일(30, 40, 50)과 범프 포일(20)과 베이스 포일(10)을 서로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 결합 부재(60)는 본체부(61)와 관통부(62)와 절곡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61)는, 길게 연장된 띠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중심선(C)을 따라 상기 수직부(132)의 외면에 배치된다.
상기 관통부(62)는, 상기 결합공(121, 133, 23, 33, 43, 53)들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6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부(62)는 상기 본체부(61)로부터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부이다.
상기 절곡부(63)는, 상기 관통부(6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결합공(133)에 삽입된 후, 상기 관통부(62)의 말단부가 도 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성 변형됨으로써 형성되는 수직부이다.
상기 절곡부(63)가 상기 수직부(132)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 부재(60)가 상기 수용부(13)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결합된다.
요약하며, 애초에는 "ㅡ"자 형태를 가지는 상기 관통부(62)가, 상기 수직부(132) 중 하나의 외면에 상기 본체부(61)가 밀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삽입된 후, 돌출된 상기 관통부(62)의 말단부를 상방으로 절곡시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절곡부(6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포일(30, 40, 50)과 범프 포일(20) 및 베이스 포일(10)은,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절개 및 절곡됨으로써 대량 생산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탑 포일(40a)과 제3 탑 포일(50a)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탑 포일(50a)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자유단(free end)의 말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탑 포일(50a)의 이탈 방지부(55a)는,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탑 포일(50a)의 자유단(free end)의 말단부이 앞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55a)도, 상기 탑 포일 본체(51)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시에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일부를 형성한 후, 그 돌출된 일부를 90도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 탑 포일(40a)의 뿌리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55a)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결합공(45a)이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제2 탑 포일(40b)과 제3 탑 포일(50b)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탑 포일(50b)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55b)가 자유단(free end)의 말단부의 앞면에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55b)는, 상기 제1 탑 포일(50b)의 중공(H)의 양단부에 서로 최대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탑 포일(40b)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55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결합공(45b)이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 결합공(45b)은, 외측의 일단부가 개구됨으로써,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을 조립하고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결합 부재(6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포일(10)와 범프 포일(20) 및 탑 포일(30, 40, 5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다. 이때, 도 16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 탑 포일(50)을 배치하고, 상기 제1 탑 포일(50)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제2 탑 포일(40)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탑 포일(40)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제3 탑 포일(30)을 배치하고, 상기 제3 탑 포일(30)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2개의 범프 포일(20)을 배치하며, 상기 2개의 범프 포일(20)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 포일(10)을 배치한다.
이렇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포일(10)와 범프 포일(20) 및 탑 포일(30, 40, 50)을 조립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21, 133, 23, 33, 43, 53)들은 일렬로 정렬된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결합 부재(60)를 상기 결합공(133)에 삽입한 후 말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절곡부(63)를 형성하면, 상기 결합 부재(40)가 상기 수용부(13)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결합됨으로써,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2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범프 포일(20)의 양 측면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55)에 의하여,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자유단의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끝으로, 이렇게 "모듈화"(modularizing)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상단부에 하우징 홈(P)을 구비한 베어링 하우징(S)에 삽입시키면,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조립 방향 식별 홈(14, 24, 34, 44, 54)를 이용하여 베어링의 장착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식별하면서, 상기 중심선(C)을 따라 밀어 넣는 방식으로 간단히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을 상기 베어링 하우징(S)에 장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3)는 상기 하우징 홈(P)에 수용된다.
