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38B1 -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38B1
KR102609638B1 KR1020210046511A KR20210046511A KR102609638B1 KR 102609638 B1 KR102609638 B1 KR 102609638B1 KR 1020210046511 A KR1020210046511 A KR 1020210046511A KR 20210046511 A KR20210046511 A KR 20210046511A KR 102609638 B1 KR102609638 B1 KR 10260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bacteria
seaweed
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54A (ko
Inventor
정수희
강채린
Original Assignee
엔피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케이(주) filed Critical 엔피케이(주)
Priority to KR102021004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장내 유해균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장내 균들의 균형을 맞춰주고, 비만을 예방, 개선할 수 있어 장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UNDERIA PINNATIFIDA SPOROPHYLL HOT-WATER EXTRACT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본 발명은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장에는 >100조 마리의 균이 존재하는데 건강한 장에는 유익균과 유해균이 85:15의 수적 균형을 이루면서 장건강, 면역건강, 대사증후군발발억제, 날씬 체질유지, 더 나아가서는 정신건강까지 유지하게 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Zmora et al, 2018). 그러나 현대인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장내 균총의 균형이 무너져 유해균이 우세하게 존재하여 이로 인한 변비, 설사, 염증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아토피 등 자가면역질환, 심혈관계 질환을 대변하는 고혈압, 동맥경화 및 당뇨, 비만 및 과체중, 더 나아가서는 우울증, 조울증, 수면장애, 주의력결핍장애 및 치매의 위험에 놓여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Sekirov et al, 2010).
장내 세균은 일반적으로 야채와 통곡물 속 식이섬유 등 난소화성 고분자 화합물인 프리바이오틱스를 매일 일정량 섭취하는 식습관을 형성해야만 개선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식습관은 단시간에 개선되기 어렵고 집단의 식문화 영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개인의 의지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또한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식이섬유의 양이 많아(하루 권장량, 20 ~ 35g, 강순아, 2003; Institute of medicine, food and nutrition board, 2005) 습관화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보완해 화학합성에 의한 프락토 올리고당이 시중에 출시되었으나 이것도 12.5g을 매일 복용해야 비피도박테리움 종(Bifidobacterium sp.)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Bouhnik et al, 1996)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양도 3 ~ 8g으로 고시되어(식품의약품안전처, 2020) 지속적인 복용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8808호
이에, 본 발명자는 식습관의 변화 없이 단순 복용 만으로 빠른 시간 내에 불균형적인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을 이상적인 상태로 개선시켜 장내 균총 균형에 의한 장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80 ~ 100℃의 물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미역귀 무게의 5 ~ 15배, 바람직하게는 8 ~ 12배의 물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추출 시간은 1 ~ 3시간이 바람직하다. 용매인 물의 양은 추출 효율과 관련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물의 양이 많으면 추출 효율이 증가하지만, 대량생산의 어려움이 있어 미역귀 추출물은 상기 비율의 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최소 200 mg/1일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 600 mg/1일 또는 200 ~ 400 mg/1일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장내 균총 개선의 효과는 상기 미역귀 추출물 투여농도 의존적이어서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개선의 정도는 증대하지만, 장내 균총 개선 효과와 조성물의 제조 원가를 고려하였을 때 200 ~ 600 mg/1일, 또는 200 ~ 400 mg/1일의 투여량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지표 물질인 만니톨이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지표 물질이란 어떤 제품이 일정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함유되어야 할 성분을 표준으로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의 지표 물질은 만니톨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역귀 추출물에 치커리뿌리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더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효성분은 아커맨시아(Akkermansia),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엔테로카코스(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카코스(Lact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피도카코스(Pedococcus), 루미노카코스(Ruminococcus), 위셀라(Weissella) 속의 유익균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은 캄필로박터(Camphylobacter),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힐리코박터(Helicobacter), 레지오넬라(Legionella), 모록셀라(Moraxella),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나이세리아(Neisseria), 프로티우스(Proteus), 리케치아(Richettsia), 스태필로카코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카코스(Streptococcus), 비브리오(Vibrio), 옐시니아(Yersina) 속의 유해균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장내 유해균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장내 균들의 균형을 맞춰주고, 비만을 예방, 개선할 수 있어 장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의 장내 균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체유효성 평가 방법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 (하는) 단계" 또는 " ~ 의 단계"는 "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사람은 출생과 동시에, 미생물이 장내에 서식하기 시작하여 그 집단이 평형에 도달하면 안정된 장내 균총을 형성한다. 장내 균총은 숙주의 생리적 조건, 음식물, 약물 및 스트레스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변동한다.
