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903B1 -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903B1
KR102609903B1 KR1020220178751A KR20220178751A KR102609903B1 KR 102609903 B1 KR102609903 B1 KR 102609903B1 KR 1020220178751 A KR1020220178751 A KR 1020220178751A KR 20220178751 A KR20220178751 A KR 20220178751A KR 102609903 B1 KR102609903 B1 KR 10260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pipe
electric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7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21a)를 갖는 전기선(21)이 내부에 수용되고 벽체(30) 내부에 매립되어 수직기립설치되며 평단면이 원형관 또는 사각관을 이루는 매립전기배관(20); 및 탄성을 갖는 탄성판체로, 평단면이 후방측의 "⊃"형상과 전방측의 "⊂"형상이 한몸 결합된 상태를 이루되, 후단에는 벽체(30) 형성시 마감재인 벽체가벽(31)에 맞닿아 벽체(30)를 통한 못질시 못의 진로를 변형시켜 못으로 부터 매립전기배관(20)을 보호하는 수직후단보호판(11)이 형성되고, 수직후단보호판(11) 우측단에서 전방측으로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후방측반원요부판(12)이 형성되며, 후방측반원요부판(12) 선단에서 상기 수직후단보호판(11)과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내측에 수직기립된 철근(32)에 삽입고정되는 철근삽입고정판(13)이 형성되고, 철근삽입고정판(13)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정면에서 역"ㄷ"형상으로 절단된 후방절취선(13b)을 갖고 후방절취선(13b) 내측면이 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선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 후방측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후방측탄성고정바(13a)가 형성되며, 철근삽입고정판(13) 선단에서 전방측으로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전방측반원요부판(14)이 형성되며, 전방측반원요부판(14) 선단에서 상기 철근삽입고정판(13)과 수평되게 우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측에 상기 매립전기배관(20)이 삽입고정되는 전선삽입고정판(15)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고정판(15) 선단부 상하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절취선(13b) 상하단의 간격을 갖도록 선단 상하부에서 수평절단되는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을 각각 갖고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 사이의 내측면이 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 전방측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전방측탄성고정바(15a)가 형성되는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 내부의 철근에 전기선을 갖는 매립전기배관이 고정설치된 전기배관보호고정구를 고정설치함으로써 벽체 내부로 못과 같은 관통물의 진입시 철근과 수직후단보호판에 의해서 이중으로 전기선을 보호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기선의 단선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Electrical piping protection device for apartment house walls}
본 발명은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내부의 철근에 전기선을 갖는 매립전기배관이 고정설치된 전기배관보호고정구를 고정설치함으로써 벽체 내부로 못과 같은 관통물의 진입시 철근과 수직후단보호판에 의해서 이중으로 전기선을 보호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기선의 단선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전기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가 벽체에 설치되고, 각 콘센트에는 벽체 또는 천정 등을 통해 전기선이 포설되어 전기가 공급된다.
한편, 벽체에 매립된 전기선은 외부에서 포설된 위치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액자나 선반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못 또는 앵커를 설치하는 데, 못 또는 앵커를 벽체에 설치할 때, 못 또는 앵커가 전기선을 단선시켜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거나, 누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의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로부터 소정각을 갖는 ∧형으로,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삼각돌출용기와, 상기 삼각돌출용기 각각의 하부에 액체주입구가 형성된 방호판과, 상기 방호판 하부에 다수개의 탄성을 갖는 오메가형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가 특허등록 제10-0730477호(2007.6.19.공고)로 개시된 바, 못 또는 헤머드릴이 천공시 삼각돌출용기의 빗각에 의해 못 또는 헤머드릴의 관통되는 방향을 측면으로 빗나가도록 유도하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내부배관 보호구는, 못이나 헤머드릴이 삼각돌출용기에 의해 측면으로 가이드되지 않고 그대로 관통하는 경우에는 전선을 단선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일례로는 특허등록 제10-1688819호(2016.12.22.