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817B1 -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 Google Patents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817B1
KR101517817B1 KR1020130112452A KR20130112452A KR101517817B1 KR 101517817 B1 KR101517817 B1 KR 101517817B1 KR 1020130112452 A KR1020130112452 A KR 1020130112452A KR 20130112452 A KR20130112452 A KR 20130112452A KR 101517817 B1 KR101517817 B1 KR 10151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aring
thrust
radial
meta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012A (ko
Inventor
박철훈
최상규
홍두의
윤태광
이성휘
함상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817B1/ko
Priority to US14/489,780 priority patent/US9181977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surface for radial load and at least one surface for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16C32/061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the gas being supplied under pressure, e.g. aerostat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3Gas turbine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의 탑 포일을 지지하도록 하여 축방향 하중의 지지능력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하나의 베어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하여 소형 회전체에 적용하기 유리하며, 회전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1차 굽힘 모드를 증가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베어링을 단위 모듈로 형성하여 조립을 통한 모듈조립체로 조립함으로써,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도 설치가 가능한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Half-split Radial-Thrust Combo Metal Mesh Foil Bearing}
본 발명은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의 탑 포일을 지지하도록 하여 축방향 하중의 지지능력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하나의 베어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하여 소형 회전체에 적용하기 유리하며, 회전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1차 굽힘 모드를 증가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베어링을 단위 모듈로 형성하여 조립을 통한 모듈조립체로 조립함으로써,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도 설치가 가능한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나 터빈 등과 같은 다양한 회전축이 구비되는 장치에서는 반경 방향의 진동 저감을 위해 사용되는 래디얼 베어링과 함께 축 방향 진동 저감을 위해 사용되는 쓰러스트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경우,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와 함께 고온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며, 축 방향 하중에 의한 베어링 파손이 없도록 높은 내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 쓰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유체 베어링이 사용되거나 윤활제 역할을 하는 유체가 급유되도록 하는 형태의 베어링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마이크로 가스 터빈 등과 같은 소형 장치의 경우,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회전해야 하지만, 부피 문제 등으로 인하여 윤활제를 급유하는 장치를 연결하기에 부적당하다.
고속 회전체의 경우, 고속 회전으로 발생되는 진동의 댐핑 효과가 있어야 하며, 고온에서 사용 가능해야할 뿐만 아니라, 축방향 하중에 의한 베어링 파손이 없도록 내구성이 필요하며, 상기의 고속 회전체의 축 방향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비접촉 무급유 쓰러스트 베어링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다.
상기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비접촉 무급유 베어링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대표적인 예로 에어포일 베어링과 전자석 베어링이 있다.
에어포일 베어링의 경우 한국등록특허 제1204194호 "가스 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에서 제시되었으며, 전자석 베어링의 경우 미국공개특허 제2009-0039740호 "Magnetic Bearing"에서 제시되었다.
그러나 쓰러스트 베어링의 지지 방향은 축 방향으로, 지지 방향이 반경 방향인 래디얼 베어링과 상이하므로, 쓰러스트 베어링과 래디얼 베어링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두 가지의 베어링을 따로 제작 후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쓰러스트 베어링 부착용 백 플레이트가 필요하며, 이는 공정 절차가 복잡해짐으로써, 조립 시 조립 정밀도를 맞추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쓰러스트 베어링에 적용되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의 경우축 방향 하중의 한계치가 매우 작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까다로운 범프의 형상과 쓰러스트 포일과 범프를 베어링 하우징에 용접해야 하는 제작 공정이 필요하다.
