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24B1 -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24B1
KR102610324B1 KR1020180136046A KR20180136046A KR102610324B1 KR 102610324 B1 KR102610324 B1 KR 102610324B1 KR 1020180136046 A KR1020180136046 A KR 1020180136046A KR 20180136046 A KR20180136046 A KR 20180136046A KR 102610324 B1 KR102610324 B1 KR 10261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intake
coil
vibra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710A (ko
Inventor
정형도
정정우
안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8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02M31/205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4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for connecting or joining to other devices, e.g. pip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이 엔진 진동에 의해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열전소자에 전류가 인가되며, 코일을 따라 자석이 이동함에 발생된 코일의 자기력 변화에 의해 코일과 자석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엔진 진동과 반대방향으로 제공됨으로써, 흡기 호스로 전달된 엔진 진동이 감쇄되고, 코일을 따라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가, 전력 인가 시 열을 이동시키는 열전소자에 제공되므로, 열전소자의 흡열에 의해 흡기 호스에 흡기된 공기의 온도가 감소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Intake hose for lowering intake air temperature and vibr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서 흡기 호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고, 흡기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엔진이 제공된다. 엔진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연료를 혼합해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킨다. 공기 흡입은 크랭크축 회전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할 때 실린더 내부압이 대기압 보다 낮아짐에 따라 발생된다.
흡기 라인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가스에 이상 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기 라인에 클리너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리너는, 엔진룸 내부에 장착된다.
엔진 가동 중에는 엔진에 진동이 발생되므로, 위치가 고정된 클리너가 엔진 진동에 의해 파손되거나, 엔진룸의 클리너 고정 부위가 엔진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클리너와 엔진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호스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엔진은 흡입된 공기의 체적이 높고 온도가 낮을 수록 연비가 우수하고 출력이 향상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엔진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179호(2011.03.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538호(2015.04.07.)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진동이 클리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는, 에어클리너와 연결되는 제1고무호스와, 엔진과 연결되는 제2고무호스와,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과, 엔진 진동에 의해 코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과,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에 의해서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코일 일측에 제공된 복수개의 열전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제1고무호스 단부에 챔버관이 삽입되고, 제1고무호스 단부 일측에 복수개의 열전소자가 위치되고, 챔버관에 코일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열전소자는, 챔버관 표면에 장착되고, 챔버관의 외경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양끝단이 복수개의 열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폐회로와 각각 연결되고, 폐회로와 코일의 끝단 사이에 AC/DC 컨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C/DC 컨버터는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한,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압이 AC/DC 컨버터에 의해 열전소자에 직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석은 챔버관과 동심을 이루는 관이고, 챔버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챔버관의 단부와 자석의 단부에 분리를 방지하는 플렌지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렌지링에 챔버관을 유동하는 흡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챔버관의 내부면과 자석의 외부면에 마찰을 최소화하는 윤활재가 도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는,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이 엔진 진동에 의해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 내부를 왕복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열전소자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코일과 열전소자 사이에 제공된 AC/DC컨버터에 의해 전류가 일정한 방향으로 열전소자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AC/DC컨버터는, 코일의 끝단에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로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은, 엔진 진동에 의해 흡기 호스의 제2고무호스(200)에 제공된 자석이 흡기 호스의 제1고무호스(100)에 제공된 코일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단계와, 전류가 흡기 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제공된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단계에서, 자석이 코일 내부로 이동하면, 코일과 자석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고, 자석이 코일 외부로 이동하면, 코일과 자석 사이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흡기 호스에 제공된 열전소자의 일면이 지속적으로 흡열할 수 있도록, 제1단계에서 발생된 전류는 AC/DC컨버터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열전소자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AC/DC컨버터는, 코일 끝단에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로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코일을 따라 자석이 이동함에 발생된 코일의 자기력 변화에 의해 코일과 자석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엔진 진동과 반대방향으로 제공됨으로써, 흡기 호스로 전달된 엔진 진동이 감쇄된다.
또한, 코일을 따라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가, 전력 인가 시 열을 이동시키는 열전소자에 제공되므로, 열전소자의 흡열에 의해 흡기 호스에 흡기된 공기의 온도가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기 호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흡기 호스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열전소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열전소자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엔진 진동에 의한 자석 왕복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열전소자로의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9는 코일로부터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은 도 1의 흡기 호스가 엔진룸에 제공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는, 에어클리너(A)와 연결되는 제1고무호스(100)와, 엔진(E)과 연결되는 제2고무호스(200)와, 제1고무호스(100)에 제공된 코일(300)과, 엔진(E) 진동에 의해 코일(3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제2고무호스(200)에 제공된 자석(400)과, 자석(400)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에 의해서 제1고무호스(100)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코일(300) 일측에 제공된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를 포함한다.
