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171B1 -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171B1
KR102609171B1 KR1020210004949A KR20210004949A KR102609171B1 KR 102609171 B1 KR102609171 B1 KR 102609171B1 KR 1020210004949 A KR1020210004949 A KR 1020210004949A KR 20210004949 A KR20210004949 A KR 20210004949A KR 102609171 B1 KR102609171 B1 KR 10260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ing plate
crystal retardation
polariz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520A (ko
Inventor
이태현
김일진
서미란
유미연
정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1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520A/ko
Priority to US18/116,078 priority patent/US119833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08K5/107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with poly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는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입사된 외부광은 발광표시장치 내 패널에 전반사됨으로써 화면 품질을 낮출 수 있다. 그래서, 발광표시장치는 패널 상부면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광판은 편광자, 위상차필름으로 구성된다. 위상차필름으로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최근 박형화 경향에 따라 액정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자와 액정 위상차 필름의 접합은 특히 액정 위상차 필름 2매형을 도입하면서 편광판과 액정 위상차 필름 사이, 그리고 두 개의 액정 위상차 필름 사이를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점착제층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요구되는 굴곡 신뢰성에서 불리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점착제층 대신에 광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그런데 광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은 수계 접착제 대비 두께 박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렇다고 수계 접착제로 액정 위상차 필름 접합시 액정 위상차 필름은 접착성이 낮은 비 접착성 필름이므로 편광자와 액정 위상차 필름, 액정 위상차 필름과 액정 위상차 필름을 고 접착력으로 접착시키기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0345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포성이 우수하여 표면 균일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온 및 초 저온 상태에서도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 고습 내구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곡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이다.
1.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2.1에서, 상기 1차 아민기 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1-2에서, 상기 가교제 :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1:1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4.1-3에서,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탄닌산을 포함할 수 있다.
5.1-4에서, 상기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1몰% 내지 30몰%일 수 있다.
6.1-5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 상기 1차 아민기 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편광판이다.
7.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적층된 제1 액정 위상차층;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8.7에서,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은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9.7-8에서,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의 하부면에 제2 접착층 및 제2 액정 위상차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10.9에서, 상기 제2 액정 위상차층은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11.9-10에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12.11에서, 상기 1차 아민기 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3.12에서,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탄닌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광학 표시 장치이다.
광학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도포성이 우수하여 표면 균일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온 및 초 저온 상태에서도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 고습 내구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굴곡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전사형 액정 위상차 필름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고온 고습 내구성 평가에서의 시편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5는 굴곡 신뢰성 평가에서의 시편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다.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길이, 크기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면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길이, 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체 등의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Y)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이하, '접착제 조성물'이라고 함)을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접착제 조성물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 우수한 접착력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편광자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페놀계 화합물 및 상기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액정 위상차층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접착제 조성물은 상온뿐만 아니라 초 저온 상태 예를 들면 -10℃ 이하, 구체적으로 -200℃ 내지 -10℃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 모두에 대해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사형 액정 위상차 필름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사형 액정 위상차 필름은 기재 필름(1), 기재 필름(1)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위상차층(2)을 포함한다.
전사형 액정 위상차 필름은 기재 필름(1)의 일면(도 1에서는 기재 필름의 상부면)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배향막 상에 액정 위상차층용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배향시킨 다음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액정 위상차층은 배향막과 접하여 있던 면(도 1에서 액정 위상차층의 하부면)(3)을 '배면', 배향막과 접하지 않았던 면(도 1에서 액정 위상차층의 상부면)(4)을 '표면'이라고 한다. 배면은 표면과는 달리 기재 필름(1)의 배향막이 형성되었던 부분에서 유래되는 것이어서 표면 대비 물리적 특성이 다를 수 있다.
