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91B1 -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91B1
KR102609791B1 KR1020230048775A KR20230048775A KR102609791B1 KR 102609791 B1 KR102609791 B1 KR 102609791B1 KR 1020230048775 A KR1020230048775 A KR 1020230048775A KR 20230048775 A KR20230048775 A KR 20230048775A KR 102609791 B1 KR102609791 B1 KR 10260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unmanned
sauce
reusa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섭
Original Assignee
(주)플레토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레토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플레토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3004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67D7/327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 시럽과 소스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 개인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할 수 있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로봇 및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에 결합된 펌프를 가압하여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는 세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회전판, 회전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복수의 액체 용기, 액체 용기의 상부와 결합하며 소정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액체 용기 내 시럽 또는 소스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 및 펌프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 가압부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펌프 가압부 하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하나의 액체 용기가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 시럽과 소스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 개인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할 수 있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커피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취향이 고급화되어 가고 있으며,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드립커피와 커피머신을 이용하여 추출된 에스프레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다양한 커피음료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하여 전문 커피 애호가들의 기호 및 취향의 충족 여부에 따라 커피 매출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커피의 맛에 따라 특정한 커피전문점을 찾는 애호가들이 늘고 있는 추세가 반영된 결과로 커피전문점에서는 커피의 맛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시간과 속도, 분쇄의 밀도, 물의 양 조절, 물의 온도, 물의 추출 압력, 스팀 압력 등 맛을 좌우하는 인자를 균일하게 구현하여야 하며, 이는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맛이 결정되고 매장의 매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카페에서 직원을 고용할 경우, 음료 제조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음료 제조 교육을 받은 직원이 일을 하다가 그만둘 경우에는 새로운 직원을 고용해 처음부터 교육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을 관리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해 운영 수익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로봇이 커피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적용된 카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적용된 카페는 무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건비 발생이 적고, 로봇에 의해 미리 정해진 레시피대로 음료가 제조되기 때문에 음료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객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시럽이나 소스의 첨가가 다양하게 이루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개인으로 소유하는 리유저블 컵이나 텀블러를 포함하는 다회용 컵을 소지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적용된 카페의 경우에는 다회용 컵에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회용 컵의 크기 및 종류가 다양하여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다회용 컵으로 음료를 제공받고자 할 때, 다회용 컵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피처가 다회용 컵과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되고, 다회용 컵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음료가 흘러넘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시럽이나 소스를 다양하게 첨가할 수 있고, 다회용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49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다회용 컵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고객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첨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럽이나 소스를 공급할 때 동작하는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면서 위생적으로 시럽이나 소스를 공급할 수 있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높이 조절부에 의해 받침대에 놓여진 텀블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제조 로봇을 이용한 음료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100); 상기 함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로봇(110); 및 상기 함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20)에 결합된 펌프(330)를 가압하여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액체 공급부(300);를 포함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300)는, 세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회전판(310); 상기 회전판(3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복수의 액체 용기(320); 상기 액체 용기(320)의 상부와 결합하며, 소정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액체 용기(320) 내 시럽 또는 소스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330); 및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 가압부(350);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판(310)이 상기 펌프 가압부(350) 하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하나의 액체 용기(320)가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함체(100)에는, 상기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음료 반출부(200); 및 사용자 개인 소유의 다회용 컵이 상기 함체(100) 내부로 반입되거나 반출되고, 상기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다회용 컵에 공급되면 외부로 음료가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음료 반출부(200)는, 상기 함체(10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통공 형태의 홀, 상기 홀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되,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문(210), 상기 개폐문(21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211), 상기 함체(100)의 내부이면서 상기 개폐문(2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면에 다회용 컵이 놓이는 컵 받침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회용 컵 투입부(400)는, 상기 함체(10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통공 형태의 홀, 상기 홀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되,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문(410), 상기 개폐문(41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411), 상기 함체(100)의 내부이면서 상기 개폐문(4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면에 다회용 컵이 놓이는 컵 받침대(420), 상기 컵 받침대(4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높이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펌프 가압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틱이 링크 구조로 연결되며, 일측이 모터(355)와 연결된 스틱이 상기 모터(355)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링크 구조로 연결된 다른 스틱이 상기 모터(355)와 연결된 스틱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터(355)는, 출력되는 동력을 제어하여 상기 펌프 가압부(350)가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330)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320) 내에서 외부로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액체 공급부(300)는, 상기 펌프(330)와 상기 펌프 가압부(35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액체 공급부(300)는, 음료 제조를 위한 복수의 재료가 수용된 컵이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장착된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의 재료가 섞이도록 하는 믹스부(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와; 사용자에 의해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입력 장치(20)와; 상기 입력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력 장치(20)에서 송신되는 음료 주문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20)는 미리 정해진 규격의 일회용 컵 또는 사용자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한 음료 주문이 가능하고, 상기 입력 장치(20)에 사용자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한 음료 주문이 입력된 경우,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는 다회용 컵을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 내부에 반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반입된 다회용 컵에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다회용 컵의 높이를 조절하며, 다회용 컵에 음료가 담겨지게 되면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는, 다회용 컵의 높이와 다회용 컵의 입구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4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다회용 컵의 이용 가능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의한 무인 음료 제조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20)를 통해 음료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음료 주문 정보 입력 단계(S100); 상기 입력 장치(20)에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를 서버(30)가 수신받아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 상기 서버(30)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고, 개방된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통해 사용자가 함체(100) 내부의 컵 받침대(420)에 다회용 컵을 투입하는 컵 투입 단계(S300);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폐쇄되고,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하며,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높이와 입구를 감지하여 다회용 컵의 입구가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 단계(S400); 서버(30)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 제조 로봇(110)이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단계(S500); 상기 음료 제조 단계(S500)를 통해 제조된 음료를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다회용 컵의 내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단계(S600); 상기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상기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복귀되고,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는 컵 반출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컵 투입 단계(S400)의 이후에는, 감지센서(440)에 의해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상기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상승되고, 상기 개폐문(410)이 개방되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할 수 있도록 반출하는 판단 단계(S800)가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단 단계(S80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사용자의 단말기에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또는 알림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이 조절 단계(S400)는,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되되,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면 하강을 멈추는 입구 감지 단계(S410),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되어 다회용 컵의 입구가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정되는 조정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료 제조 단계(S500)는, 음료 제조 로봇(110)이 추출 컵을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머신(130)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를 통해 추출된 에스프레소 샷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 단계(S520), 상기 추출 컵을 믹스부(370)에 결합하고 상기 믹스부(370)를 회전시켜 추출 컵 내부에 담겨진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가 혼합되도록 하는 믹스 단계(S530), 상기 믹스 단계(S530)를 통해 믹스된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에 물 또는 우유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단계(S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다회용 컵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고객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첨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럽이나 소스를 공급할 때 동작하는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면서 위생적으로 시럽이나 소스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에 의해 받침대에 놓여진 텀블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음료 제조 로봇을 이용한 음료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다회용 컵 투입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다회용 컵 투입부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회용 컵에 음료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20)와 입력 장치(20)에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를 수신받고, 음료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서버(30) 및 서버(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음료 주문 정보와 상응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를 포함한다.