제1고무호스(100)가 연결된 에어클리너(A)는, 자동차 엔진룸에 고정된다. 제2고무호스(200)는 엔진(E)으로 흡기를 공급하는 서지탱크와 연결된다. 코일(300)은, 제1고무호스(100) 단부에 삽입된 챔버관(310)에 내장된다. 챔버관(310)은, 2중관체로써 자석(400)을 향하는 일측 단부가 막힌 형태로 제공된다. 코일(300)은 챔버관(310)의 내부관(311)과 외부관(312)이 제공하는 내부공간에 스프링 형태로 제공된다. 아래 기재에 있어서, 코일(300)의 양단부는 코일(300)이 스프링 형태인 경우의 단부를 지칭하고, 코일(300)의 양끝단은 코일(300)이 펼쳐진 형태인 경우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칭한다.
자석(400)은, 챔버관(310)과 동심을 이루는 관 형태로 제공된다. 자석(400)은 제1고무호스(100)를 향하는 일단이 N극을 이루고, 제2고무호스(200)를 향하는 타단이 S극을 이루는 영구자석으로 제작된다. 자석(400)은, 챔버관(310)의 내부관(31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제공된다.
챔버관(310)의 단부와 자석(400)의 단부에는 코일(300)로부터 자석(400)이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렌지링(330, 410)이 제공된다. 챔버관(310)의 단부에 제공된 플렌지링(330)은 챔버관(310)의 단부로부터 자석(400)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자석(400) 단부에 제공된 플렌지링(410)은 자석(400) 단부로부터 챔버관(310)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챔버관(310)과 자석(400)에 제공된 플렌지링(330, 410)에는 챔버관(310) 내부에 유동하는 흡기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재(미도시)가 제공된다. 챔버관(310)의 내부면과 자석(400)의 외부면에는 플렌지링(330, 4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윤활재(미도시)가 도포된다.
엔진(E) 진동에 의해 N극을 나타내는 자석(400)의 일단이 코일(300)을 따라 제1고무호스(1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코일(300)의 자기장에 변화가 온다. 즉, 코일(300)의 제1고무호스(100) 측 일단부에는 S극이 발생되고, 코일(300)의 제2고무호스(200) 측 타단부에는 N극이 발생된다.
이와 반대로 엔진(E) 진동에 의해 N극을 나타내는 자석(400)의 일단이 코일(300) 내측으로부터 제2고무호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코일(300)의 제1고무호스(100) 측 일단부에는 N극이 발생되고, 코일(300)의 제2고무호스(200) 측 타단부에는 S극이 발생된다.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자기장 변화를 방지하려는 방향으로 코일(30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E) 진동에 의해 자석(400)이 제2고무호스(200) 측으로부터 코일(300) 내측으로 이동될 때는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고, 엔진(E) 진동에 의해 자석(400)이 코일(300) 내측으로부터 제2고무호스(200) 측으로 이동될 때는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엔진(E) 진동에 의한 자석(400) 왕복 이동에 대하여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발생된 척력과 인력이 반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엔진(E) 진동에 의해 제2고무호스(200)와 자석(400)에 발생된 진동이 자석(400)과 코일(300)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과 인력에 의해 감쇄된다.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는, 제1고무호스(100) 단부 일측에 제공된다.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는, 챔버관(310) 표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된다.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는 챔버관(310)의 외경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는 챔버관 표면에 감겨지도록 장착되는 고정체(510)에 조립된다.
열전소자(500)는, 인가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일면(500A)은 열을 흡열하도록 냉각되고, 타면(500B)은 주변으로 열을 발산하도록 가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코일(300)과 자석(400)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들로 인가됨에 따라 챔버관(310) 표면에 밀착된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들의 일면(500A)이 흡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들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폐회로(520)가 제공된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자석(400) 왕복이동에 따라, 코일(300)의 양단부 전극은 반복적으로 바뀌게 된다. 코일(300) 양단부 전극이 바뀜에 따라, 코일(300) 양끝단(300A, 300B) 사이에 발생된 전류의 방향도 반복적으로 바뀐다. 코일(300)에 발생된 전류의 방향이 반복적으로 바뀜에도 불구하고, 챔버관(310) 표면에 밀착된 열전소자(500)의 일면(500A)이 지속적으로 흡열 작용할 수 있도록, 코일(300)의 양끝단(300A, 300B)과 열전소자(500) 사이에 AC/DC 컨버터(320)가 제공된다.
