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017B1 -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017B1
KR102611017B1 KR1020210125421A KR20210125421A KR102611017B1 KR 102611017 B1 KR102611017 B1 KR 102611017B1 KR 1020210125421 A KR1020210125421 A KR 1020210125421A KR 20210125421 A KR20210125421 A KR 20210125421A KR 102611017 B1 KR102611017 B1 KR 10261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mpensation
vibration
valu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767A (ko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21012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017B1/ko
Priority to PCT/KR2022/010663 priority patent/WO2023048376A1/ko
Publication of KR202300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을 포함하는 기계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기계 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유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providing vibration compens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차량, 중기계 등의 기계 장치 분야에서도, 기존의 기계식 계기판 등이 디스플레이로 전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 등의 기계장치 분야에서는, 기계 장치 사용 시 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이 유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가 흔들리며 보이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흔들리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주시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기계 장치 사용자의 주의력 분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그로 인한 사고 위험도 증가 등의 파생적인 악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191호,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6635384호 등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에 발생하는 진동을 보상하여 진동 영향을 상쇄하도록 표시 내용을 보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이 유발되는 환경에서도 선명하고 정확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보상하도록 디스플레이 내용을 각 프레임 별로 보상 쉬프팅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진동에도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내용은 흔들리지 않도록 보상하여 표시하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보상 쉬프팅에 의하여 패딩 영역이 발생하면,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내용을 기초로 패딩 영역의 표시를 설정함으로써, 보상 쉬프팅에 의하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패딩 영역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표현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을 포함하는 기계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기계 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유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인 패딩 영역에 대하여,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소정의 단위 화소 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딩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상기 표시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에 가장 인접한 제2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기초로 결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단위 프레임에 대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보상 쉬프트 설정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에,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표시 영상을 설정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저장하는 보상 쉬프트 버퍼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패딩 설정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1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2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쉬프트 설정부는, 상기 제1 진동 정보에 상기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상 진동을 기초로 상기 진동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을 포함하는 기계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진동 정보에 상기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1 및 상기 보상 진동을 기초로 상기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을 패딩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소정의 단위 화소 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영역 중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화소 블록과 가장 가까운 제2 화소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보상 쉬프트 버퍼를 이용하여,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저장 매체를 제안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에 발생하는 진동을 보상하여 진동 영향을 상쇄하도록 표시 내용을 보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이 유발되는 환경에서도 선명하고 정확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보상하도록 디스플레이 내용을 각 프레임 별로 보상 쉬프팅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진동에도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내용은 흔들리지 않도록 보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보상 쉬프팅에 의하여 패딩 영역이 발생하면,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내용을 기초로 패딩 영역의 표시를 설정함으로써, 보상 쉬프팅에 의하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패딩 영역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표현을 제공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적용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진동 보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저장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보상 쉬프팅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보상 쉬프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를 들어,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를 들어,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커넥티드" 또는 "연결된" 이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어,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적용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 부착되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상의 이미지가 흔들리게 된다.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표시되는 화상을 식별하기 위하여 화상을 집중하여야 하며 그로 인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을 보상하여 표시함으로써, 그러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진동이 없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 등의 기계 장치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계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러한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장치' 라 칭함)(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혹은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구성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센서(110)는 기계 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유발되는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110)는 생성한 진동 정보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예컨대, 자이로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표시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또는 기계 장치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표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10) 및 디스플레이(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AP(application processor) 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SoC(System on Chip) 내에 구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연산 코어(processing core)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프로세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10)에서 제공된 진동 정보를 기초로, 표시 영상에 대하여 진동을 보상하여 표시 영상의 표시를 보정함으로써, 진동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도 3을 더 참조하여 프로세서(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110)는 디스플레이(120)의 진동을 감지하고, 그에 대한 진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10).
프로세서(130)는, 진동 정보를 기초로 진동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할 수 있다(S320).
프로세서(130)는,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S330). 이하에서는, 매 프레임 단위로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보상 쉬프트 값이 반영된 표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S340).
도 4는 진동 보상이 이루어지기 전의 표시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진동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의 표시 영상의 일 예를, 도 6은 진동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표시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x축 및 y축으로 음의 방향으로 진동 Δdc가 발생한다고 하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Δdc 만큼 쉬프트 되어 표시되게 된다. P1이라는 임의의 점을 예를 들면, x축으로는 x1에서 x2만큼 이동되고, y축으로는 y1에서 y2만큼 이동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진동 보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도시된 예와 같이 잔상이 표시되게 된다. 도 6은 Δdc에 대응되는 변위 Δdv로 진동 보상이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이러한 보상에서, P1이라는 임의의 점을 예를 들면, 보상 전 화면에서 x1은 보상 후 화면에서의 x2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보상 전 화면에서 y1은 보상 후 화면에서의 y2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한다. 이는, 진동 변위에 대한 보상 변위 만큼 쉬프팅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한 만큼 표시 영상을 진동 변위의 반대로 보상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진동에 의한 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30)는,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인 패딩 영역에 대하여,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프레임을 소정의 단위 화소 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하고, 표시 영역 중에서 제1 화소 블록-제1 화소블록은 패딩 영역에 포함됨-에 가장 인접한 제2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표시 제어부(710), 저장부(720), 보상 쉬프트 설정부(740) 및 패딩 설정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서(130)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다양한 예로 구현 가능하다. 일 예로, 각 구성요소는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요소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구성요소는 개별적으로 구현된 전용 로직 하드웨어 또는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보상 쉬프팅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센서(110)에서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S910).