이때, 입력 장치(20)는 서버(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형태로 매장 내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또는 서버(3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입력 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음료 주문 정보는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음료의 종류뿐만 아니라 해당 음료의 당도, 얼음 양, 에스프레소 샷 추가 여부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된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개략도와 도 2에 도시된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보면,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100)가 설치된다. 이때,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외면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 1의 개략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함체(100)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함체(100) 내부에는 작업 테이블이 설치되며 작업 테이블 상에는 커피를 포함한 여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이 설치된다. 먼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컵 또는 피처를 파지하고, 옮기는 음료 제조 로봇(110)이 설치된다. 음료 제조 로봇(110)은 끝단이 피처나 컵을 파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다관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테이블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테이블에는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머신(120), 아이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얼음이 만들어지는 제빙기(130)가 설치되며, 일회용 컵이 복수 개 적층된 컵 수납부(140)와 물이 공급되는 급수부(미도시)가 설치된다.
함체(100)의 전면에는 음료 반출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음료 반출부(200)에는 종이컵이나 일회용 컵이 놓이고, 사용자가 주문한 음료가 완성되면 음료 반출부(200)의 개폐문(210)이 하강되어 음료가 수용된 컵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후, 사용자가 음료를 픽업하면 개폐문(210)이 다시 상승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음료에 첨가되는 소스나 시럽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된 액체 공급부(300)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액체 공급부가 작업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관 형태의 유로를 따라 공급되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작업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리유저블 컵이나 텀블러를 포함하는 다회용 컵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20)를 통해 음료 주문 정보의 입력은 완료하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다회용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다회용 컵을 함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컵 받침대(420)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먼저 개폐문(410)이 하측으로 구동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홀이 개방되고, 개방된 홀을 통해 사용자가 함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컵 받침대(420)의 상측에 다회용 컵을 안착시키고 사용자의 손이 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개폐문(410)이 구동되어 상승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홀을 밀폐하면 컵 받침대(420)가 하강되어 음료 제조 로봇(110)이 음료를 다회용 컵에 담을 수 있도록 다회용 컵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후 다회용 컵에 음료가 담겨지게 되면 다회용 컵을 다시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홀이 개방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샷을 받는 컵이나 우유를 스팀하는 피처가 세척되는 세척부 및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냉장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가 작업 테이블 상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음료 반출부(2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 반출부(200)와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함체(100) 전면은 폐쇄된 형태이나, 음료 반출부(200)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음료가 담긴 컵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음료 반출부(200)의 높이 및 폭에 대응되거나 소정 높이 또는 소정 폭이 더 큰 통공 형태의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음료 반출부(200)는 전술한 홀과 홀을 개폐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개폐문(210)과 컵을 놓을 수 있는 컵 받침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음료 반출부(200)는 입력 장치(20)로부터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30)에 음료 주문 정보가 수신되고, 서버(30)는 음료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료를 제조한 후 컵에 담아 음료 반출부(200)의 컵 받침대(220)에 올려놓으면 음료가 담긴 컵을 사용자가 픽업할 수 있도록 음료 반출부(200)의 개폐문(210)이 하강되어 개방되게 된다.
