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082B1 - 당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082B1
KR102608082B1 KR1020230051512A KR20230051512A KR102608082B1 KR 102608082 B1 KR102608082 B1 KR 102608082B1 KR 1020230051512 A KR1020230051512 A KR 1020230051512A KR 20230051512 A KR20230051512 A KR 20230051512A KR 102608082 B1 KR102608082 B1 KR 10260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main body
bag
cutting blade
noo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23005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23L19/15Unshaped dry products, e.g. powders, flakes, granules or agglome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면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은 포대에 수납되어 운반된 전분을 공급장치(100)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한 공급단계(S110)와, 전분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선별단계(S120)와, 선별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배합하는 배합단계(S130)와, 배합된 전분을 반죽하는 반죽단계(S140)와, 반죽된 전분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150)와, 성형된 당면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160)와, 냉각된 당면을 냉동ㆍ건조하는 건조단계(S170) 및 완성된 당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180),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당면을 포장하여 출하하는 포장단계(S19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전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선별단계(S120)로 전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112)가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전분이 보관된 포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복수개의 전분낙하공(122)이 형성되어 포대의 절개시 포대 내의 전분이 본체(110)의 상기 전분낙하공(122)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안착대(120)와, 상기 안착대(12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내로 투입된 전분을 상기 호퍼(11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14)와,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대(120)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부(130)와, 상기 절개날(134)의 길이방양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날(134)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호퍼(112)로 이동되는 전분을 공급받아 선별단계(S120)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당면 제조방법{vermicelli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당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면을 쉽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면은 감자, 고구마 등의 녹말을 원료로 만든 마른국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집안의 대ㆍ소사나 각종 잔치의 음식으로 널리 애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식문화가 바뀌면서 당면의 사용 용도 또한 다양성을 갖추어 볶음요리, 탕 요리, 전골, 잡채, 분식 요리 등 다양한 요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당면은 특유의 맛은 없지만, 씹는 맛이 있고, 함께 조리하는 재료와 잘 어울려 재료의 풍미를 흡수한다.
당면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원료 전분의 일부에 명반과 물을 혼합한 후 열을 가하여 풀을 만들고, 이 풀을 이용하여 당면용 반죽을 만든 다음, 구멍이 뚫린 용기를 통해 끓는 물이 있는 솥에 넣어 면이 익어 떠오르면 건져내어 냉수로 식힌 후 틀에 넣어 수분을 제거하고 숙성시킨 후 동결시키고, 이것을 다시 냉수에 녹여 햇볕에 말린 후 제품화하여 당면을 제조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216778호 "당면 제조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상술한 당면 제조법에는 종래의 감자나 고구마 전분을 혼합하여 기능성 당면을 제조하는 기술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상술한 종래의 당면 제조방법은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배합된 당면을 반죽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된 당면을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당면을 냉각하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당면을 냉동ㆍ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완성된 당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당면을 포장하여 출하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컨베이어나 기타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이하 전분)를 공급하여 배합부로 이송시킨 다음, 배합부에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에 명반(황산알루미늄칼륨)을 첨가하여 배합하고, 이후 명반이 배합된 전분을 반죽한 다음 반죽된 전분을 성형틀을 이용하여 당면 형태로 성형한다. 이후 성형된 당면을 저온의 물을 이용하여 냉각하고, 냉각된 당면을 냉동 건조한 다음 검사 및 포장하여 출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합하고자 하는 전분의 공급시 통상 별도의 포대에 보관된 상태로 운반된 후 이를 별도의 공급부에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일일이 포대를 절개한 후 공급부에 투입함으로써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자가 작업하기 불편한 단점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당면을 제조하기 위한 전분의 경우 통상 운반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해 약 20kg의 포대에 담겨 운반되게 되며 이후, 사용시에는 포대를 절개하여 포대 내의 전분을 공급부인 컨베이어에 쏟아 붙는 형태로 공급하게 되는 데, 이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포대를 절개해야 한 후 포대 내의 전분을 쏟아 부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당면 제조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16778호 당면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대에 운반 및 보관되는 전분을 공급부로의 투입시 쉽고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당면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은 포대에 수납되어 운반된 전분을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한 공급단계와, 전분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선별단계와, 선별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배합된 전분을 반죽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된 전분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당면을 냉각하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당면을 냉동ㆍ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완성된 당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당면을 포장하여 출하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내부에 전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선별단계로 전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전분이 보관된 포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복수개의 전분낙하공이 형성되어 포대의 절개시 포대 내의 전분이 본체의 상기 전분낙하공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로 투입된 전분을 상기 호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안착대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부와, 상기 절개날의 길이방양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날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본체의 호퍼로 이동되는 전분을 공급받아 선별단계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은 당면의 제조를 위해 공급부로 전분의 투입시 포대에 의해 운반 및 보관된 전분을 쉽고 간편하게 공급부로 투입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빠른시간 내에 전분을 투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의 전분 공급단계에 사용된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분은 고구마, 감자, 녹두, 타피오카 등 다양한 전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면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은 전분을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와, 전분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선별단계(S120)와, 선별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배합하는 배합단계(S130)와, 배합된 전분을 반죽하는 반죽단계(S140)와, 반죽된 전분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150)와, 성형된 당면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160)와, 냉각된 당면을 냉동ㆍ건조하는 건조단계(S170) 및 완성된 당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180),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당면을 포장하여 출하하는 포장단계(S190)로 이루어져 있다.
