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12B1 -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 Google Patents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12B1
KR102609712B1 KR1020230060077A KR20230060077A KR102609712B1 KR 102609712 B1 KR102609712 B1 KR 102609712B1 KR 1020230060077 A KR1020230060077 A KR 1020230060077A KR 20230060077 A KR20230060077 A KR 20230060077A KR 102609712 B1 KR102609712 B1 KR 10260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guide
die
pla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석
김상욱
연기선
양현철
김범채
조경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to KR102023006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펀치와 다이의 클리어런스를 유지 확보할 수 있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은 판형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펀치블록, 상기 펀치블록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구비하는 상부조립부; 상기 펀치가 하강하면서 교차하여 타발이 이루어지는 다이, 상기 다이를 측면에서 고정하는 다이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와 다이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부조립부; 상기 펀치가이드를 가압하는 펀치가이드 가압부;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부조립부를 가이드포스트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NOTCHING MOLD FOR FILM CUTTING}
본 발명은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펀치와 다이의 클리어런스를 유지 확보할 수 있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운송 수단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스택형은 일정 크기로 절단된 전극들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는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이고, 권취형은 절단되지 않은 전극들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동시에 감아서 적층한 구조이다. 두 가지 방식 모두 고용량, 고출력의 이차전지 요구에 맞추어 전극의 전기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전극에 탭(ta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의 전극은 노칭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노칭 공정에서 노칭금형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각각 프레스에 장착되고 상부플레이트가 상하 이동하여 전극필름을 타발한다. 노칭금형의 상부 플레이트에는 펀치가 장착되며 노칭금형의 하부플레이트에는 다이가 장착되어 펀치와 다이가 교차될 때 전극필름의 타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칭 공정의 경우, 전극필름의 원활한 타발을 위하여 노칭금형의 펀치와 다이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고, 펀치와 다이 사이 간격을 금형 클리어런스(clearance)라고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노칭금형에서는 펀치와 다이는 개별적인 가공을 통하여 조립되므로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로 인해 금형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노칭금형의 조립 조건에 따라 금형 클리어런스가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펀치의 측면 및 다이 측면에는 직각 방향으로 측면 밀림 작용이 발생하는데, 특히 펀치에 작용하는 밀림작용에 의해 펀치가 휘어지거나 절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2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7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36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37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755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75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3-00435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가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펀치날과 다이날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은 판형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펀치블록, 상기 펀치블록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구비하는 상부조립부; 상기 펀치가 하강하면서 교차하여 타발이 이루어지는 다이, 상기 다이 측면에 위치하는 다이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와 다이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부조립부; 상기 펀치가이드를 가압하는 펀치가이드 가압부;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부조립부를 가이드포스트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립부는, 판형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가이드블록이 끼워져서 가이드블록과 결합된 상부플레이트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펀치블록; 상기 펀치블록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 및 상기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펀치가이드의 양 측면은 상하 운동 중에도 항상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치가이드의 양 측면에는 빗금 홈을 더 포함하여서 마찰면적을 줄여서 발열을 감소시키며, 노칭 공정시 발생되는 이물질은 펀치가이드 측면에 형성된 빗금 홈을 따라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의 양측면 내측으로 안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다이의 양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가이드는 내측면으로는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수용홈과 양측면으로는 돌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펀치가이드 측면은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의 안내면을 따라서 조립되며, 상기 펀치가이드 돌기의 단부는 다이의 단턱에 펀치가이드 가압부의 가압에 의하여 밀접하게 맞닿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치가이드 가압부는, 펀치가이드 가압장치; 및 상기 펀치가이드 가압장치와 힌지결합하는 롤러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품은 맞닿는 펀치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펀치에는 공기를 주입시키는 에어홀을 구비하며, 상기 펀치블록에는 상기 펀치의 에어홀에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가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펀치날과 다이날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가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펀치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타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가 항상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 내부에 위치하여 노칭금형의 분해, 조립, 및 타발 공정 등의 모든 상황에서 각 부품 간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와 고정 연결되는 펀치블록은 상부의 상부플레이트와는 고정되지 않고 가이드블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펀치가이드가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한 가압을 통하여 펀치가이드 돌기는 다이의 단턱에 펀치가이드 가압장치의 가압에 의하여 밀접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펀치날과 다이날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정밀하게 조정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가이드의 후면이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블록의 하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며, 도 2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하부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하부플레이트를 제거하여 펀치(210)와 펀치가이드(220)가 보여지도록 한다. 또한, 필름의 타발이 양측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실시예와는 달리 단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노칭금형(10)은 상부플레이트(130), 상기 상부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블록(120)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펀치블록(110), 상기 펀치블록(110)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210), 및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를 구비하는 상부조립부, 상기 펀치(210)와 대응되게 포켓(312,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는 다이(310), 상기 다이(310) 측면에 위치하는 다이플레이트(315) 및 상기 다이(310) 및 다이플레이트(315)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330)을 구비하는 하부조립부, 상기 펀치가이드(220)를 가압하는 펀치가이드 가압부,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부조립부를 가이드포스트(250)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조립부는 상부플레이트(130), 상기 상부플레이트(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록(120), 상기 가이드블록(120) 따라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펀치블록(110), 상기 펀치블록(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이며, 하부플레이트(330)와는 다수의 가이드포스트(250)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조립부는 프레스 등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30)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다수의 가이드포스트(250)를 따라서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블록(120)은 상면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30)와 결합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는 경사지게 넓어져서 하면이 상면보다 넓은 구조로서 레일 형상을 갖는다.