개폐문(210)의 하부에는 승하강 제어부(211)가 구비되어 개폐문(210)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승하강 제어부(211)는 개폐문(210)의 하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벨트와 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개폐문(2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개폐문(21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컵 받침대(220) 하부에는 컵 받침대(220)에 컵이 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컵 받침대(220) 하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는 컵 받침대(220)의 상부에 컵이 놓여진 것을 감지하여 음료를 주문한 사용자가 컵을 픽업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승하강 제어부(211)에 전달하면 승하강 제어부(211)가 개폐문(210)을 하강시켜 홀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컵 받침대(220)의 상부에 놓여진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면 감지센서가 사용자에 의해 컵이 픽업된 것을 감지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제어신호를 승하강 제어부(211)에 전달하면 승하강 제어부(211)가 개폐문(210)을 상승시켜 홀을 밀폐함으로써 함체(10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달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음료가 담겨진 컵을 픽업하고 사용자의 손이 함체(100)의 외부로 벗어나는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시간은 음료를 픽업하고 사용자의 손이 함체(100)의 외부로 벗어나는 모든 동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 반출부(200)와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함체(100) 전면은 폐쇄된 형태이나,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함체(100) 내부로 다회용 컵을 반입하거나 음료가 담겨진 다회용 컵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높이 및 폭에 대응되거나 소정 높이 또는 소정 폭이 더 큰 통공 형태의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다회용 컵 투입부(400)에는 전술한 홀과 홀을 개폐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개폐문(410)과 다회용 컵을 놓을 수 있는 컵 받침대(420)와 다회용 컵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컵 받침대(4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높이 조절부(4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다회용 컵 투입부(400)는 입력 장치(20)로부터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30)에 음료 주문 정보가 수신되고, 서버(30)는 음료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료를 제조한 후 음료제조용 컵에 담겨진 음료를 컵 받침대(420)의 높여진 다회용 컵에 부어 수용시키면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할 수 있도록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개방되게 된다.
개폐문(410)의 하부에는 승하강 제어부(411)가 구비되어 개폐문(410)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승하강 제어부(411)는 개폐문(410)의 하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벨트와 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개폐문(4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개폐문(41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컵 받침대(420)의 하부에는 컵 받침대(420)를 상하로 이동시켜 컵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430)가 구비된다. 높이 조절부(430)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벨트와 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컵 받침대(4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컵 받침대(420) 하부에는 컵 받침대(420)에 다회용 컵이 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컵 받침대(420) 하부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다회용 컵을 컵 받침대(420)에 올려놓으면 이를 감지하여 컵 받침대(420)의 상측에 컵이 올려진 것을 판단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제어신호를 개폐문(410)의 승하강 제어부(411)에 전달하면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홀을 밀폐함으로써 함체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를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달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다회용 컵을 컵 받침대(420)에 올리고 사용자의 손이 함체(100)의 외부로 벗어나는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시간은 음료를 픽업하고 사용자의 손이 함체(100)의 외부로 벗어나는 모든 동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컵 받침대(420) 상에 올려지는 다회용 컵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는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거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회용 컵에 음료가 제공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다회용 컵 투입부의 동작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컵 수용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다회용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홀이 개방되고, 사용자는 컵 받침대(420) 위에 다회용 컵을 올린다. 다회용 컵이 컵 받침대(420) 위에 놓이면 컵 받침대(420)의 하부에 구비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컵 받침대(420) 위에 다회용 컵이 올려진 것을 감지하게 되고, 이를 일정시간 이후에 승하강 제어부(411)에 전달하면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홀을 밀폐한다.
이후, 높이 조절부(430)가 동작하여 컵 받침대(420)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함체(100)의 작업 테이블 상에는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센서(220)는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하강하는 컵 받침대(420)에 놓인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게 되면 높이 조절부(430)의 하강을 일시 정지한다.
다음으로,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소정 높이 상승하여 다회용 컵의 입구가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대해 일정 높이 이상 돌출되도록 제어한 후, 음료가 다회용 컵 내에 유입된다.
다회용 컵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음료 제조 로봇(110)과 다회용 컵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 제조 로봇(110)이 다회용 컵에 용이하게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 테이블의 상면과 다회용 컵의 입구 사이 거리는 작업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완성된 음료가 다회용 컵에 수용되면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처음 다회용 컵이 안착되었을 때의 높이가 되도록 상승하고,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홀이 개방됨으로써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컵 받침대(420) 상에 놓인 다회용 컵이 사용자에 의해 픽업된 것을 감지하면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홀을 밀폐하게 된다.
이하, 컵 수용부에서 다회용 컵을 수용하였으나, 다회용 컵이 너무 커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다회용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문(410)이 상승되고, 사용자는 컵 받침대(420) 위에 다회용 컵을 올린다. 다회용 컵이 컵 받침대(420) 위에 놓이면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홀을 밀폐하게 된다.
이후, 높이 조절부(430)가 동작하여 컵 받침대(420)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컵 받침대(420)가 끝까지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다회용 컵의 입구가 감지센서(440)로부터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다회용 컵이 음료 제조에 적합한 컵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다회용 컵의 이용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상승하고,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하강하여 사용자가 빈 다회용 컵을 반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컵 수용부에서 다회용 컵을 수용하였으나, 다회용 컵이 너무 작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다회용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문(410)이 상승되고, 사용자는 컵 받침대(420) 위에 다회용 컵을 올린다. 다회용 컵이 컵 받침대(420) 위에 놓이면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홀을 밀폐하게 된다.