코일(300)의 양끝단(300A, 300B)은 챔버관(310) 내부에서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를 향하도록 연장된다. 코일(300)의 양끝단(300A, 300B)은 복수개의 열전소자(5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폐회로(520)에 각각 연결된다. AC/DC 컨버터(320)는, 코일(300)의 끝단(300A, 300B)에 제공된다. 코일(300)을 따라 자석(400)이 왕복이동함에 발생된 전압은 AC/DC 컨버터(320)를 통해 복수개의 열전소자(500)에 전류의 방향이 일정한 직류로 제공된다.
일 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300)이 복선으로 제공되고, AC/DC 컨버터(320)는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로 제공된다. 제1 코일(300-1)의 끝단(300A-1)에 AD/DC 컨버터(320)로써 제1다이오드(320A-1)가 제공되고, 제2 코일(300-2)의 끝단(300A-2)에 AD/DC 컨버터(320)로써 제2다이오드(320A-2)가 제공된다.
엔진(E) 진동에 의해 자석(400)이 코일(300)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 그 방향에 의해서 제1다이오드(320A-1)는 통과하지만 제2다이오드(320A-2)는 통과하지 못한다. 엔진(E) 진동에 의해 자석(400)이 코일(300) 내측에서 제2고무호스(200) 측으로 이동할 경우,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제2다이오드(320A-2)는 통과하지만 제1다이오드(320A-1)는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자석(400)이 왕복 이동함에 코일(300) 양단부의 전극이 반복적으로 바뀌게 되더라도, 복수개의 열전소자(500)에 인가되는 전류는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열전소자(500)는 지속적으로 챔버관(310)의 열을 흡열하게 된다. 열전소자(500)가 챔버관(310)에 대하여 흡열을 지속하게 되므로, 챔버관(310) 내부에 흐르는 흡기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엔진(E) 성능이 향상된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가 장착된 차량은 도 11에 제공된 절차도에 따라, 외부 공기를 흡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은, 엔진(E) 진동에 의해 흡기 호스의 제2고무호스(200)에 제공된 자석(400)이 흡기 호스의 제1고무호스(100)에 제공된 코일(300)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단계(S100)와, 전류가 흡기 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제공된 열전소자(500)에 인가되는 제2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1단계(S100)에서는, 코일(300)을 따라 자석(400)이 왕복 이동할 때,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자석(400)이 코일(300) 내부로 이동하면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고, 자석(400)이 코일(300) 외부로 이동하면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된다. 코일(300)을 따른 자석(400) 왕복 이동에 의해 발생된 인력과 척력에 의해 엔진(E)으로부터 흡기 호스에 전달된 진동이 감쇄된다. 흡기 호스의 진동이 감쇄됨에 따라, 흡기 호스와 연결된 에어클리너(A)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되고, 궁극적으로 에어클리너(A)의 고장이 방지되고, 에어클리너(A)가 고정되는 엔진룸의 고정부위의 파손이 방지된다.
제2단계(S100)에서는, 흡기 호스에 제공된 열전소자(500)의 일면(500A)이 지속적으로 흡열할 수 있도록, 제1단계(S100)에서 발생된 전류가 AC/DC컨버터(320)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열전소자(500)에 인가된다. 코일(300)을 따라 자석(400)이 왕복 이동함에 전자유도현상에 의해 코일(300)에 발생된 전류의 방향은 반복적으로 변경된다. AC/DC컨버터(320)가 코일(300)과 열전소자(500) 사이에 제공됨에 따라, 열전소자(500)에는 일정한 방향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인가된다. 일예에 따르면, 코일(300) 양끝단(300A, 300B)가 열전소자(500)에 각각 연결되고, 열결부위에 AC/DC 컨버터(320)로써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코일(300)을 따라 자석(400)이 이동함에 발생된 코일(300)의 자기력 변화에 의해 코일(300)과 자석(400)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엔진(E) 진동과 반대방향으로 제공됨으로써, 흡기 호스로 전달된 엔진(E) 진동이 감쇄된다.
또한, 코일(300)을 따라 자석(400)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가, 전력 인가 시 열을 이동시키는 열전소자(500)에 제공되므로, 열전소자(500)의 흡열에 의해 흡기 호스에 흡기된 공기의 온도가 감소된다.