기재 필름(1)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의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상부면 즉 배향막이 형성되는 면은 이형 처리가 될 수도 있고 이형 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향막은 다가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다가 카르복실산의 무수물계 화합물, 디아민계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 위상차층(2)은 하기 상술되는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 위상차층(2)의 배면과 표면은 배향막의 유무에 따라 물 접촉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편광판 제조 공정 순서, 전사형 액정 위상차 필름 중 기재 필름과 배향막의 종류, 액정 위상차층의 두께, 액정 위상차층에 포함되는 액정 종류에 따라 편광자에는 액정 위상차층 중 표면이 접착될 수도 있고 배면이 접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과 배면 모두에 대해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 모두에 대해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과 표면은 각각 코로나 처리 후 25℃에서 물 접촉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은 코로나 처리 후 25℃에서 물 접촉각이 50° 내지 70°,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은 코로나 처리 후 25℃에서 물 접촉각이 70° 내지 90°가 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처리'는 10mpm 속도 및 1000W 출력으로 코로나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기 '물 접촉각'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간의 표면과 표면, 표면과 배면, 및/또는 배면과 배면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고습에서의 내구성과 굴곡 신뢰성이 모두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는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접착제 조성물 중 각 구성 성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하기 상술되는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하기 상술되는 폴리페놀계 화합물과 수소 결합함으로써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1몰% 내지 30몰%, 예를 들면 1몰% 내지 10몰%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가교제와의 충분한 반응점을 제공함으로써 접착력이 나올 수 있고, 편광판의 내수성도 높일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트산에 분산시키고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와 검화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균 중합도는 100 내지 3,000, 평균 검화도는 85몰% 내지 100몰%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와 제1 액정 위상차층 간의 접착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수계 용매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 구체적으로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층의 접착력이 나올 수 있고,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지 않아서 공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함으로써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하기 상술되는 폴리페놀계 화합물과 수소 결합함으로써 접착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덴드리머형으로서 복수 개의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가져 접착층에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에서 사용되는 복수 개의 가교제 중에서 하기 상술되는 폴리페놀계 화합물과 조합시 본 발명의 상술 효과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되었다.
일 구체예에서, 1차 아민기 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이민계 가교제'는 에틸렌이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고리 개환(ring opening), 중합(polymerization), 유도체화(derivatization) 등 1종 이상으로 처리하여 합성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이민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는 말단에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가지며 주 사슬 중에 2차 아민기 및/또는 3차 아민기를 갖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덴드리머형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관능기 구체적으로는 수산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와 반응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에틸렌기(-CH2CH2-)가 2차 아민기 및/또는 3차 아민기로 연결되며 말단에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0 내지 100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접착층의 효과가 잘 나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구체적으로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층의 접착력이 향상 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 : 하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1:1 내지 1:20, 구체적으로 1:1 내지 1:15, 더 구체적으로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상기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초 저온 상태에서도 접착력이 우수하고 고온 고습에서의 우수한 내구성 및 굴곡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폴리페놀계 화합물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복수 개의 방향환에 복수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액정 위상차층의 방향족 환과 친화적인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고, 아세트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산기 배열과 일치하여 편광자와 액정 위상차층 간의 더 높은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복수 개의 수산기로 인해 수계 용매에서 쉽게 용해될 수 있다.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탄닌산을 포함할 수 있다. 탄닌산은 pKa가 6으로서, 본 발명의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와 조합시 본 발명의 효과를 잘 구현할 수 있다.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구체적으로 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5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초 저온 상태에서도 접착력이 우수하고 고온 고습에서의 우수한 내구성 및 굴곡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열 경화형 조성물로서, 열 경화에 의해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수계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계 용매는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하여 박형의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수계 용매는 초순수 등을 포함하는 물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계 용매는 접착제 조성물 중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 이외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제는 UV 흡수제, 열 안정제, 가소제, 계면 활성제, 반응 억제제, 접착성 향상제, 요변성 부여제, 도전성 부여제, 산화방지제, 레벨링제, 안정화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편광판은 편광자(100), 제1 접착층(300), 제1 액정 위상차층(200), 제3 보호층(400)을 포함한다. 편광자(100)의 상부면에 제3 보호층(400)이 적층되고, 편광자(100)의 하부면에 편광자(100)로부터 제1 접착층(300) 및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편광자