이후, 높이 조절부(430)가 동작하여 컵 받침대(420)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컵 받침대(420)가 내려가는 동안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다회용 컵의 높이가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설정된 높이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상승하고, 승하강 제어부(411)에 의해 개폐문(410)이 하강하여 사용자가 빈 다회용 컵을 반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감지센서(440)는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이거나 비전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다회용 컵의 크기에 따라 다회용 컵이 음료를 제공받을 수 없을 경우에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를 안내하는 문구가 출력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회용 컵의 크기뿐만 아니라 함체(100) 내 상부에도 센서나 카메라가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제공한 다회용 컵의 입구가 작거나 다회용 컵 내부가 오염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음료를 다회용 컵에 제공할 수 없다는 알림과 함께 다회용 컵을 다시 반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공급부(300)는 함체(100) 내 작업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판(310)에 복수의 액체 용기(320)가 배치된다. 액체 용기(320) 내에는 헤이즐넛 시럽, 바닐라 시럽, 초코 소스, 캬라멜 소스, 과일청 등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과 소스가 수용되어 있다. 액체 용기(3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는 펌프 가압부(350)가 설치되며, 펌프 가압부(350)는 지그(3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종래에는 액체 용기가 작업 테이블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355)가 동작하면 액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를 통해 이동하여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과 소스가 공급되었다. 이때, 시럽과 소스가 통과하는 호스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서 위생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스 내에 시럽과 소스가 굳음에 따라 시럽과 소스 공급에 용이하지 않게 되고, 시럽과 소스 공급에 압력이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시럽과 소스 공급하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의 고장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체 공급부(300)를 작업 테이블 상으로 올려놓고, 회전 가능한 회전판(310) 상에 액체 용기(320)가 위치되도록 하고, 음료 주문 정보에 따라 회전판(310)이 회전하여 음료 제조에 적합한 시럽이나 소스가 담긴 용기가 펌프 가압부(350)가 설치된 위치와 일직선이 되도록 위치하게 한다. 이때, 회전판(310)에는 액체 용기(32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가이드하고 액체 용기(320)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주문 정보가 핫초코일 경우, 초코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20)가 펌프 가압부(350)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전판(310)이 회전하고, 음료 주문 정보가 바닐라라떼일 경우, 바닐라 시럽이 수용된 액체 용기(320)가 펌프 가압부(350)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전판(310)이 회전한다.
음료 주문 정보에 맞는 액체 용기(320)가 펌프 가압부(350) 아래에 위치하면 펌프 가압부(350)가 펌프를 직접 가압하여 액체 용기(320) 내 시럽 또는 소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액체 공급부(300)는 음료 주문 정보에 맞는 액체 용기(320)가 펌프 가압부(350) 아래에 위치했는지 판단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음료 제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펌프 가압부(350)에 의해 펌프(330)가 가압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펌프 가압부(350)는 복수의 링크 구조로 형성되어 각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가압부(350)는 제1스틱(351), 제2스틱(352), 제3스틱(353)을 포함하며, 제1스틱(351)은 모터(355)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2스틱(352)에 동력을 전달하고, 제2스틱(352)은 제1스틱(351)과 제3스틱(353) 사이에서 구비되되 양단부가 각각 제1스틱(351)과 제3스틱(353)에 결합되어 제1스틱(351)의 회전력을 제3스틱(352)에 전달하여 제3스틱(352)이 상하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이다. 제3스틱(353)의 하단에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와 결합하는 펌프 결합부(354)가 형성된다. 펌프 결합부(354)의 하부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55)가 동작하여 제1스틱(351), 제2스틱(352), 제3스틱(353)이 회동하여 펌프 결합부(354)가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 상부에 끼워진 후 모터(355)가 동작하여 제1스틱(351), 제2스틱(352), 제3스틱(353)이 회동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가 가압되게 된다.
즉, 제1스틱(351)이 모터(355)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인해 회동하고, 제1스틱(351)의 회동에 의해 제2스틱(352)이 회동하게 되고, 제2스틱(352)의 회동에 의해 제3스틱(353)이 상하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가 가압되는 것이다. 이때, 제3스틱(353)이 1회 상하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도 1회 가압되고, 펌프 가압부(350)가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1회 가압할 때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일정하게 설정하여 일정한 양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펌프 가압부(350)가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1회 가압할 때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10ml라고 할 경우, 2회 가압하면 20ml, 3회 가압하면 30ml로 공급되도록 하여 시럽이나 소스의 양의 조절을 가압 횟수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액체 용기(320)에 담긴 시럽이나 소스를 사용함에 따라 액체 용기(320) 내에 담긴 시럽이나 소스가 설정된 양보다 적어서 액체 용기(320)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20)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하기 위해 액체 용기(320)에 남은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때, 액체 용기(320)에 남은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액체 용기(320)가 놓인 회전판(310)에 각각의 무게 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액체 용기(320)의 무게가 일정 값 이하면 액체 용기(320) 내 시럽이나 소스가 기준보다 미달이라고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을 송신해 액체 용기(320)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20)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펌프(330)가 가압된 횟수를 측정하여 액체 용기(320) 내에 남은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액체 용기(320) 내 시럽 또는 소스가 500ml가 담기고, 펌프 가압부(350)가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1회 가압할 때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10ml이 배출되며, 액체 용기(320) 내의 시럽 또는 소스가 50ml 이하가 되면 관리자에게 알림이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45번 가압하면 액체 용기(320) 내에는 시럽 또는 소스가 50ml가 남아 있는 것으로 산출되어 관리자에게 알림이 송신되어 액체 용기(320)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20)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은 수축되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 길이에 따라 10ml, 20ml, 30ml 등 일정한 양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액체 용기(320)에 구비되는 펌프(33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펌프 가압부(350)에 의해 배출되는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펌프 가압부(350)에 의해 액체 용기(320)에 구비된 펌프(330)의 수축 길이가 조절되어 펌프 가압부(350)에 의해 배출되는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을 조절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보면, 액체 용기(320)에 구비되는 펌프(330)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도 7a (a)의 펌프(330) 길이는 d1, 도 7a (b)의 펌프(330) 길이는 d2, 도 7a (c)의 펌프(330) 길이는 d3라고 할 때, 액체 용기(320)에 구비되는 펌프(330)의 길이는 d1〈 d2〈 d3 순이며, 1회 가압되었을 때 공급되는 시럽 또는 소스의 양 또한 d1〈 d2〈 d3 순이다.