정상 균총을 구성하는 미생물의 숫자와 활동은 외래성 인자(aloogenic factor)와 내인성 인자(autogenic factor)에 의해서 조절되는데, 전자는 숙주의 환경이나 식이 등에서 유발되며 후자는 균총내의 미생물들 사이에서 주로 일어나게 된다.
즉, 정상 균총의 균형은 장내의 강한 혐기적 조건, 장의 연동운동, 연속적인 배설 하에서 장관내의 서식처와 영양원에 대하여 경쟁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일부는 pH, 산화환원 전위, 담즙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 지방산, 유화수소 등에 의하여 정상 균총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장내 균총을 구성하는 개개의 미생물은 물질생산 또는 분해능에 의해 숙주에게 피해 또는 이익을 주기도 하는데 장내 균총 전체적으로 볼 때는 비타민 공급, 감염방지 및 장 기능(연동운동 및 흡수)을 돕는데 관여하고 있고 이로 인해 균총의 조성은 변비, 장 관련 질환 발생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들과 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장내에 비정상의 균총이 형성되어 있는데, 보통 소장에서의 균수가 현저히 증가하거나 유익균인 비피도박테리움 spp(Bifidobacterium spp)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반면 C. perfringers 등의 Clostridium spp.는 현저히 증가한 상태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하여 비피도박테리움 spp 등의 유용세균은 많이, 그리고 C. perfringers 등의 유해세균은 적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이상적인 장내 균총을 유지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역귀 추출물 또는 미역귀 추출분말을 사람에게 섭취시키는 경우에 장내 균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역귀(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는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인 미역의 포자엽으로 칼슘, 철, 요오드 등 미네랄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과 정미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알긴산(alginic acid), 후코이단(fucoidan)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미역귀의 기능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역귀가 나타내는 기능성으로는 항비만 및 항콜레스테롤 효과, 항암 효과 등에 대한 다수의 연구보고가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뿐만 아니라 천연 보습 및 주름개선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도 보고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미역에 비해 두껍고 점질물이 많아 식용으로 가치가 떨어지며, 일부만이 건조제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의 장내 유익균 증식 증진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내 균총 개선이란, 장내 유익균의 증식 또는 생장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 또는 생장은 억제하되,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장내 균총, 즉, 유해균과 유익균에 대한 비율은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내 유익균이란, 장내에 서식하고 있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미치는 미생물을 총칭할 수 있다. 예컨대, 장내 유익균은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커맨시아(Akkermansia),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엔테로카코스(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카코스(Lact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피도카코스(Pedococcus), 루미노카코스(Ruminococcus), 위셀라(Weissella) 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내 유해균이란, 장내에서 서식하고 있으면서 장염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효과를 미치는 미생물을 총칭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내 유해균은 캄필로박터(Camphylobacter),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힐리코박터(Helicobacter), 레지오넬라(Legionella), 모록셀라(Moraxella),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나이세리아(Neisseria), 프로티우스(Proteus), 리케치아(Richettsia), 스태필로카코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카코스(Streptococcus), 비브리오(Vibrio), 옐시니아(Yersina) 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 또는 생육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 또는 생육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 또는 생육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 또는 생육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대상자가 미역귀 추출분말을 매일 복용하는 경우에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이 미역귀 추출분말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배 ~ 8.1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유익균의 수치가 10% 이상 증가하거나 유해균의 비율이 10% 이상 감소한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이 경우 장내 균총 개선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기존 식단을 그대로 유지한 채 생활습관의 변화 없이 일정용량 이상의 미역귀 추출물을 함께 섭취하는 것만으로 균총 균형을 회복할 수 있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미역귀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미역귀 이물제거 및 분쇄 단계;
(b) 열수 추출 단계;
(c) 상등액 수거 및 농축 단계.