즉, 쓰러스트 베어링과 래디얼 베어링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베어링부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적용시에 부피가 커지므로 압축기 터빈 임펠러가 포함된 소형 회전체의 경우 1차 굽힘 모드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터빈이나 임펠러의 백 플레이트 부분에 쓰러스트 베어링을 구성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가지의 베어링을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베어링은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 설치가 불가능 하거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특허 7134793호 "Thrust Bearing Assembly"에서는 베어링 조립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쓰러스트 베어링에 한정되며, 비접촉 무급유 쓰러스트 베어링에 포함되지 않아, 고속 회전시 축 방향 하중에 의한 베어링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204194호("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 2012.11.16.) 특허문헌 2. 미국공개특허 제2009-0039740호("Magnetic Bearing", 2009.02.12.) 특허문헌 3. 미국특허 제7134793호("Thrust Bearing Assembly", 2006.11.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베어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여 소형 회전체에 적용 시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1차 굽힘 모드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시스템을 단위모듈의 분할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단위모듈끼리 조립하여 모듈조립체의 베어링을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도 설치가 가능한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양측면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부 영역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일정한 폭을 가지고 측면이 굴곡된 형상으로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위 댐퍼 바디, 상기 몸체부에 면접촉하는 단위 웰딩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모듈; 상기 단위 모듈끼리 조립되어 원 형상의 모듈조립체로 조립되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와 면접촉하는 탑 포일, 상기 모듈조립체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래디얼 포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단위 모듈은 상기 단위 댐퍼 바디가 상기 몸체부, 상기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탑 포일이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포일은 상기 돌출부에 면접촉하는 제1접촉부, 상기 전면 제1접촉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와 면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위 모듈은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들을 연결하고,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를 상기 댐퍼 바디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웰딩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단위 모듈은 상기 단위 모듈끼리 접합되는 일부영역에 지지대가 용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상기 단위모듈의 지지대끼리 서로 용접되어 모듈조립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웰딩 서포트는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들과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탑 포일은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상기 래디얼 포일을 상기 모듈조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하나의 베어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여 소형 회전체에 적용 시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1차 굽힘 모드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베어링 시스템을 단위모듈의 분할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단위모듈끼리 조립하여 모듈조립체의 베어링을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할구조의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조립 방법 및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와 조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와 조립되어 하우징이 베어링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베어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분할구조의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조립 방법 및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와 조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와 조립되어 하우징이 베어링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베어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크게 분할된 구조의 단위 댐퍼 바디(10), 단위 웰딩 플레이트(20), 웰딩 서포트(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단위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모듈(10), 탑 포일(40), 래디얼 포일(60)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모듈조립체(1000)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는 양측면에 몸체부(11)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1) 일부 영역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측면이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는 메탈 메쉬(Metal Mesh) 재질로 이루어진다.
메탈 메쉬는 금속선이 그물 형태로 얽혀 있는 구조물로서, 탄성을 가지고 내구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메탈 메쉬는 프레스로 찍는 공정을 통해 형상 가공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 수, 조립 공정 수가 줄어들어 종래의 베어링에 비해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의 몸체부(11)에 면접촉하는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들을 연결하고,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를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에 고정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웰딩 서포트(5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상기 웰딩 서포트(50)를 조립하여 커버 형태로 만들고,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와 조립하고 고정시켜 단위 모듈(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모듈(100)은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가 상기 몸체부(11), 상기 돌출부(12)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unit collar, P)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탑 포일(40)이 상기 단위 칼라(P) 개수만큼 구비된다.
도 4에는 상기 단위 칼라(P)가 2개 구비되는 단위 모듈(10)이 조립되어 모듈조립체(1000)에는 네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물론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는 몇 개이든 제한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포일(40)은 상기 돌출부(12) 상면에 면접촉하는 제1접촉부(41)와 상기 제1접촉부(4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면접촉하는 제2접촉부(4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접촉부(42)는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가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는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용접 작업이 수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금속 재질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를 구비하여 상기 탑 포일(40)의 제2접촉부(42)와 용접하여 조립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모듈(100)끼리 조립되어 모듈조립체(1000)를 형성 할 때, 상기 단위 모듈(100)끼리 접합되는 일부 영역에 지지대(110)가 용접되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지지대(100)는 용접이 어려운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보다 강재 재질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용접되어 구비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래디얼 포일(60)은 상기 모듈조립체(1000)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래디얼 포일(60)은 고정자(61)와 조립 후, 상기 고정자(61)에 의해 상기 모듈조립체(1000)내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단위 모듈(100)끼리 지지대의 용접에 의해 고정된 나머지 부분인 상기 모듈조립체(1000) 내 틈에 고정되는 것이 권장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에 고정홈을 따로 구비하여 고정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의 조립 방법 및 순서를 도 5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들을 상기 웰딩 서포트(50)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고정체에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를 조립시킴으로써 단위 모듈(100)을 형성한다.