공고)의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가 개시되었지만, 앵글형차단철판을 못 또는 드릴들이 관통하는 경우, 벽체에 포설된 전선을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립되어 전기선이 수용되는 매립배관, 상기 매립배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립배관의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전기선의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전기선의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진입되는 관통물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운동하여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에 의해 상기 전기선을 상기 관통물이 진입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벗가이드부재, 상기 매립배관에서 상기 관통물이 진입하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향해 진입하는 관통물을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안내하는 진입가이드부, 상기 진입가이드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매립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며, 내부가 빈형태의 볼수용부, 및 상기 볼수용부의 내부에 자유운동하도록 수용되어 상기 관통물이 상기 매립배관을 관통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볼수용부의 내부에 부딪히며 충격음을 발생시켜 상기 매립배관의 위치를 알려주는 스틸볼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물을 상기 벽체에 관통시키기 이전에 상기 매립배관의 매립된 위치를 미리 파악하도록 상기 매립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 상기 복귀스프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매립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당겨지고,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위치가늠와이어, 및 상기 위치가늠와이어에서 상기 볼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설치되어 상기 위치가늠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볼수용부를 충격하여 상기 스틸볼에 의한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충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특허등록 제10-1935524호(2019.01.07.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이런 종래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벽체(200)에 못과 같은 관통물 진입시 피벗가이드부재(120)가 전기선(210)의 위치를 매립배관(110) 내에서 위치변경시켜 전기선(21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전기선(210)이 위치되는 매립배관(110)과 피벗가이드부재(120)의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비용이 추가로 소요되고, 일측에서 못과 같은 관통물 진입으로 매립배관(110) 내에서 전기선(210)의 위치가 변경된 다음에 다시 변경된 전기선(210)의 위치로 못과 같은 관통물이 진입되면 전기선(210)의 단선을 초래할 우려가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30477호(2007.6.19. 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88819호(2016.12.22. 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35524호(2019.01.0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 내부의 철근에 전기선을 갖는 매립전기배관이 고정설치된 전기배관보호고정구를 고정설치함으로써 벽체 내부로 못과 같은 관통물의 진입시 철근과 수직후단보호판에 의해서 이중으로 전기선을 보호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기선의 단선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피(21a)를 갖는 전기선(21)이 내부에 수용되고 벽체(30) 내부에 매립되어 수직기립설치되며 평단면이 원형관 또는 사각관을 이루는 매립전기배관(20); 및
탄성을 갖는 탄성판체로, 평단면이 후방측의 "⊃"형상과 전방측의 "⊂"형상이 한몸 결합된 상태를 이루되, 후단에는 벽체(30) 형성시 마감재인 벽체가벽(31)에 맞닿아 벽체(30)를 통한 못질시 못의 진로를 변형시켜 못으로 부터 매립전기배관(20)을 보호하는 수직후단보호판(11)이 형성되고, 수직후단보호판(11) 우측단에서 전방측으로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후방측반원요부판(12)이 형성되며, 후방측반원요부판(12) 선단에서 상기 수직후단보호판(11)과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내측에 수직기립된 철근(32)에 삽입고정되는 철근삽입고정판(13)이 형성되고, 철근삽입고정판(13)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정면에서 역"ㄷ"형상으로 절단된 후방절취선(13b)을 갖고 후방절취선(13b) 내측면이 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선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 후방측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후방측탄성고정바(13a)가 형성되며, 철근삽입고정판(13) 선단에서 전방측으로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전방측반원요부판(14)이 형성되며, 전방측반원요부판(14) 선단에서 상기 철근삽입고정판(13)과 수평되게 우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측에 상기 매립전기배관(20)이 삽입고정되는 전선삽입고정판(15)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고정판(15) 선단부 상하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절취선(13b) 상하단의 간격을 갖도록 선단 상하부에서 수평절단되는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을 각각 갖고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 사이의 내측면이 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 전방측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전방측탄성고정바(15a)가 형성되는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 내부의 철근에 전기선을 갖는 매립전기배관이 고정설치된 전기배관보호고정구를 고정설치함으로써 벽체 내부로 못과 같은 관통물의 진입시 철근과 수직후단보호판에 의해서 이중으로 전기선을 보호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기선의 단선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시공시 전기배관보호고정구의 전선삽입고정판 내측에 매립전기배관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시공시 전기배관보호고정구의 전선삽입고정판 내측에 매립전기배관을 삽입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시공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전기선(21)이 내부에 수용되는 매립전기배관(20)과, 전방측은 매립전기배관(20)을 고정지지하고 후방측은 철근(32)에 고정되어 전기선(21)을 보호하는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로 구성된다.
상기 매립전기배관(20)은, 외피(21a)를 갖는 전기선(21)이 내부에 수용되고 벽체(30) 내부에 매립되어 수직기립설치되며 평단면이 원형관 또는 사각관을 이룬다.
