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991B1 -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991B1
KR102607991B1 KR1020210066658A KR20210066658A KR102607991B1 KR 102607991 B1 KR102607991 B1 KR 102607991B1 KR 1020210066658 A KR1020210066658 A KR 1020210066658A KR 20210066658 A KR20210066658 A KR 20210066658A KR 102607991 B1 KR102607991 B1 KR 10260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terminal
pr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972A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21006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9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모듈이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a)단계; 측위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상기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b)단계; 위치비교모듈이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c)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를 독출하고, 제어모듈이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매장 내 위치에 따라 서버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 내 사용자가 가격표시기에 의해 상품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도울 수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USING PRICE INDICATOR}
본 발명은 매장 내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를 이용하여 매장 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 매장의 선반에는 상품들이 진열되고, 상품들에 대한 판매 가격, 할인 정보, 단가, 원산지 등과 같은 정보는, 종이 레이블에 표시된다.
종이 레이블은 상품 정보가 변경되거나 상품 진열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폐기되는데, 이때 변경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새로운 종이 레이블을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종이 레이블은 유지 보수에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종이 레이블의 사용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종이라는 원자재를 낭비하기 때문에, 환경 보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종이 레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자 가격표시기 또는 전자 선반 레이블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가격표시기는 중앙 관제 센터(서버)에서 해당 상품의 가격관련 정보를 무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가격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전자 가격표시기는 전자 가격표시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잦은 정보 변경이나 할인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스토어 심볼(store symbol), 프로모션 이미지(promotion image), 바코드(barcode), 상품 이름(product name), 상품 이미지(product image), 원산지 정보 등의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9719호 (2018.05.1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매장 내 위치에 따라 서버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 내 사용자가 가격표시기에 의해 상품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도울 수 받을 수 있게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신모듈이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a)단계; 측위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상기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b)단계; 위치비교모듈이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c)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를 독출하고, 제어모듈이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비교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격표시기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가격표시기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격표시기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비교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매장 내 구획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구비된 상기 가격표시기 중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격표시기에 구비된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빈도수정보에 따라 구매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우선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에 구비된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에 구비된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가 구매가 예약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의 상기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측위모듈;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위치비교모듈;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를 독출하는 식별모듈;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매장 내 위치에 따라 서버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 내 사용자가 가격표시기에 의해 상품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도울 수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여 가격표시기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여 가격표시기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표기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를 이용하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상품 구매 활동을 돕는 위치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기(100), 서버(200) 및 가격표시기(300)를 포함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모듈(210), 측위모듈(220), 위치비교모듈(230), 식별모듈(240), 데이터베이스(250) 및 제어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모듈(210)은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한다.
통신모듈(210)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100) 및 가격표시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기기로서, 일예로 스마트폰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이 수신하는 단말기 식별정보(i1)는 매장 내 진입하는 단말기(100)들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단말기 식별정보(i1)는 일예로 단말기(100) 각각에 부여된 단말기 식별코드 내지 단말기 식별번호 등의 고유번호이거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가입 또는 멤버십가입 과정에서 부여받은 고유번호일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매장에 구비되어 매장 내 진입하는 단말기(100)를 식별하는 식별기(미도시)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하거나, 매장 내 진입하는 단말기(100)로부터 직접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측위모듈(220)은 단말기(100)의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한다.
예컨대, 측위모듈(220)은 매장 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 등의 장치와 단말기(100) 사이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연산하여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하거나,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위치비교모듈(230)은 단말기 위치정보(i2)를 기초로, 식별된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치비교모듈(230)은 매장공간정보 및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공간정보는 매장실내공간에 대하여 구축된 좌표계 정보 내지 모델링 정보일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영역(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일 수 있다.
위치비교모듈(230)은 매장공간정보 및 단말기 위치정보(i2)를 통하여, 식별된 매장 내 단말기(100)가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정보(i3)를 생성한다.
이어서, 식별모듈(240)은 단말기 식별정보(i1)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i4)를 독출한다.