그 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를 상기 단위 모듈(100)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용접하여 고정하며,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모듈(100)을 조립하여 모듈조립체(1000)로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도 5의 (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통해 탑 포일(40)을 조립하며, 내측에 래디얼 포일(60)을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의 조립 순서 및 방법은 권장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이에 국한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작업에 의해 조립되는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상기 탑 포일(40)의 제2접촉부(42),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상기 웰딩 서포트(50),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대(51)의 조립에는 점용접부(1)에서 점용접으로 용접되며, 상기 점용접부(1)는 도면에 도시된 지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70)와 조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체형 샤프트(70)에 상기 래디얼 포일(60)을 조립하고, 그 후 고정자(61)와 함께 상기 단위 모듈(100)이 조립되어 모듈조립체(1000)로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이 일체형 샤프트(70)와 조립되어 하우징(80)이 베어링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하여 베어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베어링 시스템을 단위모듈의 분할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단위모듈끼리 조립하여 모듈조립체의 베어링을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압축기 또는 터빈 등의 소형 회전체에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하나의 베어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여 소형 회전체에 적용 시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1차 굽힘 모드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단위 댐퍼 바디
11 : 몸체부
12 : 돌출부
20 : 단위 웰딩 플레이트
40 : 탑 포일
41 : 제1접촉부
42 : 제2접촉부
50 : 웰딩 서포트
51 : 지지대
60 : 래디얼 포일
61 : 고정자
70 : 일체형 샤프트
80 : 하우징
100 : 단위 모듈
1000 : 모듈조립체
P : 단위 칼라
1 : 점용접부

Claims (9)

  1. 양측면의 몸체부(11), 상기 몸체부(11) 일부 영역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하며, 일정한 폭을 가지고 측면이 굴곡된 형상으로 금속선이 그물형태로 얽혀 있는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위 댐퍼 바디(10) 및
    상기 몸체부(11)에 면접촉하는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모듈(100);
    상기 단위 모듈(100)끼리 조립되어 원 형상의 모듈조립체(1000)로 조립되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면접촉하는 탑 포일(40) 및
    상기 모듈조립체(1000)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래디얼 포일(60)을 포함하되, 상기 래디얼 포일(60)을 상기 모듈조립체(1000)에 고정시키는 고정자(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탑 포일(40)은
    상기 돌출부(12)에 면접촉하는 제1접촉부(41), 상기 제1접촉부(4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면접촉하는 제2접촉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촉부(42)와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위 모듈(100)은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들을 연결하여 커버 형태로 만들며,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를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웰딩 서포트(50)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모듈(100)끼리 접합되는 일부영역에 지지대(51)가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와 용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웰딩 서포트(50)는
    상기 단위 웰딩 플레이트(20)들과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100)은
    상기 단위 댐퍼 바디(10)가 상기 몸체부(11), 상기 돌출부(12)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탑 포일(40)이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은
    상기 단위모듈(100)의 지지대(51)끼리 서로 용접되어 모듈조립체(1000)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12452A 2013-09-23 2013-09-23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KR10151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52A KR101517817B1 (ko) 2013-09-23 2013-09-23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US14/489,780 US9181977B2 (en) 2013-09-23 2014-09-18 Air-foil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52A KR101517817B1 (ko) 2013-09-23 2013-09-23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12A KR20150033012A (ko) 2015-04-01
KR101517817B1 true KR101517817B1 (ko) 2015-05-06

Family

ID=5303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452A KR101517817B1 (ko) 2013-09-23 2013-09-23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21A (ko) 2015-07-15 2017-01-25 한국기계연구원 축방향 베어링의 동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222A (ja) * 2002-03-08 2003-09-19 Ntn Corp フォイル軸受
JP2004183830A (ja) * 2002-12-05 2004-07-02 Toshiba Corp 分割型気体潤滑式フォイル軸受
KR101239746B1 (ko) * 2011-01-13 2013-03-06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야외용 운동기구의 베어링 하우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222A (ja) * 2002-03-08 2003-09-19 Ntn Corp フォイル軸受
JP2004183830A (ja) * 2002-12-05 2004-07-02 Toshiba Corp 分割型気体潤滑式フォイル軸受
KR101239746B1 (ko) * 2011-01-13 2013-03-06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야외용 운동기구의 베어링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21A (ko) 2015-07-15 2017-01-25 한국기계연구원 축방향 베어링의 동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12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892B1 (ko) 래디얼 호일 베어링
US4305696A (en) Stator vane assembly for a gas turbine engine
US8282285B2 (en) Bearing support
KR101443036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분할형 콤보 베어링
CN104603480A (zh) 径向气体箔片轴承
US9890810B2 (en) Squeeze film damper, bearing unit, and turbine
EP2746603A1 (en) Journal bearing device
US20200392986A1 (en) Bearing pad for tilting-pad bearing, tilting-pad bearing, and rotary machine
CN110637168B (zh) 磁性轴承
KR102030621B1 (ko) 에어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제조 방법
CN101096919B (zh) 涡轮机
KR101517817B1 (ko)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KR101534639B1 (ko) 복합 강성 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 쓰러스트 콤보 베어링
CN108194548B (zh) 板弹簧、板弹簧组以及压缩机
KR20150099830A (ko) 축방향으로 분할된 터보기계를 위한 밀봉 장치
US9181977B2 (en) Air-foil bearing
KR101445063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콤보 베어링
KR101517818B1 (ko)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KR101517793B1 (ko) 메탈 메쉬 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US20160169282A1 (en) Roller bear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oller bearing
KR101408672B1 (ko) 메탈 메쉬 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KR102067286B1 (ko) 최적 냉각 유도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CN212028330U (zh) 优化顶箔刚度分布的径向箔片轴承
US10690008B2 (en) Steam turbine casing
EP0889253A2 (en) Turbo charger bear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