상기 펀치블록(110)은 상부에 가이드홈(111, 도 7 참조)이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서, 가이드홈(111)에 가이드블록(120)이 끼워져서 가이드블록(120)과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30)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펀치블록(110)은 상부플레이트(130)와 가이드블록(120)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부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펀치블록(110)의 하부는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와 결합한다.
상기 펀치(210) 및 펀치가이드(220)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하부조립부는 펀치(210)가 하강하면서 교차하여 타발이 이루어지는 다이(310), 다이(310)가 설치되는 다이플레이트(315), 및 상기 다이플레이트(315)를 지지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330)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플레이트(315)의 수평방향으로는 다이(310)가 끼워지며, 다이플레이트(315)는 볼트 등을 매개로 하부플레이트(330) 상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이며, 전극필름(미도시) 노칭 공정시 생성되는 스크랩이 배출되는 스크랩 배출구(331)가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스트리퍼(260)가 펀치(210)와 간섭되지 않게 펀치(210)와 다이(310) 사이인 상부플레이트(215)와 다이플레이트(315)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극필름(미도시)의 입출구에는 롤러(29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스트리퍼(260) 및 롤러(290)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가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하여 펀치(210)와 다이(310)의 클리어런스를 유지 확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다이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는 도 3의 도면과는 반대편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이(310)는 다이플레이트(315)의 안내면(313)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결합되는데, 다이(310)의 중앙 내측면에는 펀치(210)와 펀치가이드(220)가 관통하는 포켓(31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플레이트(315)의 양측면 내측으로는 다이(310)와 펀치가이드(220)가 인입되는 안내면(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플레이트(315)의 안내면(313)을 따라서 다이(310)가 인입되어서 결합되며, 다이(310)의 양단부에는 단턱(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210)는 노칭되는 전극필름(미도시)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펀치날(211)이 'ㄷ'자 형상이다. 펀치(210)는 펀치날(211)이 다이(310)의 포켓(312)에 삽입되면서 다이날(311)과 함께 노칭 작업을 수행한다. 펀치(210)는 펀치날(211)의 반대편 방향이 펀치가이드(220)와 결합된다.
상기 펀치가이드(220)는 양측면으로 돌기(225)가 형성되어서 돌기(225)의 내측면으로는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수용홈(222)이 형성되며, 펀치가이드(220) 측면은 다이플레이트(315)의 안내면(313)을 따라서 조립된다. 이때, 펀치가이드 돌기(225) 단부는 다이(310)의 단턱(314)에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의 가압에 의하여 밀접하게 맞닿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펀치(210)는 펀치가이드(22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서 다이(310)와 마주보게 된다.
상기 펀치가이드(220)의 양 측면은 상부플레이트(130)의 상하 운동 중에도 항상 다이플레이트(315)의 안내면(313)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내면(313)은 도면의 다이플레이트(315)와는 다르게 다이(31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이(310)의 양측면은 길게 연장되어 다이플레이트(315)와 접촉하며, 다이(310)의 양측면에 단턱이 형성되어서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펀치가이드(220)는 항상 다이플레이트(315) 또는 다이(310) 내에 위치한다.
상기 펀치가이드(220)의 양 측면에는 빗금 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펀치가이드(220)의 측면은 다이플레이트(315) 또는 다이(310)의 안내면(313)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펀치가이드(220) 측면은 마모되며 발열이 발생한다. 펀치가이드(220) 측면의 발열은 빗금 홈(227)을 통해 마찰면적을 줄여서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타발 공정시 발생되는 분진 등 이물질은 펀치가이드(220) 측면에 형성된 빗금 홈(227)을 따라 하부로 배출되어 펀치가이드(220) 측면에 소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가이드의 후면이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펀치가이드(220)를 가압하는 펀치가이드 가압부는 공압, 유압, 전기력, 기계력, 탄성력 등에 의하여 가압되는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재(420), 연결부재(420)의 타측에 힌지결합하는 롤러부품(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펀치가이드(220)의 후면은 펀치가이드 가압부의 롤러부품(430)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다이(310)와 펀치(210)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유지한다. 롤러부품(430)의 바퀴는 펀치가이드(2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롤러부품(430)으로 캠팔로워를 사용하는데, 동일한 작용을 하는 다른 부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펀치(210)는 다이(310)와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펀치가이드(22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마주하면서 교차하여 타발작업이 진행되며, 조립시에는 먼저 펀치가이드(220)의 측면이 다이플레이트(315) 또는 다이(310)의 안내면(313)을 따라서 조립되어서 펀치날(211)과 다이날(311)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한다.