위치비교모듈(230)에 의해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240)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력정보(i4) 중 수신한 단말기 식별정보(i1)에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 이력정보(i4)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력정보(i4)는 매장 내 구비된 상품(M)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빈도수정보, 상품평가정보 및 구매예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50)는 서버(200) 내에 구비되거나, 서버(2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모듈(260)은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240)이 독출한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가격표시기(300)는 매장 내 진열대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상품(M)에 매칭되어 해당 상품(M)의 가격을 표시하는 전자기기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가격표시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10)와, 내부에 LED 등의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발광부(320), 사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330) 및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24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제어정보(i5)를 생성하여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의 디스플레이부(310), 발광부(320) 및 스피커(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영역(S)이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판단정보(i3)에 따라 단말기(100)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해당 영역(S1)에 인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모듈(260)은 해당 영역(S1)에 인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 이력정보(i4)에는 매장 내 구비된 상품(M)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빈도수정보, 상품평가정보 및 구매예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260)은 기설정된 영역(S1)에 인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의 구매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이거나, 사용자의 상품평가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이거나, 사용자의 구매예약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인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상품(M)에 관한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M)의 구매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영역(S)이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판단정보(i3)에 따라 단말기(100)가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 중 어느 하나의 영역(S2)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해당 영역(S2)에 구비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260)은 해당 영역(S2)에 구비된 가격표시기(300) 중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260)은 해당 영역(S2)에 구비된 가격표시기(300) 중 사용자의 구매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 사용자의 상품평가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 및 사용자의 구매예약이력이 있는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상품(M)에 관한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품(M)에 관한 정보는 상품(M)의 명칭, 가격, 용량, 열량, 영양성분, 판매량, 재고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M)의 구매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발광부(320)의 발광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좋음' 또는 '나쁨'으로 구성된 상품평가정보에 대하여,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M)에 대한 평가가 '좋음'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발광부(320)가 초록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상품(M)에 대한 평가가 '나쁨'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발광부(320)가 빨간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구매예약정보에 따라 가격표시기(300)가 구매가 예약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300)의 발광부(320)가 점멸되도록(불이 켜졌다 꺼졌다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영역(S)이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인 경우에 있어서, 제어모듈(260)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구매빈도수정보에 따라 구매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의 발광부(320)가 우선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영역(S2)에서 발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이전에 구매하였던 상품(M)을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구매빈도수가 높은 상품(M)을 우선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a)단계는 통신모듈(210)이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210)은 매장 내 진입하는 단말기(100)를 식별하는 식별기(미도시)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하거나, 매장 내 진입하는 단말기(100)로부터 직접 단말기 식별정보(i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기 식별정보(i1)는 단말기(100) 각각에 부여된 단말기 식별코드 내지 단말기 식별번호 등의 고유번호이거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가입 또는 멤버십가입 과정에서 부여받은 고유번호일 수 있다.
이어서, (b)단계는 측위모듈(220)이 단말기(100)의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측위모듈(220)은 매장 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 등의 장치와 단말기(100) 사이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연산하여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하거나,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c)단계는 위치비교모듈(230)이 단말기 위치정보(i2)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치비교모듈(230)이 측위모듈(220)로부터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수신하여, 구축된 매장공간정보 및 단말기 위치정보(i2)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매장 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영역(S)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 또는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일 수 있다.
위치비교모듈(230)은 매장공간정보 및 단말기 위치정보(i2)를 통하여, 식별된 매장 내 단말기(100)가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정보(i3)를 생성한다.
이어서, (d)단계는 단말기(100)가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240)이 단말기 식별정보(i1)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독출하고, 제어모듈(260)이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60)이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수신한 판단정보(i3) 및 식별모듈(24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이력정보(i4)를 통하여 매장 내 가격표시기(300)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영역(S)이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판단정보(i3)에 따라 단말기(100)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영역(S1)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해당 영역(S1)에 인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모듈(260)은 해당 영역(S1)에 인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M)의 구매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영역(S)이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판단정보(i3)에 따라 단말기(100)가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 중 어느 하나의 영역(S2)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면, 해당 영역(S2)에 구비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260)은 해당 영역(S2)에 구비된 가격표시기(300) 중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260)은 해당 가격표시기(300)가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영상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i4)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이력정보(i4) 내지 상품(M)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M)의 구매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발광부(320)의 발광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좋음' 또는 '나쁨'으로 구성된 상품평가정보에 대하여,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M)에 대한 평가가 '좋음'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발광부(320)가 초록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상품(M)에 