상술한 구성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F)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F)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탑 포일(30, 40, 50);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30, 40, 5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20); 상기 범프 포일(2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C)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10); 상기 베이스 포일(10)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2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15);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15)는, 상기 회전축(F)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H1)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F)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동 중에 상기 범프 포일(20)이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고 밀려나온 범프 포일(20)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심각한 2차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15)의 말단부(151)가, 상기 중심선(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상기 탑 포일(30, 40, 50)들 또는 상기 회전축(F)과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베이스 포일(10)이,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C)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미리 정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상기 금속 박판의 돌출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상기 이탈 방지부(15)를 구비한 베이스 포일(10)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중공(H)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2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상기 범프 포일(20)의 측면 전체를 균등하게 구속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15)가, 상기 회전축(F)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탑 포일(50)의 표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이탈 방지부(15)에 의한 회전축(F)의 손상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탑 포일(30, 40, 50)의 일단부와 상기 범프 포일(20)의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므로, 미리 조립되어 하나의 뭉치로 모듈화시키기 용이하여, 작업 현장에서 베어링 하우징(S)에 장착하거나 분해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베어링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탑 포일(30, 40, 50)과 범프 포일(20) 및 베이스 포일(1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대량 생산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므로,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베이스 포일(10)이 상기 범프 포일(20) 및 탑 포일(30, 40, 50)의 외형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고,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내주면은 매끈한 박판으로 제조되므로 형상 공차와 표면 마찰력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에 비하여 우수한 값을 유지하므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S)의 내주면이 상기 범프 포일(3)과 직접 접촉하는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에 비하여, 상기 베어링 하우징(S)의 내면의 표면 가공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베어링의 장착이 용이하고 베어링의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수용부(13)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일단부가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용 공간(134)을 구비하므로,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포일(10)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탑 포일(30, 40, 50)의 일단부와 상기 범프 포일(20)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타단부는,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2, 22, 32, 42, 52)를 구비하므로, 상기 삽입부(12, 22, 32, 42, 52)를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2, 22, 32, 42, 52)가 상기 수용부(13)에 간편하게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수용부(13)가,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하우징(S)에 형성된 하우징 홈(P)에 상기 수용부(13)를 삽입시킴으로써, 정확한 방향과 깊이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S)에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F)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F)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F)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탑 포일(50); 상기 제1 탑 포일(5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탑 포일(40);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제2 탑 포일(4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20); 상기 범프 포일(2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10); 상기 제1 탑 포일(50)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탑 포일(50)이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55);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제2 탑 포일(40)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H2)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탑 포일(40)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므로, 작동 중에 상기 제1 탑 포일(50)이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베어링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고 밀려나온 제1 탑 포일(50)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심각한 2차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제1 탑 포일(50)이,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C)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미리 정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상기 금속 박판의 돌출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상기 이탈 방지부(55)를 구비한 제1 탑 포일(50)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자유단인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F)의 길이 방향(C)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제2 탑 포일(40)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H2)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10)의 외주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베어링 작동 중에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베이스 포일(10) 또는 베어링 하우징(S)에 접촉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베이스 포일(10) 및 상기 범프 포일(2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작동 중에 상기 이탈 방지부(55)에 의한 베이스 포일(10) 및 범프 포일(20)의 손상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제2 탑 포일(40a, 40b)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부(55a, 55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결합공(45a, 45b);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이탈 방지부(55a, 55b)의 위치를 상기 제1 탑 포일(50)의 말단부 양단 측면 이외에 마련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 결합공(45a)이 상기 제2 탑 포일(40a)의 일단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1개의 이탈 방지부(55a)만으로도 상기 제1 탑 포일(50)의 말단부 구속이 양방향 모두에 대하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100)은, 상기 이탈 방지부 결합공(45b)은, 상기 제2 탑 포일(4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1개의 이탈 방지부(55a)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1 탑 포일(50)의 말단부와 상기 제2 탑 포일(40)의 뿌리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 방지부(55)가 상기 제1 탑 포일(50)의 말단부 중공(H) 양단부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가 상기 제1 탑 포일(50)의 중공(H) 양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10: 베이스 포일