펀치(210)와 다이(310)의 조립 이후에는 펀치가이드(220)의 돌기(225)는 다이(310)의 단턱(314)에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의 가압에 의하여 밀접하게 맞닿게 되어서 노칭금형의 타발 작동시에도 펀치날(211)과 다이날(311)의 클리어런스를 유지한다.
노칭금형의 타발 작동시에 펀치가이드 가압부는 지속적으로 펀치가이드(220)를 가압한다. 펀치가이드 가압장치(410)의 가압이 있는 상태로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가 상하 이동을 하기 때문에 펀치가이드 가압부 단부에는 롤러부품(430)을 사용한다. 롤러부품(430)의 바퀴는 펀치가이드(2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한다.
본 발명은 펀치가이드(220)가 항상 다이플레이트(315) 또는 다이(310)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분해, 조립, 타발 모든 상황에서 다이(310)와 펀치(210) 사이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펀치가이드 가압부의 롤러부품(430)은 펀치가이드(22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펀치(210)가 노칭 공정을 할 때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타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가 상부플레이트(130)에 고정연결된다면, 펀치가이드 가압부에 의한 펀치가이드(220)의 지속적인 가압에도 불구하고 펀치가이드(22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펀치가이드(220)와 연결되는 펀치블록(110)은 펀치가이드 가압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130)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120)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반복 설명하면, 펀치블록(110)은 상부플레이트(130)와 가이드블록(120)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부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블록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펀치블록(110)은 상부로는 가이드블록(120)을 개재한 상태로 상부플레이트(13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하부로는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와 연결된다.
노칭금형의 상부플레이트(130)가 프레스 등의 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면, 그 하부의 펀치블록(110)을 하강시키며, 펀치블록(110)이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를 하강시키면서 펀치(210)와 다이(310)가 교차될 때 전극필름(미도시)의 타발이 이루어진다.
전극필름의 타발시에 전극필름의 타발 공정시 발생되는 분진 등 이물질이 펀치(210)와 다이(310) 사이 또는 그 주위에 잔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를 이용한 이젝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펀치(210)의 에어홀(215, 도 4 참조)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이젝팅을 위하여 펀치블록(110)에 공기통로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는 펀치블록(110)에 공기인입구(113), 내부 공기관로, 공기분출구(115), 하부 공기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펀치(210)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220)는 상부플레이트(130)와 펀치블록(110)을 개재하여 가이드블록(120)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는 달리 펀치블록(110)과 가이드블록(12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와는 반대로 펀치블록(110)에 가이드블록(12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상부플레이트(130)에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칭금형이 전극필름의 타발에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다양한 필름, 금속판, 전기기판, 건축재 등의 타발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0: 노칭금형 110: 펀치블록
111: 가이드홈 113: 공기인입구
115: 공기분출구 117: 하부 공기홈
120: 가이드블록 130: 상부플레이트
210: 펀치 211: 펀치날
215: 에어홀 220: 펀치가이드
222: 펀치수용홈 225: 돌기
227: 빗금 홈 250: 가이드포스트
260: 스트리퍼 290: 롤러
310: 다이 311: 다이날
312: 포켓 313: 안내면
314: 단턱 315: 다이플레이트
330: 하부플레이트 331: 스크립 배출구
410: 펀치가이드 가압장치 420: 연결부재
430: 롤러부품

Claims (7)

  1. 판형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펀치블록, 상기 펀치블록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 및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구비하는 상부조립부;
    상기 펀치가 하강하면서 교차하여 타발이 이루어지는 다이, 상기 다이 측면에 위치하는 다이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와 다이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부조립부;
    상기 펀치가이드를 가압하는 펀치가이드 가압부;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부조립부를 가이드포스트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가이드의 양 측면은 상하 운동 중에도 항상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펀치블록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립부는,
    판형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가이드블록이 끼워져서 가이드블록과 결합된 상부플레이트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펀치블록;
    상기 펀치블록의 하부에서 위치하는 펀치; 및
    상기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가이드의 양 측면에는 빗금 홈을 더 포함하여서 마찰면적을 줄여서 발열을 감소시키며, 노칭 공정시 발생되는 이물질은 펀치가이드 측면에 형성된 빗금 홈을 따라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의 양측면 내측으로 안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다이의 양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가이드는 내측면으로는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수용홈과 양측면으로는 돌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펀치가이드 측면은 다이플레이트 또는 다이의 안내면을 따라서 조립되며, 상기 펀치가이드 돌기의 단부는 다이의 단턱에 펀치가이드 가압부의 가압에 의하여 밀접하게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치가이드 가압부는,