대한 평가가 '나쁨'인 경우 제어모듈(260)은 발광부(320)가 빨간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60)은 위치비교모듈(230)로부터 판단정보(i3)를 수신하고 단말기(100)가 매 장내 기설정된 영역(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구매예약정보에 따라 가격표시기(300)가 구매가 예약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300)의 발광부(320)가 점멸되도록(불이 켜졌다 꺼졌다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영역(S)이 동일상품군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매장 내 구획된 영역(S2)인 경우에 있어서, 제어모듈(260)은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따라 가격표시기(300)에 구비된 발광부(320)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사용자 이력정보(i4)에 대응된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i4)에 포함된 구매빈도수정보에 따라 구매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M)에 대한 가격표시기(300)의 발광부(320)가 우선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영역(S2)에서 발광하고 있는 가격표시기(300)에 의해 이전에 구매하였던 상품(M)을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구매빈도수가 높은 상품(M)을 우선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매장 내 위치에 따라 서버가 매장 내 구비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장 내 사용자가 가격표시기에 의해 상품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도울 수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200 : 서버
300 : 가격표시장치
i1 : 단말기 식별정보
i2 : 단말기 위치정보
i3 : 판단정보
i4 : 사용자 이력정보
i5 : 제어정보

Claims (7)

  1. 통신모듈이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a)단계;
    측위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상기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b)단계;
    위치비교모듈이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c)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모듈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를 독출하고, 제어모듈이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구비된 가격표시기 중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d)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매장 내 구비된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빈도수정보, 상품평가정보 및 구매예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가격표시기 중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는,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구비된 가격표시기 중 사용자의 구매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사용자의 상품평가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및 사용자의 구매예약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에 구비된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가 구매가 예약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빈도수정보에 따라 구매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우선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매장 내 진입한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의 상기 매장 내 위치에 관한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측위모듈;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매장 내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위치비교모듈;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이력정보를 독출하는 식별모듈;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구비된 가격표시기 중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매장 내 구비된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빈도수정보, 상품평가정보 및 구매예약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가격표시기 중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대응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는,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구비된 가격표시기 중 사용자의 구매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사용자의 상품평가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및 사용자의 구매예약이력이 있는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에 구비된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평가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가격표시기가 구매가 예약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설정된 매장 내 구획된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에 포함된 구매빈도수정보에 따라 구매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에 대한 가격표시기의 발광부가 우선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210066658A 2021-05-25 2021-05-25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KR10260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58A KR102607991B1 (ko) 2021-05-25 2021-05-25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58A KR102607991B1 (ko) 2021-05-25 2021-05-25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72A KR20220158972A (ko) 2022-12-02
KR102607991B1 true KR102607991B1 (ko) 2023-11-29

Family

ID=8441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58A KR102607991B1 (ko) 2021-05-25 2021-05-25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44A (ja) * 2007-02-16 2008-09-04 Sii Data Service Kk 電子棚札システム
JP2010072849A (ja) * 2008-09-17 2010-04-02 Casio Computer Co Ltd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90174B1 (ko) * 2019-08-27 2020-05-29 이창수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099181A (ja) * 2015-04-10 2020-06-25 オシア インク. 無線電力供給環境を画像化してその内部の物体を追跡する技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719A (ko) 2016-11-03 2018-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가격표시기, 전자가격표시 시스템 및 전자가격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44A (ja) * 2007-02-16 2008-09-04 Sii Data Service Kk 電子棚札システム
JP2010072849A (ja) * 2008-09-17 2010-04-02 Casio Computer Co Ltd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99181A (ja) * 2015-04-10 2020-06-25 オシア インク. 無線電力供給環境を画像化してその内部の物体を追跡する技術
KR102090174B1 (ko) * 2019-08-27 2020-05-29 이창수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72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0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helf display units and for graphically presenting information on shelf display units
US10600070B2 (en) Service providing device,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US20170213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gistics management
KR102090174B1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5279864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0505183A (ja) 棚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0467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ull-Service Shopping
US20180218347A1 (en) Transaction signaling devices in shopping environment
JP2009053742A (ja) 電子棚札、電子棚札システム、および電子棚札表示用プログラム
CN107464130A (zh) 信息收集系统、服务器以及控制方法
KR20210025250A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66881A (ko)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JP2006212333A (ja) 電子棚札システム
KR102607991B1 (ko) 가격표시기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JP4419870B2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提供サービスプログラム
US20180260885A1 (en) System for Shopping Assistance
KR20120066263A (ko) 전자 선반 라벨
JP2012084173A (ja) 棚札装置広告システム
KR102389764B1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896203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EP3236402A1 (en) Method for the correct implementation of a planogram inside a point of sale
JP2010277364A (ja) 電子棚札システム
JP5033569B2 (ja) Rfタグと個体識別番号との紐付け方法
US10636331B1 (en) Audio electronic labelling system
JP2016131026A (ja) 電子棚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