상기 (a) 미역귀 이물제거 및 분쇄 단계는 미역귀의 이물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로써, 분쇄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3x3cm 칩을 사용하여 분쇄한다.
상기 (b) 열수 추출 단계는 미역귀를 부직포 주머니에 넣고 미역귀 중량의 8 내지 12배, 바람직하게는 10배의 물에, 30분 내지 90분간, 바람직하게는 60분간 침지 후 상등액은 버리고 다시 1 내지 15배의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다.
상기 가열시 온도는 80℃ 내지 105℃에서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가열 시간은 80분 내지 150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분 내지 120분 가열한다.
상기 (c) 상등액 제거 후 생산 단계는 상기 (b) 단계를 통해 추출된 미역귀 추출물의 상등액을 10배로 감압 농축하여 미역귀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농축된 미역귀 추출물은 농축된 추출물 자체로 또는 분말화시켜 포함될 수 있으며, 분말화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후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치커리뿌리 추출물 및 프락토 올리고당과 함께 섭취될 수 있으나, 미역귀 추출물의 장내 균총 개선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식품과 함께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그의 가공식품(예: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각종 드링크, 쿠키, 엿,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과 장 염증성 질환 또는 장 운동장애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역귀 추출물을 건강음료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프리바이오틱스(probiotics)”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내 세균총 즉, 숙주의 건강에 이로움을 제공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즉 생균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거트 등의 발효식품의 일부 또는 식이보충제로서 소비된다. 프로바이오틱스로 알려진 미생물에는 유산을 생성하는 균주(lactic acid bacteria; LAB)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및 특정 종의 바실러스(Bacillus) 등이 있다.
생균제인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장내 유익한 박테리아의 생장을 돕는 난소화성 성분으로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영양원이 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을 말한다. 어떠한 식품 성분이, 대장 내 유용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미생물의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숙주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프리바이오틱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위장관의 상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아야 하고 대장 내 미생물 중 유용 세균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병원균 등의 유해균은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자는 미역귀 추출물을 섭취하는 경우 장내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프리바이오틱스의 유효성분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장내 균총 분석
장내 균총은 수거 kit(한국의과학연구원, 대전)을 이용하여 분변을 회수한 후 Next Generation Sequencing(NGS) 방법으로 metagenomics에 의한 총 세균을 검정하였다. 장내세균의 분석은 속(Genus) 단위에서 이루어졌으며, 유익균은 아커맨시아(Akkermansia),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엔테로카코스(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카코스(Lact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피도카코스(Pedococcus), 루미노카코스(Ruminococcus), 위셀라(Weissella) 속으로 정의하였고 유해균은 캄필로박터(Camphylobacter),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힐리코박터(Helicobacter), 레지오넬라(Legionella), 모록셀라(Moraxella),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나이세리아(Neisseria), 프로티우스(Proteus), 리케치아(Richettsia), 스태필로카코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카코스(Streptococcus), 비브리오(Vibrio), 옐시니아(Yersina) 속으로 정의하였다(한국의과학연구원, 대전).
2. 인체 유효성 평가 대상자 선정
인체 유효성 평가를 위한 대상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작위로 선발한 45명에 대한 장내 균총을 조사하여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이 85:15에서 벗어났거나 유익균의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 사람 30명을 성별, 나이, 비만도를 고려하여 3개의 구에 균등히 할당하였다. 각 시험구 대상자는 남 7 ~ 8명, 여 2 ~ 3명, 평균 나이는 44 ~ 45세이다(표 1).
시험군 성별 평균나이 비만도1 에 따른 인원 (명)
정상 전단계 1단계 2단계
대조구 8 2 45.7±12.99 2 5 2 1
시험구 1 7 3 44.0±12.47 3 4 2 1
시험구 2 7 3 45.3±11.28 1 3 4 1
1 비만도, 체질량지수 BMI(kg/m2) 기준
정상, 18.5 ~ 22.9; 비만 전단계, 23 ~ 24.9; 비만 1단계, 25 ~ 29.9; 비만 2단계, 30.0 ~ 34.9.