즉, 도 7a (a)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면 시럽 또는 소스가 10ml 공급되고, 도 7a (b)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면 시럽 또는 소스가 20ml 공급되며, 도 7a (c)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면 시럽 또는 소스가 30ml 공급된다고 가정한다.
음료 제조 로봇(110)이 캬라멜 마끼아또를 제조하기 위해 에스프레소 머신(120)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고, 에스프레소 샷에 캬라멜 소스를 첨가한다. 캬라멜 마끼아또를 제조하기 위해 캬라멜 소스를 30ml 첨가해야 할 경우, 도 7a (a)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펌프 가압부(350)가 3번 가압해야 하나, 도 7a (c)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펌프 가압부(350)가 1번만 가압하면 되기 때문에 음료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도 7a (b)와 같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1회 가압되었을 때 공급되는 캬라멜 시럽이 20ml인 경우에는 캬라멜 시럽이 30ml가 되도록 정확하게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음료 제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펌프 가압부(350)에 의해 1회 배출되는 시럽이나 소스 양을 적게 설정하고, 펌프 가압부(350)를 여러 번 가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펌프 가압부(350)의 제어에 의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가 수축되는 길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액체 용기(320)에서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7b (a)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끝까지 가압한 것이고, 도 7b (b)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1/3만 가압한 것이고, 도 7b (c)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절반만 가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펌프 가압부(350)의 모터(355)에 의해 제1스틱(351)의 회전 각도가 제어되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가 수축되는 길이를 변경하여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모터(355)의 종류에 따라 펌프 가압부(350)의 동작이 변경될 수 있다. 제1스틱(351)과 결합된 모터(355)가 캠 모터일 경우에는 제1스틱(35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나, 제어된 회전 각도가 고정되어 다시 제어되기 전까지는 항상 일정한 양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게 된다.
즉, 액체 용기(320)로부터 5ml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게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다시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변경하는 제어가 있기 전까지는 5ml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제1스틱(351)과 결합된 모터(355)가 스테핑 모터일 경우에는 모터 회전을 제어하여 1회 가압할 때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8ml, 2회째 가압할 때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6ml로 제어될 수 있도록 스테핑 모터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액체 용기(32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음료를 제조하는 데에 25ml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어야 하고,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끝까지 가압했을 때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은 15ml라고 가정한다.
제1스틱(351)과 연결된 모터(355)가 캠 모터일 경우에는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5ml만 가압하도록 제어되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5회 가압하여 25ml의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1스틱(351)과 연결된 모터(355)가 스테핑 모터일 경우에는 1회는 15ml, 2회는 10ml가 공급될 만큼 가압하도록 제어되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2회 가압한다. 또는 1회는 10ml, 2회는 15ml가 공급될 만큼 가압하도록 제어되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2회 가압할 수 있다. 또는 1회는 13ml, 2회는 12ml가 공급될 만큼 가압하도록 제어되어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2회 가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가 제1스틱(351)과 연결될 경우에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음료 제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입력 장치(20)에서 사용자가 음료 주문 정보를 입력할 때, 음료의 당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버(30)는 음료 주문 정보에 포함된 당도 정보를 기반으로 액체 공급부(300)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복수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시럽이나 소스를 음료에 공급되도록 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체 용기(320)가 회전판(31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자로 배열될 수도 있다.
펌프 가압부(35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360)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60)을 따라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2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액체 용기(320)의 상부에 펌프 가압부(350)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액체 공급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부(3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판(310)에 복수의 액체 용기(320)가 배치되고, 액체 용기(3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액체 용기(320)의 펌프(330)를 가압하는 펌프 가압부(350)가 설치되며, 펌프 가압부(350)는 지그(3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회전 가능한 회전판(310) 상에 액체 용기(320)가 위치되도록 하고, 음료 주문 정보에 따라 회전판(310)이 회전하여 음료 제조에 적합한 시럽이나 소스가 담긴 용기가 펌프 가압부(350)가 설치된 위치와 일직선이 되도록 위치하게 한다. 이때, 회전판(310)에는 액체 용기(32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가이드하고 액체 용기(320)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액체 공급부(300)는 작업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컵 안에 든 내용물이 섞이도록 회전시키는 믹스부(3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이며, 컵이 삽입되면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n회 이상 회전되도록 해 컵에 담긴 내용물이 섞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믹스부(370)는 펌프(330)를 통해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컵에 직접 받기 위해 펌프(330) 아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음료 제조 로봇(110)이 컵을 파지하여 펌프(330)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컵 내부에 받은 후 음료 제조 로봇(110)이 믹스부(370)에 컵을 장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음료를 제조할 때 다른 재료를 섞기 위해 음료 제조 로봇(110)이 스틱과 같은 믹스 수단으로 휘저어서 섞어야 했으나, 음료 제조 로봇(110)으로 휘젓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잘 섞이지 않고 음료 제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부(300)는 믹스부(370)가 구비되어 복수의 재료를 용이하게 섞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를 통해 만들어지는 다수의 음료 중 캬라멜 마끼아또의 제조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음료 제조 로봇(110)이 캬라멜 마끼아또를 제조하기 위해 에스프레소 머신(120)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고, 에스프레소 샷이 컵에 담긴다.