편광자(10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PVA)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하나 이상이 흡착된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탈수시켜 제조된 폴리엔계 편광자가 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검화도가 85몰% 내지 100몰%, 구체적으로 98몰% 내지 100몰%가 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 구체적으로 1,500 내지 10,000이 될 수 있다. 상기 검화도 및 중합도에서,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100)는 두께가 5㎛ 내지 30㎛, 구체적으로 5㎛ 내지 2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고, 편광판의 박형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액정 위상차층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외광이 편광자(100)를 통과한 후 출사되는 선편광을 원편광시킴으로써 외광에 대한 반사를 막아 화면 품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220nm,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180nm, 예를 들면 λ/4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5nm 내지 350nm, 구체적으로 225nm 내지 300nm, 예를 들면 λ/2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Re = (nx - ny) x d(nx, ny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액정 위상차층의 지상축(slow axis) 방향, 진상축(fast axis) 방향의 굴절률, d는 액정 위상차층의 두께(단위: nm))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두께가 0.1㎛ 내지 3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을 박형화시키고, 목표로 하는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접착성이 낮다. 상기 낮은 접착성은 제1 액정 위상차층이 액정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기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소수성의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족 환 및 중합성 관능기로 구성되는 유닛을 포함하는, 고분자,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중합성 관능기는 (메트)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또는 비닐 에테르기 등으로서 열 또는 광에 의해 경화되어 제1 액정 위상차층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은 상술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레벨링제, 중합개시제, 배향 보조제, 열안정제, 윤활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상세 종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를 참조한다.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의 하부면에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편광판을 광학표시장치용 패널 등에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메트)아크릴계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300)은 편광자(100)와 제1 액정 위상차층(200) 사이에 형성되며, 편광자(100)와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접착층(300)은 편광자, 제1 액정 위상차층에 각각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편광자(100)와 제1 액정 위상차층(200) 사이에 제1 접착층(300) 이외의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은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1 접착층(300)은 두께가 10nm 내지 500nm, 예를 들면 50nm 내지 2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박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접착층(300)은 상술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제3 보호층
제3 보호층(400)은 편광자(1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편광자(100)를 보호하거나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보호층(4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필름 또는 보호코팅층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호층(400)은 두께가 5㎛ 내지 200㎛, 구체적으로, 30㎛ 내지 120㎛이고, 보호 필름 타입의 경우 10㎛ 내지 100㎛가 될 수가 있고, 보호코팅층 타입의 경우 1㎛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보호층(400)의 상부면에는 하드코팅층, 내지문성층, 반사방지층 등의 기능성 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편광판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보호층(400)은 접착층에 의해 편광자(100)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은 상술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수계 접착제 또는 광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은 제3 보호층(400), 편광자(100), 제1 접착층(300), 제1 액정 위상차층(200), 제2 접착층(600),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을 포함한다. 편광자(100)의 상부면에 제3 보호층(400)이 적층되고, 편광자(100)의 하부면에 편광자(100)로부터 제1 접착층(300), 제1 액정 위상차층(200), 제2 접착층(600),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1 액정 위상차층(200)의 하부면에 제2 접착층(600),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이 더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편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액정 위상차층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외광이 편광자(100)를 통과한 후 출사되는 선편광을 원편광시킴으로써 외광에 대한 반사를 막아 화면 품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5nm 내지 350nm, 구체적으로 225nm 내지 300nm, 예를 들면 λ/2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220nm,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180nm, 예를 들면 λ/4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두께가 0.1㎛ 내지 3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을 박형화시키고, 목표로 하는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접착성이 낮다. 상기 낮은 접착성은 제2 액정 위상차층이 액정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술 면내 위상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정 범위의 nx와 ny를 갖도록 하는 등에 의해 기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소수성의 방향족 환 함유 액정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은 상술 제1 액정 위상차층(200)에서 설명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