공급단계(S110)는 당면의 주원료인 전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대 수납되어 운반된 전분을 공급장치(100)의 호퍼(112)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투입하도록 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선별단계(S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전분을 상기 선별단계(S120)의 선별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전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선별단계(S120)로 전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112)가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전분이 보관된 포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복수개의 전분낙하공(122)이 형성되어 포대의 절개시 포대 내의 전분이 본체(110)의 수용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안착대(120)와, 상기 안착대(12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내로 투입된 전분을 상기 호퍼(11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14)와,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대(120)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부(130)와, 상기 절개날(134)의 길이방양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날(134)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호퍼(112)로 이동되는 전분을 공급받아 선별단계(S120)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10)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당면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전분을 일시 보관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는 수용공간 내에 임시로 보관되는 전분을 본체(110) 외부로 배출하여 후술하는 선별단계(S120)로 이송될 수 있게 호퍼(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호퍼(112)는 본체의 하부 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닥면은 상기 호퍼(112)가 위치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분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14)가 설치되는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전분이 포집되어 이송스크류(114)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이송스크류(114)가 삽입되게 위치될 수 있는 전분안내홈(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안착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120)는 복수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 사이 사이에 전분이 낙하될 수 있게 전분낙하공(122)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안착대(120)를 본체(110)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안착대(120)의 상측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분이 내부에 보관된 포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전분낙하공(122)을 통해 포대 내의 전분이 낙하되어 본체(110)의 수용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부 상측에는 절개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30)는 안착대(120)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포대를 절개하지 않아도 쉽고 간편하게 포대를 절개하여 포대 내의 전분을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부 상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포대의 절개시 낙하되는 전분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안내판(132)과, 상기 안내판(132)의 하측에 위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내판(13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날(134) 및 상기 절개날(134)을 감싸 상기 절개날(134) 부위로 전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싱(13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개부(130)는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부 상측으로 상기 안내판(1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판(132)의 하측으로 케이싱(136)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되 선택적으로 상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안내판(132)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게 절개날(134)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판(132)의 "∧"자 형상으로 일단이 만나는 상부에는 상기 절개날(134)이 승강되어 노출될 수 있게 절개날 노출공(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판(132)의 하부에 상기 절개날(134)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케이싱(136)의 측면 양측에는 승하강공(137)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부(140)의 승강축(144)이 상기 승하강공(137)을 관통하여 절개날(13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축(144)의 승하강시 절개날(134)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132)은 하측에 위치되는 절개날(134)을 덮어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절개날(134)에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포대의 절개시 낙하되는 전분을 안내하여 절개날(134)이 위치된 케이싱(136)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승강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엑츄에이터(14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절개날(134)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한 쌍의 엑츄에이터(142)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136)의 승하강공(137)을 통해 상기 절개날(134)의 측면에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장공(113)을 통해 로드의 말단에 고정결합되는 승강축(144)과, 상기 승강축(144) 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승하강공(137)을 가려 케이싱(136) 내로 전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1가림판(146)과, 상기 승강축(144) 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113)을 가릴 수 있도록 한 제2가림판(148) 및 상기 엑츄에이터(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엑츄에이터(142)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 스위치(149)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149)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엑츄에이터(142)가 구동되어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면서 상기 절개날(134)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형태로 상기 안내판(132) 상측으로 절개날(134)을 노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날(134)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케이싱(136) 및 본체(110)의 측벽에 각각 승하강공(137) 및 장공(113)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축(144)이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축(144)의 승하강시 케이싱(13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일측에 제1가림판(146)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타측에 본체(110)에 형성된 장공(113)을 가려 본체(110) 외부로 전분이 유출되지 않게 제2가림판(148)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송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하부에 형성된 호퍼(112)를 통해 낙하되는 전분을 상기 선별단계(S12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이송부(1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것으로 전분이 유동될 수 있는 이송관(152)과, 상기 이송관(152) 내에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전분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스크류(154)와, 상기 이송스크류(15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156)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112)에서 전분이 배출되어 상기 이송관(152) 내로 유입되면 모터(156)가 구동되면서 이송스크류(154)를 회전시켜 전분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분 공급장치(100)에 의해 포대 내의 전분을 쉽고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당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당면 제조에 사용되는 전분을 공급시 기존 작업자가 포대를 절개한 후 쏟아 붙는 형태로 전분을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부(1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안착대(120) 상측으로 절개날(134)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포대를 안착대(120)에 올려놓게 되면 절개날(134)과 접촉되면서 포대의 자중에 의해 포대가 절개되며 그로 인해 작업자는 단순히 전분이 보관된 포대를 올려놓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분을 공급장치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개날(134)은 평소 안내판(132)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분을 투입할 때만 안착대(120)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해 절개날(134)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별단계(S120)는 상기 공급단계(S110)에서 공급되는 전분을 선별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쉬망 등으로 이루어진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전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분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선별통에 투입한 후 진동시 매쉬망 등으로 선별된 전분이 통과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불순물을 선별하도록 한다.
