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048B1 -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048B1
KR102611048B1 KR1020230074766A KR20230074766A KR102611048B1 KR 102611048 B1 KR102611048 B1 KR 102611048B1 KR 1020230074766 A KR1020230074766 A KR 1020230074766A KR 20230074766 A KR20230074766 A KR 20230074766A KR 102611048 B1 KR102611048 B1 KR 10261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plate
plate portion
fastening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빌더스
Priority to KR102023007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는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판부; 상기 댐퍼판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을 통해 상기 부재의 웨브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 및 상기 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상기 결합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eismic Reinforcement Member Joint Device}
본 발명은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등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할 때, 변형을 유도하거나 차단하여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부재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에 사용되는 부재는 일정 규격을 갖는다. 그러나, 건축 현장에서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부재의 길이 연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부재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이음부에 플레이트를 덧대어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지진하중은 건축물에 예측할 수 없는 강도 및 방향성으로 동적 거동을 유발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재뿐만 아니라 부재의 이음부에도 내진 설계 및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다.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부재의 강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음부를 통해 건축물의 동적 거동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음부는 하중 및 충격에 취약한 경향이 있다. 또한, 이음부의 결합 강도가 부재의 강도보다 견고한 경우, 건축물의 주축이 되는 부재에 비틀림, 좌굴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부재의 변형은 심각한 경우 건축물이 파괴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부재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부재이음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3230호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6332호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608호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변형이 특정 위치로 유도되도록 하여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변형의 전달을 차단시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성이 우수한 내진 보강용 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판부; 상기 댐퍼판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을 통해 상기 부재의 웨브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 및 상기 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상기 결합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댐퍼판부는 복수 개의 변형유도홀이 일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며, 제1두께로 형성되는 중앙변형판; 상기 중앙변형판과 상기 결합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결합판부에서 상기 중앙변형판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연결판; 및 상기 댐퍼판부는 상기 중앙변형판, 상기 연결판 및 상기 결합판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여유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변형판에서 연장되되, 변형의 전파를 감소시키는 제1블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판부는 상기 제1블록킹부에서 연장되며, 부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2블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 및 상기 결합판부에 상기 진동흡수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흡수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커버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커버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흡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는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는 변형이 특정 위치로 유도되도록 하여 건축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는 변형의 전달을 차단시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한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와 부재의 결합 관계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3의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5는 도 4의 B-B'를 기준으로 한 단면이 도시된 도면.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길이 연장 등의 이유로 부재(H)의 이음부에 결합되어 부재(H)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부재(H)는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H)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보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부재(H)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 및 수평플레이트(P) 등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좌우 및 상하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댐퍼판부(100), 결합판부(200), 체결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판부(100)는 부재(H) 사이에 배치되며,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결합판부(200)는 댐퍼판부(100)의 양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210)을 통해 부재(H)의 웨브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300)는 부재(H)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결합판부(2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판부(100)는 부재(H)의 변위에서 기인한 부재(H) 간 단차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댐퍼판부(100)는 건축물의 급격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댐퍼판부(100)는 중앙변형판(110), 연결판(120), 커버플레이트(130), 여유변형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변형판(110)은 댐퍼판부(1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1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두께(t1)는 웨브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변형판(110)은 'I'자 형상 또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변형판(110)에는 복수 개의 변형유도홀(111)이 일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변형유도홀(111)은 지진파, 진동 등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중앙변형판(11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변형유도홀(111)은 중앙변형판(110)에 변형이 집중되도록 하여, 부재(H)가 비틀리거나 부재(H)의 이음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유도홀(111)은 