제2 접착층(600)은 제1 액정 위상차층(200)과 제2 액정 위상차층(500)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액정 위상차층(200)과 제2 액정 위상차층(500)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접착층(600)은 제1 액정 위상차층(200)과 제2 액정 위상차층(500)에 각각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제1 액정 위상차층(200)과 제2 액정 위상차층(500) 사이에 제2 접착층(600) 이외의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은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접착층(600)은 제1 접착층(300)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착층(600)은 두께가 10nm 내지 500nm, 예를 들면 50nm 내지 1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박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2 접착층(60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광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광경화형 접착제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종류 중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착층(600)은 두께가 0.1㎛ 내지 10㎛, 예를 들면 1㎛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 액정 위상차층과 제2 액정 위상차층 간의 접착력을 확보하고 편광판의 두께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액정 위상차층(600)의 하부면에도 점착층 또는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편광판을 광학표시장치용 패널 등에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메트)아크릴계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또는 배면에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과 편광자를 합지하고,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편광자와 액정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또는 배면에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과 액정 위상차층을 합지하고,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액정 위상차층과 액정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또는 배면에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각각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또는 배면에 코로나 처리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도포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 코터, 바 코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는 상기 코팅층을 열 경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경화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40℃ 내지 100℃에서 1분 내지 60분으로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광학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학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광학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제3 보호층: COP 필름(G+, Zeon社, 상부면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됨, 두께: 28㎛)
B.제1 액정 위상차 필름: 기재 필름(TAC 필름, 두께:80㎛)의 하부면에 액정 위상차층(파장 550nm에서 λ/2 위상차를 가짐)이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후지 필름社, QLAA218, TAC 필름의 MD에 대해 흡수축이 17.5° 각도로 배향됨)
C.제1 액정 위상차 필름: 기재 필름(TAC 필름, 두께:80㎛)의 하부면에 액정 위상차층(파장 550nm에서 λ/2 위상차를 가짐)이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후지 필름社, QLAA338, TAC 필름의 MD에 대해 흡수축이 -17.5° 각도로 배향됨)
D.제2 액정 위상차 필름: 기재 필름(TAC 필름, 두께:80㎛)의 상부면에 액정 위상차층(파장 550nm에서 λ/4 위상차를 가짐)이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후지 필름社, QLAB, TAC 필름의 MD에 대해 흡수축이 77.5° 각도로 배향됨)
E.코로나 처리: 코로나 처리 장치(AFS社)를 사용해서 10mpm 속도 및 1000W 출력으로 코로나 조사.
실시예 1
<제3 보호층 처리>
제3 보호층의 하부면에 상술 코로나 처리하였다.
<편광자 제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미츠비시케미컬社, 중합도: 2800, 두께: 20㎛)을 0.3%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시켜 염착시켰다. 상기 필름의 MD 1축으로 연신비 5.0배로 연신시켰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3%의 붕산 수용액과 2%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침지시켜 색상 보정을 하였다. 5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편광자(두께: 7㎛)를 제조하였다.
<편광판용 광경화형 접착제 제조>
에폭시계 화합물 2021P(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Daicel社) 80중량부, 에폭시계 화합물 EX141(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나가세캠텍社) 20중량부, 양이온 중합 개시제 CPI100P(SanApro社) 5중량부를 혼합하여 편광판용 광경화형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 제조>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3중량부를 95℃의 물 100중량부에 넣고 60분 동안 교반하면서 녹였다. 얻은 용액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힌 다음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 0.1중량부, 탄닌산 0.15중량부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서로 혼합한 다음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여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3중량부에 대한 고형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 탄닌산의 함량(단위: 중량부)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1에서 "-"는 해당 성분이 포함되지 않음을 표시한다.
<편광판의 제조>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B의 표면에 상술 코로나 처리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미츠비시케미컬社, Z200,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평균 중합도: 1200, 검화도: 99몰%, 아세토아세틸화 변성도: 5몰%) 3중량부를 95℃의 물 100중량부에 넣고 60분 동안 교반하면서 녹였다. 얻은 용액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힌 다음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일본촉매社, SP018) 0.1중량부, 지르코늄 화합물(Zircosol-ZN, 용제는 물, 제일희원소화학공업社) 0.5중량부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서로 혼합한 다음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여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상부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접착제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얻은 코팅층 상에 제3 보호층의 하부면을 적층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얻은 코팅층 상에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B의 표면 쪽을 적층시켰다. 이때, 편광자의 MD,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B 중 TAC 필름의 MD를 서로 일치시켰다. 그런 다음, 50℃ 오븐에서 1분, 85℃ 오븐에서 3분 방치하여, 제3 보호층 / 접착층 / 편광자 / 접착층/ 제1 액정 위상차 필름(액정 위상차층 / TAC 필름)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중 TAC 필름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시켜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을 노출시켰다. 배면에 상술 코로나 처리하였다.