보상 쉬프트 설정부(740)는 진동 정보를 기초로, 단위 프레임에 대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할 수 있다(S920).
일 실시예에서, 보상 쉬프트 설정부(740)는 진동 정보에 대응되는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되, 보상 쉬프트 값은 화소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보상 쉬프트 설정부(740)는 진동 정보를 기초로 진동에 의한 x축 변위 및 y축 변위를 각각 산출하고, 이러한 x축 변위 및 y축 변위를 화소 단위로 설정하여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720)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710)는 저장부(720)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10)는 디스플레이의 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하여, 저장부(720)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710)는 저장부(720)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에, 보상 쉬프트 설정부(740)에서 제공되는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표시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S930). 즉, 저장부(720)는 프레임 단위(예컨대, 매 프레임 또는 15 프레임 마다)로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표시 제어부(710)는 그러한 표시 데이터에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부(710)는 기 설정된 일정한 프레임 단위(예컨대, 15프레임 단위) 마다 진동 보상을 수행하고, 진동 보상을 수행하지 않는 프레임 단위 동안 (예컨대, 15프레임 내지 29프레임)에서는 진동 보상이 완료된 프레임(예컨대, 15프레임)의 표시 내용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초당 표시 프레임이 충분히 많으므로, 소정의 프레임 단위로 보상을 수행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서는 충분히 짧게 인식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부(710)는, 보상 쉬프트 값을 저장부(720)의 주소 변환에 반영하여 표시 데이터의 쉬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가 20x10의 메모리를 가지는 경우, 즉, 표시 화면의 화소가 가로 20화소, 세로 10화소로서 총 200 화소라고 할 때, 보상 쉬프트 값이 x축 1화소, y축 -1 화소라고 하면, 표시 제어부(710)는 저장부의 x축의 주소에 +1을, y축의 주소에 -1을 설정하고 표시함으로써 간단하게 보상 쉬프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7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버퍼(721) 및 보상 쉬프트 버퍼(7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721)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 제어부(710)는, 프레임 버퍼(721)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에 보상 쉬프트를 반영하여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보상 쉬프트 버퍼(722)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보상 쉬프트를 수행하게 되면, 보상 쉬프트에 의하여 표시 데이터가 설정되지 않는 영역, 즉, 패딩 영역이 발생하고, 패딩 설정부(740)는 이러한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를 채울 수 있다(S940).
예컨대, 패딩 설정부(740)는 보상 쉬프트 버퍼(722)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하고,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변위 Δdv로 진동 보상이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패딩 영역 PA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표시 데이터가 미 설정 상태로 남게 된다. 패딩 설정부(740)는 이러한 패딩 영역 PA에 대응되는 영역, 즉, 보상 쉬프트 버퍼(722)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패딩 설정부(740)는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이러한 데이터 패딩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패딩 설정부(740)는 패딩 영역 PA의 화소 블록(이하, 1 픽셀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한 다수의 픽셀이 하나의 화소 블록으로서 처리될 수도 있음), 예컨대, 픽셀 B1에 대한 데이터를 채우기 위하여, 패딩 영역 PA의 픽셀 B1에 가장 인접한 비패딩 영역, 즉, 표시 영역의 픽셀 B2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딩 설정부(740)는 패딩 영역의 제1 픽셀에 가장 인접한 비패딩 영역의 제2 픽셀의 값을, 패딩 영역의 제1 픽셀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패딩 설정부(740)는 패딩 영역의 제1 픽셀에 제1 축으로 소정 거리 내로 인접한 복수의 비패딩 픽셀 그룹을 이용하여, 패딩 영역의 제1 픽셀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패딩 영역 PA의 픽셀 B1에 대한 데이터를 채우기 위하여, 비패딩 영역에서 픽셀 B1과 같은 열에 있는, 즉, 같은 y축에서 소정 거리, 예컨대, 3 픽셀 거리 안에 있는 픽셀 B2, B3 및 B4의 데이터 값을 변화량을 기초로 픽셀 B1에 대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그라데이션 등이 있는 경우에도 보다 자연스러운 패딩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후, 표시 제어부(710)는, 패딩 설정부(740)에 의하여 패딩이 완료된 보상 쉬프트 버퍼(722)의 저장 내용을 기초로,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950).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진동 만을 고려하여 진동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제진동과, 사용자 좌석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모두 고려하여 진동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센서(100)는 제1 센서(111) 및 제2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11)는 디스플레이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1 진동을 감지하여 제1 진동 정보를 생성한다(S1310).