비만도는 지원자들의 몸무게와 신장을 측정하여 계산한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kg/m2)를 토대로 정상, 18.5 ~ 22.9, 비만 전단계, 23 ~ 24.9, 비만 1단계, 25 ~ 29.9, 비만 2단계, 30 ~ 34.9로 나누어 (https://calculator.asamaru.net/계산기/건강/체질량지수-bmi-비만도/), 인원을 각 구에 최대한 균등히 배치하였다.
3. 시험조성물
일반적으로 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난소화성 다당체 3g을 치커리추출분말 1.7g 과 프락토올리고당 1.3g의 혼합으로 대조구의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여기에 미역귀 추출분말 200 ~ 400mg을 혼합하여 각각 시험구 1에서 복용한 조성물 VHpre®1과 시험구 2에서 복용한 VHpre®2를 형성하였다 (표 2).
시험구 조성물 성분 및 배합량
대조구 대조구 치커리뿌리추출분말 1.7 g, 프락토올리고당 1.3g
시험구 1 VHpre®1 치커리뿌리추출분말 1.7 g, 프락토올리고당 1.3g, 미역귀 추출분말 200mg
시험구 2 VHpre®2 치커리뿌리추출분말 1.7 g, 프락토올리고당 1.3g, 미역귀 추출분말 400mg
VHpre® 조성물에 포함된 미역귀 추출분말은, 미역귀를 부직포(클린팩추출보자기 45x50, PP, 한의바이오, 대구)에 담고 미역귀 무게의 10배 물을 사용하여 95℃에서 1.5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물 상등액은 감압농축과 동결건조를 거쳐 분말화하였다. 미역귀 추출물의 지표 물질은 만니톨로 상기 미역귀 추출분말은 만니톨(mannitol) 25%(w/w)로 표준화하였다. 즉 200mg 미역귀 추출분말에는 50mg의 만니톨이 포함되어 있으며, 400mg 미역귀 추출분말에는 100mg의 만니톨이 포함된다.
4. 유효성 평가
대상자는 생활습관이나 식습관의 변화 없이 각 시험구에 따른 조성물을 매일 복용하도록 지도하였다. 조성물 섭취 후 6주가 되는 시점에 분변을 수거하여 장내 균총의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이때 유익균의 수치가 10% 이상 증가하거나 유해균의 비율이 10% 이상 감소한 사람은 조성물 복용에 따른 균총 개선 또는 악화방지의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하여 복용을 중지하고 데이터를 취합하였다.
한편 6주 시점에서 유익균의 수치가 증가하거나 유해균의 비율이 감소하지 않아 비율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은 조성물 복용을 계속하여 12주 시점에 분변 수거 후 장내 균총을 재분석하였다.
대조구는 12주까지 복용을 지속하였다. 유효성 평가가 완료된 시점에서 복용의 성실도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여 70% 이상인 경우만 데이터 통계처리 하였다. 이때 각 구당 1명씩의 탈락자가 발생하여 최종 각 구당 9명에 대해 개선 또는 악화된 인원의 퍼센테이지(percentage)로 수치화였다.
유효성 평가 전후의 다양성 증가 비율은 유익균의 종류를 속 단위에서 조사하여 각 구 9명 중 유익균 종류가 증가한 사람의 비율을 구하였다. 조성물 복용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복용 후 6주 혹은 12주 시점에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이 장내 균총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복용 전과 비교하여 증가한 배수의 평균값을 구하여 판단하였다.
<결과>
1. 동물실험 결과
본 발명자는 미역귀 추출물 2mg, 4mg, 8mg을 rat에 경구투여 후 12주 후 유익균과 유해균의 비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구 유익균:유해균1
대조구(물) 70:30
VHpre®2mg 70:30
VHpre®4mg 80:20
VHpre®8mg 90:10
1각 시험구의 Rat을 개인 케이지에 사육하면서 VHpre® 규정량을 물 1ml에 녹여 경구투여하고 12주 후 분변의 메티지노믹스로 산정된 유해균과 유익균의 비율을 나타냄. 수치는 각 구당 4마리 데이터의 평균치를 나타냄.