상술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광경화형 접착제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얻은 코팅층에 제2 액정 위상차 필름의 표면 쪽을 적층시켰다. 이때, 편광자의 MD, 제2 액정 위상차 필름 중 TAC 필름의 MD를 서로 일치시켰다. 그런 다음, 제2 액정 위상차 필름 쪽에서 금속 할라이드 램프로 100mJ/cm2으로 UV를 조사하고 상온에서 1일 방치시킨 다음, 제2 액정 위상차 필름 중 TAC 필름을 박리시켰다. 이를 통해, 제3 보호층 / 접착층(두께: 100nm) / 편광자 / 접착층(두께: 100nm) / 액정 위상차층(λ/2 위상차) / 접착층(두께: 3㎛) / 액정 위상차층(λ/4 위상차)의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1(단위: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보호층을 처리하고, 편광자,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용 광경화형 접착제 및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C의 표면과 제2 액정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각각 상술 코로나 처리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용 광경화형 접착제를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C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얻은 코팅층에 제2 액정 위상차 필름의 표면 쪽을 합지하였다. 이때,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C의 TAC 필름의 MD와 제2 액정 위상차 필름의 TAC 필름의 MD가 서로 일치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제2 액정 위상차 필름 쪽에서 금속 할라이드 램프로 100mJ/cm2으로 UV를 조사하고 상온에서 1일 방치시켜, 제1 액정 위상차 필름(TAC 필름 / 액정 위상차층) / 접착층 / 제2 액정 위상차 필름(액정 위상차층 / TAC 필름)의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1 액정 위상차 필름 중 TAC 필름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시켜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을 노출시켰다. 노출된 배면에 상술 코로나 처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의 상부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접착제를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얻은 코팅층 상에 제3 보호층의 하부면을 적층시켰다. 편광자의 하부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얻은 코팅층 상에 상기 적층체 중 액정 위상차층의 배면쪽을 적층시켰다. 그런 다음, 50℃ 오븐에서 1분, 85℃ 오븐에서 3분 방치하고, 제2 액정 위상차 필름 중 TAC 필름을 박리시켰다. 이를 통해, 제3 보호층 / 접착층(두께: 100nm) / 편광자 / 접착층(두께: 100nm) / 액정 위상차층(λ/2 위상차) / 접착층(두께: 3㎛) / 액정 위상차층(λ/4 위상차)의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와 실시예 6
실시예 4에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1(단위: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1(단위: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의 구성(고형분 기준)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1 액정 위상차 필름의 액정 위상차층 중 편광자에 접착되는 부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액정 위상차 필름 중 편광자에 부착되는 부분
실시예 1 3 - 0.1 0.15 - 표면
실시예 2 3 - 0.1 0.3 - 표면
실시예 3 3 - 0.1 0.9 - 표면
실시예 4 3 - 0.1 0.15 - 배면
실시예 5 3 - 0.1 0.3 - 배면
실시예 6 3 - 0.1 0.9 - 배면
비교예 1 3 - 0.1 - - 표면
비교예 2 3 - - 0.15 - 표면
비교예 3 - 3 0.1 0.15 - 표면
*상기 표 1에서
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미츠비시케미컬社, Z200,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평균 중합도: 1200, 검화도: 99몰%, 아세토아세틸화 변성도: 5몰%)
②: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아세토아세틸화되지 않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평균 중합도: 2500, 검화도: 99몰%, Poval JC-25, 미쯔비시 케미컬社)
③: 폴리(에틸렌이민)계 가교제(일본촉매社, SP018,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가짐)
④: 탄닌산(대정화금社, 100% 고형분)
⑤: 지르코늄 화합물(Zircosol-ZN, 용제는 물, 제일희원소화학공업社)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용 수계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용액 상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 100g을 250ml 유리 용기에 담고 마그네틱바로 500rpm 조건으로 1시간 교반한 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 침전물이 발생한 경우 "X"로 평가하였다.