다음으로, 에스프레소 샷이 들어 있는 컵에 캬라멜 소스가 첨가된다. 캬라멜 마끼아또를 제조하기 위해 캬라멜 소스를 30ml 첨가해야 할 경우, 펌프 가압부(350)의 동작에 의해 펌프(330)가 가압되어 30ml의 캬라멜 소스가 컵 내부로 공급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에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담긴 컵이 믹스부(370)에 장착된다. 또는, 컵이 믹스부(370)에 장착된 상태로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공급되었을 수도 있다. 이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의 설정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처음에는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층을 이루고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믹스부(370)가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회 이상 회전시키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이게 된다.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인 후 스팀 우유가 컵에 공급되어 따뜻한 캬라멜 마끼아또가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통해 반출되거나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인 후 차가운 우유와 얼음이 컵에 공급되어 아이스 캬라멜 마끼아또가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통해 반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회용 컵에 음료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회용 컵에 음료 제공하는 방법은 음료 주문 정보 입력 단계(S100),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 컵 투입 단계(S300), 높이 조절 단계(S400), 음료 제조 단계(S500), 음료 공급 단계(S600) 및 컵 반출 단계(S70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컵 투입 단계(S300)의 이후에 실시되는 판단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주문 정보 입력 단계(S100)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주문하고자 하는 음료의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되는 단계인 것이다. 본 단계는 입력 장치를 통해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는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음료 주문 정보 입력 단계(S100)의 이후에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가 실시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는 서버가 입력 장치를 통해 음료 주문 정보를 수신받고 이렇게 수신된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음료 주문 정보를 서버를 통해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본 단계를 통해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의 이후에는 컵 투입 단계(S300)가 실시될 수 있다.
컵 투입 단계(S300)는 서버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고 개방된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통해 사용자가 다회용 컵을 함체(100) 내부의 컵 받침대(420)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승하강 제어부(411)가 구동되어 개폐문(410)을 하강시켜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음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다회용 컵을 함체(100)의 내부 즉, 함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컵 받침대(420)의 상측에 다회용 컵을 투입하여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컵 투입 단계(S300)의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판단 단계(S800)가 실시될 수 있다.
판단 단계(S800)는 사용자의 다회용 컵이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회용 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다회용 컵이 컵 받침대(420)에 올려지면 먼저, 승하강 제어부(411)의 구동에 의해 개폐문(410)을 상승시켜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밀폐하여 폐쇄한다. 이후,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하여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높이와 입구를 감지하여 이용 가능한 다회용 컵인지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다.
즉, 본 단계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설명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감지센서(440)를 통해 다회용 컵의 입구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 다회용 컵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거나 하여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음료를 용이하게 제공받기 어려운 다회용 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판단 단계(S800)에서는 감지센서(440)에 의해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이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다회용 컵의 반출이 실시될 수 있다.
다회용 컵의 반출은 판단 단계(S800)에서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이라고 판단된 경우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상승되고 개폐문(410)이 개방되어 내부가 빈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반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판단 단계(S800)에서는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의 반출과 동시에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사용자의 단말기에 컵 반출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또는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 단계(S800)를 통해 다회용 컵의 사용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다회용 컵의 반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컵 투입 단계(S300) 및 판단 단계(S800)가 완료된 이후에는 높이 조절 단계(S400)가 실시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단계(S400)는 컵 투입 단계(S300)를 통해 컵 받침대(420)의 상측에 올려진 다회용 컵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높이 조절부(430)를 통해 컵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회용 컵이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높이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단계의 높이 조절 단계(S400)는 입구 감지 단계(S410)와 조정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감지 단계(S410)는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되되,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할 때까지 컵 받침대(420)의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컵 받침대(420)의 하강은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게 되면 정지되어 다회용 컵이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높이로의 조정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를 통해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여 동일한 위치에 다회용 컵의 입구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조정 단계를 통해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다회용 컵이 일정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하여 음료 제조 로봇(110)의 이동시 다회용 컵에 부딪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음료 제조 로봇(110)을 통해 제공되는 음료가 다회용 컵의 외부로 흐르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회용 컵에 정확하게 음료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입구 감지 단계(S410)의 이후에는 조정 단계(S420)가 실시될 수 있다.
조정 단계(S420)는 입구가 감지되어 정지된 컵 받침대(420)의 높이를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전술한 단계에서 입구 감지가 완료되면 컵 받침대(42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되어 다회용 컵의 입구가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정되는 단계인 것이다.
본 단계를 통해 높이 및 크기가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다회용 컵들이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술한 입구 감지 단계와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단계(S400)를 통해 높이 및 크기가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다회용 컵이더라도 다회용 컵이 작업 테이블의 상측으로 동일한 높이만큼이 돌출되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다회용 컵들이 음료를 제공받을 때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높이 조절 단계(S400)가 완료되면 음료 제조 단계(S500)가 실시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 단계(S400)를 통해 다회용 컵이 음료를 제공받도록 위치되면 음료 제조 로봇(110)이 다회용 컵에 제공할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단계는 서버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 주문 정보에 알맞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 제조 단계(S500)는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와 소스 공급 단계(S520), 믹스 단계(S530) 및 액체 공급 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는 음료 제조 로봇(110)이 추출 컵을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머신(120)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에스프레소 샷의 추출이 완료되면 음료 제조 로봇(110)이 에스프레소 샷이 담긴 추출 컵을 파지한 상태로 액체 공급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샷 추출 단계(S510)의 이후에는 소스 공급 단계(S520)가 실시될 수 있다.
소스 공급 단계(S520)에서는 에스프레소 샷이 담겨진 추출 컵에 액체 공급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소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아메리카노와 같은 커피 종류인 경우 액체 공급부(300)를 통해 별도의 소스를 공급받지 않고 후술하는 액체 공급 단계(S540)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캬라멜 마끼아또일 경우 에스프레소 샷이 담겨진 추출 컵에 액체 공급부(300)를 통해 캬라멜 시럽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핫초코 또는 아이스 초코일 경우 에스프레소 공급 단계(S510)는 생략되고 소스 공급 단계(S520)가 실시되어 제조 컵에 초코 소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소스 공급 단계(S520)의 이후에는 믹스 단계(S530)가 실시될 수 있다.