초기 장내 균총 유익균:유해균의 비율은 70:30이었으나 미역귀추출물을 4 ~ 8mg씩 매일 투여했을 때 80:20 ~ 90:10으로 변화하여 장내 균총의 비율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표 3). 개선의 효과는 미역귀추출물 투여농도 의존적이어서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개선의 정도는 증대하였다. 그러나 2mg의 투여구에서는 균총비율 변화가 없었던 것을 보아 개선의 효과를 위해 rat에 대해서는 최소 복용량이 4mg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rat에 대한 최소 복용량을 사람 복용량으로 아래와 같이 환산하였다(Nair, A. B. & Jacob, S., 2016).
101mg = (4mg/0.38kg) × 0.16 × 60kg, 여기서 0.38kg은 rat의 몸무게이고, 0.16은 변환 계수, 60kg는 성인의 몸무게이다.
따라서 장내 균총 배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미역귀 추출물의 최소 복용량은 약 100mg에 해당하며, 이후 인체 유효성 평가는 200mg(VHpre®1) 및 400mg(VHpre®2)을 인간에게 투여하여 진행하였다.
2. 인체 유효성 평가 결과
유익균:유해균의 비율 개선은 대조구 조성물을 복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미역귀 추출분말 200mg이 첨가된 VHpre®1 조성물 복용으로 3배, 미역귀 추출분말 400mg 이 첨가된 VHpre®2 조성물 복용으로 8.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시험구 조성물 유익균:유해균의 호전비율(%)1 유익균:유해균의 악화비율(%)2
대조구 대조구 11 45
시험구 1 VHpre®1 33 22
시험구 2 VHpre®2 89 11
1 유효성 평가 완료시점에서 유익균:유해균의 균형이 호전된 대상자의 비율
2 유효성 평가 완료시점에서 유익균:유해균의 균형이 악화된 대상자의 비율
특히 유익균:유해균의 비율 개선은 초기 비율 정도에 의존하여 변화하였는데, 복용 전 30:70이었던 사람은 50:50으로, 40:60이었던 사람은 60:40으로, 60:40이었던 사람은 70:30 ~ 90:10으로, 70:30이었던 사람은 80:20 ~ 90:10으로, 그리고 80:20이었던 사람은 90:10 ~ 95:5로 개선되었다.
균총의 균형이 악화되는 비율도 미역귀 추출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VHpre®1 복용군에서는 22%, VHpre®2 복용군에서는 11%였는데 이는 각각 대조구 대비 1/2 과1/4 수준이다(표 4).
또한, 균총 비율의 긍정적 변화는 미역귀 추출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빨라져 VHpre®1 복용군에서는 대상자의 22%만이 6주 후 개선을 보였으나, VHpre®2 복용군에서는 대상자들의 66%가 6주 시점에서 장내 균총의 비율이 개선되었다 (표 5).
시험구 조성물 6주 후 유해균:유익균 개선된 인원의 비율(%)
시험구 1 VHpre®1 22
시험구 2 VHpre®2 66
이는 VHpre® 조성물이 일반 장 건강의 다당체 조합보다 유익균을 증가시키는데 더 우수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특히 대장 내에 서식하는 지표 유익균인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은 장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VHpre® 조성물 복용으로 2.9 ~ 17.6배 증가하여, 대조구의 조성물 복용에 의한 증가 폭보다 1.9 ~ 11.7배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표 6).
시험구 조성물 장내 Bifidobacterium sp. 비율의 증가 폭(배)1 대조구 대비 증가 폭(배)
대조구 대조구 1.5±4.69 1
시험구 1 VHpre®1 2.9±3.91 1.9
시험구 2 VHpre®2 17.6±17.63 11.7
1 복용 후 6주 혹은 12주 시점에서 Bifidobacterium sp.가 장내 균총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복용 전과 비교하여 증가한 배수의 평균값, 데이터는 평균치 ± 표준편차로 나타냄.