(2)액정 위상차층에 대한 박리력(단위: gf/inch):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편광자의 MD x TD 100mm x 25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셀로판 테이프(길이 x 폭, 150mm x 25mm)를 상술 샘플 중 액정 위상차층 쪽에 길이가 50mm가 남도록 붙여 박리력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박리력 측정 장치 Texture analyzer(TA社, TX C 모델)의 하단 그랩(grab)에 90° 슬라딩 지그를 설치하고 하단 그랩에 상술 시편의 제3보호층 쪽을 붙였다. 상기 박리력 측정 장치의 하단 그랩에는 상술 시편의 셀로판 테이프를 고정시켰다. 박리 온도 25℃, 박리 속도 5mm/sec, 박리 각도 90°로 편광자로부터 액정 위상차층을 박리시켰을 때 박리가 최초 일어나는 시점의 박리력을 평가하였다. 접착층은 액정 위상차층에 대한 박리력이 250gf/inch 이상, 구체적으로 250gf/inch 내지 500gf/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력이 좋아 편광판의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3)초 저온에서 박리 여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길이 x 폭 (100mm x 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제1 액정 위상차층면에 가로, 세로 각각 5줄의 등간격으로 편광판이 완전히 잘라지지 않는 수준의 약한 흠집을 내었다. 그런 다음, 액체 질소(-196℃) 안에 넣고 1분 경과 후, 편광자로부터 제1 액정 위상차층이 분리되지 않으면 "○", 편광자로부터 제1 액정 위상차층이 조금이라도 분리되면 "X"으로 평가하였다.
(4)고온 고습 내구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45도 방향(대각선 방향)이 되도록 길이 x 폭(50mm x 50mm)로 절단한 다음 유리판에 부착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시편을 60℃ 및 95% 상대 습도의 챔버 내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도 4에서와 같이, 시편 중 길이 또는 폭에 대해 45도 방향(편광자의 모서리)으로 측정된 편광자의 탈색 길이 4개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얻은 평균값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1mm 미만
△: 1mm 이상 3mm 미만
Х : 3mm 초과
(5)굴곡 신뢰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45도 방향(대각선 방향)이 되도록 길이 x 폭 (50mm x 50mm)의 정사각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한 시편(10)을 각각 곡률 반경 1.5R이 되도록 반으로 접은 다음 형상이 고정된 2개의 슬릿(20) 사이에 넣은 상태로 60℃ 및 95% 상대습도의 챔버 안에 넣고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냈다. 접힌 부분에서 층 간 계면에서의 들뜸에 의한 기포, 주름, 물결 무늬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 "○", 기포, 주름, 물결 무늬 등이 조금이라도 발생한 경우 "x"로 평가하였다.
용액 상태 박리력 초저온에서 박리 여부 내구성 굴곡 신뢰성
실시예 1 350
실시예 2 500
실시예 3 440
실시예 4 250
실시예 5 360
실시예 6 330
비교예 1 50 X
비교예 2 150 X X
비교예 3 180 X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의 표면 및 배면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온 및 초 저온 상태에서도 접착성이 낮은 액정 위상차층과 편광자 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고습 내구성과 굴곡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는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술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면에 적층된 제1 액정 위상차층;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은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아민기 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1:1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탄닌산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1몰% 내지 30몰%인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 상기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 위상차층의 하부면에 제2 접착층 및 제2 액정 위상차층이 더 적층된 것인, 편광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 위상차층은 방향족 함유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아세토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차 아민기(-NH2) 및/또는 2차 아민기(-NH-)를 갖는 가교제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민기 및/또는 2차 아민기를 갖는 가교제는 에틸렌이민계 가교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탄닌산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 표시 장치.
KR1020210004949A 2020-11-18 2021-01-13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KR10260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49A KR102609171B1 (ko) 2021-01-13 2021-01-13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US18/116,078 US11983355B2 (en) 2020-11-18 2023-03-01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949A KR102609171B1 (ko) 2021-01-13 2021-01-13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520A KR20220102520A (ko) 2022-07-20
KR102609171B1 true KR102609171B1 (ko) 2023-12-01

Family

ID=8260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949A KR102609171B1 (ko) 2020-11-18 2021-01-13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1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094B1 (ko) * 2013-08-08 2019-02-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20150085971A (ko) * 2014-01-17 2015-07-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368895B1 (ko) * 2017-08-23 2022-03-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520A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7828B (zh) 偏光板及其製造方法
KR1016409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74227A (ko) 적층체
KR10193841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4849563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53475B (zh) Polarizer
JP7300906B2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CN111045128A (zh) 光学层叠体及显示装置
KR20170143446A (ko) 편광판 세트
TW201734515A (zh) 偏光板組及液晶面板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609171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KR20200115083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8072533A (ja)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CN109313306B (zh) 偏振板组件
KR101781308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102368117B1 (ko) 고내구성의 편광판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568101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 표시 장치
KR101643503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30071141A (ko) 편광판,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61212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1748531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2022014719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10119325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013275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