믹스 단계(S530)는 추출 컵을 믹스부(370)에 결합하고 믹스부(370)를 회전시켜 추출 컵 내부에 담겨진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캬라멜 마끼아또와 같이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의 믹스가 필요한 경우 믹스부(370)의 회전을 통해 에스프레스 샷과 소스가 잘 혼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믹스 단계(S530)가 실시된 이후에는 액체 공급 단계(S540)가 실시될 수 있다.
즉, 액체 공급 단계(S540)는 사용자가 입력 음료 주문 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액체를 공급받아 음료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아메리카노와 같은 커피 종류인 경우 에스프레소 샷이 담겨진 추출 컵에 온수를 공급하여 핫 아메리카노의 제조를 완료하거나 에스프레소 샷이 담겨진 추출 컵에 냉수와 얼음을 공급하여 아이스 아메리카노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캬라멜 마끼아또인 경우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믹스된 추출 컵에 스팀 우유를 공급하여 핫 캬라멜 마끼아또의 제조를 완료하거나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믹스된 추출 컵에 차가운 우유와 얼음을 공급하여 아이스 캬라멜 마끼아또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음료 주문 정보가 핫초코인 경우 초코 소스가 담겨진 제조 컵에 스팀 우유를 공급하여 핫초코의 제조를 완료하거나 초코 소스가 담겨진 제조 컵에 차가운 우유와 얼음을 공급하여 아이스 초코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과정들을 통하여서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에 알맞은 음료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음료 제조 단계(S500)의 이후에는 음료 공급 단계(S600)가 실시될 수 있다.
음료 공급 단계(S600)는 음료 제조 단계(S500)를 통해 제조된 음료를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다회용 컵의 내부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를 높이 조절 단계(S400)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어 준비된 다회용 컵의 내부로 추출 컵과 믹스 컵 및 제조 컵에 제조 완료되어 담겨진 음료를 부어 완성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음료 공급 단계(S600)가 완료된 이후에는 컵 반출 단계(S700)가 실시될 수 있다.
컵 반출 단계(S700)는 다회용 컵에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처음의 위치로 상승되어 복귀되고,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반출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에서는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할 수 있도록 음료를 공급받은 다회용 컵이 놓여진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복귀되고, 개폐문(410)이 개방되어 개방된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홀을 통해 사용자가 음료가 담겨진 다회용 컵을 픽업하여 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일련의 단계들을 통하여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여 사용자의 다회용 컵의 공급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 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무인 음료 제조 장치
20 : 입력 장치 30 : 서버
100 : 함체
110 : 음료 제조 로봇 120 : 에스프레소 머신
130 : 제빙기 140 : 컵 수납부
200 : 음료 반출부
210 : 개폐문 211 : 승하강 제어부
220 : 컵 받침대
300 : 액체 공급부
310 : 회전판 320 : 액체 용기
330 : 펌프 340 : 지그
350 : 펌프 가압부 351 : 제1스틱
352 : 제2스틱 353 : 제3스틱
354 : 펌프 결합부 355 : 모터
360 : 가이드 레일 370 : 믹스부
400 : 다회용 컵 투입부
410 : 개폐문 411 : 승하강 제어부
420 : 컵 받침대 430 : 높이 조절부
440 : 감지센서

Claims (16)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100);
    상기 함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로봇(110); 및
    상기 함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20)에 결합된 펌프(330)를 가압하여 시럽이나 소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액체 공급부(300);를 포함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300)는,
    세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회전판(310);
    상기 회전판(3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음료 제조에 이용되는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복수의 액체 용기(320);
    상기 액체 용기(320)의 상부와 결합하며, 소정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액체 용기(320) 내 시럽 또는 소스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330); 및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 가압부(350);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판(310)이 상기 펌프 가압부(350) 하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시럽 또는 소스가 수용된 하나의 액체 용기(320)가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에는,
    상기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음료 반출부(200); 및
    사용자 개인 소유의 다회용 컵이 상기 함체(100) 내부로 반입되거나 반출되고, 상기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다회용 컵에 공급되면 외부로 음료가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반출부(200)는,
    상기 함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통공 형태의 홀;
    상기 홀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되,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문(210);
    상기 개폐문(21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211);
    상기 함체(100)의 내부이면서 상기 개폐문(2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면에 다회용 컵이 놓이는 컵 받침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회용 컵 투입부(400)는,
    상기 함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통공 형태의 홀;
    상기 홀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개폐하되,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문(410);
    상기 개폐문(41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411);
    상기 함체(100)의 내부이면서 상기 개폐문(4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면에 다회용 컵이 놓이는 컵 받침대(420);
    상기 컵 받침대(4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높이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가압부(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틱이 링크 구조로 연결되며, 일측이 모터(355)와 연결된 스틱이 상기 모터(355)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링크 구조로 연결된 다른 스틱이 상기 모터(355)와 연결된 스틱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55)는,
    출력되는 동력을 제어하여 상기 펌프 가압부(350)가 상기 펌프(330)를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330)에 가해지는 압력 조절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320) 내에서 외부로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300)는,
    상기 펌프(330)와 상기 펌프 가압부(35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300)는,
    음료 제조를 위한 복수의 재료가 수용된 컵이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장착된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의 재료가 섞이도록 하는 믹스부(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와;
    사용자에 의해 음료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입력 장치(20)와;
    상기 입력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력 장치(20)에서 송신되는 음료 주문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20)는 미리 정해진 규격의 일회용 컵 또는 사용자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한 음료 주문이 가능하고,
    상기 입력 장치(20)에 사용자 소유의 다회용 컵을 이용한 음료 주문이 입력된 경우,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는 다회용 컵을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 내부에 반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반입된 다회용 컵에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다회용 컵의 높이를 조절하며, 다회용 컵에 음료가 담겨지게 되면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는,