유익균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VHpre® 조성물 복용은 대상자의 67 ~ 78%에서 다양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대조구 대비 1.7 ~ 2배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표 7). 이에 더하여 다양성이 감소한 대상자는 VHpre® 복용구에서는 11%로 대조구 대비 1/3 수준이었다.
시험구 조성물 증가비율(%)1 대조구대비 증가폭(배) 2 감소비율(%)3 대조구대비 감소폭(배)4
대조구 대조구 55 1 33 1
시험구 1 VHpre®1 67 1.2 11 3
시험구 2 VHpre®2 78 1.4 11 3
1 유효성 평가 완료시점에서 유익균 속의 수가 평가 시작단계에서의 수 보다 증가한 대장자의 비율(=다양성 증가 비율)
2 대조구 대비 다양성 증가치의 증가폭
3 유효성 평가 완료시점에서 유익균 속의 수가 평가 시작단계에서의 수 보다 감소한 대상자의 비율(=다양성 감소 비율)
4 대조구 대비 다양성 감소치의 감소폭

Claims (10)

  1. 미역귀 추출물, 치커리뿌리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최소 200 mg/1일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는 것인,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지표 물질인 만니톨이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하며,
    장내 유익균의 증식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귀 추출물은 80 ~ 100℃의 물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익균은 아커맨시아(Akkermansia),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엔테로카코스(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카코스(Lact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피도카코스(Pedococcus), 루미노카코스(Ruminococcus), 및 위셀라(Weissella)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해균은 캄필로박터(Camphylobacter),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힐리코박터(Helicobacter), 레지오넬라(Legionella), 모록셀라(Moraxella),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나이세리아(Neisseria), 프로티우스(Proteus), 리케치아(Richettsia), 스태필로카코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카코스(Streptococcus), 비브리오(Vibrio), 옐시니아(Yersina)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46511A 2021-04-09 2021-04-09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0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11A KR102609638B1 (ko) 2021-04-09 2021-04-09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11A KR102609638B1 (ko) 2021-04-09 2021-04-09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54A KR20220140254A (ko) 2022-10-18
KR102609638B1 true KR102609638B1 (ko) 2023-12-04

Family

ID=8380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11A KR102609638B1 (ko) 2021-04-09 2021-04-09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08B1 (ko) * 2018-12-24 2020-04-16 비타민하우스(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279A (ko) * 2016-08-16 2018-02-26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발효미역귀 조성물을 이용한 유산균발효미역귀 즉석국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08B1 (ko) * 2018-12-24 2020-04-16 비타민하우스(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vh13과 미역귀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변비 및 설사유발 억제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54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4847A (zh) 具有润肠通便功能的酵素益生菌组合物、应用及加工制剂
EP3626249A2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althcare preparation for fat elimination and weight reduction
JP2016505533A (ja) 腸内微生物叢の平衡を保つための組成物、該組成物の製法、および、該組成物の利用
KR102118697B1 (ko) 새싹보리 착즙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새싹보리 착즙분말 혼합조성물
CN103099089A (zh) 一种降糖、降压、通便减肥、抗疲劳、改善性功能保健品及其生产工艺
KR20210000768A (ko) 돼지고기 제육볶음 또는 돼지고기 두루치기 양념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96605A (zh) 一种具有通便和改善睡眠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16123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및 비만의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614574B1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0707707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예방 및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0170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AU2014246718B2 (en) Use of a dietary fibre supplement in a food formulation
KR101487769B1 (ko)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609638B1 (ko) 미역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6198A (ko) 발효 한약재와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고형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형차
KR101421284B1 (ko) 변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86541B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草本益生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160019750A (ko) 파벽(破壁) 영지버섯 포자를 포함하는 비만-유래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7933A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101445573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용 효소액 및 환과 그 제조방법
KR20200130030A (ko) 당뇨병 환자와 잠재환자의 혈당조절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제조방법
WO2008096171A2 (en) Natural laxative composition comprising prunes, raisins, apricots, dates, figs, olive oil, senna and honey
AU2018275937A1 (en) Composition for fatigue recovery and/or prevention of fatigue accumulation
KR101485261B1 (ko) 율무를 포함하는 변비개선 및 피로회복용 환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