배합단계(S130)는 상술한 선별단계(S120)에서 선별된 전분을 공급받아 다양한 첨가재와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가재로서 다양한 기능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배합단계(S130)에서 배합된 전분은 반죽단계(S140)의 반죽기(미도시)로 이송되며 반죽기에 의해 당면 제조에 알맞은 형태로 반죽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죽단계(S140)에서 반죽된 전분은 성형단계(S150)의 당면 성형기로 공급되며 상기 성형기(미도시)에 마련된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성형틀을 통과하면서 면(麵)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성형기에서 면 형상으로 성형된 당면은 성형기 하측에 마련되는냉각수를 거치면서 냉각되는 냉각단계(S160)를 거치게 되며, 이후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당면은 냉동기로 옮겨져 일정시간 동안 냉각 및 건조하는 건조단계(S170)를 행하게 된다.
이후, 건조가 마무리된 당면은 제품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단계(S180)를 진행한 후 묶음단위로 포장하는 포장단계(S190)를 진행함으로써, 당면의 제조를 마무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방법은 공급장치(100)로 전분의 투입시 포대에 의해 운반 및 보관된 전분을 쉽고 간편하게 공급부로 투입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빠른시간 내에 전분을 투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10 : 공급단계 S120 : 선별단계
S130 : 배합단계 S140 : 반죽단계
S150 : 성형단계 S160 : 냉각단계
S170 : 건조단계 S180 : 검사단계
S190 : 포장단계
100 : 공급장치
110 : 본체 111 : 전분안내홈
112 : 호퍼 113 : 장공
114 : 이송스크류 120 : 안착대
122: 전분낙하공 130 : 절개부
132 : 안내판 133 : 절개날 노출공
134 : 절개날 136 : 케이싱
137 : 승하강공 140 : 승강부
142 : 엑츄에이터 144 : 승강축
146 : 제1가림판 148 : 제2가림판
149 : 스위치 150 : 이송부
152 : 이송관 154 : 이송스크류
156 : 모터

Claims (5)

  1. 포대에 수납되어 운반된 전분을 공급장치(100)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한 공급단계(S110)와, 전분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선별단계(S120)와, 선별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배합하는 배합단계(S130)와, 배합된 전분을 반죽하는 반죽단계(S140)와, 반죽된 전분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150)와, 성형된 당면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160)와, 냉각된 당면을 냉동ㆍ건조하는 건조단계(S170) 및 완성된 당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S180),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당면을 포장하여 출하하는 포장단계(S19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전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선별단계(S120)로 전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112)가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전분이 보관된 포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복수개의 전분낙하공(122)이 형성되어 포대의 절개시 포대 내의 전분이 본체(110)의 상기 전분낙하공(122)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안착대(120)와,
    상기 안착대(12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내로 투입된 전분을 상기 호퍼(11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14)와,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대(120)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부(130)와,
    상기 절개부(130)에 구비된 절개날(134)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날(134)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호퍼(112)로 이동되는 전분을 공급받아 선별단계(S120)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130)는 안착대(120)에 안착되는 포대를 절개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포대를 절개하지 않아도 상기 안착대(120)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포대를 절개하여 포대 내의 전분을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 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안착대(120)의 중앙부 상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포대의 절개시 낙하되는 전분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안내판(132)과,
    상기 안내판(132)의 하측에 위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내판(13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포대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한 절개날(134) 및
    상기 절개날(134)을 감싸 상기 절개날(134)이 위치된 부위로 전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싱(1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112)는 본체의 하부 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닥면은 상기 호퍼(112)가 위치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분의 이동을 도울 수 있게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114)가 설치되는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전분이 포집되어 이송될 수 있게 이송스크류(114)가 삽입되게 위치될 수 있는 전분안내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32)의 "∧"자 형상으로 일단이 만나는 상부에는 상기 절개날(134)이 승강되어 노출될 수 있게 절개날 노출공(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판(132)의 하부에 상기 절개날(134)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케이싱(136)의 측면 양측에는 승하강공(137)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140)의 승강축(144)이 상기 승하강공(137)을 관통하여 절개날(13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축(144)의 승하강시 절개날(134)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엑츄에이터(14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절개날(134)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한 쌍의 엑츄에이터(142)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136)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승하강공(137)을 통해 상기 절개날(134)의 측면에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장공(113)을 통해 엑츄에이터(142)의 로드의 말단에 고정결합되는 승강축(144)과,
    상기 승강축(144) 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승하강공(137)을 가려 케이싱(136) 내로 전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1가림판(146)과,
    상기 승강축(144) 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113)을 가릴 수 있도록 한 제2가림판(148) 및
    상기 엑츄에이터(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엑츄에이터(142)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 스위치(1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방법.