상기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는, 탄성을 갖는 탄성판체로, 평단면이 후방우측의 "⊃"형상과 전방좌측의 "⊂"형상이 한몸 결합된 상태를 이루되, 벽체가벽(31)과 맞닿은 후단에는 벽체(30) 형성시 마감재인 벽체가벽(31)에 맞닿아 벽체(30)를 통한 내부 못질시 못의 진로를 변형시켜 못으로 부터 매립전기배관(20)을 보호하는 수직판체인 수직후단보호판(11)이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수직후단보호판(11) 우측단에서 전방측으로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수직요부판체인 후방측반원요부판(12)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후방측반원요부판(12) 좌측선단에서 상기 수직후단보호판(11)과 동일간격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내측면에 수직기립된 철근(32)에 삽입고정되는 수직판체인 철근삽입고정판(13)이 형성되고, 철근삽입고정판(13) 내측면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정면에서 역"ㄷ"형상으로 절단된 후방절취선(13b)을 갖고 후방절취선(13b) 내측면이 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우측선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의 후방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후방측탄성고정바(13a)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철근삽입고정판(13) 좌측선단에서 전방측으로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수직요부판체인 전방측반원요부판(14)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전방측반원요부판(14) 우측선단에서 상기 철근삽입고정판(13)과 수평되게 우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판체로 내측면에 상기 매립전기배관(20)이 삽입고정되는 전선삽입고정판(15)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고정판(15) 선단부 상하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절취선(13b) 상하단의 간격을 갖도록 우측선단 상하부에서 수평절단되는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을 각각 갖고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 사이의 내측면이 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우측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매립전선배관(20)의 전방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전방측탄성고정바(1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벽체(30) 내부의 철근(32)에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의 수직후단보호관(11)과 철근삽입고정판(13)으로 고정시키고 전기선(21)을 갖는 매립전기배관(20)은 철근삽입고정판(13)과 전선삽입고정판(15)으로 고정시켜 벽체(30) 내부에 미리 설치함으로써 벽체(30) 내부로 못과 같은 관통물의 진입시 철근(32)과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의 수직후단보호판(11)에 의해서 이중으로 매립된 전기선(21)을 보호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기선(21)의 단선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기배관보호고정구
20 : 매립전기배관
21 : 전기선
30 : 벽체

Claims (1)

  1. 외피(21a)를 갖는 전기선(21)이 내부에 수용되고 벽체(30) 내부에 매립되어 수직기립설치되며 평단면이 원형관 또는 사각관을 이루는 매립전기배관(20); 및
    탄성을 갖는 탄성판체로, 평단면이 후방우측의 "⊃"형상과 전방좌측의 "⊂"형상이 한몸 결합된 상태를 이루되, 벽체가벽(31)과 맞닿은 후단에는 벽체(30) 형성시 마감재인 벽체가벽(31)에 맞닿아 벽체(30)를 통한 내부 못질시 못의 진로를 변형시켜 못으로 부터 매립전기배관(20)을 보호하는 수직판체인 수직후단보호판(11)이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수직후단보호판(11) 우측단에서 전방측으로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수직요부판체인 후방측반원요부판(12)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후방측반원요부판(12) 좌측선단에서 상기 수직후단보호판(11)과 동일간격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내측면에 수직기립된 철근(32)에 삽입고정되는 수직판체인 철근삽입고정판(13)이 형성되고, 철근삽입고정판(13) 내측면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정면에서 역"ㄷ"형상으로 절단된 후방절취선(13b)을 갖고 후방절취선(13b) 내측면이 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우측선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매립전선배관(20)의 후방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후방측탄성고정바(13a)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철근삽입고정판(13) 좌측선단에서 전방측으로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 요부형성되는 수직요부판체인 전방측반원요부판(14)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전방측반원요부판(14) 우측선단에서 상기 철근삽입고정판(13)과 수평되게 우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판체로 내측면에 상기 매립전기배관(20)이 삽입고정되는 전선삽입고정판(15)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고정판(15) 선단부 상하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절취선(13b) 상하단의 간격을 갖도록 우측선단 상하부에서 수평절단되는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을 각각 갖고 전방상하부절취선(15b,15c) 사이의 내측면이 후방측으로 사선방향 밀려 절곡되면서 우측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매립전선배관(20)의 전방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삽입을 유도하면서 탄성으로 걸림고정시키는 전방측탄성고정바(15a)가 형성되는 전기배관보호고정구(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0220178751A 2022-12-19 2022-12-19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60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751A KR102609903B1 (ko) 2022-12-19 2022-12-19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751A KR102609903B1 (ko) 2022-12-19 2022-12-19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903B1 true KR102609903B1 (ko) 2023-12-05

Family

ID=8915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751A KR102609903B1 (ko) 2022-12-19 2022-12-19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9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8718U (ja) * 1991-04-09 1992-10-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管用配管保護カバー
KR1998005161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와이어링과 케이블 고정용 클립 구조물
KR100730477B1 (ko) 2007-03-22 2007-06-1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688819B1 (ko)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1935524B1 (ko) 2018-04-30 2019-01-07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964620B1 (ko) * 2018-07-19 2019-04-02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JP2022036572A (ja) * 2020-08-24 2022-03-08 株式会社愛洋産業 電線保護管の保持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8718U (ja) * 1991-04-09 1992-10-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管用配管保護カバー
KR1998005161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와이어링과 케이블 고정용 클립 구조물
KR100730477B1 (ko) 2007-03-22 2007-06-1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688819B1 (ko)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1935524B1 (ko) 2018-04-30 2019-01-07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964620B1 (ko) * 2018-07-19 2019-04-02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JP2022036572A (ja) * 2020-08-24 2022-03-08 株式会社愛洋産業 電線保護管の保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172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US7601918B2 (en) Protective barrier for piping and cabling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40438B1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가요전선관 커넥터 겸용 고정구
KR1026099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964620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US10215307B2 (en) Pipe securing apparatus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198378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KR100730477B1 (ko)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935524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JP2019022290A (ja) 電線収容設備における保護管の取付具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20170129383A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0796210B1 (ko)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KR100673541B1 (ko) 벽면에 매설되는 건축물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102659393B1 (ko)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0649B1 (ko)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34777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110040014A (ko) 케이블 안내용 입상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