부재(H)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변형유도홀(111)은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형유도홀(111)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변형유도홀(111)의 폭(d1)은 변형유도홀(111)이 서로 이격되는 폭(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판(120)은 중앙변형판(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중앙변형판(110)과 결합판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판(120)은 결합판부(200)에서 중앙변형판(110)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중앙변형판(110) 측 단면은 인장력이 분산되도록 하여 중앙변형판(110)과 결합판부(200) 간의 연결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플레이트(130)는 댐퍼판부(10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플레이트(130)는 양 단부가 각 부재(H)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부재(H)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버플레이트(130)는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커버플레이트(130)는 하부 플랜지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하여금, 커버플레이트(130)는 수평플레이트(P)와 면접하며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여유변형부(140)는 중앙변형판(110), 연결판(120) 및 결합판부(200)에 의해 둘러싸인 예를 들어, 홀(hole) 형태이며,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유변형부(140)는 두 변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유변형부(140)는 연결판(120)부가 변형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유변형부(140)가 없는 부재이음 장치는 지진 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상하 진동에 의한 출렁거림을 견디지 못해 파괴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여유변형부(140)는 댐퍼판부(100)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지진파와 같은 진동을 감쇠시키고, 이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판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이음 장치(S)가 부재(H)에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판부(200)는 제1두께(t1)를 갖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부(200)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210)이 일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체결홀(210)의 개수는 부재(H)의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결합판부(200)는 수직스티프너(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스티프너(220)는 결합판부(2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스티프너(220)는 결합판부(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직스티프너(220)는 부재(H)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하중이 플랜지의 어느 일 지점에 집중될 경우, 부재(H)의 웨브면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직스티프너(220)의 두께는 제1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한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는 체결부(300)에 의해 부재(H)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00)는 진동흡수부(310), 체결부재(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31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결합판부(20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부재(H)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진동흡수부(310)는 관통홀의 중심과 체결홀(210)의 중심이 동일하도록 결합판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310)는 체결부재(320)에 의해 결합판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310)는 체결부(300)가 접촉되는 결합판부(200)의 손상뿐만 아니라 체결부(300) 자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진동흡수부(310)는 커버케이스(311), 흡진실린더(3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케이스(311)는 체결부재(320)에 의한 체결 시, 볼트부의 헤드 또는 너트부와 면접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결합판부(200)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커버케이스(311)는 흡진실린더(3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케이스(311)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커버케이스(311)는 진동흡수부(3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케이스(311)는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커버케이스 및 하단 커버케이스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흡진실린더(312)는 지진파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산시킬 수 있다. 이때, 흡진실린더(312)는 한 쌍의 커버케이스(3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진실린더(312)는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진실린더(312)는 복수 개의 원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흡진실린더(312)의 재질은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판부(200)는 부재(H)에 압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판부(200)는 체결부재(320)에 의해 부재(H)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부재(H)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댐퍼판부(100)에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부재(H)이음 장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체결부재(320)는 볼트부, 너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는 관통홀 및 체결홀(210)을 거쳐 삽입될 수 있다. 너트부는 볼트부의 타측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장력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와 부재(H)의 결합 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부재(H)이음 장치는 부재(H)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S)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B-B'를 기준으로 한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는 댐퍼판부(100), 결합판부(200), 체결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판부(100)의 일부 구성, 결합판부(200) 및 체결부(300)는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댐퍼판부(100)는 중앙변형판(110), 연결판(120), 여유변형부(140), 제1블록킹부(150), 제2블록킹부(160), 변형차단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변형판(110)에는 복수 개의 변형유도홀(111)이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변형유도홀(111)은 좌우 대칭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유도홀(111)은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블록킹부(150)는 중앙변형판(110)에서 연장되되, 변형의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블록킹부(150)는 중앙변형판(11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블록킹부(150)는 부재(H)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제1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블록킹부(150)는 제1두께(t1)보다 더 두꺼운 제2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블록킹부(150)의 일 측면은 중앙변형판(110)의 일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블록킹부(150)의 타 측면은 중앙변형판(110)의 타 측면보다 더 돌출되는 제1돌기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블록킹부(160)는 제1블록킹부(150)에서 연장되며, 