    다회용 컵의 높이와 다회용 컵의 입구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4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다회용 컵의 이용 가능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1. 제10항에 기재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의한 무인 음료 제조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20)를 통해 음료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음료 주문 정보 입력 단계(S100);
    상기 입력 장치(20)에 입력된 음료 주문 정보를 서버(30)가 수신받아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S200);
    상기 서버(30)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다회용 컵 투입부(400)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410)이 하강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고, 개방된 다회용 컵 투입부(400)를 통해 사용자가 함체(100) 내부의 컵 받침대(420)에 다회용 컵을 투입하는 컵 투입 단계(S300);
    개폐문(410)이 상승되어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폐쇄되고,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하며,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높이와 입구를 감지하여 다회용 컵의 입구가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 단계(S400);
    서버(30)를 통해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음료 제조 로봇(110)이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단계(S500);
    상기 음료 제조 단계(S500)를 통해 제조된 음료를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다회용 컵의 내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단계(S600);
    상기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상기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복귀되고,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다회용 컵 투입부(400)가 개방되는 컵 반출 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투입 단계(S400)의 이후에는,
    감지센서(440)에 의해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상기 컵 받침대(420)가 처음 위치로 상승되고, 상기 개폐문(410)이 개방되어 다회용 컵을 사용자가 픽업할 수 있도록 반출하는 판단 단계(S800);가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S80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10)에 별도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사용자의 단말기에 이용 불가능한 다회용 컵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또는 알림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단계(S400)는,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하강되되, 감지센서(440)가 다회용 컵의 입구를 감지하면 하강을 멈추는 입구 감지 단계(S410);
    높이 조절부(430)에 의해 컵 받침대(42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되어 다회용 컵의 입구가 음료 제조 로봇(11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정되는 조정 단계(S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 단계(S500)는,
    음료 제조 로봇(110)이 추출 컵을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머신(130)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단계(S510)를 통해 추출된 에스프레소 샷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 단계(S520);
    상기 추출 컵을 믹스부(370)에 결합하고 상기 믹스부(370)를 회전시켜 추출 컵 내부에 담겨진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가 혼합되도록 하는 믹스 단계(S530);
    상기 믹스 단계(S530)를 통해 믹스된 에스프레소 샷과 소스에 물 또는 우유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단계(S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16. 삭제
KR1020230048775A 2023-04-13 2023-04-13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260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775A KR102609791B1 (ko) 2023-04-13 2023-04-13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775A KR102609791B1 (ko) 2023-04-13 2023-04-13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91B1 true KR102609791B1 (ko) 2023-12-05

Family

ID=8915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775A KR102609791B1 (ko) 2023-04-13 2023-04-13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44A (ko)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무인 카페 시스템용 과즙음료 제조 장치
KR102187090B1 (ko) * 2020-05-07 2020-12-04 박노섭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
KR20210024956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230728B1 (ko) * 2020-12-15 2021-03-22 (주)엠디엑스 음료 자동 제조 및 자동 청소기능이 구비된 무인 카페 시스템
KR102438220B1 (ko) * 2022-04-13 2022-08-30 김경진 일회용 컵 수거 장치
KR102497339B1 (ko)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44A (ko) * 2018-05-24 2019-12-04 노종진 무인 카페 시스템용 과즙음료 제조 장치
KR102187090B1 (ko) * 2020-05-07 2020-12-04 박노섭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
KR20210024956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230728B1 (ko) * 2020-12-15 2021-03-22 (주)엠디엑스 음료 자동 제조 및 자동 청소기능이 구비된 무인 카페 시스템
KR102438220B1 (ko) * 2022-04-13 2022-08-30 김경진 일회용 컵 수거 장치
KR102497339B1 (ko)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116B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AU2013347133B2 (en) Beverage Machine
JP6023819B2 (ja) 飲料調製マシン
EP1531708B1 (de) Abgabevorrichtung für getränke
KR101234041B1 (ko) 음용수 및 식품 프린팅 머신
US7258247B2 (en) Automated condiment dispensing system
RU2582949C2 (ru) Взв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варки эспрессо и кофеварка эспрессо, в которую встроено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EP25472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KR101716641B1 (ko) 커피 제조장치
ES2320475T3 (es) Distribuidor de bebidas regulable en altura.
US9533783B2 (en) Custom-content beverage cartridge manufacturing and vending machine
US20030079612A1 (en) Self-contained vending machine for beverages
US200502387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from liquid concentrates beverages having multi-layer visual appearance
US20090101020A1 (en) Automatic single cup brewing vender
KR102609791B1 (ko) 무인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WO2011130439A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KR102497339B1 (ko) 무인 음료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다회용 컵 출입 장치
KR102523539B1 (ko)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KR20240083874A (ko) 로봇핸드를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기
KR20220146949A (ko) 커피 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 음료 제조방법
KR102579134B1 (ko) 액체 자동 공급 장치
KR102666989B1 (ko)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US202402607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preparation and delivery of beverages
US20240260784A1 (en) Method for automated preparation and delivery of multiple beverages simultaneously
EP4300451A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