KR1020230051512A 2023-04-19 2023-04-19 당면 제조방법 KR10260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512A KR102608082B1 (ko) 2023-04-19 2023-04-19 당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512A KR102608082B1 (ko) 2023-04-19 2023-04-19 당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082B1 true KR102608082B1 (ko) 2023-11-30

Family

ID=8896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512A KR102608082B1 (ko) 2023-04-19 2023-04-19 당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1260A (zh) * 2024-02-04 2024-03-12 烟台双塔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红薯粉丝用快速切断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778B1 (ko) 1995-05-18 1999-09-01 경정수 당면 제조방법
KR20090006771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농심 사출면의 제조 방법
KR102084012B1 (ko) * 2020-01-15 2020-03-03 이래용 포대로부터 분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포대 자동 개봉장치
KR102443043B1 (ko) * 2022-05-19 2022-09-14 주식회사 프로닉스 포대 자동 개봉장치
KR20220140278A (ko) * 2021-04-09 2022-10-18 김봉수 분말식품 이송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778B1 (ko) 1995-05-18 1999-09-01 경정수 당면 제조방법
KR20090006771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농심 사출면의 제조 방법
KR102084012B1 (ko) * 2020-01-15 2020-03-03 이래용 포대로부터 분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포대 자동 개봉장치
KR20220140278A (ko) * 2021-04-09 2022-10-18 김봉수 분말식품 이송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443043B1 (ko) * 2022-05-19 2022-09-14 주식회사 프로닉스 포대 자동 개봉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진표당면 제조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os9bMDsXpHo (2016.04.0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1260A (zh) * 2024-02-04 2024-03-12 烟台双塔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红薯粉丝用快速切断装置
CN117681260B (zh) * 2024-02-04 2024-04-12 烟台双塔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红薯粉丝用快速切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082B1 (ko) 당면 제조방법
CN110193854A (zh) 一种脱水蔬菜加工用分切筛选机
US6582216B2 (en) Mould container with exchangeable mould container part
CN117223835A (zh) 一种酱白菜的制作工艺
CN112931910A (zh) 一种火锅底料自动脱模方法
US921361A (en) Dough-mixing machine.
KR101331118B1 (ko) 면발 정렬기
KR102161082B1 (ko) 장조림 제조 및 포장장치
KR101895892B1 (ko) 강정 자동 제조장치
KR200402442Y1 (ko) 즉석튀김장치
CN210747107U (zh) 油炸果蔬冷却筛选装置
JPH0642852B2 (ja) 茹麺玉取り装置
CN107307347B (zh) 一种胡萝卜片的制作方法
CN214114073U (zh) 一种用于水果罐头生产的自动上料机
CN207998040U (zh) 一种多层叠式杀菌设备
KR102570945B1 (ko) 계란지단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19069184A (ja) フライ時間短縮方法
KR200282177Y1 (ko) 계란밥 제조장치
CN210969040U (zh) 一种具有调节宽度功能的豆干制作成型裁剪装置
KR102312142B1 (ko) 차돌만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7797B1 (ko) 떡 제조장치 및 떡 제조방법
RU2513523C1 (ru)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вощных консервов
CN210809022U (zh) 一种面鱼一体化加工装置
CN219019935U (zh) 一种禽蛋称重输送装置
CN219500319U (zh) 一种全自动鲈鱼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