부재(H)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제2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블록킹부(160)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는, 부재(H)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블록킹부(160)의 높이는 플랜지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블록킹부(160)는 수평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블록킹부(160)는 제2두께(t2)보다 더 두꺼운 제3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2블록킹부(160)와 수평플레이트(P)가 결합 시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블록킹부(160)는 제2-1돌기부(161), 제2-2돌기부(1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돌기부(161)는 제2블록킹부(160)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중앙변형판(11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2-1돌기부(161)는 수평플레이트(P)가 편심하중에 의해 탈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2돌기부(162)는 제2블록킹부(160)의 타 측면에 배치되며, 제1돌기부(151)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2돌기부(162)는 부재(H)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하는 제2-2돌기부(162)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댐퍼판부(100)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어느 일 댐퍼판부(100)의 변형이 다른 댐퍼판부(100)에 영향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댐퍼판부(100)의 변형이 개별적으로 발생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차단부(170)는 제1블록킹부(150)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변형차단부(170)는 여유변형부(14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차단부(170)는 제1블록킹부(150)가 부재(H)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변형차단부(170)는 댐퍼판부(100)의 변형 및 변형으로 인한 영향이 부재(H)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방지할 수 있다. 변형차단부(170)의 면적은 제1블록킹부(150)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댐퍼판부
110: 중앙변형판 111: 변형유도홀
120: 연결판 130: 커버플레이트
140: 여유변형부
150: 제1블로킹부 151: 제1돌기부
160: 제2블로킹부
161: 제2-1돌기부 162: 제2-2돌기부
170: 변형차단부
200: 결합판부 210: 체결홀
220: 스티프너
300: 체결부 310: 진동흡수부
311: 커버케이스 312: 흡진실린더
320: 체결부재
H: 부재 P: 수평플레이트
S: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Claims (6)

  1.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판부;
    상기 댐퍼판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을 통해 상기 부재의 웨브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 및
    상기 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상기 결합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판부는
    복수 개의 변형유도홀이 일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며, 제1두께로 형성되는 중앙변형판;
    상기 중앙변형판과 상기 결합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결합판부에서 상기 중앙변형판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연결판; 및
    상기 댐퍼판부는 상기 중앙변형판, 상기 연결판 및 상기 결합판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여유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변형판에서 연장되되, 변형의 전파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2두께로 형성되는 제1블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판부는 상기 제1블록킹부에서 연장되되, 부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3두께로 형성되는 제2블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 및
    상기 결합판부에 상기 진동흡수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흡수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커버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커버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흡진실린더;를 포함하는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KR1020230074766A 2023-06-12 2023-06-12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KR102611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766A KR102611048B1 (ko) 2023-06-12 2023-06-12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766A KR102611048B1 (ko) 2023-06-12 2023-06-12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048B1 true KR102611048B1 (ko) 2023-12-07

Family

ID=8916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766A KR102611048B1 (ko) 2023-06-12 2023-06-12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0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88A (ja) * 1999-01-07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鋼製制震ダンパ―および鋼製制震ダンパ―による制震装置
KR100516332B1 (ko) 2003-06-11 2005-09-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KR101403230B1 (ko) 2012-09-13 2014-06-02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KR101539577B1 (ko) * 2015-04-16 2015-07-28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단 항복형 슬릿강재이력댐퍼
KR101548608B1 (ko)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88A (ja) * 1999-01-07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鋼製制震ダンパ―および鋼製制震ダンパ―による制震装置
KR100516332B1 (ko) 2003-06-11 2005-09-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KR101403230B1 (ko) 2012-09-13 2014-06-02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KR101548608B1 (ko)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539577B1 (ko) * 2015-04-16 2015-07-28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단 항복형 슬릿강재이력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298A (en) Shear link energy absorber
US5042783A (en) Resilient supports
KR101374773B1 (ko) 변단면 스트립형 강재 댐퍼
KR100919926B1 (ko) 진동저감장치
KR101548608B1 (ko)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2125691B1 (ko) 감쇠성능이 향상된 좌굴방지 브레이스
JP2012158911A (ja) 耐震構造体
KR101952742B1 (ko) 덤벨 형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체와 내진보강시공방법
KR102611048B1 (ko) 내진 보강용 부재이음 장치
CN108978924B (zh) 一种带有可更换功能的拉压加载型软钢阻尼器
KR102124584B1 (ko) 구조물용 진동 저감장치
KR20180070999A (ko)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JP4484933B2 (ja) 制震ブレースダンパー
KR101916871B1 (ko) 헌치형 내진장치
JPH10280727A (ja) 複合型ダンパーによる制振架構及び制振方法
JP6976653B2 (ja) 耐軸力部材
JP6411297B2 (ja) 制震ダンパ
JP6162457B2 (ja) 変位制限装置
KR101939606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
JP4058697B2 (ja) ラック用柱脚およびそのラック用柱脚が配設されているラック
KR102500114B1 (ko) 강재 멀티 슬릿 댐퍼
KR102447706B1 (ko) 구조물용 내진 보강장치
KR101337390B1 (ko) 건축물용 보강 구조
KR102327175B1 (ko) 내진기능을 갖는 경량철골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