100: 제1고무호스 200: 제2고무호스
300: 코일 300A: 펼쳐진 코일의 끝단
300B: 펼쳐진 코일의 끝단 310: 챔버관
320: AC/DC 컨버터 330: 플렌지링
400: 자석 410: 플렌지링
500: 열전소자 510: 고정체
520: 폐회로 A: 에어클리너
E: 엔진

Claims (17)

  1. 에어클리너와 연결되는 제1고무호스;
    엔진과 연결되는 제2고무호스;
    상기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
    상기 엔진 진동에 의해 상기 코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
    상기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상기 코일 일측에 제공된 복수개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무호스 단부에 챔버관이 삽입되고,
    상기 제1고무호스 단부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열전소자가 위치되고,
    상기 챔버관에 상기 코일이 내장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열전소자는,
    상기 챔버관 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챔버관의 외경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양끝단이 상기 복수개의 열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폐회로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폐회로와 상기 코일의 끝단 사이에 AC/DC 컨버터가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는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인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왕복 이동함에 발생된 전압이 상기 AC/DC 컨버터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에 직류로 제공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챔버관과 동심을 이루는 관이고,
    상기 챔버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관의 단부와 상기 자석의 단부에 분리를 방지하는 플렌지링이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링에 상기 챔버관을 유동하는 흡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밀재가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관의 내부면과 상기 자석의 외부면에 마찰을 최소화하는 윤활재가 도포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11.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이 엔진 진동에 의해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열전소자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제공된 AC/DC컨버터에 의해 상기 전류가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C/DC컨버터는,
    상기 코일 끝단에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로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14. 엔진 진동에 의해 흡기 호스의 제2고무호스에 제공된 자석이 상기 흡기 호스의 제1고무호스에 제공된 코일 내부를 왕복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전류가 상기 흡기 호스의 제1고무호스에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도록 제공된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자석이 상기 코일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석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고,
    상기 자석이 상기 코일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석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흡기 호스에 제공된 상기 열전소자의 일면이 지속적으로 흡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계에서 발생된 전류는 AC/DC컨버터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C/DC컨버터는,
    상기 코일 끝단에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로 제공된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작동방법.
KR1020180136046A 2018-11-07 2018-11-07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KR10261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46A KR102610324B1 (ko) 2018-11-07 2018-11-07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46A KR102610324B1 (ko) 2018-11-07 2018-11-07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0A KR20200052710A (ko) 2020-05-15
KR102610324B1 true KR102610324B1 (ko) 2023-12-06

Family

ID=7067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46A KR102610324B1 (ko) 2018-11-07 2018-11-07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748B (zh) * 2021-04-16 2023-04-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结冰装置及防结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538B1 (ko) 2013-11-05 201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의 흡기온도 저감장치
KR101766412B1 (ko) 2017-01-11 2017-08-08 주식회사 이에스엔 차량용 흡기온도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367A (ko) * 2005-12-06 200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의 진동저감장치
KR101047767B1 (ko) 2009-08-27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흡기시스템의 에어호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538B1 (ko) 2013-11-05 201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의 흡기온도 저감장치
KR101766412B1 (ko) 2017-01-11 2017-08-08 주식회사 이에스엔 차량용 흡기온도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0A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715B1 (ko) 리니어 압축기
JP4487845B2 (ja) 電磁弁
ITMI20012467A1 (it) Struttura di fissaggio di valvola di compressore alternativo
KR102244373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US20190107312A1 (en) Linear compressor
JP2009501873A (ja) リニアコンプレッサ
KR102610324B1 (ko) 흡기의 온도 및 진동을 낮추는 흡기 호스 및 그 작동방법
BR102014015680A2 (pt) compressor linear
JP6671391B2 (ja) バルブコアアッセンブリおよび圧縮ガスバイパスバルブ
KR102060175B1 (ko) 리니어 압축기
JP2006052731A (ja) 排気脈動減衰機構を有するリニアポンプ
KR102067096B1 (ko) 리니어 압축기
US11225958B2 (en) Linear compressor
CN210715006U (zh) 线性压缩机
KR20070075904A (ko)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102244362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US10533576B2 (en) Fan inlet cone for improved sealing with a genset fan and housing
KR970005926Y1 (ko) 전자펌프
CN106574609B (zh) 线性压缩机
KR10206709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367248Y1 (ko) 리니어 모터용 가동자
US20060034708A1 (en) Linear pump cooling system
KR10033959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풍손 저감구조
KR102494485B1 (ko) 리니어 압축기
US20170030295A1 (en) Stirling cycle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