    펀치가이드 가압장치; 및
    상기 펀치가이드 가압장치와 힌지결합하는 롤러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품은 맞닿는 펀치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에는 공기를 주입시키는 에어홀을 구비하며,
    상기 펀치블록에는 상기 펀치의 에어홀에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KR1020230060077A 2023-05-09 2023-05-09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KR10260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077A KR102609712B1 (ko) 2023-05-09 2023-05-09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077A KR102609712B1 (ko) 2023-05-09 2023-05-09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12B1 true KR102609712B1 (ko) 2023-12-05

Family

ID=8915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077A KR102609712B1 (ko) 2023-05-09 2023-05-09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834B1 (ko) * 2004-06-30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어싱 프레스 장치
KR100885273B1 (ko) 2008-07-24 2009-02-25 주식회사 성진하이메크 Tab ic 타발 장치 및 tab ic 타발 방법
KR101348792B1 (ko) 2012-09-01 2014-01-10 김행관 프레스장치용 타발유니트
KR101943634B1 (ko) 2017-12-29 2019-01-29 신현집 펀치냉각수단이 구비된 리튬 2차 전지 극판의 타발금형
KR102023735B1 (ko) 2015-09-03 2019-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의 다이 및 스트리퍼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KR102097512B1 (ko) 2018-08-09 2020-04-06 주식회사 테크아이 노칭 프레스
KR102475580B1 (ko) 2022-05-02 2022-12-08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가공용 노칭금형
KR102492313B1 (ko) * 2022-08-19 2023-01-27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부분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 전극 가공용 노칭금형
KR20230043586A (ko) 2021-09-24 2023-03-31 김승용 2차전지 극판용 가변성 타발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834B1 (ko) * 2004-06-30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어싱 프레스 장치
KR100885273B1 (ko) 2008-07-24 2009-02-25 주식회사 성진하이메크 Tab ic 타발 장치 및 tab ic 타발 방법
KR101348792B1 (ko) 2012-09-01 2014-01-10 김행관 프레스장치용 타발유니트
KR102023735B1 (ko) 2015-09-03 2019-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의 다이 및 스트리퍼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KR101943634B1 (ko) 2017-12-29 2019-01-29 신현집 펀치냉각수단이 구비된 리튬 2차 전지 극판의 타발금형
KR102097512B1 (ko) 2018-08-09 2020-04-06 주식회사 테크아이 노칭 프레스
KR20230043586A (ko) 2021-09-24 2023-03-31 김승용 2차전지 극판용 가변성 타발기
KR102475580B1 (ko) 2022-05-02 2022-12-08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가공용 노칭금형
KR102492313B1 (ko) * 2022-08-19 2023-01-27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부분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 전극 가공용 노칭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2282B (zh) 燃料电池用分隔体及其制造方法
JP6798292B2 (ja) 金属板材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A2713192A1 (en) Gas flow passage forming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as flow passage forming member, and device for forming the gas flow passage forming member
US11090705B2 (en) Cutting device and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JP2016215207A (ja) 金型装置及び薄板材の打抜き方法
KR102023735B1 (ko) 일체형의 다이 및 스트리퍼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EP3032609B1 (en) Notching apparatus having scrap removing part
KR102609712B1 (ko) 필름 타발용 노칭금형
CN215355681U (zh) 一种能多面同步冲孔的冲压模具
US20220407198A1 (en)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and Electrolyte Inj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9705B1 (ko) 전극필름의 노칭 장치
JP6927025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03249238A (ja) 溝付き板材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溝付き板材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114976084A (zh) 燃料电池用的隔板以及发电单电池层叠体的制造方法
KR102633687B1 (ko) 이차전지의 전극 가공용 노칭금형
JP7017944B2 (ja) 金属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421179B1 (ko) 충전용 밧데리 케이스의 내압부 성형장치
CN213134585U (zh) 一种燃料电池金属极板边缘内扣特征的一体化折弯模具
CN220295657U (zh) 一种连续冲模上带保护结构的折弯机构
US11784324B2 (en)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CN215824057U (zh) 一种l型板模具
CN218648001U (zh) 一种电池包组装工装
JP2020064771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CN215090180U (zh) 一种用于冲压z形轮廓的冲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