11: 베이스 포일 본체
12: 삽입부
13: 수용부
14: 조립 방향 식별 홈
15: 이탈 방지부
20: 범프 포일
21: 범프 포일 본체
22: 삽입부
23: 결합공
24: 조립 방향 식별 홈
30: 제3 탑 포일
31: 탑 포일 본체
32: 삽입부
33: 결합공
34: 조립 방향 식별 홈
40: 제2 탑 포일
40a: 제2 탑 포일
40b: 제2 탑 포일
41: 탑 포일 본체
42: 삽입부
43: 결합공
44: 조립 방향 식별 홈
45: 이탈 방지부 결합공
45a: 이탈 방지부 결합공
45b: 이탈 방지부 결합공
50: 제1 탑 포일
50a: 탑 포일
50b: 탑 포일
51: 탑 포일 본체
52: 삽입부
53: 결합공
54: 조립 방향 식별 홈
55b: 상기 이탈 방지부
55: 이탈 방지부
55a: 이탈 방지부
60: 결합 부재
61: 본체부
62: 관통부
63: 절곡부
121: 결합공
131: 수평부
132: 수직부
133: 결합공
134: 수용 공간
151: 말단부
1: 종래의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2: 탑 포일
3: 범프 포일
4: 내면의 용접부
C: 중심선
F: 회전축
P: 하우징 홈
S: 베어링 하우징
W: 회전 방향

Claims (8)

  1.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탑 포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탑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범프 포일;
    상기 범프 포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내부에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포일;
    상기 베이스 포일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에 수용된 상기 범프 포일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말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말단부는, 상기 중심선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말단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상기 탑 포일의 표면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포일은, 프레스 가공된 직사각형 금속 박판을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아서 "C"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미리 정한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상기 금속 박판의 돌출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베이스 포일의 중공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포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탑 포일의 일단부와 상기 범프 포일의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 포일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 포일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포일과 범프 포일 및 베이스 포일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생산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KR1020210078935A 2021-06-17 2021-06-17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KR10261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35A KR102611211B1 (ko) 2021-06-17 2021-06-17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CN202280042926.XA CN117501025A (zh) 2021-06-17 2022-06-16 防止凸块箔片的分离的轴颈箔片空气轴承
PCT/KR2022/008567 WO2022265438A1 (ko) 2021-06-17 2022-06-16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35A KR102611211B1 (ko) 2021-06-17 2021-06-17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91A KR20220168891A (ko) 2022-12-26
KR102611211B1 true KR102611211B1 (ko) 2023-12-07

Family

ID=8452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35A KR102611211B1 (ko) 2021-06-17 2021-06-17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11211B1 (ko)
CN (1) CN117501025A (ko)
WO (1) WO20222654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3218A (ja) * 2010-06-30 2012-01-19 Shigeto Matsuo プレス加工リングフォイル動圧ガス軸受とその製造方法
KR101558490B1 (ko) * 2015-03-20 2015-10-07 ㈜티앤이코리아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997A1 (en) * 2007-06-12 2010-07-15 Kturbo Inc. Radial foil bearing with sealing function
JP2012197887A (ja) * 2011-03-22 2012-10-18 Ntn Corp フォイル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80564B1 (ko) * 2017-05-16 2019-05-21 주식회사 뉴로스 오조립 방지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463189B1 (ko) * 2017-08-23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3218A (ja) * 2010-06-30 2012-01-19 Shigeto Matsuo プレス加工リングフォイル動圧ガス軸受とその製造方法
KR101558490B1 (ko) * 2015-03-20 2015-10-07 ㈜티앤이코리아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438A1 (ko) 2022-12-22
KR20220168891A (ko) 2022-12-26
CN117501025A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9779B2 (ja) ジャーナルフォイル空気ベアリング
KR101531920B1 (ko) 래디얼 포일 베어링
US20150056079A1 (en) Roller bearing, retainer segment, spacer and main shaft support structure of wind-power generator
KR101591813B1 (ko) 래디얼 포일 베어링
JP2006217770A (ja) モータのロータコアとシャフトの締結構造
US5871284A (en) Foil thrust bearing set
KR102030621B1 (ko) 에어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제조 방법
US5433535A (en) Self-aligning locating type roller bearing
KR102611211B1 (ko) 범프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KR102593796B1 (ko) 탑 포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KR102503452B1 (ko) 탑 포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US20160169282A1 (en) Roller bear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oller bearing
KR101534639B1 (ko) 복합 강성 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 쓰러스트 콤보 베어링
EP2818728B1 (en) Compressor
KR102265256B1 (ko) 구조 개선된 이중 범프포일이 구비된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JP666152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とその製造方法
CN217814534U (zh) 一种推力空气箔片轴承及轴向支承结构
JP4994882B2 (ja) 鋳片引抜装置
KR101517817B1 (ko)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CN115789076B (zh) 一种箔片动压轴承及旋转机械轴系
CN220929967U (en) Nonstandard needle bearing
JP2009275838A (ja) ベアリングの固定構造
KR20230086741A (ko) 롤러 장치
KR20240016602A (ko) 분할형 플러머 블록
ITBO950011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cuscinetti volventi di alberi rotanti su una struttura portante fis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