제2 센서(112)는 사용자 좌석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2 진동을 감지하여 제2 진동 정보를 생성한다(S1320).
프로세서, 구체적으로, 보상 쉬프트 설정부(730)는, 제1 진동 정보에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할 수 있다. 보상 쉬프트 설정부(730)는, 결정된 보상 진동을 기초로 진동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 제어부(710)에 제공하여, 보상 쉬프트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보상 쉬프트 설정부(730) 및 표시 제어부(710)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는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진동과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함께 반영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정밀한 진동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의 기능 또는 그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으로서, 전술한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인스트럭션들은,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다양한 프로세서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이, 저장매체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센서
111 : 제1 터치 센서 112 : 제2 터치 센서
120 : 디스플레이
130 : 프로세서
710 : 표시 제어부 720 : 저장부
730 : 보상 쉬프트 설정부 740 : 패딩 설정부
721 : 프레임 버퍼 722 : 보상 쉬프트 버퍼

Claims (15)

  1. 차량을 포함하는 기계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기계 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유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1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는 제2 진동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진동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인 패딩 영역에 대하여,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진동 정보에 상기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상 진동을 기초로 단위 프레임에 대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보상 쉬프트 설정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표시 데이터에,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표시 영상을 설정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부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저장하는 보상 쉬프트 버퍼;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상기 저장부의 주소에 반영하여 변환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의 쉬프트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소정의 단위 화소 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하고,
    상기 패딩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상기 표시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에 가장 인접한 제2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기초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패딩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차량을 포함하는 기계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진동 정보에 상기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보상 진동을 기초로 단위 프레임에 대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인 패딩 영역에 대하여,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저장하는 보상 쉬프트 버퍼; 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상기 저장부의 주소에 반영하여 변환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의 쉬프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은 소정의 단위 화소 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되고,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영역 중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화소 블록과 가장 가까운 제2 화소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표시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표시 데이터가 미설정된 패딩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쉬프트 버퍼에서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컴퓨터 판독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기계 장치와 연관된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기계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기계장치의 사용자의 좌석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진동 정보에 상기 제2 진동 정보를 반영하여 보상 진동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된 상기 보상 진동을 기초로 단위 프레임에 대한 보상 쉬프트 값을 산출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를 기초로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발생하는 미표시 영역인 패딩 영역에 대하여, 상기 패딩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표시값을 기초로 상기 패딩 영역의 표시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록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및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쉬프트 하여 저장하는 보상 쉬프트 버퍼; 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반영하여 진동 보상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보상 쉬프트 값을 상기 저장부의 주소에 반영하여 변환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의 쉬프트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210125421A 2021-09-23 2021-09-23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1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21A KR102611017B1 (ko) 2021-09-23 2021-09-23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CT/KR2022/010663 WO2023048376A1 (ko) 2021-09-23 2022-07-21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21A KR102611017B1 (ko) 2021-09-23 2021-09-23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767A KR20230042767A (ko) 2023-03-30
KR102611017B1 true KR102611017B1 (ko) 2023-12-07

Family

ID=8572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421A KR102611017B1 (ko) 2021-09-23 2021-09-23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1017B1 (ko)
WO (1) WO20230483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76A (ja) 2007-10-11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内画像表示システム
JP6635384B2 (ja) * 2015-03-25 2020-0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491A (ko) * 2015-11-26 2017-06-05 체이시로보틱스(주) 진동 환경에서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보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371608B1 (ko) * 2017-06-29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88152B1 (ko) * 2017-09-26 2022-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41163B1 (ko) * 2018-11-29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76A (ja) 2007-10-11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内画像表示システム
JP6635384B2 (ja) * 2015-03-25 2020-0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376A1 (ko) 2023-03-30
KR20230042767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030B (zh) 影像显示程序、影像显示设备、影像显示方法、影像提供服务器装置及影像显示系统
EP3552081B1 (en) Display synchronized image warping
JP4082414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78294B2 (ja) 立体視画像表示装置、立体視画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0666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1344A (ko) 디스플레이의 영상 안정화 장치 및 방법
TWI459346B (zh) 顯示驅動裝置
KR2020014060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
KR102611017B1 (ko) 진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0999537A1 (en) Motion vector processing circuit
CN111066081A (zh) 用于补偿虚拟现实的图像显示中的可变显示设备等待时间的技术
JP2017016455A (ja) 画像補正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US20140071252A1 (en) Image stabilization system for handheld devices equipped with pico-projector
KR20170061491A (ko) 진동 환경에서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보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7016511A (ja) 歪み補正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70127183A (ko)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06087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US10775920B2 (en) Driver integrated circuit applying image processing driving method and touch display system
KR2008005881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흔들림을 보정하는 화면 표시 장치 및방법
US20170148134A1 (en) Driv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04773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230239458A1 (en) Stereoscopic-image playback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s
JP7488085B2 (ja) 画像歪補正回路及び表示装置
US11837145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US11805237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autostereoscopic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